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135B1 - 모터시동및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시동및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135B1
KR100508135B1 KR10-1998-0027569A KR19980027569A KR100508135B1 KR 100508135 B1 KR100508135 B1 KR 100508135B1 KR 19980027569 A KR19980027569 A KR 19980027569A KR 100508135 B1 KR100508135 B1 KR 100508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heater
switch
motor
temperature
regul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714A (ko
Inventor
가네조 구도
Original Assignee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1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02Structural combination of a time delay electrothermal relay with an electrothermal protective relay, e.g. a start re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모터 시동 장치(1)는 제1 스위치 회로(11)의 온도 조절 소자(14), 제1 스위치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제1 저항 히터(13), 제2 스위치 회로(21)의 온도 조절 소자(22) 및 제2 스위치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제2 저항 히터(23)를 구비한다.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22)는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 모두에 의해 가열되며, 작동 후 제1 저항 히터(13)에 근접하여 제2 스위치 회로(23)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제2 스위치 회로(21) 및 제2 저항 히터(23)가 모터 시동 장치에 사용된 경우, 시동 페이즈 동안 시동 권선에 큰 전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시동 페이즈 후에는 시동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제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모터 시동 및 보호 장치{MOTOR STARTING AND PRO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터를 시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온도 조절 소자를 사용한 모터 시동 릴레이(relay) 및 보호 장치(protector)에 관한 것이다.
모터를 시동시키며 과전류 상태에 대항하여 모터를 보호하기 위해 도 6a 및 도 6b에 도면 부호 101로 지정된 바와 같은 스위치 장치가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스위치 장치(101)는 보호 장치(108) 및 시동을 위한 저항 소자(109)를 포함하는데, 보호 장치(108)의 일단은 전력 라인(L1)에 접속되며 타단은 모터(110)의 공통 단자(C)에 접속된다. 저항 소자(109)의 일단은 모터(110)의 시동 권선 단자(S)에 접속되며 타단은 접지 라인(L2)에 접속된다. 모터(110) 내측에는 주(主)권선 및 시동 권선(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는데, 주권선의 단부들은 각각 공통 단자(C)와 주권선 단자(M)에 접속되고, 시동 권선의 단부들은 각각 공통 단자(C)와 시동 권선 단자(S)에 접속된다.
보호 장치(108)의 내측에는 스위치 회로(111)와 저항 히터(113)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스위치 회로(111)는 모터(110)를 시동하기 전에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에 있다. 따라서, 공통 단자(C)는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치 회로(111)를 통해 전력 라인(L2)에 접속된다. 주권선 단자(M)는 접지 라인(L2)에 직접 접속되어 있고, 모터(110)가 시동될 시기에 전력 라인(L1)과 접지 라인(L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고, 그 결과 공통 단자(C), 주권선 단자(M) 및 시동 권선 단자(S) 사이에 전압이 인가된다. 저항 소자(109)는 PTC(저항율의 양의 온도 계수) 소자로, 상온 또는 실온에서는 저항이 낮으며 비정상적인 온도 이상에서는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항도 증가된다. 저항 소자는 시동시에 저항이 낮기 때문에, 공통 단자(C), 주권선 단자(M) 및 시동 권선 단자(S)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큰 전류가 시동 권선으로 흘러, 시동 페이즈(phase)를 보조하게 된다. 큰 전류가 시동 권선으로 흐르면, 모터(110)가 회전하기 시작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시동 권선으로 흐르는 전류는 불필요하게 된다. 시동 페이즈 동안, 저항 소자(109)는 시동 권선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가열되어 저항값이 커진다. 그 결과, 시동 권선으로 흐르는 전류는 낮은 레벨로 점차적으로 감소되지만, 제로(zero)가 되지는 않는다. 스위치(101)는 주권선과 시동 권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용의 제1 스위치 회로(111)에 마련된 스위치 아암(112), 접점(115) 및 저항 히터(113)를 구비한다. 보호 장치(108) 내에는 바이메탈 소자(114)가 저항 히터(113)에 근접하게 마련되므로, 저항 히터(113)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이 바이메탈 소자(114)를 가열하여 바이메탈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러나, 저항 히터(113)의 저항값이 낮은 만큼, 모터(110)가 시동되거나 구동될 때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량이 작으며, 바이메탈 소자(114)의 온도 증가도 작다.
고장 등으로 인해 모터(110)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저항 히터(113)에 의해 다량의 열이 발생되어, 바이메탈 소자(114)가 고온으로 가열된다. 바이메탈 소자(114)의 형상에 관하여서는, 아암(112)쪽 측면은 정상 온도에서는 아암(112)을 향해 오목하지만, 저항 히터(113)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작동 온도로, 예를 들면, 145℃로 가열될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12)을 향해 볼록한 반대 형상으로 스냅(snap)되어, 아암(112)을 들어올려 접점(115)이 개방 상태가 된다. 접점(115)이 개방 상태가 되면, 모터(110)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
종래 기술의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110)의 시동은 PTC 소자(109)에 의해 수행되며, 과전류에 대항하는 보호는 보호 장치(108)에 의해 수행된다. 모터(110)는 소정량의 전류에 대해 보호되며, 상기 전류량은 PTC 소자의 기본 저항값, 시동 특성, 저항 히터(113)의 저항값, 또는 바이메탈 소자(114)의 형상이나 작동 온도를 변경시킴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시동 권선으로 흐르는 전류는 상기 스위치(101)의 저항 소자(109)의 저항을 변경시킴으로써 제어되기 때문에, 시동 시기에 저항 소자(109)의 저항값이 충분히 작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저항 소자의 체적을 증가시켜야만 하므로, 시동 전류가 저항 소자(109)에 의해 제한되어 모터(110)의 시동 특성도 저하된다. 또한, 모터(110)의 작동 중에는 저항 소자(109)의 저항이 높아진다. 그러나, 모터(110)의 작동 중에도 약간의 전류는 저항 소자(109)를 통해 시동 권선으로 계속 흐르기 때문에, 모터(110)의 작동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 개수가 적어 설치 비용을 절감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작동 효율이 높은 동시에, 큰 전류를 시동 권선에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장치는, 접점과 온도 조절 소자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온도 조절 소자는 작동 온도로 가열되면 변형되거나 작동되어 상기 접점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2 스위치 회로와; 전류가 흐르면 열을 발생시키는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를 포함하며, 제1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 제1 저항 히터,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 및 제2 저항 히터는, 제1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가 제1 저항 히터의 한쪽에 배치되어 이 제1 저항 히터에 의해 가열되며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가 제1 저항 히터와 제2 저항 히터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모두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 스위치 회로는 제1 저항 히터와 직렬로 접속되며 제2 스위치 회로는 제2 저항 히터와 직렬로 접속되어 4-단자 구조를 형성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가 작동되면 접점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변경되어, 온도 조절 소자가 제1 저항 히터에 근접하게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점 및 온도 조절 소자를 구비한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2 스위치 회로와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가 마련되는데,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는 작동 온도로 가열되면 작동되어, 각각의 스위치 회로의 접점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되게 하며,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는 전류가 통과할 때 열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는 제1 저항 히터에 의해 가열되지만,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는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량이 감소된 경우에도,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의 온도가 작동 온도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가 작동되어 접점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되면 온도 조절 소자가 제1 저항 히터와 밀접한 전열 관계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제1 저항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은 작동 후 증가된다. 따라서, 제2 저항 히터의 열 발생이 중지되더라도,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는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스위치 장치에 관하여 말하자면, 제1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가 작동 온도로 가열되면 작동되며 이 작동 상태가 제1 저항 히터의 열 발생이 중지된 경우에도 유지되도록 스위치 장치가 배치된다면, 제1 스위치 회로는 과전류 상태에 대항하는 보호 회로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가 작동 온도로 가열되어 작동된 경우에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의 열 발생 중단시 원래 형상으로 복구되도록 스위치 장치가 배치되면, 제2 스위치 회로는 모터 시동 이전에는 전기 전도성이지만, 모터의 작동 중에는 차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스위치 회로는 모터의 시동 회로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상세히 이해되며 파악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치 장치(1)는 모터를 시동시키며 과전류 상태에 대항하여 모터를 보호하도록 작용한다. 스위치 장치(1)의 케이싱(5)은 수지와 같은 전기 절연재로 제조된 것으로, 이것의 내부에는 스위치 챔버(8a) 내에 보호 장치(8)가, 스위치 챔버(9a) 내에 시동 장치(9)가 수용되어 있다. 모터(10)는 공통 단자(C), 시동 권선 단자(S) 및 주권선 단자(M)를 구비하는데, 공통 단자(C)는 보호 회로(11)를 통해 동력 라인(L1)에 접속된다. 시동 권선 단자(S)는 시동 장치(9)를 통해 접지 라인(L2)에 접속되며, 주권선 단자(M)는 접지 라인(L2)에 직접 접속된다. 보호 장치(8)는 직렬로 접속된 제1 스위치 회로(11)와 제1 저항 히터(13)를 구비한다. 제1 스위치 회로(11)의 타단은 케이싱(5)에 견고하게 장착된 단자(31)(도 1a 및 도 1b)를 통해 전력 라인(L1)에 접속되며, 제1 저항 히터(13)의 타단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단자를 통하여 공통 단자(C)에 접속된다. 시동 장치(9)는 직렬로 접속된 제2 스위치 회로(21)와 제2 저항 히터(23)를 구비한다. 제2 스위치 회로(21)의 타단은 케이싱(5)에 장착된 단자(32)를 통해 접지 라인(L2)에 접속되며, 제2 저항 히터(23)의 타단은 도 1a 및 도 1b에는 도시되지 않은 단자를 통해 시동 권선 단자(S)에 접속된다. 제1 스위치 회로(11)는 아암(12) 및 스냅 작동식 바이메탈(14)과 같은 온도 조절 소자를 구비하는데, 아암(12)과 바이메탈 소자(14)는 서로 대략 평행한 관계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아암(12)의 일단에는 전기 접점(15)이 제공되며, 바이메탈 소자(14)는 상온 또는 실온에서는 아암(12)을 향해 오목한 접시 형상을 갖고, 이 때에 접점(15)은 폐쇄 상태이다. 바이메탈 소자(14)가 가열되어 온도가 소정 작동 온도, 예를 들면 145℃에 도달하면, 바이메탈 소자는 아암(12)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정반대의 접시 형상으로 스냅된다. 이러한 변형 또는 스냅핑(snapping)에 관해서 설명하면, 볼록하게 형성된 바이메탈 소자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 전달 소자(12a)를 통해 아암(12)을 상방으로 편향시켜, 접점(15)이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제2 스위치 회로(21)는 스냅 작동식 바이메탈 소자와 같은 온도 조절 소자를 갖춘 외팔보 아암(22) 및 이 아암(22)의 자유단에 마련된 접점(25)을 구비한다. 아암(22)은 접점(25)이 상온에서는 폐쇄 상태이지만 소정 작동 온도, 예를 들면 90℃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 변형되어 접점(25)이 개방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온도 조절 아암 소자(22)는 접점(25)이 폐쇄 상태일 때 제1 히터(13)를 향해 볼록한 형상(도시하지 않음)이며, 접점(15)이 개방 상태로 되어 소자(22)의 자유단이 히터(13)와 근접하게 이동하여 열 결합될 때에는 제1 히터(13)를 향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모터(10)는 회전자를 시동시키는 시동 권선 및 동력을 발생시키는 주권선을 포함한다(시동 권선과 주권선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시동 권선의 단부들은 각각 공통 단자(C) 및 시동 권선 단자(S)에 접속되며, 주권선의 단부들은 각각 공통 단자(C)와 주권선 단자(M)에 접속된다. 바이메탈 소자(14)와 아암(22)이 모터(10)의 시동 이전에 상온으로 있으면,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2 스위치 회로(1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에 있다, 모터(10)의 시동을 위해 전력 라인(L1) 및 접지 라인(L2)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시동 권선 및 주권선을 가로질러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정지 상태에서는 주권선 및 시동 권선의 저항이 적으므로, 주권선으로 약 5 암페어의 전류가 흐르며, 시동 권선으로도 약 5 암페어의 전류가 흐른다. 전류가 보호 장치(8) 및 시동 장치(9)의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13,23)를 통해 흐름에 따라, 모터 시동 시기에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13,23)가 가열된다. 제2 스위치 회로(21)의 아암(22)은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13,23) 사이에서 이들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13,23)의 가열시, 아암(22)은 이들 저항 히터(13,23) 모두에 의해 가열된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의 곡선(22')은 아암(22)의 온도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아암(22)이 변형되지 않고 접점(25)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아암(22)은 제1 저항 히터(13)보다는 제2 저항 히터(23)에 근접한다. 도 5의 곡선(13')은 아암(22)이 제1 저항 히터(13)로부터 받는 열량을 나타내며, 곡선(23')은 아암(22)이 제2 저항 히터(23)로부터 받는 열량을 나타낸다. 곡선(13',2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22)은 양 저항 히터(13,23)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된다. 아암(22)은 시간(t)에 온도가 90℃에 도달하는 지점에서 변형되어, 접점(25)은 시동 권선 뿐만 아니라 제2 저항 히터(23)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개방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저항 히터(23)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은 히터가 냉각됨에 따라 감소된다. 접점(25)이 개방 상태일 때 모터(10)의 회전자는 시동 페이즈 말기에 있는데, 시간(t)이 지난 후에도 주권선으로 흐르는 전류는 안정되며 제1 저항 히터(13)도 안정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공급되는 열량도 안정된다. 그러나, 변형시, 아암(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저항 히터(23)로부터 먼쪽으로 이동하여, 제1 저항 히터(13)에 대해 보다 밀접한 전열 관계가 되도록 이동하므로, 제1 저항 히터(23)로부터 받는 열량이 증가된다. 시간(t)이 지난 후 제2 저항 히터(23)로부터의 열 공급이 더 이상 없는 경우에도, 아암(22)의 온도는 약간만 떨어진다. 9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변형된 아암(22)의 온도가 소정의 리셋(reset) 온도, 예를 들면 70℃ 미만의 온도로 떨어지면, 아암은 원래 형상으로 복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1)에 따르면, 아암(22)이 변형될 때, 아암은 제1 저항 히터(1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저항 히터(13)로부터 받는 열량이 증가된다. 따라서, 제2 저항 히터(23)로부터 공급되는 열량(23')이 제로가 될지라도, 온도는 70℃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아암(22)은 변형 후 그리고 모터(10)의 시동 후 작동 중에 작동 상태로 유지되어, 시동 권선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반면에, 아암(22)이 제1 저항 히터(13)에 근접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배치된다면, 제1 저항 히터(13)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에 점선(2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제2 저항 히터(23)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제로가 될 때에는, 아암(22)의 온도가 70℃ 미만으로 떨어져, 원래 형상이 복구된다. 따라서, 접점(25)이 다시 폐쇄 상태가 되어 전류가 다시 시동 권선으로 흐른다.
시동 장치(9)의 작동을 전술하였으며, 이제 보호 장치(8)의 작동이 설명하기로 한다.
보호 장치(8)에 있어서, 제1 스위치 회로(11)의 바이메탈 소자(14)는 제1 저항 히터(13)에 아주 근접하게 배치되어 제1 저항 히터(13)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모터(10)의 시동 및 작동과 관련하여, 바이메탈 소자(14)의 온도는 증가된다. 그러나, 정상 시동 및 작동 동안, 바이메탈 소자(14)의 온도는 145℃의 작동 온도까지는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바이메탈 소자(14)는 변형되지 않아 접점(15)은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모터 고장 등으로 인해 모터(1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1 저항 히터(13)에 의해 다량의 열이 발생되어, 바이메탈 소자(14)가 145℃의 작동 온도로 가열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시 아암(12)은 바이메탈 소자(14)에 의해 편향된 운동 전달 소자(12a)에 의해 위로 밀려, 접점(15)이 개방 상태가 되고 제1 스위치(11)는 모터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는다. 모터(10)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면, 제1 저항 히터(13)로 흐르는 전류가 제로가 되어, 제1 저항 히터(13)의 열 발생이 중지된다[전류는 제2 저항 히터(23)로도 흐르지 않는다]. 열 발생이 더 이상 없으면, 제2 스위치 회로(21)의 아암(22)과 바이메탈 소자(14)의 온도는 감소된다. 아암(22)에 관해 말하자면, 아암은 온도가 70℃보다 낮은 레벨에 도달하는 시기에 원래 형상으로 복구되어 접점(25)은 폐쇄 상태가 된다. 바이메탈 소자는 소정의 리셋 온도로 냉각되면 수동으로도 복구되거나 자동적으로 복구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점은 모터(10)의 작동 완료 후 폐쇄 상태가 되며, 모터(10)는 다시 시동 준비 상태가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모터(10)의 시동 및 과전류 보호가 간단한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용성이 높다. 이와 관련하여 바이메탈 소자(14)와 아암(22)의 작동 온도 및 리셋 온도가 간단한 예로 언급되어 있다. 이들은 다양한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2 스위치 회로는 하나의 하우징 내에 함께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어,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필요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저항 소자(109)가 제2 히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모터의 시동 후 제2 스위치 회로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시동 권선으로 흐르는 전류는 제로가 되며, 이에 따라 모터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제2 스위치 회로의 아암을 가열하는 저항 히터의 저항값을 작게할 수 있으며, 시동 전류는 크게 할 수 있어, 모터의 시동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본명세서에 예시 및 기술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스위치 장치에 의해, 모터의 시동 및 과전류 보호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2 스위치 회로가 하나의 하우징 내에 함께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모터의 시동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스위치 장치의 내측 평면도이고, 도 1b는 장치 내부의 개략적인 입단면도,
도 2는 모터 시동 시기의 스위치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정상적인 모터 작동 시기의 스위치 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모터가 과전류를 받는 시기의 스위치 장치의 회로도,
도 5는 제2 스위치 회로의 소자들의 온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폐쇄 및 개방 상태에 있는 종래 기술의 스위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시동 장치
11 : 제1 스위치 회로
13 : 제1 저항 히터
14 : 온도 조절 소자
21 : 제2 스위치 회로
22 : 온도 조절 소자
23 : 제2 저항 히터

Claims (7)

  1. 접점과 온도 조절 소자를 각각 구비하는 제1 스위치 회로 및 제2 스위치 회로와, 전류가 흐르게 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제1 저항 히터 및 제2 저항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소자는 소정의 작동 온도로 가열되면 변형됨으로써 상기 접점을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모터 시동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 상기 제1 저항 히터, 상기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 및 상기 제2 저항 히터는, 상기 제1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가 상기 제1 저항 히터의 한쪽에 배치되어 이 제1 저항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가 상기 제1 저항 히터와 제2 저항 히터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제1 저항 히터와 제2 저항 히터 모두에 의해 가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동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회로는 4-단자 구조가 되도록 상기 제2 저항 히터와 직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동 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회로의 온도 조절 소자는 접점을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시키는 작동시에 상기 제1 저항 히터에 보다 근접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시동 릴레이.
  4. 제1 스위치 챔버 및 제2 스위치 챔버를 갖춘 공동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제1 스위치 챔버에 배치된 모터 보호 스위치로서, 제1 고정 접점과 접속되거나 단락되게 이동할 수 있는 가동 접촉 아암 및 온도에 따라 볼록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제1 스냅 작동식 온도 조절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스냅 작동식 온도 조절 소자는 온도가 작동 온도로 상승됨으로 인한 형상 변경시 이 제1 스냅 작동식 온도 조절 소자가 상기 가동 접촉 아암을 상기 제 1고정 접점과 단락되게 편향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모터 보호 스위치와,
    상기 제1 온도 조절 소자와 전열 관계로 상기 제1 스위치 챔버 내에 배치된 제1 저항 히터와,
    상기 제2 스위치 챔버에 배치된 모터 시동 스위치로서, 온도에 따라 볼록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전기 전도성의 제2 스냅 작동식 온도 조절 소자를 구비하며, 이 제2 온도 조절 소자는 이 제2 온도 조절 소자의 형상 변경에 응답하여 제2 고정 접점과 전기 접속되거나 단락되게 이동할 수 있는 자유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1 저항 히터와 전열 관계로 배치되는 것인 모터 시동 스위치와,
    상기 제2 온도 조절 소자와 전열 관계로 상기 제2 스위치 챔버 내에 배치된 제2 저항 히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온도 조절 소자는 자유단이 제2 고정 접점과 전기 단락되는 형상으로 형상이 변경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저항 히터에 보다 근접하여 전열성이 향상되는 것인 조합된 모터 시동 릴레이와 모터 보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보호 스위치의 가동 접촉 아암과 상기 제1 스냅 작동식 온도 조절 소자 사이에서 케이싱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냅 작동식 온도 조절 소자로부터 상기 가동 접촉 아암으로 운동을 전달하는 운동 전달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인 조합된 모터 시동 릴레이와 모터 보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보호 스위치의 가동 접촉 아암은 상기 제1 저항 히터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2 스냅 작동식 온도 조절 소자는 상기 제2 저항 히터에 직렬로 접속되는 것인 조합된 모터 시동 릴레이와 모터 보호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항 히터는 PTC 소자인 것인 조합된 모터 시동 릴레이와 모터 보호 장치.
KR10-1998-0027569A 1997-07-10 1998-07-09 모터시동및보호장치 KR100508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0752A JPH1131445A (ja) 1997-07-10 1997-07-10 スイッチ装置
JP97-200752 199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14A KR19990013714A (ko) 1999-02-25
KR100508135B1 true KR100508135B1 (ko) 2005-11-16

Family

ID=1642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569A KR100508135B1 (ko) 1997-07-10 1998-07-09 모터시동및보호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97275A (ko)
EP (1) EP0890967B1 (ko)
JP (1) JPH1131445A (ko)
KR (1) KR100508135B1 (ko)
CN (1) CN1141784C (ko)
DE (1) DE698267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2153A (en) * 1999-03-15 2000-09-19 Eaton Corporation Temperature protection control for a motor starter
FR2806830A1 (fr) * 2000-03-22 2001-09-28 Tecumseh Do Brasil Ltda Thermostat resistif pour la protection des moteurs
JP2002008502A (ja) 2000-06-23 2002-01-11 Texas Instr Japan Ltd 起動スイッチ及びこれを備えた電動機
US7304561B2 (en) 2004-10-12 2007-12-04 Sensata Technologies, Inc. Motor overload protector
KR100673294B1 (ko) 2005-10-20 2007-01-24 자화전자(주) 압축기 모터 과부하보호 장치
CN107196562A (zh) * 2017-07-03 2017-09-22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起动器、三相异步电机及压缩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7123A (en) * 1934-08-22 1938-05-10 Gen Motors Corp Control system
US2158288A (en) * 1936-05-11 1939-05-16 Cutler Hammer Inc Thermally controlled switch
US2451535A (en) * 1943-01-29 1948-10-19 Gen Motors Corp Multiple control
US3023350A (en) * 1959-03-31 1962-02-27 Texas Instruments Inc Electrical switch means
US3243554A (en) * 1964-01-23 1966-03-29 Mechanical Products Inc Combination motor protector and start relay
DE1613606B1 (de) * 1967-04-05 1971-07-29 Danfoss As Thermische Anlassvorrichtung für einen Einphasen-Asynchronmotor
JPS5565659A (en) * 1978-11-04 1980-05-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illar material and making method thereof
US5053908A (en) * 1989-11-29 1991-10-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sc motor start system
JPH04289786A (ja) * 1991-03-15 1992-10-14 Murata Mfg Co Ltd モーター起動回路
JPH06121565A (ja) * 1992-10-02 1994-04-28 Tdk Corp リレ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6776T2 (de) 2005-11-17
CN1141784C (zh) 2004-03-10
CN1205575A (zh) 1999-01-20
US6097275A (en) 2000-08-01
KR19990013714A (ko) 1999-02-25
EP0890967A2 (en) 1999-01-13
EP0890967A3 (en) 1999-06-16
DE69826776D1 (de) 2004-11-11
JPH1131445A (ja) 1999-02-02
EP0890967B1 (en)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2573A (en) Motor starting and protecting apparatus
JP3272493B2 (ja) 単相誘導電動機の起動装置
US6249104B1 (en) Cutout start switch heating
USRE31367E (en) Motor starting and protecting apparatus
US6421216B1 (en) Resetable overcurrent protection arrangement
KR100508135B1 (ko) 모터시동및보호장치
US4517543A (en) SME overcurrent protective apparatus having ambient temperature compensation
AU2377099A (en) Temperature-dependent switch
GB1594334A (en) Thermal protection for electric motors
EP1312289B1 (en)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a liquid heater
EP0875914B1 (en) Motor starting device and protector module with motor starter cut-out switch
US4792877A (en) Electric motor armature current control circuit
KR100709951B1 (ko) 전동 모터 제어 장치
EP0304196B1 (en) Electric motor armature current control circuit
CA1130435A (en) Protector circuit for solenoid operator
JP2000514996A (ja) 回路保護装置
JP3797629B2 (ja) 限流型遮断器
JP3016495B2 (ja) ヘアドライヤー用サーモスイッチ
JP3849387B2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US4823104A (en) Controlled cycling thermal protector
JPH0433095B2 (ko)
KR200344601Y1 (ko) 전열기의 돌입전류 방지용 전기발열체의 구조
JPH05244787A (ja) 単相交流誘導モーターの起動回路
JPS6341731Y2 (ko)
MXPA99000652A (en) Protection circuit configu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