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836A -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 Google Patents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836A
KR20060056836A KR1020050007228A KR20050007228A KR20060056836A KR 20060056836 A KR20060056836 A KR 20060056836A KR 1020050007228 A KR1020050007228 A KR 1020050007228A KR 20050007228 A KR20050007228 A KR 20050007228A KR 20060056836 A KR20060056836 A KR 2006005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exchanger
cooling
ai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순
Original Assignee
이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순 filed Critical 이동순
Priority to PCT/KR2005/0011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5103575A1/en
Publication of KR2006005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각각 담당하도록 분할된 전용의 축류팬 및 원심팬에 의해 열교환 면적을 극대화한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높은 수준의 냉방성능을 구현하는 한편, 난방시 압축기가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기히터 없이 난방사이클에 의해서만도 높은 수준의 난방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방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 1열교환기와,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방시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 역할을 하는 제 2열교환기와, 흡입측이 제 1열교환기를 대향하여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로부터 실외공기를 제 1열교환기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흡입하여 토출하는 흡입팬과, 흡입팬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흡입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공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난방기, 에어컨, 일체형, 콤팩트

Description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air-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raising the cooling and heating capacit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장치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흐름과 관련된 주요부를 보여주는 참조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면을 개방한 사시도.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면을 부분 절개한 배면도.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가열수단의 판형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열교환기 및 가열수단이 난방용 증발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
도 1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냉방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난방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3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4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5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6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7은 제 6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케이싱 111 : 응축실
112 : 증발실 113 : 공기 유입구
114 : 공기 유출구 115 : 사방밸브
120 : 압축기 130,230,330,430,530 : 제 1열교환기
140 : 팽창밸브 150 : 제 2열교환기
160,660 : 가열수단 161 : 난방용 압축기
163 : 판형 열교환기 164 : 난방용 팽창밸브
165 : 난방용 증발기 170 : 축류팬
180 : 원심팬 190 : 배출관
본 발명은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각각 담당하도록 분할된 전용의 축류팬 및 원심팬에 의해 열교환 면적을 극대화한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높은 수준의 냉방성능을 구현하는 한편, 난방시 압축기가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기히터 없이 난방사이클에 의해서만도 높은 수준의 난방성능을 구현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의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는 2개의 열교환기에 의해 냉방과 난방을 선택적으로 실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냉난방장치는 구비되는 제 1열교환기와 제 2열교환기가 각각 응측기와 증발기의 역할을 교대로 수행하고,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연속적인 과정을 갖는 냉난방 사이클에 따라 냉매가 순환 또는 역순환되면서 냉방 및 난방을 실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냉난방장치는 냉방시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냉각하는가에 따라 냉방성능이 좌우되고, 난방시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가열하는가에 따라 난방성능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연속적인 과정을 갖는 냉난방 사이클이 얼마나 제대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냉난방성능이 크게 달라진다.
이에,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 에 따른 냉난방장치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난방장치는 압축기(12), 냉방시 응축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 1열교환기(13), 팽창밸브(14), 냉방시 증발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응축기 역할을 하는 제 2열교환기(15), 및 냉매의 방향을 전환하는 사방밸브(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연속적인 과정을 진행시켜 나가면서 냉방 및 난방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냉난방장치는 난방시 순수한 난방사이클만을 사용하여 실내 전체를 난방시키지 못하고 자체 내에 대용량의 전기히터를 별도로 설치하여 이를 가동시켜야만 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2)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그 뒤에 이어지는 응축-팽창-증발의 연속적인 과정도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데 기인하였다.
즉, 상기 압축기(12)가 제 기능을 발휘하려면 유입되는 냉매가 대략 15[℃] 이상의 온도가 되어야 하나 실제 난방이 필요한 동절기에는 증발과정을 거친 직후 압축기(1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영하로까지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이같은 문제는 기온이 낮을수록 더욱 심해지면서 압축기(12)가 과냉각되어 거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는 동절기 난방시 대형 전기히터를 동작시켜 가동하는 것이 불가피하였으며, 이로 인해 전기 소비량은 급격히 증가하게 되는 등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의 흐름을 중심으로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면 냉방시에는 원심팬(17)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응축실(11)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응축실(11) 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열교환기(13)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열교환이 수행된 공기는 다시 원심팬(17)에 의해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제한된 설치공간에서 충분한 넓이의 표면적을 갖는 제 1열교환기(13)를 설치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13)의 크기에 비해 원심팬(17)의 크기 및 흡입면적이 작은 관계로 공기가 상기 제 1열교환기(13)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되지 못하고 일부분에만 집중되는 현상이 있었다.
또한, 저항이 상대적으로 작게 걸리는 제 1열교환기(13)와 응축실(11) 내측벽 사이로 많은 양의 공기가 흐르는 관계로, 공기 중 상당량이 열교환을 위해 제 1열교환기(13) 표면에 접촉되지 못한 채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냉난방기는 흡입되어 흐르는 공기가 응축실(11)의 내측벽에 접하면서 마찰저항을 받고, 제 1열교환기(13)의 냉각핀 사이를 통과하면서도 마찰저항을 받아 전체적으로 상당한 부하가 걸렸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로는 이같은 부하를 극복하면서 응축실(11) 내 전구간에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보장받을 수가 없었다.
결국, 종래 기술에 의한 냉난방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냉방 및 난방성능이 현격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불가피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 면적을 극대화한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높은 수준의 냉난방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방시 압축기가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사이클에 의한 높은 수준의 난방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는, 실외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방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 1열교환기와,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방시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 역할을 하는 제 2열교환기와, 흡입측이 상기 제 1열교환기를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실외공기를 상기 제 1열교환기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흡입하여 토출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토 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팬 및 배기팬은 각각 축류팬 및 원심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류팬은 상기 원심팬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제 1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응축실 및, 상기 응축실과는 격리되어 내부에 제 2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증발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상기 응측실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실은 상기 케이싱 상부 전측에 박스형 용기가 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응축실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 후측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팬의 토출측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대부분의 공기가 상기 제 1열교환기 표면에 접촉하여 통과되도록 상기 응축실 공간을 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류팬은 상기 제 1열교환기 인근 하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류팬은 상기 응축기에서 허용된 공간 내에 최대한 넓은 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류팬이 설치된 둘레 주변에는 상기 응축실의 상부 및 하부를 가르는 격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역브이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ㄱ"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평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비스듬히 경사지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경사평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난방시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 1열교환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를 경유시키면서 보다 고온의 열교환용 유체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열교환용 유체 및 냉매가 흐르는 유로들이 형성된 얇은 금속판이 다수 적층되어, 고온의 열교환용 유체와 저온의 냉매가 상기 유로들을 따라 흐르면서 열교환되는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열교환용 유체를 순환시키면서 압축, 가열하는 난방용 압축기와, 압축, 가열된 열교환용 유체를 받아 고압의 액체상태로 전환하는 한편, 상기 제 1열교환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경유시키면서 상기 열교환용 유체와 열교환시키는 난방용 응축기와, 고압의 액체상태인 열교환용 유체를 압력강하시키는 난방용 팽창밸브와, 상기 난방용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상태인 열교환용 유체를 기화시키는 난방용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용 응축기는, 상기 열교환용 유체 및 냉매가 흐르는 유로들이 형성된 얇은 금속판이 다수 적층되어, 고온의 열교환용 유체와 저온의 냉매가 상기 유로들을 따라 흐르면서 열교환되는 판형 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용 증발기는 상기 제 1열교환기 끝단에 연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팬의 토출측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난방용 증발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용 유체는 프레온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냉방시 응축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 1열교환기와, 실외공기를 상기 제 1열교환기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흡입하여 토출하는 축류팬과, 상기 축류팬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축류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는 제 1열교환기 및 제 2열교환기가 하나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일체형 제품으로 콤팩트한 작은 부피의 외형을 가지며, 실내에서 이동 및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작은 부피를 갖는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냉방 및 난방시 냉난방 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에 본 발명의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기흐름과 관련된 주요부를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압축기(120) 등에 의해 냉매를 순환시키는 주사이클과, 난방용 압축기(161)를 포함하는 가열수단(160)에 의해 열교환용 유체를 순환시키는 보조 사이클로 이루어진 독특한 이중 사이클 구조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상기 주사이클은 냉난방 구현을 위한 목적으로 냉난방시 언제나 가동되고, 상기 보조 사이클은 상기 압축기(120)에 유입되는 냉매를 가열할 목적으로 난방시에만 가동된다. 본 발명은 이같이 독특한 이중 사이클 구조에 의해 난방시 압축기(120)에 유입되는 냉매를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난방시에도 압축기(120)가 제 성능을 충분히 발휘토록 하고 있다. 이처럼 난방시 상기 압축기(120)가 제 성능을 발휘하면 주사이클 전체의 기능이 활발해지면서 대형의 전기히터가 없어도 순수하게 난방사이클로만 실내를 난방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할 수 있듯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제 1열교환기(130)가 좁은 응축실(111) 내에서 공기와 접촉 가능한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역브이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실외에서 흡입되는 거의 모든 공기가 제 1열교환기(130)에 접촉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열교환기(130)에 상응할 정도의 크기로 상기 제 1열교환기(130)에 대향하여 설치된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넓게 퍼지면서 상기 제 1열교환기(130)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된다. 더욱이 상기 흡입팬은 공기의 흡입을 담당하는 축류팬(170)으로, 배기팬은 공기의 배출을 담당하는 원심팬(180)으로 한 독특한 분할 구성에 의해 응축실(111) 내에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부하를 극복하고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보장받게 된다. 이처럼 제 1열교환기(130)의 열교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냉난방 성능 특히 냉방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독특한 구성에 의해 높은 수준의 냉난성능 및 난방성능 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전술된 주요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면을 개방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면을 부분 절개한 배면도,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이며,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가열수단의 판형 열교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열교환기 및 가열수단이 난방용 증발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110), 압축기(120), 제 1열교환기(130), 팽창밸브(140, 도 3참조), 제 2열교환기(150, 도 3참조), 가열수단(160 도 3참조), 흡입팬인 축류팬(170) 및 배기팬인 원심팬(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10)은 제 1열교환기(130)가 설치된 응축실(111)과, 상기 응축실(111)과는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격리되어 제 2열교환기(150)가 설치되는 증발실(112)로 형성된다. 이 중 상기 증발실(112)은 상기 케이싱(110) 상부 전측에 간단하게 박스형 용기가 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응축실(111)은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 후측 및 하부를 차지하여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증발실(112)이 차지하는 부피는 최소화한 대신 상기 응축실(111)의 부피는 더욱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110)의 응축실(111) 후측벽 상부에는 실외공기가 응축실(111) 내로 유입 및 유출 가능하도록 공기 유입구(113) 및 공기 유출구(114)가 인근에 나란히 형성된다. 이같이 공기 유입구(113) 및 공기 유출 구(114)가 응축실(111) 후측벽 상부에 나란히 형성되면 건물에 형성된 창문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구(113) 및 공기 유출구(114)와 실외를 연결하는 연결배관들을 간결하게 드리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축기(120)는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순환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다. 상기 압축기(120)는 상온의 환경에서 작동되는 냉방시뿐만 아니라 저온의 환경에서 작동되는 난방시에도 상기 가열수단(160)의 도움을 받아 제 성능을 발휘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게 된다. 난방시 상기 압축기(120)를 보조하는 상기 가열수단(160)에 대해서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열교환기(130)는 상기 압축기(120) 및 팽창밸브(140) 사이에 연결되어 냉방시 압축기(120)에서 압축된 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 역할을 한다. 또한, 난방시에는 팽창밸브(140)에서 압력강화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열교환기(130)는 상기 응축실(111)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역브이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좁은 응축실(111) 내에서 넓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열교환기(130)가 응축실(111) 내에서 공기 유입구(113)와 축류팬(170) 사이를 빈틈없이 가로막게 됨에 따라 상기 응축실(111)로 흡입되는 거의 모든 공기가 상기 제 1열교환기(3) 표면에 접촉되어진다. 이같은 형태를 갖는 상기 제 1열교환기(130)는 응축실(111) 내로 흡입되는 거의 모든 공기와 접촉되면서 효과적으로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팽창밸브(140)는 상기 제 1열교환기(130) 및 제 2열교환기(150) 사이에 연결되어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게 된다.
상기 제 2열교환기(150)는 상기 팽창밸브(140) 및 압축기(120)와 연결되어 냉방시 팽창밸브(140)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한다. 또한, 난방시에는 압축기(120)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열수단(160)은 냉방시에는 작동하지 않고 난방시에만 작동하면서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를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동절기 난방운전시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영하로까지 떨어질 정도로 낮아지면서 압축기(120)가 과냉각되어 제 기능을 거의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가열수단(160)이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냉매를 가열하여 온도를 높이게 되면 상기 압축기(120)는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난방사이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종래와 달리 별도의 대형 전기히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실내를 충분히 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160)은, 난방용 압축기(161)와, 난방용 응축기인 판형 열교환기(163)와, 난방용 팽창밸브(164)와, 난방용 증발기(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수단(160)은 각 구성요소들에 의해 난방시에만 작동되는 소규모의 냉동사이클을 이루어 열교환용 액체인 프레온을 순환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163)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을 사용하여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를 가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난방용 압축기(161)는, 열교환용 유체인 프레온을 순환시키면서 압축, 가열한다. 물론, 상기 프레온은 현재의 기술로 볼 때 냉매 역할을 해야 하는 열교환용 유체로서 가장 바람직한 편에 속하는 유체이기는 하나 상기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다른 유체를 사용하는 데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난방용 압축기(161)는 실내난방이 아닌 단순히 압축기(120)를 가열하는 수준으로 프레온을 압축, 가열하는 정도의 성능만 발휘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120)와는 달리 별도의 가열이 없어도 충분하다.
상기 판형 열교환기(163)는, 상기 난방용 압축기(161)로부터 압축, 가열된 프레온을 받아 고압의 액체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상기 제 1열교환기(130)로부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냉매를 별도로 형성된 경로를 통해 경유시키면서 고온의 프레온과 열교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163)가 냉매를 가열하여 끌어올리고자 하는 설정온도는 상기 압축기(120)가 압축기(120)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데 지장을 주지 않는 온도로서 통상 15[℃] 내외가 된다. 이는 상기 압축기(120)의 종류 및 주변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가 영하까지 떨어지지 않는다면 과냉각에 의해 압축기(120)가 거의 작동을 못하는 상태는 막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163)는 일차적으로는 냉매의 온도를 영상으로 끌어올려 압축기(120)의 과냉각 현상을 막고, 바람직하게는 적정온도라 할 수 있는 15[℃] 내외 이상으로 냉매의 온도를 끌어올리고자 한다.
상기 판형 열교환기(163)는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프레온 및 냉매가 각각 별도로 흐르도록 유로들이 형성된 얇은 금속판이 다수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판형 열교환기(163)의 유로들은 열교환용 유체인 프레온이 각각 유입되고 유출되는 프레온의 유입측(163A), 유출측(163B)과, 냉매가 유입되고 유출되는 냉매의 유입측(163C), 유출측(163D)을 갖는다. 여기서, 프레온 유입측(163A)은 난방용 압축기(161)의 유출측과 연결되며 냉매 유출측(163D)은 압축기(120)의 냉매 유입측과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판형 열교환기(163)는 두 종류 이상의 유체를 열교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미 다른 분야에서는 브레이징 타입 등의 우수한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공지기술에 해당된다. 따라서 구성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난방용 팽창밸브(164)는 상기 판형 열교환기(163)와 난방용 증발기(165) 사이에 설치되어 고압의 액체상태인 프레온을 압력강하시키게 된다. 상기 난방용 증발기(165)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제 1열교환기(130) 끝단에 마치 하나의 몸체처럼 연접하여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난방시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130)와 난방용 증발기(165) 모두 증발기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2개의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설명되지 않은 부호인 130A 및 130B는 각각 상기 제 2열교환기(150) 및 사방밸브(115)에 연결되는 제 1열교환기(130)의 냉매 순환라인들이고, 165A 및 165B는 각각 난방용 압축기(161) 및 난방용 팽창밸브(164)에 연결되는 난방용 증발기(165)의 순환라인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160)은 열교환용 유체인 프레온을 순환시키는 별도의 냉동사이클을 운용함으로써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냉매를 지속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난방용 증발기(165)의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이에, 도 10은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을 개방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난방용 증발기(166)가 상기 제 1열교환기의 끝단에 연접되어 설치되는 대신 상기 원심팬(180) 및 공기 유출구(114)를 연결하는 배출관(19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난방용 증발기(166)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실내에 유입되어 난방효과를 감소시키지 않고 외부에 그대로 방출된다.
또한, 이미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열교환기의 열교환과 공기의 흐름을 큰 폭으로 끌어올리는 상기 축류팬(170) 및 원심팬(18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류팬(170, Axial fan)은 상기 제 1열교환기(130) 인근 하측에 상기 제 1열교환기(130)를 대향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축류팬(170)은 상기 제 1열교환기(130)가 설치된 수평폭에 상응하는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축류팬(170)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넓게 퍼지면서 상기 제 1열교환기(130) 전체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축류팬(170)은 프로펠러 팬(Propeller Fan) 타입을 염두한 것으로서, 저압으로 다량의 풍량이 요구될 때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그 특성상 제 1열교환기(130)를 사이에 두고 공기 유입구(113)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보다 많은 공기를 흡입하여 끌어당기는 역할을 담당케 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상 기 축류팬(170)은 공기 접촉에 따른 마찰 등으로 부하 발생시에 급격하게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안정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축류팬(170)은 흐르는 공기가 상기 응축실(111)의 내측벽 및 제 1열교환기(130)의 냉각핀 틈새 표면에 마찰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부하에 대하여 급격한 성능 저하 없이 충분한 양의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여 토출하게 된다.
상기 원심팬(180, Centrifugal fan)은 상기 축류팬(170)의 토출측에 직렬로 설치되어 상기 축류팬(17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출구(114)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심팬(180)은 시로코팬(Sirocco Fan)으로 알려진 다익팬(Multiblade Fan) 타입을 염두한 것으로, 설치면적이 작고 풍압 150[mmAq] 이하의 저압에서 공기의 유동상태가 매우 원활하며 불쾌한 소음, 진동이 없어서 극히 정숙한 운전 특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원심팬(180)은 부하에 대하여 급격하게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지만 작은 공간에서 공기의 배출방향을 원하는 곳으로 전환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원심팬(180)은 상기 축류팬(170)이 부하를 극복하면서 흡입하여 토출한 공기를 공기 유출구(114)를 통해 배출하는 데 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축류팬(170)과 원심팬(180)의 특성을 잘 살려 상기 축류팬(170)을 제 1교환기(130) 인근에 배치시켜 부하가 많이 걸리는 공기의 흡입을 담당케하고, 상기 원심팬(180)은 상기 축류팬(170)의 토출측에서 부하가 비교적 걸리지 않는 공기의 배출을 담당케하면 공기의 흐름이 매우 원활하게 되고, 더 넓은 면적에서 제 1열교환기(130)와 공기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같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축류팬(170)은 상기 제 1열교환기(130)가 설치된 수평폭을 고려하여 응축실(111)의 설치공간이 허용하는 한 큰 폭의 날개를 가진 것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속도에 있어서는 정숙운전과 공기의 흐름속도를 미리 고려하여 상기 축류팬(170)의 회전속도가 상기 원심팬(180)의 회전속도보다는 작되 적정속도로 회전시켜야 한다.
여기서, 상기 축류팬(170) 둘레에는 상기 응축실(111)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격판(116)이 설치된다. 상기 격판(116)의 둘레 측단들은 모두 상기 응축실(111)의 내측벽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격판(116)에는 상기 축류팬(170)의 넓이만한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류팬(170)이 토출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이같은 격판(116)의 설치로 상기 응축실(11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축류팬(170)을 거치지 않고서는 상기 원심팬(180)에 흡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실(11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축류팬(170) 및 원심팬(180)의 작용에 충실하게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격판(116)에는 상기 축류팬(170)의 안정된 지지를 위한 브래킷(171)이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응축실(111) 내에서 공기의 흡입 및 배기를 동시에 하지 않고 공기의 흡입을 담당하는 축류팬(170)과, 공기의 배출을 담당하는 원심팬(180)으로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공기와 제 1열교환기(130)와의 접촉면적이 넓고 균일하게 되며 더욱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보장된다. 따라서, 제 1열교환기(130)의 열교환 효과가 극대화되면서 본 발명의 냉방 및 난방성능, 특히 냉방성능이 비약적으로 증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 1열교환기(130)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냉난방기가 작동하게 되면 축류팬(170)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으로 실외공기가 응축실(111) 상부 후측벽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응축실(111)로 흡입된다. 이렇게 응축실(111) 내로 흡입된 공기는 계속해서 축류팬(170)에 의한 흡입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응축실(111) 상부에서 제 1열교환기(130)가 있는 하부를 향해 흐르게 된다.
이때 공기는 넓은 폭으로 수평하게 설치된 상기 축류팬(170)에 의해 상기 제 1열교환기(130)에 상응하는 폭으로 넓게 퍼지게 된다. 이처럼 넓게 퍼지면서 흐르는 공기는 상기 제 1열교환기(130)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되면서 활발하게 열교환한다.
이와 동시에, 흐르는 공기는 상기 제 1열교환기(130)의 끝단에 연접하여 설치된 난방용 증발기(165)의 표면과도 균일하게 접촉되면서 활발하게 열교환한다.
여기서, 상기 응축실(111)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보존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상기 제 1열교환기(130) 및 난방용 증발기(165)는 이러한 응축실(111)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되는 거의 모든 공기가 제 1열교환기(130) 및 난방용 증발기(165)를 접촉하여 통과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상기 축류팬(170)은 흐르는 공기가 응축실(111)의 내측벽과 제 1열교환기(130) 및 난방용 증발기(165) 표면을 통과할 때 마찰접촉으로 발생되는 부하를 극복하고 큰 성능저하 없이 많은 양의 공기를 흡입하여 끌어당기게 된다.
동시에, 상기 축류팬(170)이 부하를 극복하고 흡입하여 토출한 공기를 이번에는 원심팬(180)이 흡입하여 방향을 전환해주고 상기 축류팬(170)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그러면, 배출관(190)을 통해 공기가 고속으로 토출되고, 이어 공기 유출구(114)로부터 실외로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통해 공기가 실외로 최종 배출된다.
한편,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을 냉방 및 난방사이클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 1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냉방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난방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우선, 도 11을 참조한 본 발명의 냉방시에는 제 1열교환기(130) 및 제 2열교환기(150)가 각각 응축기 및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하며, 냉매는 도시된 화살표(1-2-3-4-5-6)와 같이 압축기(120), 제 1열교환기(130), 팽창밸브(140), 제 2열교환기(150) 및 압축기(120) 순으로 순환되면서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연속적인 냉방사이클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160)은 가동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한 난방시에는 상기 제 1열교환기(130) 및 제 2열교환기(150)가 각각 증발기 및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하며, 도시된 화살표(11-12-13-14-15-16)와 같이 사방밸브(115)에 의해 흐름방향이 전환되는 냉매가 압축기(120), 제 2열교환기(150), 팽창밸브(140), 제 1열교환기(130), 가열수단(160) 및 압축기(120)의 순 으로 역순환되면서 압축-응축-팽창-증발-가열의 연속적인 난방사이클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가열수단(160)이 작동되면서 가열수단(160) 내부에서는 난방용 압축기(161), 난방용 응축기인 판형 열교환기(163), 난방용 팽창밸브(164), 난방용 증발기(165) 및 다시 난방용 압축기(161) 순으로 프레온이 순환되면서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연속적인 냉각사이클 과정이 일어난다. 이처럼 상기 가열수단(160)에서 냉각사이클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난방용 응축기(130)에서는 고온의 응축열이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난방용 응축기는 판형 열교환기(163)로서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가 경유토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판형 열교환기(163)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에 의해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가 가열되어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판형 열교환기(163)에서 응축열을 받고 온도가 상승된 냉매는 적정온도 상태로 압축기(120)에 유입되며, 상기 압축기(120)는 적정온도의 냉매를 받으면서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압축기(120)가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압축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함에 따라 이어지는 응축-팽창-증발의 연속과정도 차질 없이 이루어져서 난방사이클에 의해서만도 실내를 충분히 난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실내난방을 위한 별도의 전기히터는 더 이상 필요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열교환기(130)의 형태가 변형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몇 가지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단, 상기 제 1열교환기(130)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상기 그 끝단에 가열수단(160)의 난방용 증발기(165)가 설치되는 구성에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제 1열교환기(230)가 상면과 측면을 갖는 "ㄱ"형상으로 곡면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열교환기(230)은 상기 응축실(111)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그 하면과 측면이 각각 상기 축류팬(170) 상측 주변을 감싸고, 전후측변은 응축실(111)의 전측벽 및 후측벽에 인접된다.
이같은 제 1열교환기(23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응축실(111) 내에서 열교환 가능한 표면적을 최대한 확보함과 동시에 확보된 표면적에 대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빠짐없이 접촉되게 한 것으로 높은 열교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4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서는 축류팬(170) 상부 주변을 감싸도록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형 제 1열교환기(3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곡면형 제 1열교환기(330)는 상기 응축실(111)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오목한 하면이 상기 축류팬(170)의 상측 주변을 감싸고, 전후측벽은 응축실(111)의 전측벽 및 후측벽에 인접된다.
이로써, 응축실(111) 내에 넓은 표면적을 갖는 제 1열교환기(330)를 확보하면서 흡입되는 거의 모든 공기가 상기 제 1열교환기(330) 표면과 접촉하여 충분히 열교환할 수 있다.
도 15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서는 평판형 제 1열교환기(430)가 응축실(111) 공간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111)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열교환기(430)의 측변 중 일부는 상기 배출관(190)이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가는 관계로 응축실(111) 내측벽 대신에 배출관(190)에 인접되고, 필요하다면 상기 응축실(111) 내측벽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 1열교환기(430) 측변의 대부분은 상기 응축실(111)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응축실(111) 내에 흡입되는 거의 모든 공기가 상기 제 1열교환기(430) 표면과 접촉하여 충분히 열교환할 수 있다.
도 16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서는 제 1열교환기(530)가 응축실(111)에 비스듬히 경사진 경사평판형으로 설치된다.
이로써, 응축실(111) 내에 넓은 표면적을 갖는 제 1열교환기(530)를 확보하면서 흡입되는 거의 모든 공기가 상기 제 1열교환기(530) 표면과 접촉하여 열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5실시에서는 제 4실시예와 비교하면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1열교환기(530)의 구성에 의해 더 넓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7은 제 6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케이싱(110), 압축기(120), 제 1열교환기(130), 팽창밸브(140), 제 2열교환기(150)를 비롯하여 가열수단(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6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10), 압축기(120), 제 1열교환기(130), 팽창밸브(140)의 경우 그 구성에서 제 1실시예와 거의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가열수단(660)의 경우 제 1실시예와 구별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가열수단(660)은 난방용 압축기(661)와, 판형 열교환기(663)로 구성된다. 상기 난방용 압축기(661)는 열교환용 유체를 받아들여 압축, 가열하고, 가열된 고온의 열교환용 유체를 상기 판형 열교환기(663)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판형 열교환기(663)에서는 고온 상태로 보내어진 열교환용 유체가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를 가열하여 적정온도로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열교환용 유체는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용 유체는 공기를 비롯하여 상수도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수돗물과 같이 다양한 근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660)에는 상기 난방용 압축기(661)로 유입되는 열교환용 유체를 가열하기 위하여 전기히터와 같은 보조 가열수단(662)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보조 가열수단(662)이 구비되면 상기 난방용 압축기(661)의 성능은 더욱 높아지고 상기 판형 열교환기(663)에 유입되는 열교환용 유체의 온도는 높아져서 저온의 냉매를 더욱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이처럼 제 6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120)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를 가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가열수단(660)이 제 1실시예와 달리 냉각사이클을 이루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는, 작은 부피를 갖는 제품에서 보다 넓은 표면적의 제 1열교환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응축실로 흡입되는 거의 모든 공기를 확보된 제 1열교환기 표면에 빠집 없이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수준의 열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을 담당하는 축류팬의 설치로 공기가 넓게 퍼지면서 제 1열교환기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되어 열교환 효과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근에 직렬로 설치된 축류팬 및 원심팬의 상호 보완적인 작용에 의해 응축실 내 전구간에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보장되고 냉난방 성능, 특히 냉방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다시 실외로 배출하기 때문에 창문 틈새 등으로 실외공기가 유입되어 냉난방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사이클을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난방이 가능하여 전기히터가 필요 없고, 향후 전기소비량를 현저히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냉난방 효과를 가지면서도 콤팩트한 제품을 구현하는 데 적당하다.

Claims (24)

  1. 실외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방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 1열교환기와;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와;
    냉방시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전환하는 응축기 역할을 하는 제 2열교환기와;
    흡입측이 상기 제 1열교환기를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실외공기를 상기 제 1열교환기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흡입하여 토출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 및 배기팬은 각각 축류팬 및 원심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 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팬은 상기 원심팬보다 저속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제 1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응축실 및, 상기 응축실과는 격리되어 내부에 제 2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증발실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상기 응측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실은 상기 케이싱 상부 전측에 박스형 용기가 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응축실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 후측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팬의 토출측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대부분의 공기가 상기 제 1열교환기 표면에 접촉하여 통과되도록 상기 응축실 공간을 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팬은 상기 제 1열교환기 인근 하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팬은 상기 응축기에서 허용된 공간 내에 최대한 넓은 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팬이 설치된 둘레 주변에는 상기 응축실의 상부 및 하부를 가르는 격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역브이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ㄱ"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측으로 볼록한 곡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평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실을 비스듬히 경사지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경사평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방시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 1열교환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저온의 냉매를 경유시키면서 보다 고온의 열교환용 유체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열교환용 유체 및 냉매가 흐르는 유로들이 형성된 얇은 금속판이 다수 적층되어, 고온의 열교환용 유체와 저온의 냉매가 상기 유로들을 따라 흐르면서 열교환되는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열교환용 유체를 순환시키면서 압축, 가열하는 난방용 압축기와;
    압축, 가열된 열교환용 유체를 받아 고압의 액체상태로 전환하는 한편, 상기 제 1열교환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경유시키면서 상기 열교환용 유체와 열교환시키는 난방용 응축기와;
    고압의 액체상태인 열교환용 유체를 압력강하시키는 난방용 팽창밸브와;
    상기 난방용 팽창밸브에서 압력강하된 저압의 액체상태인 열교환용 유체를 기화시키는 난방용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응축기는, 상기 열교환용 유체 및 냉매가 흐르는 유로들이 형성된 얇은 금속판이 다수 적층되어, 고온의 열교환용 유체와 저온의 냉매가 상기 유로들을 따라 흐르면서 열교환되는 판형 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증발기는 상기 제 1열교환기 끝단에 연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의 토출측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난방용 증발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유체는 프레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24. 냉방시 응축기 역할을 하고 난방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 1열교환기와, 실외공기를 상기 제 1열교환기 표면에 접촉시키면서 흡입하여 토출하는 축류팬과, 상기 축류팬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축류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KR1020050007228A 2004-04-23 2005-01-26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KR20060056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1174 WO2005103575A1 (en) 2004-04-23 2005-04-22 Heat exchanger raising the cooling and heating capac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803 2004-11-22
KR20040095803 2004-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836A true KR20060056836A (ko) 2006-05-25

Family

ID=3715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228A KR20060056836A (ko) 2004-04-23 2005-01-26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8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54B1 (ko) * 2006-09-01 201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냉식 공기조화기
CN109640605A (zh) * 2019-02-14 2019-04-16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用于基站的空调器
KR102133388B1 (ko) * 2019-07-26 2020-07-14 홍석환 실외기 일체형 에어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54B1 (ko) * 2006-09-01 201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냉식 공기조화기
CN109640605A (zh) * 2019-02-14 2019-04-16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用于基站的空调器
KR102133388B1 (ko) * 2019-07-26 2020-07-14 홍석환 실외기 일체형 에어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62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628081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428341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3007831A (zh) 一种三管制多联机热水系统及其控制方法
US7574872B2 (en) Capacity-variable air conditioner
JP5028927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60056836A (ko)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JP2001296068A (ja) 蓄熱式冷凍装置
US20080053121A1 (en) Water-cooled air conditioner
JP2013137151A (ja) 空気調和機
KR100930762B1 (ko) 공기 조화기
KR100526105B1 (ko) 히터펌프 공기조화기
WO2005103575A1 (en) Heat exchanger raising the cooling and heating capacity
KR100675900B1 (ko) 냉동 공조 시스템
KR20050043089A (ko) 히트 펌프
CN213841114U (zh) 空调器
KR20060053572A (ko) 냉난방 성능을 높인 실외기 일체형 냉난방기
CN213901258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2001066007A (ja) 空気調和機
CN218864347U (zh) 一种空调室外换热器及空调器室外机
KR100660967B1 (ko)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의 실외 열교환기
WO2023058439A1 (ja) 熱源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050074107A (ko) 히트 펌프식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71335Y1 (ko) 착상 방지 건조기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KR200264555Y1 (ko) 보조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어컨의 효율향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