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202B1 -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 - Google Patents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202B1
KR100509202B1 KR10-2003-0046093A KR20030046093A KR100509202B1 KR 100509202 B1 KR100509202 B1 KR 100509202B1 KR 20030046093 A KR20030046093 A KR 20030046093A KR 100509202 B1 KR100509202 B1 KR 10050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contactor
glove box
connecto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386A (ko
Inventor
이재열
하일성
이선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4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2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H05K5/0095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hermetically-sea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turn-bolt or screw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최적의 실험조건을 갖도록 형성된 글로브 박스 내부의 환경이 커넥터의 연결로 인해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한 재질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글로브 박스(glove box)와, 상기 글로브 박스에 존재하는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와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를 제어하는 제어대상장비를 연결하는 콘텍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입출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I/O 입출력 커넥터,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커넥터,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로 서로 다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가 상호 매칭되도록 상,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텍터 연결용 PCB; 상기 글로브 박스에 형성된 홀; 및 상기 커넥터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의 상부, 하부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제2 부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부착부재는, 상기 글로브 박스 상부 및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 하부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2 부착부재는,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 상부에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CONTACTOR LINKING APPARATUS AND PCB FOR LINKING CONTACTOR}
본 발명은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의 실험조건을 갖도록 형성된 글로브 박스 내부의 환경이 커넥터의 연결로 인해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콘텍터 연결용 PCB의 상하부면에 복수의 I/O입출력 , 영상 및 전원 커넥터를 구비시켜 사용자가 피제어대상장비(특정 실험 대기상태에 있는 장비) 및 제어대상장비(대기상태에 있는 장비)를 원하는 형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Feed-through 및 기타 제작된 연결 콘텍터 등을 사용하여 특정대기상태에 있는 피제어대상장비와 대기상태에 있는 제어대상장비를 연결시켰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Feed-through 및 기타 제작된 연결 콘텍터 등을 사용하여 피제어대상장비와 제어대상장비를 연결하는 경우 Feed-through의 격벽역활의 특성상 Dimension이 큰 반면에 할당된 핀의 개수는 4-10개로 제한되어 있어 많은 I/O가 필요한 경우 글로브 박스의 격벽에 다수의 Feed-through 홀을 가공해야 하므로 글로브 박스의 실험환경이 변경되어 본래의 실험목적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Feed-through용 규격 콘텍터의 희소성으로 납땜 등을 통하여 연결하는 경우 단선 및 단락이 발생되어 재정비를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재결합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Feed-through용 규격 콘텍터의 판매가격이 매우 비싸므로, 장비 제작시 제작비용이 비싸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Feed-through용 규격 콘텍터의 경우 제품의 특성상 영상신호 및 정격 전류, 전압용 케이블을 연결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적의 실험조건을 갖도록 형성된 글로브 박스 내부의 환경이 커넥터의 연결로 인해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텍터 연결용 PCB의 상하부면에 복수의 I/O입출력 , 영상 및 전원 커넥터를 구비시켜 사용자가 피제어대상장비 및 제어대상장비의 배선연결을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명한 재질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글로브 박스(glove box)와, 상기 글로브 박스에 존재하는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와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를 제어하는 제어대상장비를 연결하는 콘텍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입출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I/O 입출력 커넥터,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커넥터,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로 서로 다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가 상호 매칭되도록 상,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텍터 연결용 PCB; 상기 글로브 박스에 형성된 홀; 및 상기 커넥터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의 상부, 하부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제2 부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부착부재는, 상기 글로브 박스 상부 및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 하부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2 부착부재는,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 상부에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글로브 박스, 상기 제1, 제2 부착부재 및 콘텍터 연결용 PCB상에는, 볼트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콘텍터 연결장치는, 상기 글로브 박스의 벽에 상기 제1 부착부재를 밀착시키기 위한 제 1 밀착부재와, 상기 제2 부착부재에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를 밀착시키기 위한 제 2 밀착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하부면에 회로패턴이 각각 디자인되어, 복수의 피제어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입출력 데이터를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I/O 입출력 커넥터, 상기 피제어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커넥터, 상기 피제어대상장비로 서로 다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가 상호 매칭되도록 상,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연결용 PCB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텍터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텍터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콘텍터 연결용 PCB의 구조도이다.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글로브 박스(glove box, 10)와, 상기 글로브 박스(10)에 존재하는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와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를 제어하는 제어대상장비를 연결하는 콘텍터 연결용 PCB(40)와, 상기 글로브 박스(10)에 형성된 홀(70)과, 상기 커넥터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40)의 상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40)의 소정 면에 설치된 커넥터가 상기 홀(70)을 통해 글로브 박스(10) 내부에 위치되도록 글로브 박스(10)의 벽에 고정, 설치되어 격벽을 이루는 제1, 제2 부착부재(20)(30)와, 상기 글로브 박스(10)의 벽에 상기 제1 부착부재(20)를 밀착시키기 위한 제 1 밀착부재(81)와, 상기 제2 부착부재(30)에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40)를 밀착시키기 위한 제 2 밀착부재(8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40)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입출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I/O 입출력 커넥터(41)와,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커넥터(42)와,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로 서로 다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43)가 상호 매칭되도록 상,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글로브 박스(10), 상기 제1, 제2 부착부재(20)(30) 및 콘텍터 연결용 PCB(40)상에는, 볼트(60)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글로브 박스(10)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61)은 도면상에 미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콘텍터 연결장치는, 먼저 투명한 재질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글로브 박스(glove box, 10)의 홀(70)에 제1 밀착부재(81)인 오링이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오링 상부에 제 1 부착부재(20)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 1 부착부재(20)는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커넥터들이 글로브 박스(10) 내부로 노출되면서 오링(81)에 의해 상기 글로브 박스(10)에 밀착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40) 상부에는 제 2 밀착부재(80)인 오링이 결합되고, 상기 오링(80) 상부에 상기 제 2 부착부재(30)가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40)의 타측면에 형성된 커넥터가 글로브 박스(10)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 2 부착부재(30)는 상기 오링(80)에 의해 콘텍터 연결용 PCB(40)에 밀착,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볼트(60)가 상기 글로브 박스(10)와 상기 제1, 제2 부착부재(20)(30)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61)을 통해 상기 글로브 박스(10)와 콘텍터 연결용 PCB(40)를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볼트(60)의 끝단에 나사를 결합시켜 조여줌으로써 완전히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최적의 실험조건을 갖도록 형성된 글로브 박스 내부의 환경이 커넥터의 연결로 인해 변경되지 않도록 하여, 최적의 실험조건에서 피제어대상장비를 실험해 볼 수 있어, 피제어대상장비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텍터 연결용 PCB의 상하부면에 복수의 I/O입출력, 영상 및 전원 커넥터를 구비시켜 사용자가 피제어대상장비 및 제어대상장비의 배선연결을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제어대상장치와 제어대상장치 상호간에 I/O 및 영상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피제어대상장치로 원하는 전력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면 PCB 패턴의 특성을 이용하여 방향성을 제한받지 않고 PCB 양면에 커넥터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험조건(특성 대기 분위기)에서 구동할 제어대상장비의 I/O 수 및 전력선 수를 파악하여 패턴을 미리 설계해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텍터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텍터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콘텍터 연결용 PCB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글로브 박스 20 : 제1 부착부재
30 : 제2 부착부재 40 : 콘텍터 연결용 PCB
60 : 볼트 61 : 볼트 체결공
70 : 홀 80, 81 : 제1, 제2 밀착부재

Claims (4)

  1. 투명한 재질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글로브 박스(glove box)와, 상기 글로브 박스에 존재하는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와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를 제어하는 제어대상장비를 연결하는 콘텍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입출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I/O 입출력 커넥터,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커넥터, 상기 복수의 실험대상장비로 서로 다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가 상호 매칭되도록 상,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텍터 연결용 PCB;
    상기 글로브 박스에 형성된 홀; 및
    상기 커넥터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의 상부, 하부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제2 부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부착부재는, 상기 글로브 박스 상부 및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 하부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제2 부착부재는,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 상부에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 박스, 상기 제1, 제2 부착부재 및 콘텍터 연결용 PCB에,
    볼트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텍터 연결장치는,
    상기 글로브 박스의 벽에 상기 제1 부착부재를 밀착시키기 위한 제 1 밀착부재와,
    상기 제2 부착부재에 상기 콘텍터 연결용 PCB를 밀착시키기 위한 제 2 밀착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연결장치.
  4. 상하부면에 회로패턴이 각각 디자인되어, 복수의 피제어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입출력 데이터를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I/O 입출력 커넥터, 상기 피제어대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대상장비에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커넥터, 상기 피제어대상장비로 서로 다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커넥터가 상호 매칭되도록 상,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터 연결용 PCB.
KR10-2003-0046093A 2003-07-08 2003-07-08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 KR100509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093A KR100509202B1 (ko) 2003-07-08 2003-07-08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093A KR100509202B1 (ko) 2003-07-08 2003-07-08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386A KR20050006386A (ko) 2005-01-17
KR100509202B1 true KR100509202B1 (ko) 2005-08-18

Family

ID=3722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093A KR100509202B1 (ko) 2003-07-08 2003-07-08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386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665B1 (ko) 데이터버스용입출력장치
US5641313A (en) I/O module for a databus
WO1994014213A3 (en) Multiple layer microwave integrated circuit module connector assembly
US6482042B1 (en) Techniques for accessing a circuit board utilizing an improved adaptor
WO2002075330A3 (en) Universal test interface between a device under test and a test head
US5199887A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US6957974B2 (en) System for providing data and power signals to networked devices
GB2139017A (en) A modular interconnector
KR101296233B1 (ko) 멀티 입출력 제어장치
KR100509202B1 (ko) 콘텍터 연결장치 및 콘텍터 연결용 pcb
US4542372A (en) Data distribution apparatus
JP2751469B2 (ja) プリント板装置
US20020153921A1 (en) Test device for tes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unit
JPH026195B2 (ko)
JP2000035838A (ja) パワ―分配用バスとその製造方法
US5921817A (en) Multipin plug connector adapter
KR101885462B1 (ko) 회로 시험용 전자키트
CN216751863U (zh) 图像信号发生器
US10680365B1 (en) Plug board module with circuit board
CN217404335U (zh) Ate测试装置及ate测试设备
KR0137934Y1 (ko) 패키지 검사용 소켓
KR200360119Y1 (ko) 전기접속단자를 갖는 전원 케이블
JP3065007B2 (ja) 半導体装置用バイアス試験炉
JP2003308899A (ja) プリント基板用端子装置
JP2567939Y2 (ja) 電子機器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