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068B1 - 피디피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 - Google Patents

피디피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068B1
KR100511068B1 KR10-2004-0002125A KR20040002125A KR100511068B1 KR 100511068 B1 KR100511068 B1 KR 100511068B1 KR 20040002125 A KR20040002125 A KR 20040002125A KR 100511068 B1 KR100511068 B1 KR 100511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circuit
collector
photo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974A (ko
Inventor
류승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06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0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1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conveying information used for selecting or modulating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AC_ON 발생 회로는,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단의 후단에 연결되는 AC_ON 출력단과, 상기 전압단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병렬 연결되는 제 1바이어스 저항과, 상기 전압단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 2바이어스 저항과, 상기 전압단이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되는 접속 노드와 상기 AC_ON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3바이어스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AC_ON 발생 회로에서 1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수광 여부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회로를 간략화시키고, 부품수를 줄여 공간적인 면과 가격적인 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디피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SEQUENCE CIRCUIT USING PHOTO COUPLER FOR PDP}
본 발명은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는 전면판과 후면판사이에 방전공간을 형성하고 전극사이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켜 주위에 존재하는 형광체로 하여금 여기되도록 발광시킴으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한편 이러한 PDP는 액정표시장치(LCD)와 함께 실용성 있는 차세대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PDP는 액정표시장치보다 휘도가 밝고 시야각이 넓어 옥외 광고탑, 벽걸이 TV, 극장용 디스플레이와 같이 박형의 대형 디스플레이로서 응용성이 넓다.
이러한 PDP는 파워 공급 유닛(Power Supply Unit, 이하 'PSU'라 칭함)이 구비되는 데, PSU에서 입력 전원을 검출하여 AC_ON이란 신호를 발생시켜 PDP에 인가한다. 이러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은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가 사용된다.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10)는, 입력되는 AC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의 정상 유무를 확인하는 전압 검출 회로(11)와, 전압 검출 회로(11)로부터 확인된 전압을 통해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12)와,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12)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1차측에서 광 신호를 발생시키고, 2차측에서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커플러(13)와, 포토 커플러(13)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AC_ON 발생 회로(14)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AC 전압이 입력되면 전압 검출 회로(11)의 분압 저항(R1~R4)을 통해 AC 전압이 분압되는데, 분압 저항(R1~R4)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12)의 제 1트랜지스터(Q1)가 분압 전압의 크기에 따라 온/오프된다. 즉, 분압 전압이 구동 전압 이상 입력되면 제 1트랜지스터(Q1)가 온된다.
제 1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제 1전압단(VCC1)의 정전압이 제 1트랜지스터(Q1)와 연결된 포토 커플러(13)의 발광 다이오드(PD1)로 인가되어 발광 다이오드(PD1)가 온되어 광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2차측인 수광 트랜지스터(PT1)에 광이 인입된다.
이로 인해 포토 커플러(13)의 수광 트랜지스터(PT1)에 베이스가 연결된 AC_ON 발생 회로(14)의 제 2트랜지스터(Q2)로 제 2전압단(VCC2)의 정전압이 인가되어 온되고, 이로 인해 제 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된 제 3트랜지스터(Q3)는 제 2트랜지스터(Q2)의 온으로 베이스가 그라운드 레벨이기 때문에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되면 제 2전압단(VCC2)의 정전압이 AC_ON 출력단(AC_ON)을 통해 출력되는데, AC_ON 신호가 하이로 출력된다.
반대로 AC 전압의 입력 레벨이 낮거나 대기 상태여서 제 1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포토 커플러(13)가 오프되고 이에 따라 제 2트랜지스터(Q2)도 오프되며, 제 3트랜지스터(Q3)는 온되어 AC_ON 출력단(AC_ON)이 그라운드 레벨이기 때문에 AC_ON 출력단(AC_ON)도 그라운드 레벨로 떨어져 AC_ON 신호가 로우로 출력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C1은 AC 전압을 정류시키는 커패시터이고, R5~R9는 바이어스 저항이다.
그러나 이러한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는 포토 커플러의 수광 신호를 AC_ON 발생 회로에서 2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수광 여부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는 회로가 복잡하여 회로 부피가 커지고, 부품수가 많이 사용되어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AC_ON 발생 회로에서 1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수광 여부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회로를 간략화시키고, 부품수를 줄여 공간적인 면과 가격적인 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저항으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AC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의 정상 유무를 확인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확인된 전압을 통해 제 1트랜지스터를 이용해서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와;
상기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의 제 1트랜지스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1차측인 발광 다이오드에서 광 신호를 발생시키고, 2차측인 수광 트랜지스터에서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커플러; 및
상기 포토 커플러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AC_ON 발생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AC_ON 발생 회로는,
전압단에 컬렉터가 연결되고, 상기 포토 커플러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그라운드에 에미터가 연결되데, 상기 포토 커플러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가 상기 그라운드와 에미터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단의 후단에 연결되는 AC_ON 출력단과,
상기 전압단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병렬 연결되는 제 1바이어스 저항과,
상기 전압단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 2바이어스 저항과,
상기 전압단이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되는 접속 노드와 상기 AC_ON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3바이어스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100)는, 전압 검출 회로(11)와,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12)와, 포토 커플러(13)와, AC_ON 발생 회로(110)로 구성된다.
AC_ON 발생 회로(110)는 제 2트랜지스터(Q2)와, AC_ON 출력단(AC_ON)과, 제 1~3바이어스 저항(R6~R8)으로 구성된다.
제 2트랜지스터(Q2)는 포토 커플러(13)의 수광 트랜지스터(PT1)의 스위칭에 따라 반대로 연동되도록 제 2전압단(VCC2)에 컬렉터가 연결되고, 포토 커플러(13)의 수광 트랜지스터(PT1)의 컬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그라운드에 에미터가 연결되데, 포토 커플러(13)의 수광 트랜지스터(PT1)의 에미터가 그라운드와 에미터의 사이에 연결된다.
AC_ON 출력단(AC_ON)은 제 2트랜지스터(Q2)의 스위칭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 2전압단(VCC2)과 제 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된다.
제 1바이어스 저항(R6)은 제 2전압단(VCC2)과 제 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병렬 연결되고, 제 1바이어스 저항(R7)은 제 2전압단(VCC2)과 제 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며, 제 3바이어스 저항(R8)은 제 2전압단(VCC2)과 제 2트랜지스터(Q2)의 접속 노드와 AC_ON 출력단(AC_ON) 사이에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압 검출 회로(11)로 AC 전압이 입력되면 이의 분압 저항(R1~R4)을 통해 AC 전압이 분압되는데, 분압 전압이 구동 전압 이상 입력되면 분압 저항(R1~R4)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12)의 제 1트랜지스터(Q1)가 온된다.
이렇게 제 1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제 1전압단(VCC1)의 정전압이 제 1트랜지스터(Q1)와 연결된 포토 커플러(13)의 발광 다이오드(PD1)로 인가되어 발광 다이오드(PD1)가 온되어 광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2차측인 수광 트랜지스터(PT1)에 광이 인입된다.
그러면 수광 트랜지스터(PT1)가 턴-온되고, 이로 인해 제 2전압단(VCC2)의 정전압이 포토 커플러(13)의 수광 트랜지스터(PT1)의 컬렉터와 에미터를 통해 그라운드로 패스되는데, 수광 트랜지스터(PT1)의 컬렉터에 제 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그라운드 레벨로 가변되어 제 2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되면 제 2전압단(VCC2)의 정전압이 AC_ON 출력단(AC_ON)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로 인해 AC_ON 신호가 하이로 출력된다.
반대로 AC 전압의 입력 레벨이 낮거나 대기 상태여서 제 1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포토 커플러(13)의 발광 다이오드(PD1) 및 수광 트랜지스터(PT1)가 오프된다.
그러면 제 2전압단(VCC2)의 정전압이 제 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제 2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제 2전압단(VCC2)의 정전압이 제 2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와 에미터를 통해 그라운드로 패스되기 때문에 AC_ON 출력단(AC_ON)이 그라운드 레벨로 변경되며, 이로 인해 AC_ON 출력단(AC_ON)에서 AC_ON 신호가 로우로 출력된다.
따라서 AC_ON 발생 회로에 트랜지스터 한 개를 사용하여 AC 전압 레벨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정확하게 출력함으로써 회로를 간략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에 의하면, AC_ON 발생 회로에서 1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수광 여부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회로를 간략화시키고, 부품수를 줄여 공간적인 면과 가격적인 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압 검출 회로 12 :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
13 : 포토 커플러 10, 110 : AC_ON 발생 회로
PD1 : 발광 다이오드 PQ1 : 수광 트랜지스터
Q1~Q3 : 제 1~3트랜지스터 R1~R4 : 분압 저항

Claims (1)

  1. 복수의 저항으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AC 전압을 검출하여 전압의 정상 유무를 확인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상기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확인된 전압을 통해 제 1트랜지스터를 이용해서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와;
    상기 포토 커플러 구동 회로의 제 1트랜지스터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1차측인 발광 다이오드에서 광 신호를 발생시키고, 2차측인 수광 트랜지스터에서 수광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커플러; 및
    상기 포토 커플러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하이/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AC_ON 발생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AC_ON 발생 회로는,
    전압단에 컬렉터가 연결되고, 상기 포토 커플러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베이스가 연결되고, 그라운드에 에미터가 연결되데, 상기 포토 커플러의 수광 트랜지스터의 에미터가 상기 그라운드와 에미터의 사이에 연결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단의 후단에 연결되는 AC_ON 출력단과,
    상기 전압단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병렬 연결되는 제 1바이어스 저항과,
    상기 전압단과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 2바이어스 저항과,
    상기 전압단이 상기 제 2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되는 접속 노드와 상기 AC_ON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3바이어스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
KR10-2004-0002125A 2004-01-13 2004-01-13 피디피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 KR100511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125A KR100511068B1 (ko) 2004-01-13 2004-01-13 피디피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125A KR100511068B1 (ko) 2004-01-13 2004-01-13 피디피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974A KR20050073974A (ko) 2005-07-18
KR100511068B1 true KR100511068B1 (ko) 2005-08-30

Family

ID=3726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125A KR100511068B1 (ko) 2004-01-13 2004-01-13 피디피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0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974A (ko) 2005-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926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090015174A1 (en) Light source apparatus and driving apparatus thereof
WO2020253213A1 (zh) 显示屏动态控制系统及显示屏
TW201341827A (zh) 電源偵測電路及具有該電源偵測電路的電子裝置
KR100511068B1 (ko) 피디피용 포토 커플러를 이용한 시퀀스 회로
WO2014187017A1 (zh) 过压保护电路以及具有过压保护电路的电子装置
JP2004191975A (ja)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装置
US8896517B2 (en) Integrated backlight driving chip and LED backlight device
US7999804B2 (en) Monitor
US20080180418A1 (en) Liquid crystal panel control circuit having reset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riving circuit with same
US7566852B2 (en) Driving circuit for backlight module
US20070115001A1 (en) System for driving a plurality of lamps and fault detecting circuit thereof
CN102103316A (zh) 电子设备
JP6942237B2 (ja) 放電信号トリガ回路を含む表示装置
TWI714995B (zh) 背光裝置以及顯示裝置
TW201520749A (zh) 電子裝置
JP2014179594A (ja) 半導体光源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100627398B1 (ko) 전원 공급 장치
KR100782652B1 (ko) 보호 장치 및 그에 이용되는 ccfl 구동 시스템
TWM534700U (zh) 具電源反接保護與偵測機制的車用電器裝置
KR20120006793A (ko) 전원 공급 장치
KR20060012289A (ko)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KR20090022222A (ko) 전원제어장치
US7218062B1 (en) Protective device and a CCFL driving system used thereon
KR100552563B1 (ko)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과전압 보호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