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653B1 -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653B1
KR100510653B1 KR10-2002-0062085A KR20020062085A KR100510653B1 KR 100510653 B1 KR100510653 B1 KR 100510653B1 KR 20020062085 A KR20020062085 A KR 20020062085A KR 100510653 B1 KR100510653 B1 KR 10051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horizontal
distortion correction
memor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164A (ko
Inventor
한동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6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TV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프로젝션 TV나 프로젝터 혹은 CPT를 사용하는 직시형 TV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광학적이거나 물리적인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워핑 기능과 포맷 변환 기능 그리고, OSD 기능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서, 필요한 하드웨어 및 메모리 사용량이나 메모리 대역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필요한 하드웨어 및 메모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디지털 TV에서 반드시 필요한 포맷 변환 기능과 다중 화면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OSD 등의 메뉴 화면을 제공하면서 광학적인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image distortion in digital TV}
본 발명은 디지털 TV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젝션 TV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디지털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의 도입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TV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고해상도의 영상을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프로젝션 TV나 프로젝터 등의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은 대화면으로 구성하기 용이한 장점 때문에 고화질 디지털 TV(예, HDTV)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상기 프로젝터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서 가장 큰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PC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연결되어 세미나 발표 등의 업무용으로 사용되던 용도 이외에 가정용에서 디지털 TV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점차 그 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상기 프로젝터의 경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없는 부가 기능으로써 키스톤 보정이 필요하다. 즉,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영상 주사부와 스크린이 같이 있기 때문에 키스톤 보정을 자주 할 필요가 없으나, 상기 프로젝터의 경우 스크린을 별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키스톤 보정 기능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를 천장에 설치할 경우에는 영상을 하향으로 투사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영상의 위 부분에 대한 광로보다 아래 부분의 광로가 훨씬 길게 된다. 반면 프로젝터를 책상 위나 바닥 등에 설치할 경우는 위와 반대의 경우가 되어 위 부분의 광로가 아래 부분보다 길게 된다. 이에 따라서 스크린에 직각 사각형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투사하기 이전에 먼저 사다리꼴 형태로 역보정하여 디스플레이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프로젝터의 설치 상태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키스톤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존의 프로젝션 TV의 경우도 프로젝터와 같이 다양한 키스톤 조정을 필요하지 않지만 프로젝션 TV의 두께를 줄일수록 주사부와 스크린의 상부와 하부와의 광로 차이가 커져서 제작 단계에서 키스톤을 조정할 필요가 생긴다. 그리고 스크린 중앙부와 스크린 외곽부의 광로 차이에 의한 왜곡으로 인해 핑크션(pincushion) 보정 등의 기능이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대화면이 될수록 광로 차이에 의한 영상의 왜곡이 크게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러한 왜곡을 줄이기 위해서 종래에는 광학부를 매우 정교하게 설계하거나 많은 렌즈부를 이용하거나 혹은 렌즈부를 직접 움직이거나 기계적으로 움직여서 조정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5,978,051호(Jeffrey A. Gohman and Michael G. West, Image projection system with variable display format ;참고문헌 1이라 함)에는 여러 단계로 장착되어 있는 렌즈 시스템을 필요에 따라서 조정하여 광학적인 왜곡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 상기 참조문헌 1은 고가의 장치인 렌즈 시스템을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함으로써, 프로젝터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또한, 여러 번 키스톤이나 핑크션 등의 보정을 수행함에 따라서 광학적 오차가 증가하여 디스플레이 화질이 떨어지게 되어 자주 측정(calibration)을 하여야 한다. 또한 기계적인 진동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광학적인 보정량이 점점 달라져서 주기적으로 보정을 반복해야 하는 등 많은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광학적으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디지털 영상으로 보정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이 미국특허 US5,204,944호(George Wolberg and Terrance E. Boult, Separable image warping methods and systems using spatial lookup tables ; 이하, 참고문헌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참고문헌 2는 광학적으로 발생하는 왜곡을 워핑(warping) 기법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참고문헌 2의 경우도 하드웨어 구조가 워낙 복잡하여 디지털 TV에 바로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TV의 영상 신호 처리에 필수적인 포맷 변환 기능과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하는 광학적인 왜곡을 영상 처리 방법으로 보정하는 워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맷 변환 기능이나 PIP, POP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지털 TV에서 OSD(On-screen display) 기능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는, 필요한 메모리 및 메모리 대역폭을 최소화시키면서 디지털 TV의 영상 신호 처리에 필수적인 포맷 변환 기능과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하는 광학적인 왜곡을 영상 처리 방법으로 보정하는 워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있다.
이를 하드웨어로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의 포맷 변환이나 왜곡 보정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수평 포맷 변환을 먼저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면서 필요에 따라 수직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포맷 변환부와,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포맷 변환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서 먼저 수직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면서 수평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왜곡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포맷 변환된 영상에 필요한 OSD 데이터를 합성하는 OSD부가 더 구비되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OSD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상기 영상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요한 색좌표 형태로 변환하는 색좌표 변환부가 상기 OSD부와 영상 왜곡 보정부 사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맷 변환부는 입력되는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수직 포맷 변환부와, 입력되는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수평 포맷 변환부와, 상기 수직, 수평 포맷 변환부의 전후 및 메모리의 전후에 위치하여 입출력 영상의 크기 및 영상 왜곡 보정 유무에 따라 영상의 입출력 데이터 경로를 제어하는 다수의 먹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맷 변환부는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커지는 경우에 먼저, 입력 영상을 수평 포맷 변환부로 출력하여 수평 방향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다음에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영상을 수직 포맷 변환부로 출력시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후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맷 변환부는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모두 작아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수직방향 해상도와 수평방향 해상도를 상기 수직 포맷 변환부와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먼저 줄인 다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맷 변환부는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는 커지고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수직방향 해상도를 수직 포맷 변환부에서 줄이고, 이어 수평 방향 해상도를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증가시킨 다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맷 변환부는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는 작아지고 수직 방향 해상도가 커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를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감소시킨 다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영상을 수직 포맷 변환부로 출력시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후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면 상에 두 개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영상에 대해 수평, 수직 포맷 변환을 수행하도록 다수개의 포맷 변환부와, 상기 다수의 포맷 변환부의 출력을 합성하는 먹스로 구성되며, 입력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먹스는 다수의 포맷 변환부에서 포맷 변환된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면 상에 두 개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멀티 영상이 입력될 경우, 입력되는 영상들의 색좌표를 하나의 색좌표로 일치시키는 색좌표 변환부가 상기 다수의 포맷 변환부 전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의 포맷 변환이나 왜곡 보정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입력되는 주화면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입력되는 주화면 영상의 수평 포맷 변환을 먼저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 영상을 읽어내면서 필요에 따라 수직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주화면 포맷 변환부와, 입력되는 부화면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입력되는 부화면 영상의 수평 포맷 변환을 먼저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부화면 영상을 읽어내면서 필요에 따라 수직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부화면 포맷 변환부와,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의 출력을 합성하며, 입력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에서 포맷 변환된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합성하는 먹스와,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필요한 OSD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상기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포맷 변환된 영상에 합성하는 OSD부와, 상기 OSD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요한 색좌표 형태로 변환하는 색좌표 변환부와,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색좌표 변환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서 먼저 수직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면서 수평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왜곡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주/부화면 영상의 색좌표를 하나의 색좌표로 일치시키는 색좌표 변환부가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 전단에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용 영상 왜곡 보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입력되는 영상의 크기를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맞게 변환시키는 포맷 변환부(200), 상기 포맷 변환부(200)에서 포맷 변환된 영상에 메뉴 정보나 캡션 정보, 데이터 방송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OSD부(300), 상기 OSD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색좌표가 YCbCr 형태일 경우 RGB 형태의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색좌표 변환부(400), 및 색좌표 변환된 영상에 대해서 광학적으로 발생할 왜곡을 감안하여 이를 역보정(warping)하는 영상 왜곡 보정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에는 메모리(100)가 구비되어 입출력 영상의 크기나 영상 왜곡 보정 유무에 따라 포맷 변환된 영상이 직접 OSD부(300)로 출력되거나 메모리(100)에서 OSD부(300)로 출력되고,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500)에서 영상 왜곡 보정된 데이터는 그대로 또는, 메모리(100)에 저장된 후 디스플레이를 위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포맷 변환부(200)는 입력 영상의 해상도를 출력 영상의 해상도로 변환한다. 또한, 입력되는 영상의 샘플링 포맷은 4:2:0, 4:1:1, 4:2:2, 4:4:4 등으로 다양할 수 있는데 상기 포맷 변환부(200)는 이를 디스플레이나 영상 왜곡 보정이 용이한 샘플링 포맷으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 포맷 변환부(200)는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와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 서로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포맷 변환부(200)는 영상 왜곡 보정 동작과 연동이 되어서 움직이며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에는 영상의 수평 방향 포맷 변환을 먼저 수행한 뒤에 그 영상을 먼저 메모리(100)에 저장한다. 그 이후 메모리(10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 내면서 필요한 경우 수직 방향 포맷 변환을 수행한다.
도 2는 상기 포맷 변환부의 상세 블록도로서, 먹스를 포함한 수직 포맷 변환부(VFC)(201), 먹스를 포함한 수평 포맷 변환부(HFC)(202), 입력 영상, 상기 수직 포맷 변환부(201)의 출력, 수평 포맷 변환부(202)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먹스(203), 상기 먹스(203)의 출력을 메모리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메모리(100)에 저장하는 쓰기 인터페이스부(204), 상기 메모리(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어오는 읽기 인터페이스부(205), 상기 수직 포맷 변환부(201)의 출력, 상기 수평 포맷 변환부(202)의 출력, 상기 읽기 인터페이스부(205)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먹스(206)로 구성된다.
상기 포맷 변환부(200)는 입력되는 영상의 크기와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 그리고,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경우와 보정하지 않는 경우에 따라서 여러 개의 모드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포맷 변환부(200)의 모드 변환은 입력 영상의 데이터 경로를 포맷 변환부 내에 위치한 다수개의 먹스를 통하여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도 4에서는 읽기/쓰기 제어부 및 먹스의 도시와 동작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먼저,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포맷 변환에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을 최소화시키면서 동작하게 된다. 즉, 도 3a 내지 도 3d의 4가지 모드와 같이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해상도와 출력 영상의 수평/수직 해상도의 크기 비율에 따라서 4가지 형태로 동작을 하며,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출원 번호 : 2000-1420호)된 바 있다. 여기서, 입력 영상을 확대하거나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에는 포맷 변환시 디스플레이 클럭이 필요하고, 입력 영상을 축소하는 경우에는 포맷 변환시 입력 클럭이 필요하다. 이는 수직, 수평 포맷 변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먼저,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같거나 클 경우는 도 3a의 모드 A로 동작한다. 즉 입력 영상을 우선 메모리(100)에 저장한 후, 상기 메모리(10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 내면서 수직 포맷 변환부(201)와 수평 포맷 변환부(202)에서 차례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모두 작을 경우에는 도 3b의 모드 B로 동작한다. 즉, 입력 영상을 수평 포맷 변환부(202)와 수직 포맷 변환부(201)를 차례로 통과시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해상도를 먼저 줄인 다음에 메모리(100)에 저장하고, 이후 수평, 수직 방향으로 축소된 영상을 바로 메모리(100)에서 읽어내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는 영상의 해상도가 증가하고 수직 방향으로는 영상의 해상도가 감소하는 경우는 도 3c의 모드 C로 동작한다. 즉, 입력 영상을 먼저 수직 포맷 변환부(201)를 통과시켜 수직 방향의 해상도를 줄인 다음에 메모리(100)에 저장한다. 이후, 메모리(100)에서 읽어낸 영상을 수평 포맷 변환부(202)로 입력시켜 수평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도 3c와 반대로, 수평 방향으로는 영상의 해상도가 감소하고 수직 방향으로는 영상의 해상도가 증가하는 경우는 도 3d의 모드 D로 동작한다. 즉, 입력 영상을 먼저 수평 포맷 변환부(202)를 통과시켜 수평 방향의 해상도를 줄인 다음에 메모리(100)에 저장한다. 이후, 메모리(100)에서 읽어낸 영상을 수직 포맷 변환부(201)로 입력시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입력 영상과 디스플레이 영상의 해상도에 따라서 포맷 변환을 상기된 4가지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써, 필요한 메모리의 양을 최소화 하면서 포맷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영상 왜곡 보정부(500)와의 원활한 연계 동작을 위하여 포맷 변환부(200)는 약간 다르게 동작하여야 한다. 즉 도 4a, 도 4b와 같이 입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를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에 상관 없이 무조건 입력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에 메모리에 저장을 하여야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커지는 경우는 도 4a와 같이 모드 E로 동작한다. 즉, 입력 영상을 먼저 수평 포맷 변환부(202)를 통과시켜 수평 방향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다음에 메모리(100)에 저장한다. 이후, 메모리(100)에서 읽어낸 영상을 수직 포맷 변환부(201)로 입력시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후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포맷 변환부(200)의 수평 방향 처리 부분의 하드웨어가 증가하게 되고 또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메모리를 좀 더 많이 사용하게 되나 영상 왜곡 보정을 고려하였을 때에 최적의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난 후 수직 방향으로 영상을 읽어 내면서 포맷 변환을 수행한 영상에 대해서 영상 왜곡 보정부(500)에서 수직 방향으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동시에 포맷 변환과 영상 왜곡 보정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하드웨어의 사용을 최소화 하게 된다.
그리고,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모두 작아지는 경우에는 도 4b의 모드 F로 동작하게 되며, 이 경우는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즉, 입력 영상의 수직방향 해상도와 수평방향 해상도를 수직 포맷 변환부(201)와 수평 포맷 변환부(202)에서 먼저 줄인 다음에 메모리(100)에 저장하고, 이후 메모리(100)에서 바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을 읽어내어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한다.
또한,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는 커지고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작아지는 경우에도 도 4b의 모드 F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는 입력 영상의 수직방향 해상도를 수직 포맷 변환부(201)에서 줄이고, 수평 포맷 변환부(202)에서는 수평방향 해상도를 증가시킨 다음에 메모리(100)에 저장하고, 이후 메모리(100)에서 바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을 읽어내어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한다. 이 경우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서 수평방향 해상도를 증가시켜서 메모리(100)에 저장하게 되므로, 포맷 변환 자체는 하드웨어가 증가하고 메모리의 사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할 경우의 전체적인 하드웨어 및 메모리의 사용은 최소화된다.
한편,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는 작아지고 수직 방향 해상도는 커지는 경우에는 도 4a의 모드 E로 동작하게 되며 이 경우는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즉, 입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를 수평 포맷 변환부(202)에서 먼저 줄인 다음에 메모리(100)에 저장하고, 이후 메모리(100)에서 읽어낸 영상에 대해 수직 포맷 변환부(201)에서 수직방향 해상도를 증가시킨 후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한다.
즉, 상기 포맷 변환부(200)에서 수직/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된 영상은 OSD부(300)와 색좌표 변환부(400)를 통해 영상 왜곡 보정부(400)로 출력된다.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500)는 영상에 왜곡을 가하는 방법으로 입력 영상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며, 디지털 TV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광학적인 왜곡을 영상 처리 단계에서 역보정하여 최종적인 디스플레이가 정상이 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5에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광학적인 왜곡을 나타내었다.
즉, 도 5a는 PDP나 LCD TV와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의 경우와 같이 광학적인 왜곡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입력 영상의 형상이 그대로 출력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정상적인 디스플레이 형태이다. 도 5b는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 광학적인 왜곡이며, 도 5a의 영상이 천장에 설치된 프로젝터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될 경우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도 5c는 프로젝터를 우하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할 경우에 정상적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다. 도 5d는 프로젝션 TV나 직시형 모니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하/좌우 핑크션 형태의 왜곡으로서, 광원과 스크린 사이가 매우 짧을 경우 영상의 중앙부와 외곽부의 경로 차이가 커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광학적인 왜곡이 존재하며, 영상 왜곡 보정부(500)는 이러한 광학적인 왜곡을 고려하여 영상이 광학부로 전달되기 이전에 영상에 역보정을 가함으로써, 최종적인 디스플레이를 정상적으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500)는 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서 영상 왜곡 보정이 동작할 경우와 동작하지 않을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영상 왜곡 보정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는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영상을 바로 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반대로, 영상 왜곡 보정이 동작할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영상 처리를 수직 방향의 처리와 수평 방향의 처리를 분리하여 수행한다. 도 5d와 같은 왜곡은 매우 복잡한 형태의 왜곡을 나타내며 이를 단순히 처리하기 위해서는 영상 처리 방법을 수직 방향의 영상 처리와 수평 방향의 영상 처리로 분리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상 왜곡 보정 동작 이전에 포맷 변환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즉,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500)는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는 입력 영상을 그대로 출력하게 되나 만약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OSD부(300)와 색좌표 변환부(400)를 거쳐서 입력되는 영상의 광학적인 왜곡을 수직 방향으로 먼저 보정하여 메모리(100)에 저장한다. 그 이후 메모리(10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면서 수평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면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도 6은 이를 위해 도 5의 블록도를 좀 더 구체한 경우로서, 포맷 변환부(200)를 수평 포맷 변환부(200a)와 수직 포맷 변환부(200b)로 구분하고, 영상 왜곡 보정부(500)도 수직 영상 왜곡 보정부(500a)와 수평 영상 왜곡 보정부(500b)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면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서 먼저 수평 포맷 변환부(200a)에서 수평 방향으로 포맷 변환을 수행한 후 메모리(100)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100)에서 영상을 읽어 내면서 수직 방향의 포맷 변환을 수행한 후 OSD부(300)와 색좌표 변환부(400)를 통해 영상 왜곡 보정부(500)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때, 입력 영상이 어떠한 종류가 들어 오더라도 앞부분의 포맷 변환부(200)가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맞게 입력 영상의 크기를 변경하여 주므로,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500)는 입력 포맷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는 없으며 디스플레이의 광학적인 왜곡의 역보정만을 수행하면 된다.
즉, 상기 포맷 변환부(200)에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을 읽어 내어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로 변경하여 영상 왜곡 보정부(500)에게 제공하면,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500)는 수직 영상 왜곡 보정부(500a)를 통해 광학적인 왜곡의 역보정을 먼저 수직 방향으로 수행하게 되며 이때 포맷 변환부(200)와 같이 동기되어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 방향의 역보정이 마무리 된 영상은 한번 더 메모리(100)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두 번에 걸쳐서 메모리(100)에 저장된 영상은 여러 종류의 입력 영상에 대해서 디스플레이 해상도로 포맷 변환되어 있으며, 수직 영상 왜곡 보정부(500a)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는 디스플레이부의 광학적 왜곡에 대응하여 역보정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영상을 수평 영상 왜곡 보정부(500b)에서 수평 방향으로 읽어 내면서 한번 더 수평 방향으로 역보정을 수행하면 최종적인 역보정 영상이 구성된다. 최종적인 역보정 영상은 바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되거나 아니면 기타 다른 영상 처리 등을 거쳐서 최종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되게 된다.
한편, 디지털 TV에서는 입력 영상에 데이터 방송 영상이나 사용자를 위한 메뉴 화면 등이 OSD부(300)를 이용하여 추가되게 되며, 이때는 입력 영상에 대한 영상 왜곡 보정 뿐만이 아니라 OSD 영상에 대한 영상 왜곡 보정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OSD부(300)가 기존과는 다르게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기존의 OSD 처리 장치는 영상 신호의 수평 동기 신호에 맞추어서 OSD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읽어 내어 입력 영상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 TV용 영상 왜곡 보정 장치에서도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존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OSD부(30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500)를 동작시켜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경우에는 OSD부(300)로 영상이 입력될 때에 수평 방향으로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방향의 영상이 입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 OSD부(300)는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는 것과 동기되어 OSD 데이터도 상기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상기 포맷 변환된 영상에 추가하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포맷 변환부(200)와 OSD부(300)가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읽어 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4라인 단위나 8라인 단위 등으로 묶어서 포맷 변환을 수행하거나 OSD 영상을 삽입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메모리 맵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필요한 메모리의 양이나 메모리의 대역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TV의 경우 대부분의 입력 영상은 YCbCr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영상 왜곡 보정이 필요한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영상 신호를 RGB 신호 형태로 입력을 받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되는 YCbCr 색좌표 신호를 RGB 색좌표 신호로 변경한 이후에 각각의 신호에 대해서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색좌표 변환부(400)는 OSD부(300) 뒤에 그리고 영상 왜곡 보정부(500) 앞에 위치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요한 색좌표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프로젝션 TV의 경우 많은 경우 R, G, B 각각의 신호에 대해 별도의 광원을 가지고 있거나 R, G, B 각각의 신호에 대한 광학적인 경로가 서로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RGB 신호 각각에 대해서 서로 다른 광학적인 왜곡을 가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500)의 경우 RGB 각각의 신호에 대해서 광학적인 왜곡을 다르게 보정해야 하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한편, 디지털 TV의 경우 PIP(Picture In Picture), POP(Picture Out Picture), Split Screen 등과 같이 두개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시청하는 기능은 기본적인 기능이며, 이러한 경우에도 영상 왜곡 보정이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도 7은 이러한 경우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포맷 변환부는 두개 이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여러 개의 화면을 합성하여 PIP 등의 화면을 구성하는 PIP 먹스부(703)를 그 후단에 가지고 있다. 도 7의 경우는 두개의 영상 즉, 주화면과 부화면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의 예로서, 주(main) 화면 영상으로 선택된 입력 영상에 대해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주화면 포맷 변환부(701)와 부(sub) 화면 영상으로 선택된 입력 영상에 대해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부화면 포맷 변환부(702)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 포맷 변환부는 상기된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때,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의 PIP 먹스부(703)는 기존 방식에서와 같이 똑같이 수행되나 영상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701,702), OSD부(704), 영상 왜곡 보정부(706)와 동기되어 기존 방식과 다르게 동작하게 된다.
즉, 영상 왜곡 보정이 동작하는 경우의 PIP 먹스부(703)는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읽어 내면서 합성하도록 동작된다. 이때,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702,702)의수직 포맷 변환부의 동작 모드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맷 변환부가 수직 방향으로 처리함에 있어서 영상을 읽어 내면서 수직 방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이 주화면 포맷 변환부(701)와 부화면 포맷 변환부(702)가 서로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포맷 변환부가 영상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비율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입력 채널을 통해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두 개 이상의 영상이 서로 다른 색좌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영상 입력부에서는 상기된 여러개의 색좌표들을 하나의 색좌표로 일치시키기 위한 고려가 필요하다. 도 8은 이러한 경우에 대한 구성 블록도로서, 도 7의 주화면 포맷 변환부(701)와 부화면 포맷 변환부(702)의 전단에 각각의 색좌표 변환부(CSC)(801),(802)가 추가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화면으로 RGB 형태의 영상이 입력되고 부화면으로 YCbCr 형태의 영상이 입력될 경우, 색좌표 변환부(801)는 입력 영상의 색좌표를 그대로 주화면 포맷 변환부(701)로 출력하고, 색좌표 변환부(802)는 YCbCr 형태의 영상을 RGB 형태의 영상으로 색좌표 변환한 후 부화면 포맷 변환부(702)로 출력한다. 혹은 이와 반대의 과정으로 색좌표를 통일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에 의하면, 디지털 TV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투사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프로젝션 TV나 프로젝터 혹은 CPT(Color Picture Tube)를 사용하는 직시형 TV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광학적이거나 물리적인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워핑 기능과 포맷 변환 기능 그리고, OSD 기능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서, 필요한 하드웨어 및 메모리 사용량이나 메모리 대역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하드웨어 및 메모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디지털 TV에서 반드시 필요한 포맷 변환 기능과 PIP, POP, Split Screen 등의 다중 화면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OSD 등의 메뉴 화면을 제공하면서 광학적인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포맷 변환부의 상세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의 상기 포맷 변환부의 각 동작 모드의 예들을 보인 도면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서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는 경우의 상기 포맷 변환부의 각 동작 모드의 예들을 보인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정상 디스플레이 형태와 영상 왜곡의 일반적인 예들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1의 블록도를 좀 더 구체화한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화면 모드를 위한 영상 왜곡 보정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전단에 색좌표 변환부가 더 구비되는 영상 왜곡 보정 장치의 실제 구현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모리 200 : 포맷 변환부
201,200b : 수직 포맷 변환부 202,200a : 수평 포맷 변환부
300 : OSD부 400 : 색좌표 변환부
500 : 영상 왜곡 보정부 500a : 수직 영상 왜곡 보정부
500b: 수평 영상 왜곡 보정부

Claims (15)

  1. 입력되는 영상의 포맷 변환이나 왜곡 보정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입력되는 영상의 수평 포맷 변환을 먼저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면서 필요에 따라 수직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포맷 변환부;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포맷 변환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RGB 형태로 변환하는 색좌표 변환부; 및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색좌표 변환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서 먼저 수직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면서 수평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왜곡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된 영상에 필요한 OSD 데이터를 합성하는 OSD부가 포맷 변환부와 색좌표 변환부 사이에 더 구비되며,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OSD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상기 영상에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입력되는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수직 포맷 변환부와,
    입력되는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수평 포맷 변환부와,
    상기 수직, 수평 포맷 변환부의 전후 및 메모리의 전후에 위치하여 입출력 영상의 크기 및 영상 왜곡 보정 유무에 따라 영상의 입출력 데이터 경로를 제어하는 다수의 먹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커지는 경우에 먼저, 입력 영상을 수평 포맷 변환부로 출력하여 수평 방향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다음에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영상을 수직 포맷 변환부로 출력시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후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모두 작아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수직방향 해상도와 수평방향 해상도를 상기 수직 포맷 변환부와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먼저 줄인 다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는 커지고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수직방향 해상도를 수직 포맷 변환부에서 줄이고, 이어 수평 방향 해상도를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증가시킨 다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 변환부는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는 작아지고 수직 방향 해상도가 커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를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감소시킨 다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영상을 수직 포맷 변환부로 출력시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후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왜곡 보정부는
    영상 처리 단계에서 영상에 왜곡을 가하는 방법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발생하는 광학적인 왜곡을 보정하며, RGB 각각의 신호에 대해 별도의 광원을 가지고 있거나 RGB 각각의 신호에 대한 광학적인 경로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RGB 각각의 신호에 대해서 광학적인 왜곡을 다르게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 상에 두 개 이상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입력되는 영상들의 색좌표를 하나의 색좌표로 일치시키는 다수개의 색좌표 변환부와, 해당 색좌표 변환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대해 수평, 수직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포맷 변환부와, 상기 다수의 포맷 변환부의 출력을 합성하는 먹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입력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먹스는 다수의 포맷 변환부에서 포맷 변환된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11. 입력되는 영상의 포맷 변환이나 왜곡 보정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입력되는 주화면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입력되는 주화면 영상의 수평 포맷 변환을 먼저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주화면 영상을 읽어내면서 필요에 따라 수직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주화면 포맷 변환부;
    입력되는 부화면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입력되는 부화면 영상의 수평 포맷 변환을 먼저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부화면 영상을 읽어내면서 필요에 따라 수직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부화면 포맷 변환부;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의 출력을 합성하며, 입력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에서 포맷 변환된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합성하는 먹스;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필요한 OSD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상기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포맷 변환된 영상에 합성하는 OSD부;
    상기 OSD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색좌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요한 색좌표 형태로 변환하는 색좌표 변환부; 그리고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 왜곡 보정이 수행되어야 할 경우 상기 색좌표 변환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 대해서 먼저 수직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읽어내면서 수평 방향으로 광학적인 왜곡에 대응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왜곡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주/부화면 영상의 색좌표를 하나의 색좌표로 일치시키는 색좌표 변환부가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 전단에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 각각은
    입력되는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수직 포맷 변환부와,
    입력되는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수평 포맷 변환부와,
    상기 수직, 수평 포맷 변환부의 전후 및 메모리의 전후에 위치하여 입출력 영상의 크기 및 영상 왜곡 보정 유무에 따라 영상의 입출력 데이터 경로를 제어하는 다수의 먹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 각각은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커지는 경우 또는,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는 작아지고 수직 방향 해상도가 커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를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증가 또는 감소시킨 다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읽어낸 영상을 수직 포맷 변환부로 출력시켜 수직 방향으로 영상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후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화면 포맷 변환부 각각은
    영상 왜곡 보정이 수행되면서 출력 영상의 수평방향 해상도와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입력 영상의 수평/수직 방향 해상도보다 모두 작아지는 경우 또는, 출력 영상의 수평 방향 해상도는 커지고 수직 방향 해상도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입력 영상의 수직방향 해상도와 수평방향 해상도를 수직 포맷 변환부와 수평 포맷 변환부에서 먼저 변환한 다음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후 상기 메모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읽어내어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KR10-2002-0062085A 2002-10-11 2002-10-11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KR10051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85A KR100510653B1 (ko) 2002-10-11 2002-10-11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85A KR100510653B1 (ko) 2002-10-11 2002-10-11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64A KR20040033164A (ko) 2004-04-21
KR100510653B1 true KR100510653B1 (ko) 2005-08-31

Family

ID=3733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085A KR100510653B1 (ko) 2002-10-11 2002-10-11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680A (ko) 2013-08-01 2015-02-11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특징점의 생성을 이용한 이미지 보정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287A (ko) * 1994-12-12 1996-07-22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 픽쳐 바이 픽쳐 장치
KR100237645B1 (ko) * 1997-04-14 2000-01-15 구자홍 와이드 텔레비젼수상기의 화면 크기 보정장치
JP2000330507A (ja) * 1999-05-21 2000-11-30 Seiko Epson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2001069435A (ja) * 1999-08-30 2001-03-16 Nippon Avionics Co Ltd プロジェクタの台形歪み補正回路
KR20020000940A (ko) * 2000-06-22 2002-01-09 구자홍 키스톤 보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287A (ko) * 1994-12-12 1996-07-22 구자홍 텔레비젼수상기의 픽쳐 바이 픽쳐 장치
KR100237645B1 (ko) * 1997-04-14 2000-01-15 구자홍 와이드 텔레비젼수상기의 화면 크기 보정장치
JP2000330507A (ja) * 1999-05-21 2000-11-30 Seiko Epson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2001069435A (ja) * 1999-08-30 2001-03-16 Nippon Avionics Co Ltd プロジェクタの台形歪み補正回路
KR20020000940A (ko) * 2000-06-22 2002-01-09 구자홍 키스톤 보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64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579B1 (ko) 멀티 소스용 포맷 변환 장치
US61574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blending image input layers
US7292284B2 (en) Method and apparatus displaying double screen
US64627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ending image input layers
US7441906B1 (en) Keyston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EP1115105B1 (en) Projection display with on-screen display and compensation of image distortions
US20050057434A1 (en) Multi scre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334071A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060221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123273B2 (en) Overlay of plural images
JP2007271848A (ja)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方法
JP2007206356A (ja) 映像表示システム
US844652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63357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lor base of an image layer
JP2012118563A (ja)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方法
JPH08251504A (ja) ビデオ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3685668B2 (ja) マルチスクリーン用画面合成装置
KR100642505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10653B1 (ko) 디지털 tv의 영상 왜곡 보정 장치
JP2006086728A (ja) 画像出力装置
EP18482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 image aspect ratio conversion
KR100546639B1 (ko) 영상 왜곡 보정 장치
KR100469265B1 (ko) Lcd 프로젝터의 키스톤 보정장치 및 방법
CN111314630B (zh) 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JP2004134963A (ja) スキャンコンバータを内蔵したマトリックス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