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244B1 -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244B1
KR100512244B1 KR10-2003-0004168A KR20030004168A KR100512244B1 KR 100512244 B1 KR100512244 B1 KR 100512244B1 KR 20030004168 A KR20030004168 A KR 20030004168A KR 100512244 B1 KR100512244 B1 KR 100512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external air
cooling fins
air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172A (ko
Inventor
홍기수
송찬호
진심원
문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2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8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4Inlet and outlet arranged on opposite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난방 사이클에 의한 난방과정 중 축류팬 구동에 의해 실외기 내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하는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을 갖도록 상기 열교환기 중앙부의 냉각핀 간격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 양 끝단부의 냉각핀 간격을 넓게 이격시켜 적층시킨 구성으로,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이나, 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에서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도록 하는 등 상기 열교환기 상에 서리가 착상되는 것을 지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큰 즉, 외부공기의 유동량이 비교적 적은 열교환기의 양 끝단부에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은 구조인 웨이브 형태의 냉각핀을 설치 구성하므로서, 종래 슬릿형태의 냉각핀에 비해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을 작게 하여 외부공기가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하는 등 이 역시 상기 열교환기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 사이클에 의한 난방과정 중 축류팬 구동에 의해 실외기 내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이나, 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에서도 증발기(응축기)를 통과할 때 상기 증발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하는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을 갖도록 상기 증발기 상에 냉각핀을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상기 증발기에 착상이 지연되도록 한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공기조화기 : Air-conditioner)은 압축기, 실내/외 열교환기, 모세관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실내 열교환기에서 형성되는 냉기와 실외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실내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내보내어 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기이다.
상기 에어컨은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 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과,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하여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 등으로 구분된다. 이 때, 상기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는 보통 소음발생이 많은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냉방시 응축작용, 난방시 증발작용 : 이하, 열교환기라 함.), 냉각팬(축류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a, 1b는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컨 실외기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일측에 고정되며,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0)와, 상기 압축기(20)로 유입되는 냉매를 기체상태와 액체상태로 분리시키는 어큐뮬레이터(30)와, 냉/난방시 응축/증발과정으로 전환되어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이룰 수 있게 냉매관(41)상에 루버형태 또는 슬릿(43)형태의 냉각핀(42)이 다수 적층된 열교환기(40)와, 상기 열교환기(40)의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실외기 외부로 방출되도록 모터(60)에 의해 구동되는 축류팬(50)과, 일측에 송풍구(71)가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20) 및 열교환기(40), 축류팬(50) 등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70), 및 상기 케이스(70)를 밀폐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1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압축기(20)의 하측에는 압축기(20)를 지지함과 아울러 압축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방진고무(80)가 볼트(90)와 너트(91)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압축기(20)의 경우, 상기 방진고무(80)에 의해 지지되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40)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냉각핀(42)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적층된 냉각핀(42)을 냉매관(41)이 관통 설치된 구조로서, 이 때 냉각핀(42)은 핀상에 관통홀이 형성된 루버형태나 또는 핀상에 소정부위가 절곡 형성된 슬릿(43)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관(41)은 냉각핀(42)을 관통할 때 공기 유동방향에 대하여 전방열과 후방열이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경우, 냉방운전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압축기(20)가 작동하면서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를 통해 토출된 저온저압의 기상상태인 냉매를 고온고압 상태로 가압시켜 실외기측에 설치된 열교환기(40)로 토출시키고, 상기 열교환기(4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루면서 팽창밸브(미도시)로 토출되게 되며, 팽창밸브로 유입된 액상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를 통해 내부공기와의 열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된 다음, 실내기에 장착된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면서 내부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난방운전시 전술한 냉방 사이클과 반대 방향으로 난방 사이클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한 난방 사이클 과정은 냉방운전시 냉매의 증발작용이 이루어지는 실내 열교환기의 경우, 냉매의 응축작용을 통해 더운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면서 팽창밸브 입구측으로 토출되게 되고, 냉매의 응축작용이 이루어지는 실외기측 열교환기(40)의 경우, 증발작용 역할을 하면서 압축기(20)로 유입되어 재 압축되는 순환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상기 에어컨 실외기의 구성요소 중 냉/난방시 응축/증발과정으로 전환되어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이루는 열교환기(40)의 경우, 루버형태나 또는 슬릿(43)형태의 냉각핀(42)이 상호 동일간격(A)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냉매관(41)상에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인 건구온도(외기온도) 7℃, 상대습도 약 80% 이상에서 외부공기가 열교환기(40)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열교환기(40)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40)의 양 끝단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가 작아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이 균일하지 못하고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형태의 풍속프로파일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40)의 양 끝단부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이 월할하지 못하게 되면서 열교환기(4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약 1-2℃)가 빙점(0℃) 이하로 떨어질 경우, 상기 열교환기(40)의 양 끝단부 냉각핀(42)상에 착상이 생기게 되면서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 즉, 유동속도분포가 균일해지지 못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인 건구온도(외기온도) 2℃, 상대습도 약 90% 이상에서 외부공기가 열교환기(40)를 통과할 경우,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이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40) 중앙부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40)의 양 끝단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가 작아지는 비균일성을 나타내면서 건구온도가 약 2℃일 때 약 -2℃∼-3℃를 이루는 냉매와 비균일적으로 통과하는 외부공기 즉, 외부공기의 유동속도가 크게 작용되는 상기 열교환기(40)의 중앙부로부터 냉매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핀(42)상에 착상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로 인한 상기 열교환기(40)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 냉각핀(42)이 슬릿(43)형태로 형성된 열교환기(40)를 외부공기가 통과할 경우, 상기 냉각핀(42)상에 절곡 형성된 슬릿(43)부에 외부공기가 계속적으로 부딪치게 되면서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크게 상승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난방 사이클에 의한 난방과정 중 축류팬 구동에 의해 실외기 내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하는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을 갖도록 상기 열교환기 중앙부의 냉각핀 간격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 양 끝단부의 냉각핀 간격을 넓게 이격시켜 적층시킨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이나, 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에서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도록 하는 등 상기 열교환기 상에 서리가 착상되는 것을 지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큰 즉, 외부공기의 유동량이 비교적 적은 열교환기의 양 끝단부에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은 구조인 웨이브 형태의 냉각핀을 설치 구성하므로서, 종래 슬릿형태의 냉각핀에 비해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을 작게 하여 외부공기가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하는 등 이 역시 상기 열교환기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 사이클에 의한 난방과정 중 축류팬 구동에 의해 실외기 내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하는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을 갖도록 상기 열교환기 중앙부의 냉각핀 간격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 양 끝단의 냉각핀 간격을 넓게 이격시켜 적층시킨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컨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발명인 열교환기의 사시도 및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은 본 발명인 열교환기 전면(全面)에 형성된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 분포도 및 공기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40a)는, 압축기(20), 및 냉/난방시 응축/증발과정으로 전환되어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이룰 수 있게 냉매관(41)상에 루버형태 또는 슬릿(43)형태의 냉각핀(42)이 다수 적층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축류팬(50)과, 상기 기기들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70) 및 베이스 플레이트(10)로 이루어진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축류팬(50) 구동에 의해 실외기 내로 흡입된 외부공기가 열교환기(40a)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기(40a) 상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도록 하는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을 갖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40a)의 중앙부 냉각핀(42) 간격(A)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40a)의 양 끝단부 냉각핀(42) 간격을 넓게 이격(B)시켜 적층시킨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40a)는, 루버형태나 또는 슬릿(43)형태의 냉각핀(42)이 상호 동일간격(A)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는 종래 열교환기(40)로 외부공기가 통과되면서 상호 열교환 작용에 의해 발생되었던 문제점 즉, 열교환기(40) 구조상 상기 열교환기(40)의 중앙부에 비해 양 끝단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가 작아지는 등 외부공기의 비균일성 풍속프로파일을 통하여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 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 등에 따라 서리가 상기 열교환기(40)의 양 끝단부 또는 중앙부에 착상되게 되면서 상기 열교환기(40)와 외부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부공기가 열교환기(40a)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기(40a) 상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될 수 있게 균일한 풍속프로파일을 갖도록 상기 열교환기(40a) 중앙부의 냉각핀(42) 간격(A)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40a) 양 끝단부의 냉각핀(42) 간격을 넓게 이격(B)시켜 적층시킨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컨 실외기와 전술한 종래 에어컨 실외기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한다.
우선,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40a)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착상지연 열교환기(40a)가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이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종래 에어컨 실외기의 전체적 구성과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 일측에 고정되며,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0)와; 상기 압축기(20)로 유입되는 냉매를 기체상태와 액체상태로 분리시키는 어큐뮬레이터(30)와; 냉/난방시 응축/증발과정으로 전환되어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이룰 수 있게 냉매관(41)상에 루버형태 또는 슬릿(43)형태의 냉각핀(42)이 다수 적층된 열교환기(40a)와; 상기 열교환기(40a)의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실외기 외부로 방출되도록 모터(60)에 의해 구동되는 축류팬(50)과; 일측에 송풍구(71)가 형성되며, 상기 압축기(20) 및 열교환기(40), 축류팬(50) 등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70), 및 상기 케이스(70)를 밀폐시키는 베이스 플레이트(10)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에어컨 실외기 내에 설치되며, 냉방작용시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의 열을 방출하여 기상에서 액상으로 상변화를 이루는 응축기 역할을 하고, 난방작용시 외부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액상에서 기상으로 상변화를 이루는 증발기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열교환기(40a)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에어컨 실외기 내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소정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구성으로는 상기와 같은 소정 형태로 절곡되되, 일측은 압축기(20)의 출구측(미도시)에 연결되고, 타측은 팽창밸브 입구측(미도시)에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라인을 형성하는 냉매관(41)과, 상기 냉매관(41) 외주면에 소정간격(A)으로 적층되며, 냉매와 외부공기가 상호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냉각핀(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냉각핀(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이 형성된 루버형태(미도시)나, 핀상에 소정부위가 절곡 형성된 슬릿(43)형태, 또는 상기 슬릿(43)형태에 비해 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은 웨이브(44)형태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냉각핀(42)의 경우, 열교환기(40a) 구조의 특성상 종래 열교환기(40)의 중앙부에 비해 양 끝단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가 작아져 상기 열교환기(40) 전면(全面)에 형성되는 외부공기의 비균일성 풍속프로파일을 외부공기가 열교환기(40a)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하는 균일성 풍속프로파일로 변화될 수 있게 하여 상기 열교환기(40a) 전체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40a) 중앙부의 냉각핀(42) 간격(A)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40a) 양 끝단부의 냉각핀(42) 간격을 넓게 이격(B)시켜 상기 냉매관(41)상에 적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열교환기(40a) 구조의 특성상 종래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비균일성 풍속프로파일을 균일성 풍속프로파일로 변화될 수 있게 상기 열교환기(40a) 양 끝단부의 냉각핀(42) 간격을 열교환기(40a) 중앙부의 냉각핀(42) 간격(A)에 비해 넓게 이격(B)시켜 상기 냉매관(41)상에 적층시킨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40a),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 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에서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공기의 열교환기(40a) 통과시, 열교환기(40a)의 양 끝단부 즉, 냉각핀(42)의 간격이 넓게 이격(B)된 열교환기(40a)의 양 끝단부로 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가 증가하게 되면서 상기 열교환기(40a)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와 거의 비슷해지는 속도분포를 이루게 된다.따라서, 상기 열교환기(40a) 전면(全面)에 형성되는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이 균일하게 나타나게 되면서 종래 발생되었던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인 건구온도(외기온도) 7℃, 상대습도 약 80% 이상에서의 열교환기(40) 양 끝단부 착상, 및/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인 건구온도(외기온도) 2℃, 상대습도 약 90% 이상에서의 열교환기(40) 중앙부 착상 등이 완화/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40a)에 균일하게 착상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인해 이로 인한 열교환기(40) 양 끝단부부터 또는 열교환기(40) 중앙부부터 착상이 이루어져 전체적인 열교환기(40)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종래 열교환기(40)에 비해 열교환 효율 상승은 물론 난방운전시간 역시 길어지게 되는 특징이 발생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인 착상지연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열교환기 전면(全面)에 형성된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 분포도 및 공기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버형태 또는 슬릿(43)형태의 냉각핀(42)이 적층된 열교환기(40b)의 양 끝단부와 중앙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이 균일화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40b)의 양 끝단부에 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은 형태의 냉각핀(42a)이 적층된 구조이며, 이 때 상기 냉각핀(42a)은 핀 전체가 물결모양 형태로 형성된 웨이브 핀(44)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적인 구조로 형성된 열교환기(40b)의 경우, 이 역시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 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에서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특히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공기의 열교환기(40b) 통과시, 열교환기(40b)의 양 끝단부 즉, 공기 유동저항이 작은 웨이브 핀(44)이 다수 적층된 열교환기(40b)의 양 끝단부로 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가 증가하게 되면서 상기 열교환기(40b)의 중앙부(루버형태 또는 슬릿(43)형태의 냉각핀(42)이 동일간격으로 적층된 부분)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속도(유동량)와 거의 비슷해지는 속도분포를 이루게 되는 등 상기 열교환기(40b) 전면(全面)에 형성되는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이 균일하게 나타나게 된다.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발생되었던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인 건구온도(외기온도) 7℃, 상대습도 약 80% 이상에서의 열교환기(40) 양 끝단부 착상, 및/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인 건구온도(외기온도) 2℃, 상대습도 약 90% 이상에서의 열교환기(40) 중앙부 착상 등이 완화/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40b)에 균일하게 착상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 역시 종래 열교환기(40)에 비해 열교환 효율 상승은 물론, 난방운전시간 역시 길어지게 되는 특징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 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에서도 열교환기(40a)를 통과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40a)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기(40a)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도록 하는 등, 상기 열교환기(40a) 상에 서리가 착상되는 것을 지연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종래 열교환기(40)에 비해 열교환 효율 상승은 물론, 난방운전시간 역시 길어지게 되는 등의 특징이 있는 탁월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40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술한 에어컨 실외기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40a)를 통해 냉매 또는 작동유체의 열교환 작용을 이루는 모든 기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은, 난방 사이클에 의한 난방과정 중 축류팬 구동에 의해 실외기 내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하는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을 갖도록 상기 열교환기 중앙부의 냉각핀 간격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 양 끝단부의 냉각핀 간격을 넓게 이격시켜 적층시킨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겨울철 표준 온도 및 상대습도 조건이나, 또는 외기온도 및 상대습도에 의해 필연적으로 착상이 생기는 조건에서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외부공기가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기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도록 하는 등 상기 열교환기 상에 서리가 착상되는 것을 지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큰 즉, 외부공기의 유동량이 비교적 적은 열교환기의 양 끝단부에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은 구조인 웨이브 형태의 냉각핀을 설치 구성하므로서, 종래 슬릿형태의 냉각핀에 비해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을 작게 하여 외부공기가 열교환기 전체로 균일하게 통과되도록 하는 등 이 역시 상기 열교환기에 서리가 고르게 착상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양 끝단부 냉각핀 간격을 중앙부 냉각핀 간격에 비해 넓게 이격시켜 적층시키거나, 또는 열교환기의 양 끝단부에 외부공기의 유동저항이 작은 구조인 웨이브 형태의 냉각핀이 설치된 구성이기 때문에, 이로 인한 상기 열교환기의 양 끝단부부터 또는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부터 착상이 이루어져 전체적인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종래 열교환기에 비해 열교환 효율 상승은 물론, 난방운전시간 역시 길어지게 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a 는 일반적인 에어컨 실외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b 는 도 1a에 도시된 에어컨 실외기의 정단면도.
도 2 는 도 1a에 도시된 에어컨 실외기의 구성요소인 열교환기의 사시도 및 상세도.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열교환기 전면(全面)에 형성된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 분포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에어컨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인 열교환기의 사시도 및 상세도.
도 6 은 본 발명인 열교환기 전면(全面)에 형성된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 분포도 및 공기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인 착상지연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도.
도 8 은 도 7에 도시된 열교환기 전면(全面)에 형성된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 분포도 및 공기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압축기
30. 어큐뮬레이터 40, 40a, 40b. 열교환기
41. 냉매관 42, 42a. 냉각핀
43. 슬릿 44. 웨이브 핀
50. 축류팬 60. 모터
70. 케이스 71. 송풍구
80. 방진고무 90. 고정볼트
91. 너트 100. 흡차음재
A, B. 냉각핀 사이간격

Claims (3)

  1. 삭제
  2. 압축기, 및 냉/난방시 응축/증발과정으로 전환되어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이룰 수 있게 냉매관상에 루버형태 또는 슬릿형태의 냉각핀이 다수 적층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축류팬과,
    상기 기기들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 및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축류팬 구동을 통해 루버형태 또는 슬릿형태의 냉각핀이 동일간격으로 적층된 열교환기의 양 끝단부와 중앙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풍속프로파일(외부공기의 속도분포)이 균일화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 냉각핀 간격에 비해 상기 열교환기의 양 끝단부 냉각핀 간격을 넓게 이격시키며, 물결모양 형태로 형성된 웨이브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
  3. 삭제
KR10-2003-0004168A 2003-01-22 2003-01-22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 KR10051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168A KR100512244B1 (ko) 2003-01-22 2003-01-22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168A KR100512244B1 (ko) 2003-01-22 2003-01-22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72A KR20040067172A (ko) 2004-07-30
KR100512244B1 true KR100512244B1 (ko) 2005-09-02

Family

ID=3735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168A KR100512244B1 (ko) 2003-01-22 2003-01-22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262B1 (ko) 2021-05-31 2022-01-17 한긍우 실외기가 필요없는 냉난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071B1 (ko) * 2007-02-28 2008-03-14 주식회사 코렌스 이지알 쿨러
CN103411281B (zh) * 2012-12-29 2015-10-28 泰铂(上海)实业有限公司 汽车空调室内机用u形状加热制冷芯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262B1 (ko) 2021-05-31 2022-01-17 한긍우 실외기가 필요없는 냉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172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4085A1 (en) Evaporato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24458C (zh) 一种冰箱
KR1999006601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CN1199023C (zh) 小型空调器和采用该空调器的除湿装置
JPH08178366A (ja) 熱交換器
KR100512244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착상지연 열교환기
JP2006234264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H11118199A (ja) 空気調和機
JP2002243383A (ja)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0713825B1 (ko) 나선형 응축기의 효율증대 구조
KR20060056836A (ko)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JP6621928B2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100332774B1 (ko) 에어컨 실외기
TWI810896B (zh) 除濕裝置
KR100390220B1 (ko) 벽걸이형 실내기의 횡단류팬
KR100511969B1 (ko) 공기조화기
KR20000003899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278214Y1 (ko) 벽걸이형 실내기의 스페이서 구조
WO2013183090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0469791B1 (ko) 에어콘용 실외열교환기의 방열구조
KR101189443B1 (ko) 에어콘의 실외기 구조
KR100357456B1 (ko) 에어콘실외기의 원통형덕트가이드
KR100388557B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
KR200159701Y1 (ko) 실외흡입부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0689905B1 (ko) 나선형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