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515B1 - 태권도화 - Google Patents

태권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515B1
KR100509515B1 KR10-2003-0042979A KR20030042979A KR100509515B1 KR 100509515 B1 KR100509515 B1 KR 100509515B1 KR 20030042979 A KR20030042979 A KR 20030042979A KR 100509515 B1 KR100509515 B1 KR 10050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taekwondo
sole
elastic member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0859A (ko
Inventor
황영순
우영화
조영찬
김윤숙
양기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스산업
Priority to KR10-2003-004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5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43B13/226Profiled soles the profile being made in the foot 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봉 발명은 태권도화에 관한 것으로, 발을 감싸게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격자형 통공(101)이 형성되고,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박음질부(103)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절개부(102)가 형성된 외피(100)와; 발바닥 부위에 상기 외피(100)와 박음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격자형 통공이 형성된 내피(110)와; 상기 외피(100)의 절개부(102)와 절개부(102)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탄력적으로 수축/팽창되는 탄력부재(120)와; 상기 외피(100)의 하면 전면부에서 내피(110)의 중앙부측으로 형성된 전면밑창(130)과; 상기 외피(100)의 하면 후면부에서 내피(110)의 중앙부측으로 형성된 후면밑창(140)과; 상기 내피(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창(150); 그리고, 상기 외피(100)의 절개부(102) 하단부측에 일측이 박음질 결합되는 제1박음질부(200)가 형성되며, 상기 탄력부재(120)의 하면에 형성된 발등보호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권도화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발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며 통기성이 양호하고, 장기간 신더라도 갑피 자체는 늘어나지 않으며, 가볍고,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태권도화{shoe for tae-kwondo}
본 발명은 태권도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갑피가 일체로 형성되고, 밑창이 전후부로 따로이 형성됨과 동시에 신발이 무단으로 늘어남이 방지됨과 동시에 가볍고 지면접지력이 양호한 태권도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화는 태권도를 할 때 신는 신발로 현재 사용되어지는 태권도화는 샌드백 등을 타격하는 태권도 연습에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상대방과의 대련등을 하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부상 등을 우려하여 실제로 사용되어 지지 않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태권도화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0-2343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1 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3)과 중창(2), 외피(1)을 유기적으로 봉착시킨 통상의 것에 있어서, 밑창(3)의 저면부에 완충돌기(3')를 형성하고 외피(1)의 절곡이 가장 심한 양측부위에 보강피(1')를 봉착시켜서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계속적으로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에 갑피가 늘어남에 의해 착용감이 떨어짐과 동시에 통풍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201703호에 태권도화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와 깔창, 바닥창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태권도화에 있어서, 외피(1)의 앞부위와 좌우 양측면 부위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에 망사지(5)를 부착하여 열방사부를 조성하며, 깔창(2)과 바닥창(4) 사이에는 쿠션재(3)를 삽치하며, 바닥창(4)의 바닥 앞부위와 뒷굼치 부위에 고무판재(6)(6')를 일체로 재봉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후술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기 바닥창은 갑피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연장하여 박음질되어 형성됨에 의해 태권도화가 발에 밀착되지 못하게 되며, 특히 발바닥의 중앙굴곡부는 태권도화와 더욱더 밀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태권도화를 장기간 신게 되면 태권도화가 늘어남에 의해 발과의 밀착성이 떨어지게 되어 착용감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셋째, 외피의 특정부위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에 망사지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거침에 의해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또한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바닥 및 발등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며 통기성이 양호한 태권도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장기간 신더라도 갑피 자체는 늘어나지 않음과 동시에 발에 밀착되는 태권도화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볍고,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착용감이 양호한 태권도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을 감싸게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격자형 통공이 형성되고,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박음질부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외피와; 발바닥 부위에 상기 외피와 박음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격자형 통공이 형성된 내피와; 상기 외피의 절개부와 절개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탄력적으로 수축/팽창되는 탄력부재와; 상기 외피의 하면 전면부에서 내피의 중앙부측으로 형성된 전면밑창과; 상기 외피의 하면 후면부에서 내피의 중앙부측으로 형성된 후면밑창과; 상기 내피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창; 그리고, 상기 외피의 절개부 하단부측에 일측이 박음질 결합되는 제1박음질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력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발등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태권도화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면 밑창은 발포고무로 형성되거나 천연피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면 밑창과 내피사이에는 쿠숀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외피에 형성된 절개부는 상기 외피의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되고, 전,후면 밑창의 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의 후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등보호부재의 상면에는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탄력부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부가 탄력부재와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제2박음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발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며 통기성이 양호하고, 장기간 신더라도 갑피 자체는 늘어나지 않으며, 가볍고,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화의 사시도이고, 도5는 밑창부분을 나타낸도이고, 도6은 태권도화의 요부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화는 크게 외피(100)와, 내피(110)와, 탄력부재(120)와, 전면밑창(130)과, 후면밑창(140)과, 안창(150) 그리고 발등보호부재160)로 구성된다.
먼저 외피(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외피(100)는 태권도화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피혁으로 형성되고, 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격자형 통공(101)이 형성되어 격자형 통공(101)을 통하여 외피(100)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된다. 그리고 상기 외피(100)의 발등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편향되게 절개부(102)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02)에는 후술하는 탄력부재(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피(100)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박음질부(103)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피혁인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해 늘어나는 바, 상기 박음질부(103)의 형성에 의해 상기 외피(100)가 무단으로 늘어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외피(100)의 후단부 상부면에는 외피(100)에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고,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공(171)이 구비된 손잡이부(17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태권도화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70)를 잡고 태권도화를 착용함에 의해 태권도화의 착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내피(110)는 발바닥 부위에 상기 외피(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대략중앙부가 상호간에 박음질됨에 의해 외피(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피(110)에는 상하 관통된 격자형통공이 형성되어 내피(110)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된다.
상기 탄력부재(120)는 PU 계열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100)의 절개부(102) 하측에 상기 절개부(102)를 따라 상기 외피(100)에 박음질됨에 의해 외피(1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력부재(120)는 탄력적으로 수축/팽창됨에 의해 태권도화를 칙용하는 경우 태권도화가 발에 꼭 밀착되게 한다.
따라서 태권도화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외피(100)에 형성된 박음질부(103)에 의해 상기 외피(100)는 무단으로 늘어나지 않게 되며, 탄력부재(120)가 탄력적으로 수축/팽창됨에 의해 태권도화가 사용자의 발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 내피(110)의 하부면에는 밑창이 형성되는 바, 상기 밑창은 천연피혁 또는 발포고무로 구성된다.
상기 밑창이 천연피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밑창과 내피사이에는 따로이 쿠숀재(180)를 형성시킴에 의해 발바닥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일부 완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밑창이 발포고무로 형성되는 경우, 발포고무의 특성상 일정부분의 탄력성을 가지게 되므로 밑창과 내피(110)사이에 따로이 쿠숀재(180)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상기 쿠숀재(180)는 EVA 계열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밑창은 전면부에 형성된 전면밑창(130)과 후면부에 형성된 후면밑창(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밑창(130)은 상기 내피(110)의 하부면 전면부측으로 부터 내피(110)의 중앙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밑창(140)은 상기 내피(110)의 하부면 후면부로부터 내피(110)의 중앙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밑창(130)의 후단부와 상기 후면밑창(140)의 전단부는 상호간에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나, 상호간에 접촉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밑창의 전체적 모양은 상기 내피(110)의 하부면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전체에 형성되는 형태가 되나, 중앙부측은 밑창이 형성되지 않는 형태가 되어 태권도화가 지면과 양호하게 접촉되게 됨과 동시에 발과의 밀착력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전후면밑창(130)(140)의 하부면에는 요철형상의 문양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190)가 형성되어 전후면밑창(130)(140)이 지면과 접촉되는 경우에 접지력을 증가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밑창(130) 또는 후면밑창(140)이 천연피혁으로 형성되는 경우 밑창과 내피(110)사이에는 쿠숀재(180)가 형성된다.
상기 발등보호부재(160)는 소정폭과 두께를 가지는 가지는 직물재, 피혁 등으로 형성되며, 크게 몸체부(161)와 결합부(162)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61)는 상기 외피(100)의 절개부(102)측 하단부에 제1박음질부(200)에 의해 결합됨에 의해 상기 탄력부재(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등과 접촉되어 발등을 보호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61)의 상면에는 몸체부(161)와 동일재질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결합부(16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62)는 상기 결합부(162)의 하면이 상기 탄력부재(120)의 상면과 접촉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탄력부재(120)와 박음질되는 제2박음질부(201)에 의해 상기 탄력부재(120)와 결합된다.
즉, 상기 발등보호부재(160)는 몸체부(161)의 하단부측이 상기 외피(100)의 절개부(102) 하단부측에 제1박음질부(200)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부(162)가 상기 탄력부재(120)의 상면을 일부 덮게 형성된 상태에서 제2박음질부(201)에 의해 탄력부재(120)에 결합됨에 의해 탄력부재(120)가 탄력적으로 수축/팽창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좌우유동없이 발등의 상면에 정위치됨에 의해 발등을 안전하게 보호시킨다.
상기 안창(150)은 EVA 계열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내피(1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안창(150)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태권도화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 발의 전면부를 외피(100)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170)를 잡고 발의 뒤꿈치부를 외피(100)내부로 삽입시키면 된다.
상기의 상태가 되면 태권도화는 착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외피(100)에 형성된 박음질부(103)에 의해 외피(100)는 거의 늘어나지 않지만 상기 탄력부재(120)의 수축/팽창에 의해 태권도화가 사용자의 발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발등보호부재(160)는 사용자의 발등상면에 접촉됨에 의해 사용자의 발등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면 밑창(130)(140)이 상기 내피(110)의 하면 중앙부는 형성되지 않음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 중앙부 양측면에 상기 내피(110)가 밀착되게 되어 행동이 자유로움과 동시에 태권도화 자체의 무게도 가벼워지게 된다.
상기 밑창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190)는 밑창이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 적당한 접촉력을 제공함에 의해 지면과의 접지력이 우수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내외피(100)(110)의 격자형통공(101)을 통하여 태권도화 내부로 공기가 유동됨에 의해 발에 땀이 차지 않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발바닥 및 발등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며 통기성이 양호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기간 신더라도 갑피 자체는 늘어나지 않음과 동시에 발에 밀착되는 효과가 또한 있다.
또한, 가볍고,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며 착용감이 양호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태권도용 신발의 측면도.
도2 - 도1의 요부종단면도.
도3 - 종래기술에 따른 태권도화의 사시도.
도4 -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화의 사시도.
도5 - 밑창부분을 나타낸도.
도6 - 요부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외피 101 : 격자형통공
102 : 절개부 103 : 박음질부
110 : 내피 120 : 탄력부재
130 : 전면밑창 140 : 후면밑창
150 : 안창 160 : 발등보호부재
161 : 몸체부 162 : 결합부
170 : 손잡이부 171 : 손가락공
180 : 쿠숀재 190 : 미끄럼방지부
200 : 제1박음질부 201 : 제2박음질부

Claims (8)

  1. 발을 감싸게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격자형 통공이 형성되고,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박음질부가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절개부가 형성된 외피와;
    발바닥 부위에 상기 외피와 박음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격자형 통공이 형성된 내피와;
    상기 외피의 절개부와 절개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탄력적으로 수축/팽창되는 탄력부재와;
    상기 외피의 하면 전면부에서 내피의 중앙부측으로 형성된 전면밑창과;
    상기 외피의 하면 후면부에서 내피의 중앙부측으로 형성된 후면밑창과;
    상기 내피의 상부에 결합되는 안창; 그리고,
    상기 외피의 절개부 하단부측에 일측이 박음질 결합되는 제1박음질부가 형성되어, 상기 탄력부재의 하면에 형성된 발등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밑창은 발포고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밑창은 천연피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화.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밑창과 내피사이에는 쿠숀재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에 형성된 절개부는 상기 외피의 중앙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화.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밑창의 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시키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후면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화.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보호부재의 상면에는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탄력부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결합부가 탄력부재와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제2박음질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화.
KR10-2003-0042979A 2003-06-28 2003-06-28 태권도화 KR10050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979A KR100509515B1 (ko) 2003-06-28 2003-06-28 태권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979A KR100509515B1 (ko) 2003-06-28 2003-06-28 태권도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859A KR20030060859A (ko) 2003-07-16
KR100509515B1 true KR100509515B1 (ko) 2005-08-22

Family

ID=3222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979A KR100509515B1 (ko) 2003-06-28 2003-06-28 태권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2813A1 (en) * 2004-06-22 2005-12-29 Jae Myong Lee Shoe for taekwond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859A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043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upper support assembly
CN201256656Y (zh) 用于接触运动的鞋类物品
US8099880B2 (en) Athletic shoe with cushion structures
CA2523884C (en) Footwear construction
ES2250819T3 (es) Estructura de calzado.
US8732982B2 (en) Footwear
US7730640B2 (en) High performance boot
US856709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etachable upper and lower designs
US8707583B2 (en) Air cushioning outsole window
CN105231582A (zh) 具有并入板和室的鞋底结构的鞋类物品
JP2011520568A (ja) 滑り止め具が設けられたシューズのカバー
JP2006528519A5 (ko)
US20180055139A1 (en) Ballet shoe
US20100242305A1 (en) Therapeutic cushioned sole
KR20190017668A (ko) 신발
JP2012501717A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KR20190003004U (ko) 신발 바닥 구조
US20170251762A1 (en) Footwear Upper With Ribbed Panels
KR100872313B1 (ko) 신발용 중창 및 허리쇠
KR101126601B1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100509515B1 (ko) 태권도화
KR20090006030U (ko) 신발인솔
WO2006031003A1 (en) Shoe structure for absorbing impact with light weight
JP2010184098A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KR200203793Y1 (ko) 신발 깔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