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848B1 -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 Google Patents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848B1
KR100510848B1 KR10-2003-0032569A KR20030032569A KR100510848B1 KR 100510848 B1 KR100510848 B1 KR 100510848B1 KR 20030032569 A KR20030032569 A KR 20030032569A KR 100510848 B1 KR100510848 B1 KR 10051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mpressors
capillary
compressor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277A (ko
Inventor
최귀진
조남엽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84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25B2400/0751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the compressor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다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멀티에어컨에 있어서, 별도의 공용 어큐뮬레이터 대신 그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갖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이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은, 각각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압축용량이 다른 두개의 압축기를 갖는 멀티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두 압축기로 이어지는 냉매 흡입관은 Y자형으로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두 관 사이에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경사지게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분리된 상기 각 관의 직경은 상기 각 압축기의 용량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은 두개의 압축기 전방에 공용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에 비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Multiple air-conditioner having a capillary}
본 발명은 다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멀티에어컨에 있어서, 별도의 공용 어큐뮬레이터 대신 그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갖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매를 상온에서 증발시켜 주변의 대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대기를 냉각시키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나눌 수 있고, 보통 분리형 에어컨은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를 통해 실내기의 증발기에서 다시 기화시켜 실내를 냉각하게 된다.
한편, 최근의 에어컨은 냉방용량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와 가깝게 유지되도록 하는 냉방용량 조절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냉방용량 조절 시스템은, 정속 압축기 한 대를 사용한 단순제어식과, 가변 압축기를 사용한 가변제어식과, 정속 압축기 두 대 이상을 사용한 복합제어식으로 구분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종래 멀티에어컨의 냉매순환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압축용량이 다른 두 대 이상의 정속 압축기를 사용하는 복합제어식 냉방용량 조절 시스템이 적용된 에어컨으로, 제 1압축기(1)와 제 2압축기(2)가 실외기의 내부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두 압축기(1,2)의 입구측에는 공용 어큐뮬레이터(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두 압축기(1,2)의 출구측에는 각각 체크밸브(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뒤에는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4)의 출구측에는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 강하시키는 팽창장치(5)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팽창장치(5)의 뒤에는 증발기(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기(6)의 출구측 냉매관은 다시 상기 두 압축기(1,2)의 입구측 공용 어큐뮬레이터(7)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냉매의 흐름을 살펴보면, 각 압축기(1,2)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3)에서 응축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고압의 액냉매로 상변화되고, 이후 팽창장치(5)를 거쳐 감온/감압 되어진 냉매는 다음으로 증발기(6)로 유입되어 실내를 냉방하게 되며, 이렇게 기화된 저압의 기체냉매는 공용 어큐뮬레이터(7)에서 냉매 내에 포함된 액체성분이 걸러지고 다시 각 압축기(1,2)로 유입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복합제어식 냉방용량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최대 냉방능력을 필요로 할 때에는 상기 두 압축기(1,2)를 모두 가동시켜 100%의 냉방능력을 발휘하고, 소정의 냉방능력을 필요로 할 때에는 상기 두 압축기(1,2)의 용량 비율에 따라 하나만 가동시키며, 이에 따라 적어도 3단계의 비교적 효율적인 냉방용량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의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복합제어식 에어컨은, 각 압축기의 입구측에 어큐뮬레이터의 설치유무에 관계없이 다수의 압축기 앞에 오일 분배 기능을 갖는 공용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에어컨의 제작비용을 상승시켰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압축기를 구비한 종래 멀티에어컨은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데, 이는 결국 오일 분배 기능을 갖고 용량이 큰 공용 어큐뮬레이터를 별도로 구비해야 했기 때문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용 어큐뮬레이터 대신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저가의 대체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압축기 입구측에는 각각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고, 그 앞에서 냉매관을 분리 형성하며, 분리된 냉매관 사이에 오일 분배 기능을 갖는 모세관을 설치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은,
각각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압축용량이 다른 두개의 압축기를 갖는 멀티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두 압축기로 이어지는 냉매 흡입관은 Y자형으로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두 관 사이에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경사지게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분리된 상기 각 관의 직경은 상기 각 압축기의 용량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에어컨의 냉매순환도이고, 도 3은 도 2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용량이 다른 제 1압축기(11)와 제 2압축기 (12)를 실외기 내에 병렬로 결합하여 설치하고, 상기 두 압축기(11,12)의 입구측에는 각각 어큐뮬레이터(17,18)를 설치하고, 상기 두 압축기(11,12)의 출구측에는 각각 체크밸브(13)를 설치하며, 상기 두 체크밸브(13) 뒤에는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1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의 출구측에는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 강하시키는 팽창장치(15)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팽창장치(15)의 뒤에는 증발기(16)를 설치하며, 상기 증발기(16)의 출구측 냉매관은 다시 상기 두 압축기 (11,12)의 입구측 각 어큐뮬레이터(17,18)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6)의 출구측에서 나온 냉매관은 상기 각 어큐뮬레이터 (17,18)로 들어가기 전에 두개의 관(21,22)으로 분리되어 상기 각 압축기(11,12)로 냉매와 오일을 유입시키는 흡입관(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흡입관(20)은 분리시 냉매 흐름에 유리하도록 Y자형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20)을 확대해보면, 제 1압축기(11)로 이어지는 제 1관(21)과 제 2압축기(12)로 이어지는 제 2관(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압축기(12)보다 상기 제 1압축기(11)의 용량이 작으므로 이러한 용량 비율에 따라 상기 각 흡입관(21,22)의 직경은 제 1관(21)이 제 2관(22)보다 작게 구성되며, 상기 제 1관(21)과 제 2관(22) 사이에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23)이 소정 각으로 경사지게 결합된다.
여기에서, 냉매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제 1압축기(11)와 제 2압축기(12)를 동시에 운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흡입관(21,22)을 통해 냉매와 오일이 상기 두 압축기(11,12)로 각각 유입되며, 제 1압축기(11)만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압축기(12)로 가던 냉매와 오일이 제 1압축기(11)의 흡입력에 의해 회수되는데, 이때 상기 모세관(23)을 통해 회수된다.
특히, 제 1압축기(11)만 작동하는 경우, 냉매는 기체 상태이므로 모세관(23)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제 1압축기(11)의 흡입력에 의해 손쉽게 회수되지만, 오일은 액체 상태이므로 경사진 상기 모세관(23)이 형성되어 있어야 회수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은, 두개 이상의 압축기(11,12)를 갖는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압축기(11,12)로 이어지는 냉매 흡입관(20)을 Y자형으로 형성하고, 분리된 각 관(21,22)의 직경은 각 압축기(11,12)의 용량에 따라 설정하며, 상기 두 관(21,22) 사이에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23)을 경사지게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압축기(11)만 작동하는 경우에 다른 압축기(12)로 가는 냉매와 오일을 상기 모세관(23)을 통해 회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두개의 압축기로 이어지는 냉매 흡입관을 Y자형으로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두 관 사이에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경사지게 결합함으로써, 공용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멀티에어컨의 냉매순환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에어컨의 냉매순환도
도 3은 도 2의 'C'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제 1압축기 12 : 제 2압축기
13 : 체크밸브 14 : 응축기
15 : 팽창장치 16 : 증발기
17, 18 : 어큐뮬레이터 20 : 흡입관
21 : 제 1관 22 : 제 2관
23 : 모세관

Claims (2)

  1. 각각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압축용량이 다른 두개의 압축기를 갖는 멀티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두 압축기로 이어지는 냉매 흡입관은 분리 형성하고, 분리된 두 관 사이에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경사지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2. 제 1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기 각 관의 직경은 상기 각 압축기의 용량에 따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KR10-2003-0032569A 2003-05-22 2003-05-22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KR10051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569A KR100510848B1 (ko) 2003-05-22 2003-05-22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569A KR100510848B1 (ko) 2003-05-22 2003-05-22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277A KR20040100277A (ko) 2004-12-02
KR100510848B1 true KR100510848B1 (ko) 2005-08-30

Family

ID=3737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569A KR100510848B1 (ko) 2003-05-22 2003-05-22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976B1 (ko) * 2006-05-16 2007-01-17 주식회사 로텍인스트루먼트 도르래를 이용한 지반 침하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277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4909B2 (ja) エジェクタ式サイクル
JP3925545B2 (ja) 冷凍装置
US6698234B2 (en) 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a vapor compression system by evaporator heating
EP2833083B1 (en) Refrigeration device
US8205467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00058781A1 (en) Refrigerant system with economizer, intercooler and multi-stage compressor
EP2543941B1 (en) Chiller
KR101387478B1 (ko) 압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US20060123834A1 (en) Air conditioner
US115610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ejector refrigeration cycles with cascaded evaporation stages
US20130055754A1 (en) Air conditioner
WO2013140990A1 (ja) 冷凍サイクル及び冷凍ショーケース
JP2011214753A (ja) 冷凍装置
KR102367790B1 (ko) 냉각 효율 향상 기능을 갖는 터보 냉동기
KR20100096857A (ko) 공기 조화기
JP2003130477A (ja) 冷凍装置
US20160003512A1 (en) Air conditioner
KR100510848B1 (ko) 오일 회수용 모세관을 구비한 멀티에어컨
JP5895662B2 (ja) 冷凍装置
JP2013210158A (ja) 冷凍装置
KR100357108B1 (ko) 2개의 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07147228A (ja) 冷凍装置
JP2006118799A (ja) 冷凍サイクル
JP2003106688A (ja) 冷凍サイクル
KR101416936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