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282B1 -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282B1
KR100510282B1 KR10-2003-0077382A KR20030077382A KR100510282B1 KR 100510282 B1 KR100510282 B1 KR 100510282B1 KR 20030077382 A KR20030077382 A KR 20030077382A KR 100510282 B1 KR100510282 B1 KR 10051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age
information
questionnaire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418A (ko
Inventor
유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케어
Priority to KR10-2003-007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2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하고자 하는 검진대상자들의 건강나이 산출을 위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건강나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 입력받은 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를 기 설정된 문진항목별 기본값에 매핑시켜 문진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문진결과값을 지수 연산 처리하여 나이로 환산된 변동분을 도출한 후, 해당 나이 변동분을 검진대상자의 실제나이에 합산함으로써 건강나이를 산출하는 건강나이 산출부; 및 산출된 건강나이에 의거한 건강상태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건강나이 결과출력부를 포함하는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Apparatus for offe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알려주고, 각종 질병(예컨대, 심혈관 질환, 심근경색증, 뇌졸중, 폐암, 후두암, 간암, 위암, 유방암)에 대한 발생위험도(이하, 건강위험도라 함) 및 건강점수를 제공해주는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들의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 악화와 질병 발생 등의 대비책으로 보험이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보험사들은 다양한 보험상품을 개발하고, 보험가입 가망고객(즉, 보험 미가입 고객, 타사 보험가입고객 등)을 대상으로 보험의 필요성, 자사 보험의 장점 등을 설명해주어 보험 가입을 권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험사들(엄밀히 말하면, 보험사들에 속한 보험설계사들)은 일반적으로 지인이나 인척을 통한 권유에 의해 보험가입 가망고객들이 보험에 가입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험영업방식은 보험가입대상이 한정되어 있으며, 또한, 보험가입 가망고객에게 보험의 필요성을 정확하게 호소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험가입 가망고객들에게 보험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어 고객들의 보험 가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업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 각종 질병에 대한 건강위험도 및 건강점수를 제공해줌으로써, 보험가입 가망고객들에게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알려주어 보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또한, 보험가입고객에 한하여 각종 질병에 대한 건강위험도 및 건강점수를 알려주는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는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는,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하고자 하는 검진대상자들의 건강나이 산출을 위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건강나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를 기 설정된 문진항목별 기본값에 매핑시켜 문진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문진결과값을 지수 연산 처리하여 나이로 환산된 변동분을 도출한 후, 해당 나이 변동분을 검진대상자의 실제나이에 합산함으로써 건강나이를 산출하는 건강나이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건강나이에 의거한 건강상태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건강나이 결과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건강나이 산출을 위한 문진정보에는 음주정보, 흡연정보, 신체상태정보, 현재 건강상태정보 및 생활습관정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상기 나이 변동분은 하기의 건강나이산출함수(P)(여기서, p는 검진대상자의 문진결과값)에 의하여 도출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 대한 기능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부(110),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120), 건강나이 산출부(130), 건강나이 결과출력부(140), 건강위험도 기초진단정보 입력부(150), 건강위험도 도출부(160) 및 건강위험도 결과제공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부(110)는 건강나이정보DB(111) 및 건강위험도정보DB(112)를 포함한다.
건강나이정보DB(111)는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하고자 하는 검진대상자들의 기본정보와, 각 검진대상자별 건강나이 산출을 위해 입력된 문진정보 및 각 검진대상자별 건강나이 결과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나이정보DB(111)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2a를 참조하면, 건강나이정보DB(111)는 기본정보 필드(1111), 문진정보 필드(1112) 및 건강나이 결과정보 필드(1113)를 포함한다. 이때, 기본정보 필드(1111)에는 검진대상자들의 기본정보로서, 예를 들어,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이 기록된다. 그리고, 문진정보 필드(1112)에는 검진대상자들의 건강나이 산출을 위해 입력된 문진정보로서, 예를 들어, 음주정보, 흡연정보, 신체상태정보(예컨대, 신장, 체중, 수축기혈압 등), 현재 건강상태정보, 식습관정보(예컨대, 식성, 야채 섭취량, 운동량) 등이 기록된다. 또한, 건강나이 결과정보 필드(1113)에는 각 검진대상자별 건강나이 및 건강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예컨대, 흡연요인, 고혈압요인, 음주요인, 식습관요인, 운동요인)이 기록된다.
건강위험도정보DB(112)는 각종 질병(예컨대, 심혈관 질환, 심근경색증, 뇌졸중, 폐암, 후두암, 간암, 위암, 유방암)별 건강상태를 검진하고자 하는 검진대상자들의 기본정보와, 각 검진대상자들에 대하여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또는 질병별 발생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입력된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와, 각 검진대상자들에 대한 질병별 건강위험도 결과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위험도정보DB(112)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2b를 참조하면, 건강위험도정보DB(112)는 기본정보 필드(1121)와, 문진정보 필드(1122)와, 채혈정보 필드(1123) 및 질병별 건강위험도 결과정보 필드(1124)를 포함한다. 이때, 기본정보 필드(1121)에는 각 검진대상자별로 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예컨대, 전화번호, 집주소, 직장주소, e-mail 주소)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그리고, 문진정보 필드(1122)에는 각 검진대상자들에 대하여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입력된 문진정보로서, 신체상태, 가족력/과거력, 식습관, 음주/흡연, 니코틴의존도, 금연, 생활습관, 스트레스, 삶의 질, 여성정보 등의 정보가 상세하게 기록된다. 또한, 채혈정보 필드(1123)에는 각 검진대상자들에 대한 콜레스테롤, 혈당, 중성지방, 간염항원, 간염항체, 간기능 수치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마지막으로, 질병별 건강위험도 결과정보 필드(1124)에는 각 검진대상자별로 평가된 질병별 건강위험도 및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건강점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120)는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하고자 하는 검진대상자들에 대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건강나이정보DB(111)에 저장/관리한다.
건강나이 산출부(130)는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를 기 설정된 문진항목별 기본값에 매핑시켜 문진결과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소정 검진대상자에 대한 문진결과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건강나이 산출을 위한 문진항목별 기본값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3a를 참조하면, 각 문진항목에 대한 기본값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각 문진항목별 기본값은 다수의 일반인들(특히,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연구하여 각 문진항목별로 도출된 사망률 통계에서 산출된 수치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소정 검진대상자의 문진결과값을 산출하기 위해, 해당 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를 예를 들어, 실제나이가 '40'이고, 현재 흡연 중이며, 수축기혈압이 160mmHg이고, 알코올 농도가 '100'이상이며, 현재 건강상태는 '질병이 있다'라고 가정할 경우, 각 문진정보에 매핑되는 문진항목의 선택값을 '1'이라 하고 해당 문진정보에 매핑되지 않는 문진항목의 선택값을 '0'이라 하면, 문진결과값은 각각의 문진항목에 대한 기본값과 선택값을 곱한 후 전체 합산하여 산출된 결과값(예컨대, 1.7282)에 상수(예컨대, -3.5432)를 합산함으로써 산출된다. 즉, 검진대상자의 문진결과값(p)은 '-1.815'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검진대상자의 문진결과값(p)이 산출되면, 건강나이 산출부(130)는 상기 문진결과값(p)을 건강나이산출함수에 의해 지수 연산 처리함으로써 나이로 환산된 변동분(또는 변동값)(이하, 나이 변동분이라 함)을 도출한다. 이때, 건강나이산출함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정의된 바와 같다.
여기서, 문진결과값(p)이 '-1.815'라 가정할 경우, 수학식 1에 정의된 건강나이산출함수(P)에 의해 도출되는 나이 변동분은 '1.75044'이 된다.
이후, 건강나이 산출부(130)는 도출된 나이 변동분(예컨대, 1.75044)을 해당 검진대상자의 실제나이(예컨대, 40)에 합산함으로써 건강나이(예컨대, 41.75044)를 산출하고, 산출된 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를 건강나이정보DB(111)에 저장/관리한다.
건강나이 결과출력부(140)는 건강나이 산출부(130)를 통해 산출된 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와 건강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예컨대, 흡연요인, 고혈압요인, 음주요인, 식습관요인)을 출력한다.
한편, 건강나이 결과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된 건강나이 위험요인들 중 소정 건강나이 위험요인(예컨대, 흡연요인)이 개선되면(예를 들어, 현재 흡연상태에서 금연상태로 변동되면), 건강나이 산출부(130)는 변동된 건강나이 위험요인에 대한 문진정보를 반영하여 해당 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를 재 산출한다. 예를 들어, 현재 흡연 중인 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를 '41.75044'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해당 검진대상자가 금연을 할 경우 도 3a에 의거한 해당 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는 '41.30041'이 된다. 여기서, 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예컨대, 흡연요인)을 개선함으로써 해당 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가 보다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건강위험도 기초진단정보 입력부(150)는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받고 회원으로 가입한 검진대상자들(이하, 회원검진대상자들이라 함)의 각종 질병들에 대한 건강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회원검진대상자들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입력받아 건강위험도정보DB(112)에 저장/관리한다. 한편, 건강위험도 기초진단정보 입력부(150)는 회원검진대상자에 한하여 건강나이정보DB(111)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 산출시 입력된 문진정보를 획득하여 건강위험도정보DB(120)에 저장/관리할 수도 있다.
건강위험도 도출부(160)는 건강위험도 기초진단정보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회원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기 설정된 각 질병별 기초진단항목 기본값에 매핑시켜 각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포함하여 기초진단정보라 하고, 그 기초진단정보에 포함된 항목을 기초진단항목이라 한다. 한편, 각 질병별 기초진단항목 기본값은 동일한 기초진단항목에 대하여 질병마다 다르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흡연정보에 대한 기초진단항목이 현재금연항목, 현재흡연항목, 현재흡연 담배종류항목, 현재흡연 담배의 니코틴함량항목, 현재흡연담배개수항목 등이라 가정할 경우, 질병인 위암과 질병인 폐암의 건강위험도를 산정하는데 각 기초진단항목별 적용 범위 및 지수가 각각 다르게 적용된다.
여기서, 소정 회원검진대상자에 대한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질병별 건강위험도 평가를 위한 질병(예컨대, 유방암)별 기초진단항목 기본값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3b를 참조하면, 유방암의 각 기초진단항목에 대한 기본값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방암 기초진단항목의 기본값은 다수의 일반인들(특히,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연구하여 각 기초진단항목별로 도출된 통계 수치이다.
도 3b를 참조하여 소정 회원검진대상자의 유방암 기초진단 결과값을 산출하기 위해,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기초진단정보를 예를 들어, 회원검진대상자의 연령대가 '40세 ~ 49세' 사이이고, 수축기혈압이 '120≤~<140'사이이며, 야채를 더 좋아하고, 건강하며, 운동은 하지 않고, 초경 연령은 '11세 ~ 12세' 사이이며, 모유수유를 하지 않으며, 커피를 마시지 않고, 암 가족이 있으며, 첫아이 출산연령이 '25세 이전'이라고 가정할 경우, 각 기초진단정보에 매핑되는 기초진단항목의 선택값을 '1'이라 하고(단, BMI(Body Mass Index, 신체충실지수)의 기초진단항목에 대한 선택값은 '23'이라 한다), 해당 기초진단정보에 매핑되지 않는 기초진단항목의 선택값을 '0'이라 하면, 유방암 기초진단 결과값은 각각의 기초진단항목에 대한 기본값과 선택값을 곱한 후 전체 합산하여 산출된 결과값(예컨대, -0.1861)에 상수(예컨대, -5.37641)를 합산함으로써 산출된다. 즉, 유방암 기초진단 결과값(h)은 '-5.56251'이다.
마찬가지로, 건강위험도 도출부(160)는 각 질병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각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을 산출한다.
이후, 건강위험도 도출부(160)는 각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을 건강위험도산출함수에 의해 지수 연산 처리함으로써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를 도출한다. 이때, 건강위험도산출함수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정의된 바와 같다.
여기서, h는 각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이다. 이때, 유방암 기초진단 결과값(h)이 '-5.56251'이라 가정하면, 유방암에 대한 건강위험도는 수학식 2에 정의된 건강위험도산출함수(H)에 의해 '0.076489'로 도출한다. 여기서, 유방암 건강위험도인 '0.076489'는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유방암 발생률을 나타낸다.
그리고, 건강위험도 도출부(160)는 회원검진대상자의 각 질병별로 도출된 건강위험도를 건강위험도정보DB(112)에 저장/관리한다.
한편, 건강위험도 도출부(160)는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기 설정된 기초진단항목별 건강점수 기본값에 매핑시켜 건강점수 초기진단 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건강점수 초기진단 결과값을 건강위험도산출함수에 의해 지수 연산 처리함으로써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건강점수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점수 산출을 위해 이용되는 기초진단항목별 건강점수 기본값은 각 질병별 기초진단항목 기본값과 다르게 설정된다.
건강위험도 결과제공부(170)는 건강위험도 도출부(160)를 통해 도출된 회원검진대상자의 질병별 건강위험도와, 건강점수를 바탕으로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건강상태 결과정보를 도출하여 이를 회원검진대상자에게 통보해준다. 즉, 건강위험도 결과제공부(170)는 회원검진대상자의 건강점수를 기 설정된 건강분류 기준값(예컨대, 70점)에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회원검진대상자의 건강상태(예를 들어, 건강점수가 70점 이상이면 건강군에 속함을 알리고, 건강점수가 70점 이하이면 고위험군에 속함을 알린다)와,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를 바탕으로 건강위험도가 평균보다 높은 질병에 의거한 건강상태(예컨대, 해당 질병에 대한 현재의 건강위험도, 그 질병에 대한 최적 건강상태 등)를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에게 통보해준다. 여기서, 건강상태 결과정보를 통보해주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e-메일, DM 발송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의 동작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먼저,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하고자 하는 검진대상자에 대하여 해당 검진대상자의 건강나이 산출을 위한 문진정보가 입력되면(s10), 입력된 문진정보를 기 설정된 문진항목별 기본값에 매핑시켜 문진결과값을 산출한다(s11).
그리고, s11단계에서 산출된 문진결과값을 지수 연산 처리하여 나이 변동분을 도출한 후(s12), 도출된 나이 변동분을 해당 검진대상자의 실제나이에 합산함으로써 건강나이를 산출한다(s13).
이후,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산출된 건강나이를 바탕으로 한 해당 검진대상자의 문진결과를 출력한다(s1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즉, 각 질병별 발생위험도) 평가를 위한 소정 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가 입력되면(s15), 입력된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기 설정된 각 질병별 기초진단항목 기본값에 매핑시켜 각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을 산출한다(s16).
그리고, s16단계에서 산출된 각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을 지수 연산 처리하여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를 도출한 후(s17), 해당 검진대상자에게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 평가결과를 통보한다(s18).
한편, 상기 s15단계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가 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기 설정된 기초진단항목별 건강점수 기본값에 매핑시켜 건강점수 초기진단 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건강점수 초기진단 결과값을 지수 연산 처리함으로써 건강점수를 도출하는 과정을 삽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가 보험가입유도에 활용될 경우의 개략적인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해당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와 연계된 보험사에 속한 보험설계사(200)들의 요청에 따라 해당 보험설계사들의 단말기(예컨대, 노트북, PC)(도시생략)로 사전에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해주는 프로그램(이하, 건강나이 검진 프로그램이라 함)을 다운로드해 준다(s101). 여기서,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건강나이 검진 프로그램은 도 1에 도시된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120), 건강나이 산출부(130), 건강나이 결과출력부(140) 및 건강나이정보DB(11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험설계사(200)는 보험 가입 유도를 목적으로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을 방문한다(s102). 이때, 보험설계사(200)는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에게 직접적인 보험 설명보다는 해당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체크해줌으로써 해당 고객(300)의 보험 가입을 유도한다.
보험설계사(200)는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기본정보(예컨대, 이름, 주민등록번호)를 획득한 후(s103),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된 건강나이 검진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해당 고객(300)의 기본정보를 입력한다(s104).
그리고, 보험설계사(200)는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기본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자신의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진정보 입력화면(즉, 도 6a)을 바탕으로 해당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에 대한 문진정보를 입력한다(s105). 여기서, 문진정보 입력화면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보험설계사(200)는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문진정보를 입력 완료함으로써 제공되는 문진결과(도 6b, 도 6c)를 해당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에게 제공하고, 그 문진결과를 설명해준다(s106, s107). 이때, 보험설계사(200)는 해당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건강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에게 건강나이의 변동을 보여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6b 및 도 6c는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문진에 따른 결과화면으로서, 특히, 도 6b는 건강나이 결과화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6c는 건강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예컨대, 흡연, 고혈압, 음주, 식습관, 운동 등) 및 각 건강나이 위험요인들의 변화에 따른 건강나이 변동을 보여주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한편, 보험설계사(200)의 단말기에 설치된 건강나이 검진 프로그램이 소정의 문진정보를 바탕으로 문진결과(즉, 건강나이)를 도출하는 과정은 도 1을 참조한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의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120), 건강나이 산출부(130) 및 건강나이 결과출력부(140)에 대한 동작 설명시 이미 언급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이어서,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이 보험 가입을 신청하면(s108), 보험설계사(200)는 해당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에 대한 보험 가입을 처리하고(s109), 해당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보험 가입에 따른 결과를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로 통지한다(s110). 여기서, 보험설계사(200)는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에게 각종 질병(예컨대, 심혈관 질환, 심근경색증, 뇌졸중, 폐암, 후두암, 간암, 위암, 유방암 등)에 대한 고객의 건강위험도(즉, 질병 발생 위험도)가 서비스될 수 있도록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로 해당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보험 가입여부를 통지해준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보험설계사(200)로부터 보험 가입된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의 기본정보(예컨대, 이름, 주민등록번호)를 전달받으면, 해당 보험가입 가망고객(300)(이하, 보험가입고객이라 함)에 대한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획득한다(s111). 즉,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해당 보험가입고객(300)에게 별도로 간호사를 파견하여 고객(300)의 문진자료 및 채혈자료를 수집하도록 한 후, 그 간호사로부터 해당 고객(300)에 대한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도 6d와 같은 기초진단정보 입력화면을 통해 보험가입고객(300)에 대한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입력받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는 보험가입고객(300)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가지고 소정 연산 과정을 통해 해당 고객(300)의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를 도출/저장하고(s112), 그 결과를 해당 보험가입고객(300)에게 통보해준다(s113). 여기서, s112단계 및 s113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100)의 건강위험도 도출부(160) 및 건강위험도 결과제공부(170)에 대한 동작 설명시 이미 언급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강나이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려주고 또한 건강나이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들을 알려주어 사람들에게 기대수명, 수명연장에 대한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고취시켜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질병에 대한 건강위험도를 알려줌으로써 사전에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험가입 가망고객들에게 해당 고객의 건강나이를 통한 건강상태를 알려주고, 보험가입고객에 한하여 해당 고객에 대한 각종 질병별 건강위험도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부가됨을 알려줌으로써 보험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험 가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 대한 기능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측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건강나이 산출을 위한 문진항목별 기본값에 대한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질병별 기초진단항목 기본값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가 보험가입유도에 활용될 경우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화면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110 : 데이터베이스부
111 : 건강나이정보DB 112 : 건강위험도정보DB
120 :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 130 : 건강나이 산출부
140 : 건강나이 결과출력부 150 : 건강위험도 기초진단정보 입력부
160 : 건강위험도 도출부 170 : 건강위험도 결과제공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하고자 하는 검진대상자들의 건강나이 산출을 위한 문진정보를 입력받아 건강나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건강나이 문진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받은 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를 기 설정된 문진항목별 기본값에 매핑시켜 문진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문진결과값을 지수 연산 처리하여 나이로 환산된 변동분을 도출한 후, 해당 나이 변동분을 검진대상자의 실제나이에 합산함으로써 건강나이를 산출하는 건강나이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건강나이에 의거한 건강상태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건강나이 결과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건강나이 산출을 위한 문진정보에는 음주정보, 흡연정보, 신체상태정보, 현재 건강상태정보 및 생활습관정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상기 나이 변동분은 하기의 건강나이산출함수(P)
    (여기서, p는 검진대상자의 문진결과값)
    에 의하여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나이 산출부는
    건강나이 결과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건강상태 결과정보를 바탕으로 건강나이 변동을 유발하는 소정의 문진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문진정보에 대응되는 문진항목의 기본값을 반영하여 문진결과값을 재 산출하고, 재 산출된 문진결과값을 상기 건강나이산출함수에 의해 지수 연산 처리함으로써 나이 변동분을 재 도출하고, 재 도출된 나이 변동분을 해당 검진대상자의 실제나이에 합산함으로써 건강나이를 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건강나이에 의한 건강상태를 검진받고 회원으로 가입한 검진대상자들의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해당 회원검진대상자들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입력받아 건강위험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는 건강위험도 기초진단정보 입력부와,
    입력받은 회원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기 설정된 질병별 기초진단항목 기본값에 매핑시켜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각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을 지수 연산 처리함으로써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를 도출하는 건강위험도 도출부와,
    상기 도출된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에 의거한 건강상태 결과정보를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에게 통보해주는 건강위험도 결과제공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질병별 건강위험도는 하기의 건강위험도산출함수(H)
    (여기서, h는 각 질병별 기초진단 결과값)
    에 의해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위험도 도출부는
    입력받은 회원검진대상자의 문진정보 및 채혈정보를 기 설정된 기초진단항목별 건강점수 기본값에 매핑시켜 건강점수 초기진단 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건강점수 초기진단 결과값을 상기 건강위험도산출함수에 의해 지수 연산 처리함으로써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건강점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위험도 결과제공부는
    건강위험도 도출부에 의해 도출된 회원검진대상자의 건강점수 및 질병별 건강위험도에 의거하여 해당 회원검진대상자의 건강상태를 통보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3-0077382A 2003-11-03 2003-11-03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KR10051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82A KR100510282B1 (ko) 2003-11-03 2003-11-03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82A KR100510282B1 (ko) 2003-11-03 2003-11-03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418A KR20050042418A (ko) 2005-05-09
KR100510282B1 true KR100510282B1 (ko) 2005-08-26

Family

ID=3724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382A KR100510282B1 (ko) 2003-11-03 2003-11-03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2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675B1 (ko) 2011-04-22 2013-01-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 인덱스를 활용한 건강 검진 방법
KR101464459B1 (ko) * 2014-04-09 2014-11-21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23350A (ko) 2016-08-25 2018-03-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비만관리 시스템
US10980490B2 (en) 2015-06-15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physiological aging lev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502B1 (ko) * 2006-04-05 201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대 수명을 계산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876858B1 (ko) * 2017-03-13 2018-07-11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질병 발현 예측 및 컨설팅 시스템
KR101993193B1 (ko) 2017-06-12 2019-06-27 노호성 장수체력나이 산출장치 및 방법
KR102188968B1 (ko) * 2018-08-24 2020-12-09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환경적 요인 변화에 따른 질병 발생 위험도 변동 시각화 장치 및 방법
KR102472889B1 (ko) * 2020-09-29 2022-12-01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건강검진 정보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675B1 (ko) 2011-04-22 2013-01-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웰빙 인덱스를 활용한 건강 검진 방법
KR101464459B1 (ko) * 2014-04-09 2014-11-21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80490B2 (en) 2015-06-15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physiological aging level
KR20180023350A (ko) 2016-08-25 2018-03-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비만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418A (ko) 2005-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nizares et al. Increasing trajectories of multimorbidity over time: birth cohort differences and the role of changes in obesity and income
Duchesne et al. Body dis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dolescents: Is self-esteem a mediator?
Kawachi et al. Smoking cessation in relation to total mortality rates in women: a prospective cohort study
Kvaavik et al. Influence of individual and combined health behaviors on total and cause-specific mortality in men and women: the United Kingdom health and lifestyle survey
Patrick et al. Inter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premature ejaculation: the central role of perceived control
Noble et al. Risk models and scores for type 2 diabetes: systematic review
Lenert et al. Validity and interpretation of preference-based measure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ourshams et al. Cohort profile: the Golestan Cohort Study—a prospective study of oesophageal cancer in northern Iran
Hunt et al. Decreased risk of death from coronary heart disease amongst men with higher ‘femininity’scores: a general population cohort study
Strandberg et al. The effect of smoking in midlif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 age: a 26-year prospective study
Halanych et al. Agreement on cause of death between proxies, death certificates, and clinician adjudicators in the Reasons for Geographic and Racial Differences in Stroke (REGARDS) study
Hamming et al. Measuring quality of life
Ferketich et al. Psychological distr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sults from the 2002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Park et al. Year-long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older Japanese adults: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Nakanojo Study
Dale et al. Predictors of patterns of chang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women over 7 years: evidence from a prospective cohort study
Ohkubo et al. Prediction of ischaemic and haemorrhagic stroke by self-measured blood pressure at home: the Ohasama study
Taskin Yilmaz et al. The effect of body image on sexual quality of life in obese married women
JPWO2005091195A1 (ja) 健康管理システム
JP5171239B2 (ja) 保健指導対象者選定支援システム
KR100510282B1 (ko)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Janssen et al. Aspects and challenges of resource use measurement in health economics: towards a comprehensive measurement framework
KR100554355B1 (ko) 개인별 맞춤 건강증진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Parisi et al. Weight resilience and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African-American women in an obesogenic environment
Peele Domains of childhood disadvantage and functional limitation trajectories among midlife men and women in China
KR102342770B1 (ko) 질병 예측치의 분포를 이용한 건강관리 상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