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726B1 -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 Google Patents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726B1
KR100512726B1 KR10-2003-0016732A KR20030016732A KR100512726B1 KR 100512726 B1 KR100512726 B1 KR 100512726B1 KR 20030016732 A KR20030016732 A KR 20030016732A KR 100512726 B1 KR100512726 B1 KR 10051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oor
screw
cover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097A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7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에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의 전방에 마련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대해 결합된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단부에 대해 결합된 제2지지대를 갖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도어의 판면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제1지지대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커버부재에 대해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제1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캐비닛개구부와 커버부재 사이에 발생되는 전후단차를 용이하며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DOOR ASSEMBLY OF BUILT-IN STORAGE}
본 발명은,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고의 도어와 도어 전방에 마련된 커버부재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고는 음식물 등을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형상하는 냉장고, 김치냉장고 또는 야채저장고 등을 통칭하는 말이다.
그리고, 빌트인 저장고는, 부엌과 같은 장소에 주위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며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에 수용되는 저장고를 말한다. 또한, 이러한 빌트인 저장고는 캐비닛에 수용되어 상태에서 주위의 가구들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저장고의 도어의 전방에 커버부재를 장착하게 된다.
이하, 명세서에서는 빌트인 저장고의 일예로서 캐비닛에 수용되는 냉장고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종래의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도어에 커버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관련된 발명은 일본특허공개 평7-294107의 시스템키친용 냉장고의 도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키친용 냉장고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시스템키친용 냉장고는, 냉장고본체(11)와, 냉장고본체(11)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13)와, 도어(12,13)의 전면측에 마련된 도어프레임(14)과, 도어프레임(14)에 삽입되어 도어(12,13)의 전방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와 같은 화장판(17)을 포함한다.
도어프레임(14)은 그 일측으로부터 화장판(17)의 단부영역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에, 종래의 시스템키친용 냉장고는 도어(12,13)의 전방에 커버부재와 같은 화장판(17)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키친용 냉장고는 도어 전방에 커버부재와 같은 화장판을 장착하고 있으나, 이러한 화장판이 도어판면에 대해 이동하여 화장판과 도어의 사이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별도의 수단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종래의 냉장고가 캐비닛에 수용되는 경우, 캐비닛의 전방 개구부와 화장판의 사이의 미세한 단차를 조절하기 위해서도 냉장고본체를 이동해야함으로, 단차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개구부와 커버부재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캐비닛에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방에 마련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대해 결합된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단부에 대해 결합된 제2지지대를 갖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도어의 판면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제1지지대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커버부재에 대해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제1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의 배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커버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의 단부와 상기 제2지지대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지지대를 결합하는 제2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제1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지지대를 결합하는 제2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대에는 상기 제1스크루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공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제1지지대로부터 상기 커버브래킷을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제2지지대를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프링부재 및 상기 제2스프링부재는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 사이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지지대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스크루 및 상기 제2스크루와 각각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브래킷은 상기 제1지지대에 대향하는 상기 제2지지대의 단부에 상기 제1지지대와 평행하게 마련된 제3지지대를 더 가지고, 상기 커버브래킷은 그 판면에서 상기 제3지지대와 평행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3지지대와 상기 돌출부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제1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체결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3지지대와 접하는 제3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대에는 상기 제1스크루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공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제1지지대로부터 상기 커버브래킷을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3지지대로부터 상기 돌출부를 접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3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스크루 및 상기 제3스크루와 각각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저장고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 캐비닛(110)에 수용가능하게 마련된 냉장고(100)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하 명세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냉장고(100)를 기준으로 도어(105)가 마련되는 쪽을 전방으로 하여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하고, 냉장고(100)의 위쪽을 상측으로 하여 그 반대방향을 하측으로 하며, 냉장고(100)의 오른쪽을 우측으로 하여 그 반대방향을 좌측으로 한다.
캐비닛(110)은 냉장고(100)를 수용가능하게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15)와, 수용부(115)의 전방 단부에 마련된 캐비닛개구부(113)를 포함한다.
냉장고(100)는 캐비닛(110)의 수용부(115)에 수용되는 본체(103)와, 본체(103)의 전방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05)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105)는 본체(103)에 마련된 음식물과 같은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의 수에 따라 복수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는 도어(105)의 전방에 마련된 커버부재(120)와, 커버부재(120)를 도어(105)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브래킷(130)과, 도어(105)의 판면에 대해 커버부재(12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커버부재(120)와 연결브래킷(130)을 결합하는 제1결합수단(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는 커버부재(120)의 배면에 결합된 커버브래킷(12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어(105)의 단부와 연결브래킷(130)을 결합하는 제2결합수단(1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120)는 도어(105)의 전방에 마련되며, 도어(105)의 판면 보다 더 넓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부재(120)의 배면은 도어(105)의 상측단부(106) 및 하측단부(107)와 각각 연결브래킷(13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커버부재(120)의 전면에는 커버부재(120)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미도시)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브래킷(125)은 한 쌍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연결브래킷(130)과 결합되는 커버부재(120)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브래킷(125)은 커버부재(120)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합수단은 체결스크루(126)인 것이 바람직하나, 접착제와 같은 다른 결합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커버브래킷(125)의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이나 나무와 같은 것일 수도 있다.
연결브래킷(130)은 커버부재(120)에 대해 결합된 제1지지대(131)와, 제1지지대(131)로부터 연장되어 도어(105)의 단부에 대해 결합된 제2지지대(1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브래킷(13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도어(105)의 상측단부(106)와 하측단부(107) 및 커버브래킷(125)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브래킷(130)은 단면이"L"자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수단(140)은 도어(105)의 판면에 대해 커버부재(12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커버부재(120)와 제1지지대(131)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게 커버부재(120)에 대해 제1지지대(131)를 결합한다. 그리고, 제1결합수단(140)은 커버부재(120)의 배면에 결합된 커버브래킷(125)과 제1지지대(131)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커버브래킷(125)과 제1지지대(131)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결합수단(140)은 커버브래킷(125)과 제1지지대(131)를 결합하는 제1스크루(141)와, 제1지지대(131)로부터 커버브래킷(125)을 결합방향의 반대방향 즉, 이격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부재(14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스크루(141)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나 또는 셋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스프링부재(143)는 커버브래킷(125)과 제1지지대(131)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스프링부재(143)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나, 판스프링일 수도 있으며, 기타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지지대(131)에는 제1스크루(141)를 수용하도록 제1지지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장공(133)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장공(133)은 제1지지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장공(133)은 제1스크루(141)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셋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스크루(141)와 결합되는 커버브래킷(125)에는 제1스크루(141)에 대응하여 암나사가 형성된 제1체결공(128)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스크루(141)의 나사부는 제1지지대(131)의 장공(133) 및 제1스프링부재(143)를 관통하여 커버브래킷(125)의 제1체결공(128)에 결합된다.
제2결합수단(150)은 도어(105)의 단부와 제2지지대(135)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도어(105)와 제2지지대(135)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결합수단(150)은 도어(105)와 제2지지대(135)를 결합하는 제2스크루(151)와, 도어(105)로부터 제2지지대(135)를 결합방향의 반대방향 즉, 이격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부재(15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스크루(151)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나 또는 셋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스프링부재(153)는 도어(105)와 제2지지대(135)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스프링부재(153)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나, 판스프링일 수도 있으며, 기타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지지대(135)에는 제2스크루(151)가 관통가능하게 제2지지대(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137)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관통공(137)은 제2스크루(151)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셋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스크루(151)와 결합되는 도어(105)의 상측단부(106) 및 하측단부(107)에는 제2스크루(151)에 대응하여 암나사가 형성된 제2체결공(108)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2스크루(151)의 나사부는 제2지지대(135)의 관통공(137) 및 제2스프링부재(153)를 관통하여 도어(105)의 상측단부(106) 및 하측단부(107)의 제2체결공(108)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냉장고(100)의 도어(105) 전방에 연결브래킷(130)을 이용하여 커버부재(120)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냉장고(100)의 전방에 장착된 커버부재(120)를 캐비닛(110)의 전방에 위치한 캐비닛개구부(113)와 대충 일치하도록 냉장고(100)를 캐비닛(110)에 삽입한다. 이때, 커버부재(120)와 캐비닛개구부(113)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차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제1결합수단(140) 및 제2결합수단(150)을 조절하게 된다.
우선, 캐비닛개구부(113)와 커버부재(1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형성된 단차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어(105)의 판면에 대해 커버부재(12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스크루(141)를 회동시키면 된다(도 5 참조). 즉, 커버부재(120)가 캐비닛개구부(113)보다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 또는 삽입된 단차(이를 전후단차라 함)를 형성하는 경우, 커버부재(120)의 상측 및 하측과 결합된 각 제1스크루(141)를 회동시켜 도어(105)와 커버부재(120)의 사이 간격을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전후단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20)의 상측의 전후단차가 하측의 전후단차보다 클 경우, 커버부재(120)의 하측 보다 상측에 결합된 제1스크루(141)를 더 회동시켜 도어(105)와 커버부재(120)의 사이 간격을 줄임으로써 전후단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120)의 상측 및 하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된 각각의 제1스크루(141)를 개별적으로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 등에 부분적으로 발생되는 전후단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스프링부재(143)가 소정의 탄성력으로 제1지지대(131) 및 커버브래킷(125)을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제1지지대(131)와 커버브래킷(125)사이의 조절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는 각 제1스크루(141)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커버부재(120)와 캐비닛개구부(113) 사이에 발생되는 전후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개구부(113)에 대해 커버부재(12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형성된 단차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어(105)의 판면에 대해 커버부재(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2스크루(151)를 회동시키면 된다(도 6 참조). 즉, 커버부재(120)의 상측 또는 하측이 캐비닛개구부(113)에서 편심되어 일측으로 과도하게 이격되는 단차(이를 상하단차라 함)를 형성하는 경우, 도어(105)의 상측단부(106) 및 하측단부(107)와 결합된 각 제2스크루(151)를 회동시켜 제2지지대(135)와 도어(105)의 상측단부(106) 및 하측단부(107)의 사이간격을 조절하여 커버부재(120)를 도어(105)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하단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어(105)의 상측단부(106) 및 하측단부(107)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결합된 각각의 제2스크루(151)를 개별적으로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커버부재(120)의 상측 또는 하측이 좌측 또는 우측 등으로 부분적으로 발생되는 상하단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프링부재(153)가 소정의 탄성력으로 제2지지대(135) 및 도어(105)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밀고 있으므로, 제2지지대(135)와 도어(105)사이의 조절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는 각 제2스크루(151)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커버부재(120)와 캐비닛개구부(113) 사이에 발생되는 상하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개구부(113)에 대해 커버부재(12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형성된 단차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어(105)의 판면에 대해 커버부재(1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스크루(141)를 제1지지대(131)에 마련된 장공(133)을 따라 이동시키면 된다(도 7 참조). 즉, 커버부재(120)의 좌측 또는 우측이 캐비닛개구부(113)에서 편심되어 일측으로 과도하게 이격되는 단차(이를 좌우단차라 함)를 형성하는 경우, 커버부재(120)의 상측 및 하측과 결합된 각 제1스크루(141)를 어느 정도 풀어서 제1스크루(141)가 제1지지대(131)의 장공(133)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커버부재(120)를 도어(105)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좌우단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120)의 상측 및 하측에 결합된 각각의 제1스크루(141)를 제1지지대(131)의 장공(133)을 따라 적절히 이동시킴으로써, 커버부재(12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상부 및 하부에 등에 부분적으로 발생되는 좌우단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는 각 제1스크루(141)를 제1지지대(131)의 장공(133)을 따라 미세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커버부재(120)와 캐비닛개구부(113) 사이에 발생되는 좌우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도어조립체는 제1실시예의 제1결합수단(140)에 마련된 제1스프링부재(143) 및 제2결합수단(150)에 마련된 제2스프링부재(153) 대신에 복수의 너트(160)를 마련하고 있다는 것이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너트(160)는 제1지지대(131) 및 제2지지대(135)를 사이에 두고 제1스크루(141) 및 제2스크루(151)와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너트(160)는 제1지지대(131) 및 제2지지대(135)를 각각 제1스크루(141) 및 제2스크루(151)의 머리 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제1스크루(141)에 조여진다. 또한, 이러한 너트(160)는 제1스크루(141) 및 제2스크루(151)에 각각 한 쌍씩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전후단차 및 상하단차를 조절하기 위해 제1스크루(141) 및 제2스크루(151)를 조절한다. 그런 후, 전술한 제1실시예의 제1스프링부재(143) 및 제2스프링부재(153)와 같이, 각 한 쌍의 너트(160)를 제1지지대(131) 및 제2지지대(135)가 커버브래킷(125) 및 도어(105)로부터 이탈되어 제1스크루(141) 및 제2스크루(151)의 머리 방향으로 밀착되게 조인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는 각 제1스크루(141) 및 너트(160)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커버부재(120)와 캐비닛개구부(113) 사이에 발생되는 전후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제2스크루(151) 및 너트(160)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커버부재(120)와 캐비닛개구부(113) 사이에 발생되는 상하단차를 최소화 하도록 미세하게 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 제1스크루(141)를 장공(133)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좌우단차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도 역시 본 발명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너트(160)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도 제1지지대(131) 및 제2지지대(135)를 사이에 두고 제1스크루(141) 및 제2스크루(151)와 각각 체결되는 너트를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연결브래킷(130)은 제1지지대(131)에 대향하는 제2지지대(135)의 단부에 제1지지대(131)와 평행하게 마련된 제3지지대(138)를 더 가지며, 커버브래킷(125)은 그 판면에서 제3지지대(138)와 평행하게 돌출된 돌출부(127)를 더 가지고, 제3지지대(138)와 돌출부(127)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조절수단(170)을 더 포함한다.
제3지지대(138)는 제2지지대(135)의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출부(127)역시 커버브래킷(125)에 제3지지대(138)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수단(170)은 돌출부(127)에 체결되며 그 단부가 제3지지대(138)와 접하는 제3스크루(171)를 포함한다. 이때, 돌출부(127)에는 제3스크루(171)가 나사결합가능하게 암나사가 형성된 제3체결공(12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지지대(135)는 도어(105)의 상측단부(106) 및 하측단부(107)에 마련된 제2체결공(108)에 제2스크루(151)에 의해 이격간격 없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의 제2스프링부재(153)는 제3지지대(138)로부터 돌출부(127)를 이격방향의 밀어줄 수 있게 제3지지대(138)와 돌출부(127)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스크루(171)에 수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는 각 제3스크루(171)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커버부재(120)와 캐비닛개구부(113) 사이에 발생되는 상하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도 11참조). 그 외의 전후단차 및 좌우단차 조절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도 역시 본 발명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스프링부재(143,153) 대신 너트(160)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제1 및 제2스프링부재(143,153) 및 너트(160)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도어조립체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는 달리, 제1실시예의 커버브래킷(125)이 커버부재(120)의 좌측 및 우측영역에 결합되며, 제1실시예의 연결브래킷(130)이 도어(105)의 좌측단부와 우측단부 및 커버브래킷(125)에 체결된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는 각 제1스크루(141)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커버부재(120)와 캐비닛개구부(113) 사이에 발생되는 전후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제2스크루(151)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좌우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각 제1스크루(141)를 제1지지대(131)의 장공(133)을 따라 미세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하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도 역시 본 발명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제1 및 제2스프링부재(143,153) 대신 너트(160)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제1 및 제2스프링부재(143,153) 및 너트(160)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3실시예의 구성을 제4실시예처럼 도어(105)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연결브래킷과 제1 및 제2결합수단 등을 한 쌍으로만 구성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두 쌍으로 마련하여 도어(105) 및 커버부재(120)의 상하 및 좌우측에 모두 장착할 수도 있으며, 세 개를 마련하여 장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연결브래킷과 제1 및 제2결합수단 등을 한 쌍으로만 구성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도어(105) 및 커버부재(120)의 상측 또는 하측 및 좌측 또는 우측에 하나만 마련하고 그 대향측에 도어(105)에 대해 커버부재(120)가 전후, 상하 및 좌우 이동가능하게 단순히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브래킷을 마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는 도어의 전방에 마련된 커버부재와, 커버부재 및 도어의 단부에 대해 결합된 연결브래킷과, 도어의 판면에 대해 커버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결합수단을 마련하여, 커버부재와 캐비닛개구부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캐비닛개구부와 커버부재 사이에 발생되는 전후단차를 용이하며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수단 및 장공을 더 마련하여 캐비닛개구부와 커버부재에 사이에 발생되는 상하단차 및 좌우단차를 용이하며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빌트인 타입 냉장고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와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도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이 제2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도어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의 작동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장고 103 : 본체
105 : 도어 106 : 상측단부
107 : 하측단부 108 : 제2체결공
110 : 캐비닛 113 : 캐비닛개구부
115 : 수용부 120 : 커버부재
125 : 커버브래킷 126 : 체결스크루
127 : 돌출부 128 : 제1체결공
129 : 제3체결공 130 : 연결브래킷
131 : 제1지지대 133 : 장공
135 : 제2지지대 137 : 관통공
138 : 제3지지대 140 : 제1결합수단
141 : 제1스크루 143 : 제1스프링부재
150 : 제2결합수단 151 : 제2스크루
153 : 제2스프링부재 160 : 너트
170 : 조절수단 171 : 제3스크루

Claims (13)

  1. 캐비닛에 수용되는 본체와, 본체에 마련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전방에 마련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대해 결합된 제1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단부에 대해 결합된 제2지지대를 갖는 연결브래킷과;
    상기 도어의 판면에 대해 상기 커버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제1지지대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커버부재에 대해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제1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제1지지대로부터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배면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커버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단부와 상기 제2지지대 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지지대를 결합하는 제2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제1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지지대를 결합하는 제2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에는 상기 제1스크루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제2지지대를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부재 및 상기 제2스프링부재는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 사이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제2지지대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스크루 및 상기 제2스크루와 각각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은 상기 제1지지대에 대향하는 상기 제2지지대의 단부에 상기 제1지지대와 평행하게 마련된 제3지지대를 더 가지고, 상기 커버브래킷은 그 판면에서 상기 제3지지대와 평행하게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3지지대와 상기 돌출부의 이격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커버브래킷과 상기 제1지지대를 결합하는 제1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체결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3지지대와 접하는 제3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에는 상기 제1스크루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장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제1지지대로부터 상기 커버브래킷을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제1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3지지대로부터 상기 돌출부를 접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주는 제2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3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스크루 및 상기 제3스크루와 각각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KR10-2003-0016732A 2003-03-18 2003-03-18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KR100512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32A KR100512726B1 (ko) 2003-03-18 2003-03-18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732A KR100512726B1 (ko) 2003-03-18 2003-03-18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097A KR20040082097A (ko) 2004-09-24
KR100512726B1 true KR100512726B1 (ko) 2005-09-07

Family

ID=3736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732A KR100512726B1 (ko) 2003-03-18 2003-03-18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359B1 (ko) * 2008-06-25 201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 냉장고
DE102009036851A1 (de) * 2009-05-29 2010-12-02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Türsystem für ein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ühl- und/oder Gefriergerät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Türsystems
US8651590B2 (en) * 2011-05-10 2014-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Leveling assembly for appliance doors
CN103453720B (zh) * 2013-09-09 2016-03-09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用于支撑冰箱的门体或箱体的支撑件及具有其的冰箱
DE102015219323A1 (de) * 2015-10-07 2017-04-13 BSH Hausgeräte GmbH Beschlagbauteil für ein Haushaltsgerät, Haushaltsgerät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schlagbaute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097A (ko) 200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734B1 (ko) 빌트인 저장고
US5369842A (en) "Hinge plate for a refrigerator"
CA2440072C (en) Pocket door slide
US8122734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dispensing device
US5621947A (en) Hinge for an article of furniture with a frame
US20120146476A1 (en) Tolerance adaptive slide connection assemblies
CA2410285A1 (en) Single piece tub frame and support for dishwasher
KR20140026546A (ko) 서랍
KR2019005780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의 결합구조
KR100512726B1 (ko)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KR100512728B1 (ko)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US7547080B2 (en) Rollout tray mounting system for cabinet
US11939810B2 (en) Shower door sliding mechanism for soft positioning
KR100512727B1 (ko)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 조립체
JP5475680B2 (ja) 家具駆動装置
US20090039750A1 (en) Adjusting rail
US20030066164A1 (en) Adjustable door hinge
JP2010004976A (ja) 吊戸棚
US6681446B2 (en) Door support bracket provided with adjustment mechanism
EP2789780B1 (en) Support and adjustment device of a trolley for sliding doors or panels
KR101600065B1 (ko) 미닫이식 도어용 슬림형 틀프레임
US20060124038A1 (en) Cabinet for display
KR200240646Y1 (ko) 빌트인 타입 김치저장고의 설치구조
KR100534473B1 (ko) 냉장고용 접이식 선반
JPH07993Y2 (ja) 引出しの化粧板調整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