KR100512736B1 -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736B1
KR100512736B1 KR10-2003-0041651A KR20030041651A KR100512736B1 KR 100512736 B1 KR100512736 B1 KR 100512736B1 KR 20030041651 A KR20030041651 A KR 20030041651A KR 100512736 B1 KR100512736 B1 KR 10051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signal
signal
exter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028A (ko
Inventor
구자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736B1/ko
Priority to US10/822,842 priority patent/US7159130B2/en
Publication of KR2005000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44Concentration; Density
    • H01M8/04447Concentration; Density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모드 또는 저소비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CPU 및 연료전지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외부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연료가 공급되는 경우 외부 연료공급신호를 발생하는 제1연료밸브와; 상기 연료전지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공급되는 경우 내부연료공급신호를 발생하는 제2연료밸브와;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 또는 상기 내부연료공급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를 통해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내부연료공급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저소비전력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CPU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연료 공급이 가능한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연료 공급이 가능한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AC/DC 어댑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동이 가능한 특성상 리튬이온과 같은 화학 전지로 구성된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화학 전지는 반응물질을 전극 가까이에 미리 넣어 두고, 상기 반응물질의 화학 변화에 의해 생기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반응물질의 화학변화가 끝나면 다시 AC 전원을 공급하여 재충전해야만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전원공급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CPU의 전력소비 모드를 저전력으로 설정하여 휴대용 배터리에서 공급가능한 전원을 최대한으로 절약하여 사용시간을 늘일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AC 전원 및/또는 휴대용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의 경우에 있어서, AC 전원을 공급받을 때는 전원공급량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CPU 및 주변 장치는 최대 성능을 낼 수 있도록 높은 전력을 공급받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고성능 모드로 정의한다.
이와 비교하여, 휴대용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때는 전원공급량의 제한을 받게 되므로, 퍼포먼스를 일부 희생시켜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에서 사용가능하도록 낮은 전력을 CPU 및 주변 장치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저소비전력 모드로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전원 공급원에 따라 고성능 모드 또는 저소비전력 모드로 나누어 CPU 및 주변 장치의 전력을 조정하여 동작하게 하는 것은 전원공급량이 제한적인 휴대용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키는 한 방법이 된다.
또한, 휴대용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으로, CPU의 전력소비 모드를 저전력으로 설정하여 휴대용 배터리의 전원을 최대한으로 절약하는 방법 외에 기존의 휴대용 배터리의 용량 자체를 늘이는 방법 등도 있다.
한편, 화학 전지 내에 미리 반응물질을 내장시켜 전기에너지를 얻는 기존의 화학 전지와 달리, 반응물질을 화학 전지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반응생성물이 연속적으로 외부로 제거되도록 구성되는 연료 전지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전원공급원인 연료 전지(7)와, 연료 전지(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3) 및 주변장치(9)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와, 전원공급부(5)가 제어부(3) 및/또는 주변장치(9)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요구되는 적절한 전압정보를 제공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3)를 가진다.
연료 전지(7)는 일종의 발전장치로서, 연료 카트리지(7a)에 내장된 수소 또는 메탄올과 같은 연료와, 공기 중의 산소를 화학반응부(7b)에서 화학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전기 에너지는 전원공급부(5)로 전달되고, 연료 전지(7)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마이컴(31)이 감지하여, 칩셋(33)에 전달하고, 칩셋(33)은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 또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기 연료 전지(7)에 의한 전원공급 사실을 프로세서(35)에 통지하게 된다. 이 후, 칩셋(33) 및 프로세서(35)는 CPU 및 주변장치에 미리 설정된 규정 전압에 관련된 정보를 전원공급부(5)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정보를 전달받은 전원공급부(5)는 전달받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으로 전원을 조정하여 CPU 및 주변 장치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연료 전지(7)는 연료 전지 내에 마련된 연료 카트리지(7a)에 의해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으나, 연료 카트리지(7a)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외부 연료 탱크에 의해 공급받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는, 기존 화학 전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와 유사한 전원관리가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연료 공급이 가능한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고성능 모드 또는 저소비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CPU 및 연료전지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외부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연료가 공급되는 경우 외부 연료공급신호를 발생하는 제1연료밸브와; 상기 연료전지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공급되는 경우 내부연료공급신호를 발생하는 제2연료밸브와;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 또는 상기 내부연료공급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를 통해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내부연료공급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저소비전력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CPU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외부 AC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AC/DC 어댑터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외부 AC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감지하여 AC전원공급신호를 출력하는 DC/DC 및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 및 상기 AC전원공급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 CPU가 고성능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삭제
나아가,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 및 상기 AC전원공급신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전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전원입력신호에 기초하여 CPU가 고성능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전원공급원인 AC/DC 어댑터(1)와, 다른 전원공급원인 연료 전지(27)와, AC/DC 어댑터(1) 및 연료 전지(2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23) 및 주변장치(29)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와, 전원공급부(25)가 제어부(23) 및/또는 주변장치(29)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요구되는 적절한 전압정보를 제공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3)를 가진다.
또한, 연료 전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22)와, 연료 탱크(22) 및 연료 전지(27) 내에 마련된 연료 카트리지(27a)로부터 각각 연료 공급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제1연료밸브(28a) 및 제2연료밸브(28b)로부터의 연료공급신호를 전달받는 신호감지부(24)를 더 가진다.
여기서, 연료 전지(27)는 일종의 발전장치로서, 연료 카트리지(27a)에 내장된 수소 또는 메탄올과 같은 연료와, 공기 중의 산소를 화학반응부(27b)에서 화학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얻는다.
연료 카트리지(27a)에 내장되는 연료로는, 통상적으로 연료 전지의 연료로 공급되는 것들은 모두 적용가능하며, 대표적으로 수소 외에 메탄과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체연료와, 메탄올 및 히드라진과 같은 액체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료는 연료 카트리지(27a)와 화학반응부(27b)를 연결하는 통로에 마련된 밸브(28b)에 의해 연료 공급이 감지되고, 기계적으로 내부연료공급신호를 신호감지부(24)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밸브(28b)는 제2연료밸브로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밸브(28b)는 연료 전지(27)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하는 순간 밸브(28b)의 밸브개방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개방신호를 상기 내부연료공급신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연료 탱크(22)는 연료 카트리지(27a)에 내장되는 연료와 동일한 물질을 담고 있는데, 연료 카트리지(27a)의 경우와 유사하게, 연료 탱크(22)와 화학반응부(27b)를 연결하는 통로에 마련된 밸브(28a)에 의해 연료 공급이 감지되고, 기계적으로 외부연료공급신호를 신호감지부(24)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밸브(28a)는 제1연료밸브로 정의하기로 한다.
여기서, 밸브(28a)는 연료 탱크(22)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하는 순간 밸브(28a)의 밸브개방신호를 출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개방신호를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로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신호감지부(24)는 제1연료밸브(28a)로부터의 외부연료공급신호 및 제2연료밸브(28b)로부터의 내부연료공급신호를 감지하여, 이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또는, 제1연료밸브(28a) 및 제2연료밸브(28b)에 소정의 센서를 부착하여 연료의 유량 또는 유량에 의한 밸브 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외부연료공급신호 및 내부연료공급신호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3)는 신호감지부(24)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로 전원을 제어하게 된다.
즉, 외부연료공급신호, 다시 말해, 연료 탱크(22)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을 때는 전원공급량에 비교적 제한을 덜 받게 되므로,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CPU 및 주변 장치는 최대 성능을 낼 수 있도록 높은 전력을 공급받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와 비교하여, 내부연료공급신호, 다시 말해, 연료 전지(27) 내에 마련된 연료 카트리지(27a)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을 때는 전원공급량의 제한을 받게 되므로, 저소비전력 모드로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퍼포먼스를 일부 희생시켜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에서 사용가능하도록 낮은 전력을 CPU 및 주변 장치에 공급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제어부(23)는 더욱 상세하게 마이컴(45)과, 칩셋(47)과, 프로세서(49)를 포함하는데, 연료 탱크(22)로부터의 연료를 공급받아 화학반응부(27b)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얻어진 전기 에너지는 전원공급부(25)로 전달되고, 신호감지부(24)로부터 감지된 외부연료공급신호에 의해 연료 탱크(22)에 의해 연료가 공급되고 있음을 마이컴(45)이 감지하여, 칩셋(47)에 전달하고, 칩셋(47)은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 또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49)에 통지하게 된다. 이 후, 칩셋(47) 및 프로세서(49)는 CPU 및 주변장치에 미리 설정된 규정 전압에 관련된 정보를 전원공급부(25), 더욱 상세하게는 DC/DC 및 충전부(41)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정보를 전달받은 DC/CD 및 충전부(41)는 전원제어부(43)를 통해 전달받은 전압으로 전원을 조정하여 CPU 및 주변 장치에 공급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신호감지부(24)가 내부연료공급신호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비해 낮은 전압에 해당되는 정보를 전원공급부(25)로 전달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전압이 조정되어 CPU 및 주변 장치에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성능 모드 및 저소비전력 모드는, CPU의 동작모드를 AC 전원 구동시와 배터리 구동시로 나누어 최적화하는 현재 인텔 아키텍쳐 또는 기타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스피드스텝 또는 게이서빌 모듈을 그대로 활용하거나 변경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은 배터리 사용시 CPU의 동작 클럭 및 CPU 코어 전압을 낮추는 것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로 인해 배터리 사용시 처리속도는 저하되지만, 상대적으로 배터리의 사용가능시간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AC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마련된 커넥터(미도시)에 AC/DC 어댑터를 접속한 경우는 공급된 AC 전원이 DC/DC 및 충전부(41)로 전달되고, AC 전원이 공급됨을 감지한 DC/DC 및 충전부(41)는 AC전원공급신호를 마이컴(45)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AC전원공급신호를 전달받은 마이컴(45)은 이를 칩셋(47)에 전달하고, 칩셋(47)은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 또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49)에 통지하게 된다. 이 후, 칩셋(47) 및 프로세서(49)는 CPU 및 주변장치에 미리 설정된 규정 전압에 관련된 정보를 전원공급부(25), 더욱 상세하게는 DC/DC 및 충전부(41)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정보를 전달받은 DC/DC 및 충전부(41)는 전원제어부(43)를 통해 전달받은 전압으로 전원을 조정하여 CPU 및 주변 장치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연료 전지(27)가 장착되는 위치에 휴대용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DC/DC 및 충전부(41)는 AC/DC 어댑터(1) 및 휴대용 배터리가 모두 장착된 경우 방전된 휴대용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C/DC 전원 및 연료 전지를 모두 전원 공급원으로 사용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는 AC/DC 어댑터(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연료 탱크(22)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는 경우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신호감지부(24)로부터의 외부연료공급신호 및 DC/DC 및 충전부(41)로부터의 AC전원공급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전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인 OR 게이트(26)를 마련하여, 상기 외부전원입력신호가 마이컴(45)에 전달되는 경우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료 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연료 전지 내에 마련된 연료 카트리지에서 연료를 공급받을 때와 외부 연료 탱크에서 연료를 공급받을 때의 CPU 및 주변 장치의 동작 모드를 달리하여 연료 전지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해 준다.
다시 말해, 외부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경우에는 높은 퍼포먼스를 제공하는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연료 전지 내의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경우에는 저소비전력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연료 전지의 효율적인 사용시간을 구현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AC/DC 전원 및 연료 전지를 모두 전원 공급원으로 사용가능한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는, OR 게이트를 마련함으로써, AC/DC 어댑터(1)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연료 탱크(22)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는 경우 발생하는 외부전원입력신호를 출력하여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연료 공급이 가능한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
즉, 연료전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연료 전지 내에 마련된 연료 카트리지에서 연료를 공급받을 때와 외부 연료 탱크에서 연료를 공급받을 때의 CPU 및 주변 장치의 동작 모드를 달리하여 연료 전지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해 준다.
다시 말해, 외부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경우에는 높은 퍼포먼스를 제공하는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게 하고, 연료 전지 내의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경우에는 저소비전력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연료 전지의 효율적인 사용시간을 구현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C/DC 어댑터 22 : 연료 탱크
23 : 제어부 24 : 신호감지부
25 : 전원공급부 26 : OR 게이트
27 : 연료 전지 27a : 연료 카트리지
27b : 화학반응부 28a : 제1연료밸브
28b : 제2연료밸브 29 : 주변 장치
41 : DC/CD 및 충전부 43 : 전원제어부
45 : 마이컴 47 : 칩셋
49 : 프로세서

Claims (4)

  1. 고성능 모드 또는 저소비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CPU 및 연료전지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외부 연료탱크로부터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연료가 공급되는 경우 외부 연료공급신호를 발생하는 제1연료밸브와;
    상기 연료전지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공급되는 경우 내부연료공급신호를 발생하는 제2연료밸브와;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 또는 상기 내부연료공급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를 통해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고성능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내부연료공급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저소비전력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CPU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외부 AC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하는 AC/DC 어댑터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외부 AC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감지하여 AC전원공급신호를 출력하는 DC/DC 및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 및 상기 AC전원공급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CPU가 고성능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료공급신호 및 상기 AC전원공급신호를 입력받아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 외부전원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전원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CPU가 고성능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KR10-2003-0041651A 2003-06-25 2003-06-25 휴대용 컴퓨터 KR10051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651A KR100512736B1 (ko) 2003-06-25 2003-06-25 휴대용 컴퓨터
US10/822,842 US7159130B2 (en) 2003-06-25 2004-04-13 Portable computer using a fuel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651A KR100512736B1 (ko) 2003-06-25 2003-06-25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028A KR20050001028A (ko) 2005-01-06
KR100512736B1 true KR100512736B1 (ko) 2005-09-07

Family

ID=3353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651A KR100512736B1 (ko) 2003-06-25 2003-06-25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59130B2 (ko)
KR (1) KR100512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7423B4 (de) * 2001-06-06 2005-10-06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onische Schaltung mit Energiesteuerung
WO2005004258A2 (en) * 2003-06-27 2005-01-13 Ultracell Corporation Portable fuel cartridge for fuel cells
US20060127711A1 (en) * 2004-06-25 2006-06-15 Ultracell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uel cartridge distribution
JP2005078518A (ja) * 2003-09-02 2005-03-24 Renesas Technology Corp 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そのコンパイラ
US7648792B2 (en) * 2004-06-25 2010-01-19 Ultracell Corporation Disposable component on a fuel cartridge and for use with a portable fuel cell system
US7968250B2 (en) * 2004-06-25 2011-06-28 Ultracell Corporation Fuel cartridge connectivity
US7205060B2 (en) 2004-08-06 2007-04-17 Ultracel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luid delivery in a fuel cell
US7807313B2 (en) * 2004-12-21 2010-10-05 Ultracell Corporation Compact fuel cell package
US7319908B2 (en) * 2005-10-28 2008-01-15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device power/mode management
US20080131740A1 (en) * 2006-01-19 2008-06-05 Manuel Arranz Del Rosal Fuel cartridge coupling valve
TWI459889B (zh) * 2008-09-18 2014-11-01 Pegatron Corp 均溫板
CN110286733B (zh) * 2019-06-28 2020-10-09 无锡睿勤科技有限公司 笔电适配器自适应设定cpu性能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9659A (ja) 1995-12-26 1997-07-11 Nec Gumma Ltd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5932365A (en) 1997-06-09 1999-08-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Hydrogen canister fuel cell battery
US6326097B1 (en) * 1998-12-10 2001-12-04 Manhattan Scientifics, Inc. Micro-fuel cell power devices
DE10013862C1 (de) 2000-03-21 2001-08-30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Tragbares Computersystem
JP3445561B2 (ja) 2000-07-17 2003-09-08 株式会社東芝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3895909B2 (ja) 2000-08-01 2007-03-22 株式会社東芝 携帯型情報機器及び携帯型情報機器の駆動方法
JP2002169625A (ja) 2000-11-30 2002-06-1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JP2002169629A (ja) 2000-11-30 2002-06-1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6447945B1 (en) 2000-12-12 2002-09-10 General Atomics Portable electronic device powered by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JP2003223243A (ja) * 2002-01-29 2003-08-08 Toshiba Corp 情報機器
JP2004126818A (ja) *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電池ユニットおよび電池ユニットの動作制御方法
JP3742385B2 (ja) * 2002-12-26 2006-02-01 株式会社東芝 直接型メタノール燃料電池システム、携帯用電子機器及び直接型メタノール燃料電池システムの液体燃料残存量の検出方法
US7553571B2 (en) * 2003-04-15 2009-06-30 The Gillette Company Management system for a fuel cell and method thereof
US7128106B2 (en) * 2003-04-15 2006-10-31 The Gillette Company Apparatus for refueling a direct oxidation fuel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65650A1 (en) 2004-12-30
US7159130B2 (en) 2007-01-02
KR20050001028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9735C (zh) 电子设备及其电源管理控制装置以及电源装置
US7863775B2 (en) Power management and control in electronic equipment
KR100512736B1 (ko) 휴대용 컴퓨터
US20060127721A1 (en) Fuel cell control and data reporting
US7952328B2 (en) Multi-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WO2006130877A2 (en) Power supply for portable computer
US7569295B2 (en) Fuel cell unit and state display control method
KR20040024754A (ko)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충전방법
US20090233127A1 (en) Fuel cell system
US20070048566A1 (en) Fuel cell unit, control method for fuel cell un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0367156C (zh) 电子设备及其供电转换控制方法和供电转换设置方法
JP5113605B2 (ja) 携帯型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879473B2 (en) Fuel cell unit, control method there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33504B1 (ko) 연료전지와 축전지의 선택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4265787A (ja) 直接型メタノール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50048330A1 (en) Electronic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US20050079396A1 (en) Fuel cell unit and power control method
US6797419B2 (en) Electronic apparatus powered by fuel cell having oxygen density detector
KR100994806B1 (ko) 시스템의 전원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59091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관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40234828A1 (en) Electronic apparatus, fuel cell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apparatus
US20060001398A1 (en) Fuel cell-based charger for computer system
JP2005295705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充電制御方法
US20050280392A1 (en) Fuel cell power adapter for computer system
KR100670144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