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713B1 -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713B1
KR100510713B1 KR10-2002-0079677A KR20020079677A KR100510713B1 KR 100510713 B1 KR100510713 B1 KR 100510713B1 KR 20020079677 A KR20020079677 A KR 20020079677A KR 100510713 B1 KR100510713 B1 KR 10051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memory
interruption
power
energ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968A (ko
Inventor
이윤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7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3/00Time or time-programme switches providing a choice of time-intervals for executing one or more switching actions and automatically terminating their operations after the programme is completed
    • H01H43/02Details
    • H01H43/04Means for time setting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5/00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 G04G15/006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for operating at a number of different ti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04G5/002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brought into action by radi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타임스위치의 설정 시각을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수동으로 입력시키는 설정시간 입력부와, 외부에서 통신망을 통해 조정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설정시간 입력부 및 수신부에서 입력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저장 및 갱신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전시각 또는 차단시각과 현재시각이 일치하면 동작하여 전력의 개폐를 행하는 릴레이와, 상기 수신부, 메모리, 표시부 및 릴레이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부하전력을 일괄제어 가능함으로 과부하로 인한 전력공급의 차질을 손쉽게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time switch of remote load control type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심야 전력용 전자식 타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부를 장착하여 중앙제어 서버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형 전자식 타임스위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야 전력용 전자식 타임스위치는 전력회사와 사용자간에 미리 약정을 체결하여 심야에 사용되는 심야전력기기를 전기요금이 할인되는 심야전력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가정 내 심야전력 부하에 연결되어 일정 시간동안 전기공급에 사용되는 보일러, 전기 온수기, 온풍기, 축열기 등의 심야전력기기에 미리 설정시간을 지정해 두고, 상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타이머 스위치가 자동적으로 스위칭되어 부하를 제어함으로써 심야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종래 전자식 타임스위치는 메모리에 설정된 시간에 의해서만 릴레이의 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동작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가정내 전자식 타임스위치가 설치된 현장을 조작자가 직접 방문하여 직접 통전시각, 차단시각, 현재시각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갑작스런 부하의 급증으로 사용전력이 부족하여 전력공급에 차질이 생길 경우, 상부 중앙 제어 컴퓨터에서 이를 일률적으로 제어할 수 없어서 과부하로 인한 전력공급의 차질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현 심야 시간대에 심야 기기 부하의 급증으로 전력이 부족하여 빠른 시간 안에 상부에서 부하를 제어하고자 할 때 상부 중앙 제어 컴퓨터에서 이를 일률적으로 제어하여 과부하로 인한 전력공급의 차질을 막을 수 있는 타임스위치 장치를 이용한 심야전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의 특징은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수동으로 입력시키는 설정시간 입력부와, 외부에서 통신망을 통해 조정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설정시간 입력부 및 수신부에서 입력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저장 및 갱신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전시각 또는 차단시각과 현재시각이 일치하면 동작하여 전력의 개폐를 행하는 릴레이와, 상기 수신부, 메모리, 표시부 및 릴레이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이때, 상기 수신부는 일반 전화선로, 근거리무선전송장치, 전력선 반송장치, 페이저(pag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LCD, LE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의 제어방법의 특징은 통전, 차단, 현재 시각 및 개폐회수를 설정하고, 메모리에 상기 설정된 정보와 고유 ID를 저장하여 타임스위치를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제어 서버로부터 부하 제어 설정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제 1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부하 제어 설정 명령이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ID와 전송된 명령의 ID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단계와,
상기 제 2 판단 결과 동일하면, 메모리에 저장된 통전, 차단시각을 상기 수신된 제어 설정 명령에 따라 갱신하여 타임스위치를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릴레이를 통전/차단하여 심야전력기기에 심야 전력을 공급/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 및 갱신되는 통전, 차단, 현재 시각 변경과 개폐회수의 변경, 그리고 즉시 부하 통전/차단 명령 등을 계속해서 표시부에 표시하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을 공급/차단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이 메모리에 설정 저장된 통전시각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제 1 비교단계와, 상기 제 1 비교결과, 상기 현재 시간과 통전시각이 일치하면, 릴레이(50)가 통전되어 심야전력기기에 심야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비교결과, 상기 현재 시간과 통전시각이 일치하지 않으면, 다시 현재 시간과 메모리에 설정 저장된 차단시각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제 2 비고 단계와, 상기 제 2 비교 결과 현재 시간과 상기 차단시각이 일치하면, 릴레이가 차단되어 심야전력기기에 심야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 접속된 다수개의 전자식 타임스위치를 고유 ID를 사용하여 개인별, 그룹별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전송을 통해 선택적으로 심야 전력을 통전/차단하는데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타임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 이다.
도 1과 같이,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수동으로 입력시키는 설정시간 입력부(10)와, 외부에서 통신망을 통해 조정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수신하는 수신부(60)와, 상기 설정시간 입력부(10) 및 수신부(60)에서 입력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저장 및 갱신하는 메모리(30)와,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표시하는 표시부(40)와,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통전시각 또는 차단시각과 현재시각이 일치하면 동작하여 전력의 개폐를 행하는 릴레이(50)와, 상기 수신부(60), 메모리(30), 표시부(40) 및 릴레이(50)를 제어하는 CPU(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신부(60)는 일반 전화선로(모뎀), 근거리무선전송장치, 전력선 반송장치, 페이저(pager) 등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원격 전송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40)는 LCD, LED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2를 보면 먼저, 설정시간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통전, 차단, 현재 시각 및 개폐회수를 설정하면, CPU(20)는 메모리(30)에 상기 설정된 정보를 저장하여 전자식 타임스위치를 세팅한다(S10).
이때, 상기 메모리(30)에는 전자식 타임스위치만의 고유 ID를 저장하고 있어서 중앙제어 서버는 상기 고유 ID를 사용하여 특정부하를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하며 그룹전송, 브로드캐스트 전송을 통해 부하의 일괄제어까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CPU(20)는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통전, 차단, 현재 시각 및 개폐회수를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부(40)에 표시한다(S20).
이때, 현 심야 시간대에 심야 전력부하의 급증으로 전력이 부족하게 되면, 중앙제어 서버는 과부하로 인한 심야 전력공급의 차질을 막기 위해 소정 선택된 전자식 타임스위치로 부하 제어 설정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자식 타임스위치는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서 부하 제어 설정 명령이 수신부(60)를 통해 수신되면(S30), CPU(20)는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ID와 전송된 명령의 ID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S40).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메모리(30)에 저장된 통전, 차단시각을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서 수신된 제어 설정 명령에 따라 갱신하여 전자식 타임스위치를 세팅한다(S50).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지 않으면, 수신된 부하 제어 설정 명령은 무시한다.
이어 RTC(Real Time Clock)에 따른 현재 시간이 설정된 현재 시간이 설정된 통전시각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S60).
상기 비교결과, 상기 현재 시간과 통전시각이 일치하면, 상기 CPU(20)의 제어에 의해 릴레이(50)는 통전되어 심야전력기기에 심야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S70).
이어, CPU(20)는 현재 심야전력기기에 심야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표시부(40)에 표시한다(S20).
그리고 상기 비교결과, 상기 현재 시간과 통전시각이 일치하지 않으면, 다시 현재 시간과 설정된 차단시각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S80).
상기 비교 결과 현재 시간과 상기 차단시각이 일치하면, 상기 CPU(20)의 제어에 의해 릴레이(50)는 차단되어 심야전력기기에 심야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S90).
그리고 상기 CPU(20)는 현재 심야전력기기에 심야 전력이 차단된 것을 표시부(40)에 표시한다(S20).
이와 같이 일련의 제어, 연산 및 저장을 행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30)에 갱신된 통전, 차단, 현재 시각 변경과 개폐회수의 변경, 그리고 즉시 부하 통전/차단 명령 등을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계속해서 표시부(4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CPU(20)는 중앙제어 서버에서 전송되는 제어 설정 명령에 따라 메모리(30)내의 정보를 갱신하고 이 갱신된 설정 시각에 따라 상기 릴레이(50)를 통전/차단하게 된다.
또한, 외부의 중앙제어 서버는 접속된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고유 ID를 사용하여 특정부하를 통전/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룹전송,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전송을 통해 부하의 일괄제어까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 서버에서 상기 일괄 제어를 통해 부하를 차단하라는 명령을 수신부(60)를 이용해서 해당 전자식 타임스위치에 송신하면, CPU(20)는 릴레이(50)의 제어, 출력 등의 일련의 동작을 즉시 제어함으로써, 과부하로 인한 전력공급의 차질을 쉽게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후, 심야 기기 부하가 안정되면 상기 소정 선택된 전자식 타임스위치로 부하 제어 설정 명령을 다시 전송하여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통전, 차단시각을 다시 갱신하여 전자식 타임스위치를 재 세팅하게 된다.
이때도, 상기 메모리(30)에 다시 갱신된 통전, 차단, 현재 시각 변경과 개폐회수의 변경, 그리고 즉시 부하 통전/차단 해제 명령 등을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부(40)에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타임스위치 및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현장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설정 시각을 자유로이 조정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부하전력을 일괄제어 가능함으로 과부하로 인한 전력공급의 차질을 손쉽게 막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타임스위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부하 제어형 전자식 타임스위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정시간 입력부 20 : CPU
30 : 메모리 40 : 표시부
50 : 릴레이 60 : 수신부

Claims (3)

  1. 삭제
  2. 각각 고유의 ID를 가진 다수의 타임 스위치들에 접속되어 원격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다수의 타임 스위치들에 선택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심야전력을 통전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부하 제어 설정 명령을 상기 고유의 ID와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중앙제어서버와; 통전시간, 차단시간 및 현재시간을 수동으로 입력시키는 설정시간 입력부와; 상기 중앙제어서버로부터 원격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부하 제어 설정 명령에 따른 조정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설정시간 입력부 및 수신부에서 입력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저장 및 갱신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전시각, 차단시각 및 현재시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전시각 또는 차단 시간과 현재시간이 일치하면 동작하여 전력공급의 개폐를 행하는 릴레이와; 상기 수신부, 메모리, 표시부 및 릴레이를 제어하는 CPU를 구비하는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심야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야 전력부하의 급증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상기 중앙제어서버가 소정 선택된 타임 스위치들에 일괄적으로 조정된 통전시각 및 차단시각의 부하 제어 설정 명령과 해당 타임 스위치들의 ID들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제어서버로부터 상기 부하 제어 설정 명령과 ID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면, CPU가 미리 설정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ID를 전송된 ID와 비교하여 동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PU가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통전, 차단시각을 상기 수신된 부하 제어 설정 명령에 따라 갱신하여 타임스위치를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릴레이를 통전/차단하여 심야전력기기에 심야전력을 공급/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장치를 이용한 심야전력 제어방법.
  3. 삭제
KR10-2002-0079677A 2002-12-13 2002-12-13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1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677A KR100510713B1 (ko) 2002-12-13 2002-12-13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677A KR100510713B1 (ko) 2002-12-13 2002-12-13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968A KR20040051968A (ko) 2004-06-19
KR100510713B1 true KR100510713B1 (ko) 2005-08-31

Family

ID=3734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677A KR100510713B1 (ko) 2002-12-13 2002-12-13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030B1 (ko) * 2007-10-04 2010-09-06 박추일 원격 심야전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83A (en) * 1978-07-22 1980-02-05 Tereotetsuku:Kk Program reservation unit
KR20010073647A (ko) * 2000-01-19 2001-08-01 김일환 조명기기의 원격제어장치
KR20010082577A (ko) * 1999-12-15 2001-08-30 이마이 기요스케 프로그램 타이머
KR20020082779A (ko) * 2001-04-24 2002-10-31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원격 제어 부하 관리 시스템용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83A (en) * 1978-07-22 1980-02-05 Tereotetsuku:Kk Program reservation unit
KR20010082577A (ko) * 1999-12-15 2001-08-30 이마이 기요스케 프로그램 타이머
KR20010073647A (ko) * 2000-01-19 2001-08-01 김일환 조명기기의 원격제어장치
KR20020082779A (ko) * 2001-04-24 2002-10-31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원격 제어 부하 관리 시스템용 프로그램 가능한 타이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968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9966B1 (en) Wireless remote control bulb device
US20070247134A1 (en) Control Apparatus
KR100482004B1 (ko) 냉장고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방법
EP0617809B1 (en) Communicating thermostat
JP2013051669A (ja) コントローラ、通信システム、消費電力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74276A (ko) 홈 네트워크 제품군의 히스토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385185B1 (ko) 냉장고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169625A (ja) 消費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媒体
KR100510713B1 (ko) 원격 부하 제어형 타임스위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124341A (ja) 電力省エネ制御システム
WO2014171000A1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20050068297A (ko) 원격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116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기를 통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504558B1 (ko) 전력관리 시스템의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US6456893B1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KR20050094246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422170B1 (ko) 공중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장치
KR20060069742A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등 원격제어 장치
KR100491715B1 (ko) 절전형 원터치 전원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604988B1 (ko) 원격제어 스위칭 장치
KR20030044538A (ko)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920796B1 (ko) 자동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04747B1 (ko) 전자식 전력량 계
JP6411116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及び電力管理方法
KR200444505Y1 (ko) 원격 제어 파워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