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475B1 -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475B1
KR100512475B1 KR10-2003-0025515A KR20030025515A KR100512475B1 KR 100512475 B1 KR100512475 B1 KR 100512475B1 KR 20030025515 A KR20030025515 A KR 20030025515A KR 100512475 B1 KR100512475 B1 KR 10051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cancer
leaf extract
weight
inhibit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1869A (ko
Inventor
이형주
이기원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이형주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주, 이기원 filed Critical 이형주
Priority to KR10-2003-002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4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1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을 회복하고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 (Matrix metalloproteinase : MMP)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간암의 진행과 전이를 억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갖는 약제, 가공 식품, 기능성 식품, 음료 및 주류의 제조에도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LIVER CANCER CONTAINING AN EXTRACT OF THE NEEDLES OF ABIES NEPHROLEPIS}
본 발명은 간세포에 대한 독성 없이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을 회복시키고, MMP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간암의 진행과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비나무 잎의 용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식생활이 풍요로워짐에 따라 서구적인 식생활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과다한 영양의 섭취나 불균형적인 식생활 등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는 암, 동맥경화, 뇌졸중, 당뇨병, 고혈압 등의 만성적인 성인병 질환이 크게 늘고 있다.
지금까지 암을 치료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암 치료법은 약물 요법, 수술 요법, 방사선 요법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약물 치료시 항암제를 경구 또는 정맥 투여할 경우 약물이 일단 혈류를 통해 전신에 퍼졌다가 병소에 도달하게 되므로 병소에는 미량만이 집적된다. 따라서, 병소에 적정량을 집적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약물을 투여해야 하고 이로 인한 부작용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대체로 효과가 좋은 암 억제제가 통증이나 발열 등의 부작용이 더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방사선 요법의 경우 그 안전성에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간암에 효과적이라는 홀뮴 (Holmium)과 같은 물질은 키토산과 복합체 (Milican, 동화약품주식회사)를 만들어 그 효과가 입증된 바 있으나 그 부작용 또한 심각하여 여전히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Watterson. J. D. et al., J. Urol. 168:442-445, 2002; Peh, O. H. et al., Ann. Acad. Med. Singapore 30:563-567, 2001).
특히 최근에는 암 억제제를 찾는데 있어서, 비가역적이고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암의 개시단계에서 이를 저해하는 전략보다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암 예방제로서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는 암의 진행단계에 저해 효과를 갖는 물질이나 식품들을 찾는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강진석 외, 화학적 암예방 고려의학, 2000; Surh, Y. J., Mutat. Res. 428:305-327, 1999; Sporn, M. B., Lancet. 347:1377-1381, 1996).
간암의 진행단계에서 갭 정션 채널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의 억제는 중요한 생화학적 지표로 인정되고 있으며, 간암에 있어서 특히 커넥신 32와 26의 결핍이 중요한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이러한 세포간 신호전달의 억제를 회복시키는 물질은 간암의 진행을 저해하고 간암의 전이 억제효과를 갖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Eghbali B. et al., Proc. Natl. Acad. Sci. 87:1328-1331, 1990; Ara C et al., Cell Mol Life Sci. 59(10):1758-65, 2002; Evert M et al., Carcinogenesis 23(5):697-703, 2002; Muramatsu A et al., Carcinogenesis 23(2):351-8, 2002).
또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암의 이동과 전이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효소로서, 세포외 기질을 용해시키는 대표적인 효소이다. 현재까지 여러 종류의 암종에서 MMP 발현이 증가되어 있고, 젤라티나아제 A (MMP-2, 72 kD)와 젤라티나아제 B (MMP-9, 92 kD)가 암의 전이와 가장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간암의 전이에 있어서도 MMP-2와 MMP-9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MMPs를 억제시키는 물질은 최근 새로운 암 억제제로서 각광 받고 있다 (Kleiner DE et al., Analytical Biochemistry 218;325-9, 1994; Stetler-Stevenson WG et al., Invasion Metastasis 14;41-8, 1994; Lin LI et al., Oncology 55(4);349-53, 1998; Ming-Chung J et al.,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282;671-7, 2001; Lisa M et al., Science 295;2387-92, 2002; Francesca T et al., The FASEB Journal 16, 2002).
한편, 분비나무 (Abies nephrolepis)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으로 잎은 전나무와 유사하나 잎 끝이 둘로 갈라지고 구상나무보다 얇고 가늘며 가지의 잎은 빗살모양처럼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다. 꽃은 5월에 개화하고 구과는 9월에 익으며 고산수종으로 천연 발아가 잘되어 천연하종갱신이 용이하다. 분비나무의 약효는 국내에서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며, 다만 분비나무의 생 송진은 출혈성 상처를 아물게 한다는 기록이 있다 (임록재, 조선약용식물지1 한국문화사, 1999). 그러나, 분비나무 잎의 약리작용에 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 식품 또는 식물 유래의 간암 억제제를 검색하던 중, 분비나무 잎의 추출물이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도 생체내에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간암 진행과정에서 억제되는 갭 정션 세포간 신호전달을 회복시키고, 간암의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MP의 활성을 억제하여 간암의 진행 및 전이를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억제 효능을 갖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활성성분으로서 유효량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을 회복시키고 MMP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간암의 진행 및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 및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분비나무 잎 또는 이의 건조물을 용매 추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음건하여 세절한 분비나무 잎의 부피에 대하여 2 내지 20 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1 내지 6 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시간 동안 추출하고 냉각 및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함으로써 분비나무 잎으로부터 용매 추출물을 얻으며, 이때 여과 후 남은 잔사에 대하여 여과 과정을 1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30 내지 80 % 수용액 추출 용매가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분비나무 잎 또는 이의 건조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80%의 메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다음 건조함으로써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간암세포에서 억제되어 있는 갭 정션 채널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을 회복시키고, MMP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간암의 진행 및 전이를 억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간암 예방제 혹은 치료제가 방사성 물질을 이용하거나 정상적인 세포에서도 독성이 강한 물질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특별한 독성 없이 안전하게 체내에 섭취 또는 투여되어 간암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간단한 분리 공정만으로도 높은 간암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을 분리하여 제제화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간암 치료제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간암 억제제들에 비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절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상기한 기능을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정제, 알약, 분말, 새세이 (sachet), 엘릭서 (elixir),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 내지 10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 체중의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효량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갭 정션을 통해 세포간 정보전달을 회복시키고 MMP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간암의 진행 및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면 각종 식품류, 육류, 음료수, 초콜렛,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주류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식품 제조시 원료 물질에 첨가하거나 조리된 식품에 적절히 혼합하여 상기한 건강 증진용 식품 또는 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또는 음료 중에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함량은 0.1 내지 50 중량% 범위이다.
이하에서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간암 억제 효능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 고체와 고체 혼합물, 액체와 액체, 및 액체와 고체에 대한 백분율은 각각 중량/중량, 부피/부피 및 중량/부피에 기초한 것이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반응은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분비나무 잎으로부터 간암 억제 효능을 갖는 추출물의 제조
분비나무 잎을 분쇄한 후 1 중량부에 물과 80% 메탄올 (Duksan, Korea)을 약 5 내지 10배정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2시간 동안 170 rpm으로 교반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8,000 rpm, 4℃에서 30분간 원심분리 (Vision, Korea)하여 상층액을 모은 후, 남은 잔사를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와트만 41 여과지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42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냉동 건조하여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얻었다.
이로부터 얻은 분비나무 잎 용매 추출물의 간암 억제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의 회복 효능 측정, 그리고 MMP 활성 억제 효능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분석법 (J. A. Radosevich et al., Virchows Arch. B. Cell Pathol. Incl, Mol. Pathol. 63:345-350, 1993)을 실시하였다.
인간 간암세포주인 SK-Hep-1 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10% FBS, 페니실린 (penicillin) 100 IU/㎖ 및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100 ㎍/㎖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37℃ 배양기 (Forma Scientific Co., Marjetta, OH, USA)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에 사용한 배지 조성물들은 모두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첨가에 의한 암세포주의 생장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배양된 간암세포 SK-Hep-1을 96웰 플레이트 (well plate)에 1 ×104 개/웰의 농도로 분주하고,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이 되기 4시간 전에 웰당 MTT 시약 (Sigma Aldrich 사)을 20 ㎕씩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을 모두 제거하고 잔존한 세포만을 남겨두었다. 남아있는 염색된 세포를 DMSO (Dimethyl sulfuroxide) 200 ㎕로 용해시킨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실시예에 따라 3회 반복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1표 1은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추출물 처리 농도 (㎍/㎖) 세포독성 (%)
0 0
6.25 -9.718
12.5 -30.338
25 -13.039
50 6.500
100 -10.490
200 -19.557
도 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200 ㎍/㎖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3>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간암 진행 억제 효과
간암세포에서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을 측정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assay)하는 실험을 통해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간암 진행에 있어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는 SL/DT 분석법 (Scrape Loading/Dye Transfer assay; Upham, B. L., et al., Carcinogenesis 18:37-42, 1997)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간암세포의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간암세포주인 SK-Hep-1 세포를 10% FBS, 페니실린 (penicillin) 100 IU/㎖ 및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100 ㎍/㎖이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37℃ 배양기 (Forma Scientific Co., Marjetta, OH, USA)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에 사용한 배지 조성물들은 모두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배양된 간암세포를 2 ㎖ 플라스틱 접시 (plastic dish)에 1×105 개/㎖ 농도로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각 접시에 배양된 세포의 배양액을 분비나무 잎 추출물이 다양한 농도로 혼합되어 있는 동일한 배양액으로 바꾸어 주었다 (실험군). 이때, 대조군은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배양액으로만 바꾸어 주었다. 그 후 48 시간 동안 더 배양하여 세포가 접시 바닥의 90% 이상 자라면 루시퍼 옐로 (Lucifer yellow) 염색액을 이용하여 간암세포에서 억제되어 있던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이 회복되었는지를 형광 현미경 (BioRad, Hercules, CA, USA)으로 관찰하였다.
도 2표 2는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 회복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대조군 분비나무 잎 추출물 농도 (㎍/㎖)
10 50 100
세포간 신호전달이 이루어진 세포의 수 (개) 60.33±.506 105.00±0.424 105.00±3.140 110.67±.650
도 2 표 2에서와 같이 10 ㎍/㎖ 이상의 농도 (10, 50 및 100 ㎍/㎖)에서 간암 진행의 중요한 현상인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의 억제를 회복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MMP 활성 억제 효과
인간 간암세포인 SK-Hep-1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로 씻어내고, 무혈청 배지 (serum-free media)로 2시간 배양한 후,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모아서 원심분리 (vision, DN-5500)하여 정량 (Beckman, DU650)한 후 동량의 총 단백질을 0.1% 젤라틴이 포함된 10% SDS-PAGE 겔에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겔을 2.5% 트리톤 X-100으로 세 번 세척하였다. 상기 겔을 40 mM Tris, 200 mM NaCl 및 10 mM CaCl2 혼합용액에 넣고 37℃에서 18시간 동안 처리한 후, 0.1% 쿠마시 블루 (Coomassie brilliant blue)로 염색하였다. 이때, 전체적인 배경은 푸른색으로 염색되고 젤라틴이 분해된 부분은 흰색 밴드로 나타나게 된다.
도 3은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MMP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을; 레인 2는 분비나무 잎 추출물 3.12 ㎍/㎖ 처리군을; 레인 3은 분비나무 잎 추출물 6.25 ㎍/㎖ 처리군을; 레인 4는 분비나무 잎 추출물 12.5 ㎍/㎖ 처리군을; 레인 5는 분비나무 잎 추출물 25 ㎍/㎖ 처리군을; 첫 번째 밴드는 MMP-9의 활성을, 두 번째 밴드는 MMP-2의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비나무 잎 추출물이 12.5 ㎍/㎖ 및 25 ㎍/㎖의 농도에서 각각 MMP-2와 MMP-9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간암 진행의 주요한 현상인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의 억제를 회복시키고, MMP의 활성을 제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간암의 진행과 전이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단독 또는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들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산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액제 등과 같은 제제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제제 실시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산제
분비나무 잎 건조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
분비나무 잎 건조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캡슐제
분비나무 잎 건조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주사제
분비나무 잎 건조 추출물 100 ㎎
주사용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활성성분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주사용 증류수로 2 ㎖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한다.
또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강 식품과 주류를 제조한다.
<제조예 5> 선식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만들었다.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추출물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건조 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과립을 만들었다.
곡물류 : 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찹쌀 9 중량%,
종실류 : 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분비나무 잎 추출물 건조 분말 3 중량%, 영지 0.5 중량%, 지황 0.5중량%
<제조예 6> 츄잉껌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와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캔디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 비스켓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니움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₁0.0001 중량%, 비타민 B₂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일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9> 건강 음료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및 물 98.7362 중량%와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소세지
돈육 65.18 중량%, 계육 25 중량%, 전분 3.5 중량%, 대두단백 1.7 중량%, 식염 1.62 중량%, 포도당 0.5 중량% 및 글리세린 1.5 중량%와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소세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건강보조식품
스피루리나 55 중량%, 구아검효소 분해물 10 중량%, 비타민 B₁염산염 0.01중량%, 비타민 B6 염산염 0.01 중량%, DL-메티오닌 0.23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 중량%, 유당 22.2 중량% 및 옥수수전분 1.85 중량%와 본 발명의 분비나무 잎 추출물 10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주류
분비나무 잎 추출물 0.15~0.7%를 소주, 맥주, 양주 또는 과실주와 혼합하여 에멀전 상태로 만든 후 진공상태에서 15분간 원심분리기로 7,000 rpm에서 분리하거나 고속믹서기로 9,000 rpm에서 혼합하여 분비나무 잎 추출물이 함유된 소주를 제조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비나무 잎 추출물은 간암세포의 갭 정션 채널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을 회복시키고 MMP의 활성을 억제시켜 간암의 진행과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인간 간암세포주 (human hepatoma cell line) SK-Hep-1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분비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분비나무 잎 추출물이 SK-Hep-1 세포에서 억제되어 있는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을 회복시키는 효능을 측정한 결과이고,
A: 무처리 대조군 B: 분비나무 잎 추출물 10 ㎍/㎖
C: 분비나무 잎 추출물 50 ㎍/㎖ D: 분비나무 잎 추출물 100 ㎍/㎖
도 2b도 2a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비나무 잎 추출물이 SK-Hep-1 세포에서 MMP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능을 측정한 결과이다.

Claims (5)

  1. 활성 성분으로서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갭 정션을 통한 세포간 신호전달 억제를 회복시키고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 (Matrix metalloproteinase : MMP)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간암의 진행 및 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분비나무 잎 추출물이 분비나무 잎 또는 이의 건조물을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 부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하여 0 내지 80℃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03-0025515A 2003-04-22 2003-04-22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KR10051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515A KR100512475B1 (ko) 2003-04-22 2003-04-22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515A KR100512475B1 (ko) 2003-04-22 2003-04-22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580A Division KR100512470B1 (ko) 2005-05-24 2005-05-24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869A KR20040091869A (ko) 2004-11-02
KR100512475B1 true KR100512475B1 (ko) 2005-09-06

Family

ID=3737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515A KR100512475B1 (ko) 2003-04-22 2003-04-22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4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869A (ko) 2004-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60121998A (ko) 유파틸린을 포함하는 유방암 억제용 조성물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0555904B1 (ko)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12475B1 (ko)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100512470B1 (ko) 분비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101503792B1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67263B1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KR100552425B1 (ko) 허수테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KR100553266B1 (ko) 독소루비신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KR101164908B1 (ko)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1579B1 (ko) Kiom 법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00358B1 (ko) 테트라메톡시하이드록시플라본을 포함하는 유방암 억제용조성물
KR20050107385A (ko) 허수테논을 함유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20070041467A (ko) 유파틸린을 포함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식품 조성물
KR20060121623A (ko) 자시오시딘을 포함하는 유방암 억제용 조성물
KR100799492B1 (ko) 숙지황과 골쇄보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7457A (ko) 이팝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관련 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3185A (ko) 산수유 미성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24337A (ko) 시트러스 계열 과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조절용 조성물
KR20220157172A (ko) 두충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39A (ko) 까마귀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4279B1 (ko)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청시닥 나무 수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