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459B1 -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459B1
KR101464459B1 KR1020140042501A KR20140042501A KR101464459B1 KR 101464459 B1 KR101464459 B1 KR 101464459B1 KR 1020140042501 A KR1020140042501 A KR 1020140042501A KR 20140042501 A KR20140042501 A KR 20140042501A KR 101464459 B1 KR101464459 B1 KR 10146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database
examination
person
subscri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화
이재현
Original Assignee
국민건강보험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건강보험공단 filed Critical 국민건강보험공단
Priority to KR102014004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4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을 위한 방법은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검토하여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 구축한 검진대상자 중 특정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해당자를 건강검진 유형을 설정하고 해당 건강검진 유형에 따라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HEALTH EXAMINATION}
본 발명은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강검진의 효과를 높이고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는 공단은 가입자 및 피부양자에 대하여 질병의 조기발견과 그에 따른 요양급여를 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을 실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건강검진은 국민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의 목적으로 국가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국민은 국가건강검진을 통하여 건강을 증진할 권리를 가지며 성별ㆍ연령ㆍ종교ㆍ사회적침해받지 않으며 국민은 자신이 받은 국가건강검진의 내용과 그 결과에 대하여 설명을 들을 권리를 가지며「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국가건강검진에 관한 정보의 공개를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결국 국민건강의 보호ㆍ증진을 위하여 국가건강검진을 실시ㆍ지원함으로써 질병을 조기에 발견ㆍ진단ㆍ치료하고 사후관리가 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따라서 건강검진의 효과를 높이고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국가건강검진실시와 관련된 안내 및 건강검진의 결과를 당사자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제공하고 국민의 건강증진과 사후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국민의 모든 건강위험요인과 각종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받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질환예방을 목적으로 검진기관에서 실시하는 일반검진,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암검진, 구강검진, 영유아 검진 업무를 지원 및 관리하고, 국민의 건강증진과 사후관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검진을 위한 방법은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검토하여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 구축한 검진대상자 중 특정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해당자를 건강검진 유형을 설정하고 해당 건강검진 유형에 따라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는, (a) 건강보험 가입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건강보험자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대상자 정보가 있는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로 가져와 자격정보 연계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단계; (b) 건강검진관리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검진 대상자 정보 각각에 부여하여 전산관리부여자 기초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c) 건강보험료 정보를 건강검진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로 복사하여 건강보험 보험료 전산연계하고, 전년도 해당자가 사무직이었는지 비사무직이었는지를 체크하여 직장가입자 과년도 근무구분 연계하는 단계; (d) 간염검사 비대상자 연계, B형 항원 또는 C형 항체내역 연계, 의료급여 간염후간암을 연계, 생애전환기 40세 간염 비대상자 연계 및 간암고위험군 연계하는 단계; (e) 암 종류 및 상기 암 종류에 따른 검진 주기 및 나이를 고려하여 암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 (f) 간암 확정자를 간암 검진 대상에서 제외처리하고 검진 대상자의 주소지 연계하는 단계; (g) 전년도 사무직 일반검진 대상자를 제외처리하고, 검진대상자에 급여정지를 연계하는 단계; (h) 사망자 취소처리하고 검진대상자의 자격변동시에 자격변동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i) 상기 (a) 내지 (h)를 통해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 (j) 구축한 대상자의 구축내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적재하는 단계; 및 (k) 구축된 대상자에게 전송할 건강검진 안내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검진대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주민번호 또는 건강보험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주민번호 또는 건강보험증번호에 따른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경우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경우 건강검진 대상자 해당인지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결과 건강검진 대상자로 조회되지 않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조회결과 건강검진 대상자로 조회되는 경우 다음으로 검진종목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결과 검진종목이 조회되면 수검여부를 조회하고, 수검이 있거나 검진종목이 조회되지 않으면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를 조회한 결과 상기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가 있는 경우 문진 전화번호를 조회하고, 문진 전화번호가 조회되면 통합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단계; 및 통합 전화번호가 조회되면 행망 주소를 조회하고, 행망 주소가 조회되면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서를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발급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자를 영유아 및 영유아가 아닌자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영유아가 안자는 일반건강검진자, 생애전환기건강검진자 및 암검진자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영유아가 아닌자로 구분된 해당자는 직장가입자인지, 지역가입자인지, 의료급여수급권자인지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해당자가 상기 직장가입자로 구분된 경우 상기 해당자가 EDI 시스템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입된 경우라면 상기 해당자에게 상기 EDI 시스템으로 건강검진 대상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자가 상기 직장가입자로 구분되면서 상기 해당자가 EDI 시스템에 가입했는지 가입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지역가입자나 의료급여수급권자로 구분된 경우에는 우편발송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검토하여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고, 구축한 검진대상자 중 특정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해당자를 건강검진 유형을 설정하고 해당 건강검진 유형에 따라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하는 업무관리 시스템; 및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에 의해 건강검진 통보를 온라인으로 수행하기 위한 EDI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무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진대상자를 구축할 때, (a) 건강보험 가입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건강보험자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대상자 정보가 있는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로 가져와 자격정보 연계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b) 건강검진관리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검진 대상자 정보 각각에 부여하여 전산관리부여자 기초자료를 생성하고, (c) 건강보험료 정보를 건강검진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로 복사하여 건강보험 보험료 전산연계하고, 전년도 해당자가 사무직이었는지 비사무직이었는지를 체크하여 직장가입자 과년도 근무구분 연계하고, (d) 간염검사 비대상자 연계, B형 항원 또는 C형 항체내역 연계, 의료급여 간염후간암을 연계, 생애전환기 40세 간염 비대상자 연계 및 간암고위험군 연계하고, (e) 암 종류 및 상기 암 종류에 따른 검진 주기 및 나이를 고려하여 암검진대상자를 구축하고, (f) 간암 확정자를 간암 검진 대상에서 제외처리하고 검진 대상자의 주소지 연계하고, (g) 전년도 사무직 일반검진 대상자를 제외처리하고, 검진대상자에 급여정지를 연계하고, (h) 사망자 취소처리하고 검진대상자의 자격변동시에 자격변동처리를 수행하고, (i) 상기 (a) 내지 (h)를 통해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고, (j) 구축한 대상자의 구축내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적재하며, (k) 구축된 대상자에게 전송할 건강검진 안내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은 건강검진을 위한 대상자에 대한 내부 및 외부요청 처리를 위한 구성인 배치(batch) 및 온라인 배치(online batch)의 구성으로 제1 WAS 서버, 제2 WAS 서버,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WAS 서버 및 제2 WAS 서버는, 상기 제1 WAS 서버 및 제2 WAS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하나가 상기 온라인 배치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제2 데이터베이스에 RAC(Real Application Cluster)를 적용하면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Active,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Active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국민의 모든 건강위험요인과 각종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받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받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질환예방을 목적으로 검진기관에서 실시하는 일반검진,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암검진, 구강검진, 영유아 검진 업무를 지원 및 관리하고, 국민의 건강증진과 사후관리를 지원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진대상자를 오차없이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업무관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10의 검진대상자 구축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20의 구체적인 프로세스로, 검진대상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50 이후의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건강검진 대상자인지를 통보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70 이후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100 이후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1)은 건강검진 시스템(1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 기관 서버(30), 네트워크(40), 라우터(50), IPS(60), 트래픽 제어기(70), 방화벽(75), L7 스위치(80), 방화벽(85), L7 스위치(90), 백본 스위치(95) 및 개발 시스템(6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발 시스템(600)은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각종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지원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 또는 기관 서버(3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라우터(50), 보안을 위한 IPS(60), 트래픽 제어기(70), 방화벽(75) 및 L7 스위치(80)를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에 연결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은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사업자서버 등을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기관 서버(30)는 검진 기관, 보건복지부, 보건소,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국세청/세무소 등을 포함하는 각 기관의 컴퓨터 또는 시스템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은 검진포털 시스템(100), 포털시스템 DMZ(200), 데이터베이스(300), 업무관리 시스템(400) 및 EAI/EDI 시스템(500)을 포함한다.
상기 검진포털 시스템(100)은 개인 포털 시스템(110)과 기관 포털 시스템(120)을 포함하는데, 상기 개인 포털 시스템(110)은 건강보험 가입자를 위한 서비스, 예컨대, 건강검진 정보제공, 검진 사후 서비스 제공, 건강증진을 위한 각종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관 포털 시스템(120)은 검진기관의 청구 업무, 예컨대, 검진대상자 관리, 검진기관 지정 및 취소, 검진결과 등록/입력, 검진비용 청구등록, 검진비용 지급내역 관리 등에 관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포털시스템 DMZ(200)는 보안을 위해 L7 스위치(80)와 상기 검진포털 시스템(100)의 개인 포털 시스템(110)과 기관 포털 시스템(120)을 위한 포털 WEB 서버 및 포털 WAS 서버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검진포털 시스템(100)에 관한 각종 DB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RAC(Real Application Clust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L7 스위치(90)에 연결된다.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400)은 건강검진을 위한 각종 업무 관리 기능, 예컨대, 건강검진 대상자 구축, 건강검진 대상 판단, 건강검진 통보 제어 등을 수행한다.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은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검토하여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고, 구축한 검진대상자 중 특정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해당자를 건강검진 유형을 설정하고 해당 건강검진 유형에 따라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EAI/EDI 시스템(500)은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 내부의 검진포털 시스템(100) 및 업무관리 시스템(400) 등의 어플리케이션 간에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400)과 연계하여 EDI서비스(ex. 건강검진 통보, 건강검진 내역업무, 직장가입자 자격취득, 상실, 내역변경신고, 보험료 산정 및 부과관련업무 등)를 사용자 단말(20) 및 기관 서버(3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업무관리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400)은 WEB #1 서버(430), WEB #2 서버(440), WAS #1 서버(410), WAS #2 서버(420), DB #1(450) 및 DB #2(460)를 포함한다.
상기 WEB #1 서버(430) 및 WEB #2 서버(440)는 건강검진 시스템의 파일 중 UI 관련 xml, html, image, js, css, cab 파일과 같이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를 통해 서비스되는 파일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가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WAS #1 서버(410) 및 상기 WAS #2 서버(420)는 건강검진 시스템의 파일 중 java class, jar, jsp, config용 properties 파일과 같이 WAS 기반에서 업무처리가 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비스를 위한 파일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가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400)의 배치(batch) 및 온라인 배치(online batch)의 구성은 WEB #1 서버(430), WEB #2 서버(440)에 연결되는 WAS #1 서버(410), WAS #2 서버(420) 그리고 DB #1(450) 및 DB #2(460)를 포함한다. 상기 배치 및 온라인 배치를 위한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400)은 건강검진을 위한 대상자에 대한 내부 및 외부요청 처리를 위한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WAS #1 서버(410), WAS #2 서버(420)의 구성환경은 상기 WAS #1 서버(410), WAS #2 서버(420) 중 어느 하나가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다른 하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WAS #1 서버(410)의 온라인 배치(OnBatch #1)가 Active이고 배치(Batch)가 Standby에 해당하면서, 상기 WAS #2 서버(420)의 온라인 배치(OnBatch #2)가 Standby이고 배치(Batch)가 Active에 해당할 수 있다.
건강검진 온라인 요청을 일괄처리하는 온라인 배치(online batch)는 WAS #1 서버(410)에 Active로 처리되며, 건강검진 내부요청 처리를 위한 배치(batch)는 WAS #2 서버(420)에서 Active로 처리되며, 그 반대로 구성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400)은 DB서버의 장애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 RAC(Real Application Cluster)를 적용하며 DB #1(450) Active, DB #2(460) Active로 구성해 부하를 줄이고 두 DB는 같은 내용을 담고 있어 어느 하나의 DB가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DB를 이용해 장애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검진을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방법은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1)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은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의 DB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DB의 데이터를 검토하고(S30),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의 DB에 포함되는 건강보험자격DB의 데이터를 검토하여(S40),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한다(S10).
이후, 구축된 검진대상자 중 특정 사용자가 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0), 해당하지 않으면 그 해당하지 않는자를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1)에 연결된 건강인 포털 사이트에 올리도록 지원하고(S130), 건강증진 및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내용을 저장한다(S120).
S20 판단결과, 검진대상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면 검진대상에 해당한다는 확인서를 발급하여 검진 기관으로 전달한다(S50). 검진 기관은 수검여부를 판단하여(S70), 수검한 경우 검진비를 수검자인 사용자 단말(20)의 사용자에게 청구하고(S100), 그 내용을 건강검진 DB에 저장하여(S110), 검진 기관에 건강보험료가 지급/환수될 수 있게 한다(S80). 또한 검진 기관은 수검결과(S60) 수검자의 검진 성적이 수정된 경우 검진 성적을 정정하여(S90), 그 정정된 내용을 건강검진 DB에 저장하고(S110), 건강증진 및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20). 또한 상기 건강검진 DB의 데이터를 타기관인 보건복지부, 보건소,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및 국세청/세무서 등을 포함하는 기관 서버와 연계한다(S140).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요양기관 등으로부터 검진 기관 지정 신청(S160)을 받은 경우 심사를 수행하고(S150), 심사에 따른 지정결과를 도출하여(S170), 건강검진 DB(S30)에 저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10의 검진대상자 구축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검진대상자 구축을 위해,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1)은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의 DB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DB 및 건강보험자격 DB의 데이터를 검토하여 자격정보 연계기초자료를 구축하고(S11), 전산관리부여자 기초자료를 생성한다(S12).
여기서, 상기 자격정보 연계기초자료에서의 자격정보는 건강보험 가입자 자격 정보를 의미한다. 건강검진은 건강보험 가입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검진행위이므로, 건강보험에 유효하게 가입되어 있는 건강보험 가입자 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따라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은 건강보험자격DB에 저장되어 있는 자격정보를 건강검진 대상자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DB로 복사해 가져온다는 의미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건강보험가입자 전부의 정보를 복사하는것은 아니고, 해당년도 건강검진 대상자의 자격정보만 복사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자격정보 연계기초자료 구축은 건강보험 가입자의 건강보험 자격정보를 건강검진 DB로 가져와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 의미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산관리부여자 기초자료 생성의 의미는, 개개인마다 주민번호가 있는 것처럼 건강검진 대상자에게도 건강검진 관리번호가 개개인별로 부여되는데 이러한 건강검진관리번호를 생성하여 대상자에게 1:1로 부여하는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이후 건강보험 보험료 전산연계(S13) 및 직장가입자 과년도 근무구분 연계하고(S14), 간염검사 비대상자를 생성 및 연계하며(S15), B형 항원 또는 C형 항체내역을 연계한다(S16). 이후 또한 의료급여 간염후간암을 연계하고(S17), 생애전환기 40세 간염 비대상자를 연계하며(S18), 간암고위험군을 연계한 후(S19), 암검진대상자를 구축한다(S21).
상기 건강보험 보험료 전산연계를 설명하면, 건강검진비 산정은 건강보험료를 얼마를 내느냐에 따라 결정되므로 건강보험료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보험자격 DB의 자료를 건강검진비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DB로 복사한다. 마찬가지로 이때 검진 대상자의 자료만 복사한다. 보험료는 개인별로 부과되는게 아니라 세대별로 부과되므로 세대별 보험료 정보가 복사될 수 있다.
상기 직장가입자 과년도 근무구분 연계는, 직장가입자가 만약 사무직이면 2년에 한번 건강검진을 받고, 비사무직이면 1년에 한번 건강검진을 받게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전년도에 해당자가 사무직이었는지 비사무직이었는지 체크하는 것에 해당한다.
상기 간염검사 비대상자 생성 및 연계는, 간염의 특성때문에 한번 간염검사자로 지정이 되면 다른 여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이상 지정해제되지 않고 계속 간염검사대상자로 지정되므로, 해당자가 간염검사 대상자에서 해제가 되었는지 체크하는 것에 해당한다. 또한 간염관련 진료를 받은적이 있는지 체크하여 과거에 간염관련 진료행위가 있었다면 그 사람은 건강검진에서도 간염검사 대상자로 지정한다.
상기 B형 항원 또는 C형 항체내역을 연계, 의료급여 간염후간암을 연계, 생애전환기 40세 간염 비대상자를 연계, 간암고위험군을 연계하는 것은 상기 간염검사 비대상자 생성 및 연계와 유사한 과정에 해당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암검진대상자 구축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위암검진은 2년에 한번 40세 이상부터, 대장암은 1년에 한번 50세 부터, 자궁경부함은 2년에 한번 30세 부터, 유방암은 2년에 한번 40세 부터 실시되므로 해당 년도에 암검진 대상자인지 체크하는 것에 해당한다.
이후 간암 확정자를 간암 검진 대상에서 제외처리하고(S22), 검진 대상자의 주소지 연계한다(S23). 이후 또한 전년도 사무직 일반검진 대상자를 제외처리하고(S24), 검진대상자에 급여정지를 연계하고 사망자는 취소처리(S25)하며, 검진대상자가 자격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자격변동처리를 수행한다(S26). 이후 대상자 구축 내역을 DB에 일괄 적재하며(S27), 구축된 대상자에게 전송할 건강검진 안내문 파일을 생성한다(S28).
여기서, 상기 간암 확정자를 간암 검진 대상에서 제외처리하는 S22는, 간암으로 확정된 사람은 간암검진을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제외해 버리는 단계이다.
상기 검진대상자 주소지 연계는, 이 단계까지 수행되는 동안 필터링된 해당연도에 건강검진을 받게될 사람들의 주소지를 건강보험자격DB에서 가져오는 것에 해당한다.
상기 전년도 사무직 일반검진 대상자 제외처리는 사무직의 경우 2년에 한번 건강검진을 받게 되므로, 작년도에 건강검진을 받은 사무직의 경우 올해에 제외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상기 급여정지 연계 및 사망자 취소처리는 여러가지 사유로 건강보험 가입자격이 취소되거나 정지되어 있는 대상자의 경우 건강검진을 받을 수 없고, 사망자도 건강검진 대상자에서 제외되므로 이러한 유형의 대상자를 제외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상기 검진대상자 자격변동처리는 S11이 처음시작될때의 자격기준일에서 S26이 진행되기까지 대략 한달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는 바 한달동안 자격의 변동이 있을 수 있는바 이러한 자격변동을 체크하는 것에 해당한다.
상기 구축 내역을 DB에 일괄적재는, 여기까지의 최종확정된 건강검진 대상자를 업무에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DB에 포함되는 내부 DB와 외부 건강검진기관에서 활용하게 하는 포털DB에 동일한 자료를 적재시켜두는 것에 해당한다.
상기 건강검진 안내문 파일 생성은 예컨대, 1월1일에 건강검진 자격이 최종생성완료되면 올해 건강검진을 받으라는 안내문을 발송하기 위한 DM파일을 만드는 것에 해당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도 4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검진대상자를 오차없이 구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20의 구체적인 프로세스로, 검진대상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1)은 검진대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용자의 주민번호 또는 건강보험증번호를 입력받고(S31),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의 DB에 연결하여(S32), 입력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의 DB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DB에 없는 경우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고(S41), 상기 건강검진 DB에 있는 경우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를 수행한다(S33). 조회결과 없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S41), 조회결과 있는 경우 검진종목을 조회한다(S34).
조회결과, 검진종목이 조회되면 수검여부를 조회한다(S35). 수검이 있거나 검진종목이 조회되지 않으면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를 조회한다(S36). 상기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를 조회한 결과 있을경우 문진 전화번호를 조회하고(S37), 문진 전화번호가 조회되면 통합 전화번호를 조회한다(S38). 통합 전화번호가 조회되면, 행망 주소를 조회하고(S39), 행망 주소가 조회되면 확인서를 발급한다(S50).
이로써,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도 5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검진대상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 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50 이후의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건강검진 대상자인지를 통보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건강검진 대상자를 구분하고(S51), 이때 구분을 영유아로 구분(S53) 및 영유아가 아닌 것(일반건강검진, 생애전환기건강검진, 암검진)으로 구분(S52)한다. S52로 구분된 경우 직장가입자인지(S54), 지역가입자인지(S55), 의료급여수급권자인지(S56)를 구분하고, 직장가입자의 경우에는 EDI 시스템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7), 가입된 경우라면 EDI 시스템으로 통보하고(S58), 가입되지 않은 경우 및 지역가입자나 의료급여수급권자의 경우에는 우편발송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며(S59), 반송내역 또한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S61).
여기서, 상기 일반건강검진, 생애전환기건강검진, 암검진 및 영유아 검진에 관한 구체적 통보 내용 유형은 아래와 같다.
* 일반건강검진
Figure 112014034013718-pat00001
* 생애전환기건강검진
Figure 112014034013718-pat00002
* 암검진
Figure 112014034013718-pat00003
* 영유아 검진 및 영유아 검진시기별 검진항목
Figure 112014034013718-pat00004
도 7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70 이후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검진 기관은 검진대상자를 확인하고(S310), 검진 기록지를 출력하도록 하며(S320), 검진대상자가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S330). 검진이 실시된 후 검진 대상자정보가 입력되고(S340), 검진결과가 입력되면(S350), 입력자료의 오류여부가 점검된 후(S360), 검진결과의 내역이 통보되며(S370), 검진결과 통보서가 검진 대상자에게 발송되고(S380), 검진비가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으로 청구된다(S100).
도 8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3의 S100 이후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검진비가 청구되면(S100), 상기 건강검진 시스템(10)은 검진비를 접수하고 정산하며(S410), 청구된 청구서를 점검한 후(S420), 김진비를 검진 기관에 지급한다(S430). 검진비가 지급되면 지급내역을 통보하고(S440), 검진결과의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그 내용을 DB에 저장하며(S450), 검진결과를 정정신청하고(S460) 검진결과의 정정접수(S470)하여 검진결과를 정정처리(S480)한 후 DB에 저장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도 7,8과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검진결과 업무처리 및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정보 추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1) 건강검진 시스템(1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 기관 서버(30)
네트워크(40) 라우터(50)
IPS(60) 트래픽 제어기(70)
방화벽(75) L7 스위치(80)
방화벽(85) L7 스위치(90)
백본 스위치(95) 검진포털 시스템(100)
개인 포털 시스템(110) 기관 포털 시스템(120)
포털시스템 DMZ(200) 데이터베이스(300)
업무관리 시스템(400) EAI/EDI 시스템(500)
개발 시스템(600)

Claims (6)

  1.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의 장애문제 예방을 위하여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와 제2 데이터베이스가 RAC(Real Application Cluster) 적용됨)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검토하여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
    구축한 검진대상자 중 특정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자를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에 연결된 포털사이트에 업로드하고 건강증진 및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업로드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해당자를 건강검진 유형을 설정하고 해당 건강검진 유형에 따라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해당자에 대해 확인서를 발급하여 검진 기관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진 기관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검진 기관 서버는 수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해당자가 수검한 경우 검진비를 청구하고(이때, 상기 검진 기관 서버는 상기 해당자를 확인하고, 상기 해당자가 검진을 실시하면 상기 해당자의 검진정보가 입력되고, 검진결과가 입력되면 입력 정보의 오류여부를 검토한 후 검진결과의 내역을 통보하고 검진비를 청구함), 상기 검진 기관 서버는 수검한 해당자의 검진 성적이 수정되면 검진 성적을 정정하여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는,
    (a) 건강보험 가입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건강보험자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대상자 정보가 있는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로 가져와 자격정보 연계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단계;
    (b) 건강검진관리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검진 대상자 정보 각각에 부여하여 전산관리부여자 기초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c) 건강보험료 정보를 건강검진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로 복사하여 건강보험 보험료 전산연계하고, 전년도 해당자가 사무직이었는지 비사무직이었는지를 체크하여 직장가입자 과년도 근무구분 연계하는 단계;
    (d) 간염검사 비대상자 연계, B형 항원 또는 C형 항체내역 연계, 의료급여 간염후간암을 연계, 생애전환기 40세 간염 비대상자 연계 및 간암고위험군 연계하는 단계;
    (e) 암 종류 및 상기 암 종류에 따른 검진 주기 및 나이를 고려하여 암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
    (f) 간암 확정자를 간암 검진 대상에서 제외처리하고 검진 대상자의 주소지 연계하는 단계;
    (g) 전년도 사무직 일반검진 대상자를 제외처리하고, 검진대상자에 급여정지를 연계하는 단계;
    (h) 사망자 취소처리하고 검진대상자의 자격변동시에 자격변동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i) 상기 (a) 내지 (h)를 통해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는 단계;
    (j) 구축한 대상자의 구축내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적재하는 단계; 및
    (k) 구축된 대상자에게 전송할 건강검진 안내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j) 단계는,
    상기 구축내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시스템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의 건강검진기관에서 접근해 활용할 수 있는 포털 데이터베이스에 동일한 내용으로 자료를 적재하는 단계에 해당하며,
    상기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검진대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주민번호 또는 건강보험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주민번호 또는 건강보험증번호에 따른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경우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경우 건강검진 대상자 해당인지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결과 건강검진 대상자로 조회되지 않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조회결과 건강검진 대상자로 조회되는 경우 다음으로 검진종목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결과 검진종목이 조회되면 수검여부를 조회하고, 수검이 있거나 검진종목이 조회되지 않으면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를 조회한 결과 상기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가 있는 경우 문진 전화번호를 조회하고, 문진 전화번호가 조회되면 통합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단계; 및
    통합 전화번호가 조회되면 행망 주소를 조회하고, 행망 주소가 조회되면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서를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발급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자를 영유아 및 영유아가 아닌자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영유아가 아닌자는 일반건강검진자, 생애전환기건강검진자 및 암검진자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영유아가 아닌자로 구분된 해당자는 직장가입자인지, 지역가입자인지, 의료급여수급권자인지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해당자가 상기 직장가입자로 구분된 경우 상기 해당자가 EDI 시스템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입된 경우라면 상기 해당자에게 상기 EDI 시스템으로 건강검진 대상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자가 상기 직장가입자로 구분되면서 상기 해당자가 EDI 시스템에 가입했는지 가입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지역가입자나 의료급여수급권자로 구분된 경우에는 우편발송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의 업무관리 시스템은 어느 하나의 장애문제가 있어도 다른 하나가 대체하도록 제1 WAS 서버 및 제2 WAS 서버를 구성하여 상기 제1 WAS 서버 및 상기 제2 WAS 서버에서 온라인 요청에 대한 판단 및 내부 요청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검진을 위한 방법.
  2. 삭제
  3. 삭제
  4. 데이터베이스(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시스템의 장애문제 예방을 위하여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와 제2 데이터베이스가 RAC(Real Application Cluster) 적용됨)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검토하여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고, 구축한 검진대상자 중 특정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자를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에 연결된 포털사이트에 업로드하고 건강증진 및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업로드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해당자를 건강검진 유형을 설정하고 해당 건강검진 유형에 따라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하며, 판단결과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한 해당자에 대해 확인서를 발급하여 검진 기관 서버로 전달하는 업무관리 시스템;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에 의해 건강검진 통보를 온라인으로 수행하기 위한 EDI 시스템; 및
    상기 확인서를 수신하여 해당자의 수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해당자가 수검한 경우 검진비를 청구하고(이때, 상기 해당자를 확인하고, 상기 해당자가 검진을 실시하면 상기 해당자의 검진정보가 입력되고, 검진결과가 입력되면 입력 정보의 오류여부를 검토한 후 검진결과의 내역을 통보하고 검진비를 청구함), 수검자의 검진 성적이 수정되면 검진 성적을 정정하여 상기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검진 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업무 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진대상자를 구축할 때,
    (a) 건강보험 가입자의 건강보험자격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건강보험자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건강검진 대상자 정보가 있는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로 가져와 자격정보 연계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b) 건강검진관리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건강검진 대상자 정보 각각에 부여하여 전산관리부여자 기초자료를 생성하고, (c) 건강보험료 정보를 건강검진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로 복사하여 건강보험 보험료 전산연계하고, 전년도 해당자가 사무직이었는지 비사무직이었는지를 체크하여 직장가입자 과년도 근무구분 연계하고, (d) 간염검사 비대상자 연계, B형 항원 또는 C형 항체내역 연계, 의료급여 간염후간암을 연계, 생애전환기 40세 간염 비대상자 연계 및 간암고위험군 연계하고, (e) 암 종류 및 상기 암 종류에 따른 검진 주기 및 나이를 고려하여 암검진대상자를 구축하고, (f) 간암 확정자를 간암 검진 대상에서 제외처리하고 검진 대상자의 주소지 연계하고, (g) 전년도 사무직 일반검진 대상자를 제외처리하고, 검진대상자에 급여정지를 연계하고, (h) 사망자 취소처리하고 검진대상자의 자격변동시에 자격변동처리를 수행하고, (i) 상기 (a) 내지 (h)를 통해 건강검진을 위한 검진대상자를 구축하고, (j) 구축한 대상자의 구축내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일괄 적재하며(이때, 상기 (j)에서, 상기 구축내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상기 시스템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외부의 건강검진기관에서 접근해 활용할 수 있는 포털 데이터베이스에 동일한 내용으로 자료를 적재함), (k) 구축된 대상자에게 전송할 건강검진 안내문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때, 검진대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주민번호 또는 건강보험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특정 사용자의 주민번호 또는 건강보험증번호에 따른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경우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경우 건강검진 대상자 해당인지를 조회하는 단계, 조회결과 건강검진 대상자로 조회되지 않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조회결과 건강검진 대상자로 조회되는 경우 다음으로 검진종목을 조회하는 단계, 조회결과 검진종목이 조회되면 수검여부를 조회하고, 수검이 있거나 검진종목이 조회되지 않으면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를 조회한 결과 상기 직장가입자 사업장 정보가 있는 경우 문진 전화번호를 조회하고, 문진 전화번호가 조회되면 통합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단계, 및 통합 전화번호가 조회되면 행망 주소를 조회하고, 행망 주소가 조회되면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서를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발급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통해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은 상기 해당자에게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할 때, 상기 해당자를 영유아 및 영유아가 아닌자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영유아가 아닌자는 일반건강검진자, 생애전환기건강검진자 및 암검진자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영유아가 아닌자로 구분된 해당자는 직장가입자인지, 지역가입자인지, 의료급여수급권자인지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해당자가 상기 직장가입자로 구분된 경우 상기 해당자가 EDI 시스템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가입된 경우라면 상기 해당자에게 상기 EDI 시스템으로 건강검진 대상자 통보하는 단계, 상기 해당자가 상기 직장가입자로 구분되면서 상기 해당자가 EDI 시스템에 가입했는지 가입되지 않은 경우, 및 상기 지역가입자나 의료급여수급권자로 구분된 경우에는 우편발송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통해 건강검진 통보를 수행하며,
    상기 업무관리 시스템은 상기 특정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때 어느 하나의 장애문제가 있어도 다른 하나가 대체하도록 제1 WAS 서버 및 제2 WAS 서버를 구성하여 상기 제1 WAS 서버 및 상기 제2 WAS 서버에서 온라인 요청에 대한 판단 및 내부 요청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42501A 2014-04-09 2014-04-09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ctive KR10146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01A KR101464459B1 (ko) 2014-04-09 2014-04-09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01A KR101464459B1 (ko) 2014-04-09 2014-04-09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459B1 true KR101464459B1 (ko) 2014-11-21

Family

ID=52291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501A Active KR101464459B1 (ko) 2014-04-09 2014-04-09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4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84A (ko) 2017-12-07 2019-06-17 박기봉 건강검진 장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3593667A (zh) * 2021-08-10 2021-11-02 无锡市妇幼保健院 一种社区两癌筛查健康管理方法及系统
KR102674348B1 (ko) * 2023-10-05 2024-06-12 이제너두 주식회사 임직원 복리후생을 위한 특수건강진단의 진단마감기간이 다른 진단유형의 동시예약 판단 알고리즘과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74347B1 (ko) * 2023-10-05 2024-06-12 이제너두 주식회사 임직원 복리후생을 위한 특수건강진단의 중도추가된 유해인자의 진단유형과 진단주기 알고리즘과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74345B1 (ko) * 2023-10-05 2024-06-12 이제너두 주식회사 임직원 복리후생을 위한 특수건강진단의 마지막 진단유형에 따른 다음 진단유형의 진단주기 알고리즘과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161914A (ko) 2023-05-06 2024-11-13 주식회사 메디체인 Emr과 연계된 종합건강검진예약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44A (ko) * 2000-09-08 2000-12-05 이훈형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510282B1 (ko) * 2003-11-03 2005-08-26 주식회사 에버케어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KR20100008456A (ko) * 2008-07-16 2010-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기반의 건강검진자료 관리 및 대사질환 결과의자동분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44A (ko) * 2000-09-08 2000-12-05 이훈형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510282B1 (ko) * 2003-11-03 2005-08-26 주식회사 에버케어 건강상태정보 제공장치
KR20100008456A (ko) * 2008-07-16 2010-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기반의 건강검진자료 관리 및 대사질환 결과의자동분류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84A (ko) 2017-12-07 2019-06-17 박기봉 건강검진 장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13593667A (zh) * 2021-08-10 2021-11-02 无锡市妇幼保健院 一种社区两癌筛查健康管理方法及系统
KR20240161914A (ko) 2023-05-06 2024-11-13 주식회사 메디체인 Emr과 연계된 종합건강검진예약 시스템
KR102674348B1 (ko) * 2023-10-05 2024-06-12 이제너두 주식회사 임직원 복리후생을 위한 특수건강진단의 진단마감기간이 다른 진단유형의 동시예약 판단 알고리즘과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74347B1 (ko) * 2023-10-05 2024-06-12 이제너두 주식회사 임직원 복리후생을 위한 특수건강진단의 중도추가된 유해인자의 진단유형과 진단주기 알고리즘과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74345B1 (ko) * 2023-10-05 2024-06-12 이제너두 주식회사 임직원 복리후생을 위한 특수건강진단의 마지막 진단유형에 따른 다음 진단유형의 진단주기 알고리즘과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459B1 (ko) 건강검진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135312A1 (en) Methods for optimizing managed healthcare administration and achieving objective quality standards
Allaudeen et al. Redefining readmission risk factors for general medicine patients
Arrieta et al. Cost–benefit analysis of home blood pressure monitoring in hypertension diagnosis and treatment: an insurer perspective
Bryan et al. Breaking the addiction to technology adoption
Gould et al. Monitoring lung cancer screening use and outcomes at four cancer research network sites
O'dowd et al. Defining the road map to a UK national lung cancer screening programme
JP2004005588A (ja) 患者のヘルスケアに関連する財務データおよび請求書データを処理するシステムならびに患者ヘルスケアに関連する財務データを処理する方法
JP7437132B2 (ja) 管理支援装置、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Ganju et al. Do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s increase medicare reimbursem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covery audit program
Dusheiko et al. Choosing and booking—and attending? Impact of an electronic booking system on outpatient referrals and non‐attendances
Jaana et al. EMRs and clinical IS implementation in hospitals: a statewide survey
Green et al. Colorectal cancer screening rates increased after exposure to the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PCMH)
Goldstein et al. Determinants for scalable adoption of autonomous AI in the detection of diabetic eye disease in diverse practice types: key best practices learned through collection of real-world data
Parvanova et al. Safeguarding NICE from patient groups’ conflicts of interest
Delorme et al. Lung Cancer Screening by Low-Dose Computed Tomography: Part 2–Key Elements for Programmatic Implementation of Lung Cancer Screening
Klemenc-Ketis et al. Transition from a traditional to a comprehensive quality assurance system in Slovenian family medicine practices
US961961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grating and sharing patient-related information via an authenticate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riedberg et al. Type and screen completion for scheduled surgical procedures: a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Q-Probes study of 8941 type and screen tests in 108 institutions
Chima et al. Adoption, acceptance, and use of a decision support tool to promote timely investigations for cancer in primary care
Shulman et al. Assessing blood administering practices
Collier et al. Monitoring safety in a phase III real‐world effectiveness trial: use of novel methodology in the Salford Lung Study
Arumuganathan et al. Analysis of Telestroke usage in rural critical access emergency departments
US20190341140A1 (en) Enterprise mobile, cloud based health care compliance system
Giess et al. Impact of an Information Technology–Enabled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on Timeliness of Patient Contact and Scheduling of Screening Mammography Re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7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EX Re-examin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9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