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957B1 -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957B1
KR100507957B1 KR10-2003-0017901A KR20030017901A KR100507957B1 KR 100507957 B1 KR100507957 B1 KR 100507957B1 KR 20030017901 A KR20030017901 A KR 20030017901A KR 100507957 B1 KR100507957 B1 KR 10050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lens
cutting
laser beam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293A (ko
Inventor
유기룡
김춘택
안민영
김미지
Original Assignee
로체 시스템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체 시스템즈(주) filed Critical 로체 시스템즈(주)
Priority to KR10-2003-001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957B1/ko
Priority to TW93107224A priority patent/TWI248920B/zh
Priority to JP2005518770A priority patent/JP4337059B2/ja
Priority to CNB2004800077173A priority patent/CN1325406C/zh
Priority to US10/549,928 priority patent/US7638730B2/en
Priority to PCT/KR2004/000592 priority patent/WO2004083133A2/en
Publication of KR2004008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hydraulic classifiers, e.g. of launder, tank, spiral or helical chute concentrator type
    • B03B5/64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hydraulic classifiers, e.g. of launder, tank, spiral or helical chute concentrator type of the free settling type

Landscapes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판을 레이저빔으로 절단하는 브레이킹 공정에서 렌즈의 에너지분포로 인한 절단면의 불량을 막기 위해 다중초점을 가지는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판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집광렌즈를 사용할 경우, 유리판에 조사되는 빔의 에너지준위는 절단예정선을 중심으로 정규분포곡선을 따르게 되어, 절단예정선에서 최대값을 가지며 그 양외측으로 갈수록 에너지 준위가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절단예정선이 주위의 온도보다 높아져 절단면이 용융되거나 용융점에 가까워져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할 뿐 아니라, 절단선의 직진성이 저하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리판의 절단개시점에 미소한 크랙을 부여하는 크래킹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유리재료에 흡수되는 레이저빔에 의한 스크라이빙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빔조사후의 냉각유체에 의한 냉각수단과, 레이저빔에 의한 브레이킹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레이저발진기와 반사경과 집광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리판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커팅장치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에서 집광렌즈가 렌즈 중심부의 초점거리가 렌즈 외측부의 초점거리보다 렌즈에서 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발명을 통해 유리판의 절단시 절단된 단면의 모양을 평탄하고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단면의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Glass-plate cutting machine having multiple-focus lens}
본 발명은 유리판을 레이저빔으로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하게는 유리판을 레이저빔으로 절단하는 브레이킹 공정에서 렌즈의 에너지분포로 인한 절단면의 불량을 막기 위해 다중초점을 가지는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판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리판의 절단방법으로는, 다이아몬드등의 초경 재료에 의해 스크라이브라인을 생성한 후, 기계적 응력을 가하여 절단하는 절단 방법과, 이보다 다소 발전하여 상기의 스트라이브라인의 생성을 레이저빔에 의하고 기계적응력을 가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방법 중 전자는 절단면이 날카롭고 불규칙하여 액정과 같은 정밀한 제품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별도의 연마공정이 필요하다.
상기의 방법 중 발전된 후자의 경우에도 절단면의 신뢰성은 그다지 높지 않으며, 기계적응력에 의한 절단으로 인해 연마공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유리판의 레이저 커팅에 관한 발명(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42313호)의 구성은, 비금속 재료의 절단이 시작되는 곳에 절단을 원하는 방향으로 초기 크랙을 형성하고, 절단하려고 하는 선을 따라 제1차가열빔을 조사하여 비금속 재료를 가열하고, 1차빔에 의하여 가열된 부분에 1차켄칭(quenching)을 하여 크랙을 발생시키고, 상기 크랙이 발생된 부분에 제2차가열빔을 조사하여 비금속 재료를 가열하고, 상기 제2차가열빔에 의하여 가열된 부분에 제2차켄칭을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 재료 절단방법이다.
즉, 초기크랙과 스크라이빙공정 뿐만 아니라 브레이킹작업을 레이저빔에 의해 실현시키고 있다.
상기의 발명인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절단은 크게 스크라이빙 공정과 브레이킹 공정 두 가지로 이루어 진다. 스크라이빙 공정에서는 스크라이브 빔과 냉각노즐에 의해 유리기판에 100 ~ 200 ㎛ 깊이의 스크라이브라인이 형성되고, 브레이킹 공정에서는 스크라이브라인을 기준으로 브레이크빔에 의하여 기판이 완전히 분리된다.
도 1 또는 도 2과 같이 일반적인 집광렌즈를 사용할 경우, 유리판에 조사되는 빔의 에너지준위는 도 3과 같다.
가운데 점선은 절단하려는 절단예정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규분포와 같이 절단예정선에서 최대값을 가지며 이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에너지 준위가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에너지준위를 갖게 될 경우, 절단예정선이 주위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어 절단면이 용융되거나 용융점에 가까워져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용융되어 흐른 흔적이 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절단선의 직진성이 저하되며, 절단된 기판 단면의 평탄도를 저하시켜 제품의 외관과 품질을 해치게 된다.
더욱이, 스크라이빙공정과 브레이킹작업을 한 후에, 이와 직각방향으로 다시 스크라이빙공정과 브레이킹작업을 하는 경우, 선행된 작업에서의 직진성 저하로 인해 원하는 궤도를 이탈하여 유리기판이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빔을 통한 유리판의 절단시 절단면의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다중초점을 가지는 렌즈를 장착한 유리판커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리판의 절단개시점에 미소한 크랙을 부여하는 크래킹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유리재료에 흡수되는 레이저빔에 의한 스크라이빙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빔조사후의 냉각유체에 의한 냉각수단과, 레이저빔에 의한 브레이킹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레이저발진기와 반사경과 집광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리판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커팅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에서 집광렌즈가 렌즈 중심부의 초점거리가 렌즈 외측부의 초점거리보다 렌즈에서 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본 출원인은 스크라이브 조건, 브레이킹조건에 있어서의 최적 조건의 유무에 대해서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아래와 같은 특정 조건을 재현하면, 전술과 같은 불편은 발생하지 않고, 안정되어 절단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그 조건에 대해 출원한 바 있다.(출원번호 제10-2003-0000645호)
즉, 스크라이빙수단에 의해 조사면적20∼200㎟에 평면조사밀도가 0.05∼2joule/㎟의 범위로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조사면적 20∼200㎟에 체적조사밀도가 0.1∼0.5joule/㎣의 범위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면, 상기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집광렌즈를 사용할 경우, 유리판에 조사되는 빔의 에너지준위는 도 3과 같이 정규분포곡선을 따른다.
즉, 절단예정선에서 최대값을 가지며 이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에너지 준위가 감소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절단예정선이 주위의 온도보다 높아져 절단면이 용융되거나 용융점에 가까워져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할 뿐 아니라, 절단선의 직진성이 저하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단예정선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낮추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서 일반적인 1초점렌즈가 아닌 다중초점렌즈를 사용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다중초점렌즈를 이용하여, 집광렌즈로 입사되는 레이저광중 에너지준위가 높은 중심부의 광에 대하여 그 초점거리를 멀게 하여 초점을 형성시키고, 중심부 이외의 광에 대하여는 초점거리를 종래와 유사한 정도의 초점길이를 형성시킨다.
일반적으로 절단될 유리판이 놓여지는 위치는 초점거리 이내이므로, 상기 다중초점렌즈 사용시 유리판을 근초점과 집광렌즈사이에 오도록 위치시킨다.
따라서, 중심부 이외의 광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에너지 준위를 형성하며, 중심부의 광은 종래보다 초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위치에 유리판이 존재하게 되므로, 집광정도가 떨어져 중심부의 에너지 준위가 현격히 저하하게 된다.
도 5은 상기와 같이 다중초점렌즈를 집광렌즈로 사용할 경우의 에너지준위를 표시하였다.
다중초점렌즈를 이용하여 유리판을 절단할 경우, 예정선의 가열온도가 그 주위의 온도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문제점으로 지적된 용융되어 흐르는 현상을 막을 수 있어, 미려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크래킹수단은 다이아몬드, 줄, 석영 유리 등의 초경도재료로 형성된 노칭크래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래커는 탄산가스 레이저나 YAG 펄스 레이저를 재료가 흡수하는 고에너지선을 렌즈로 집광해 그 초점을 조사하는 등 공지의 방법을 이용한다.
크래커에 의한 미소 크랙의 길이는 0.5~5 mm 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Nd:YVO4 펄스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발진기(2)와 렌즈(3)가 구비된다.
발진기(2)로부터 나온 레이저빔은 렌즈(3)에 의해 집광되어 소재에 조사되어 노칭(21)을 낸다.
상기의 조사수단은 유리판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가열하는 제1탄산가스레이저를 이용하며, 조사된 레이저빔은 타원형을 이루게 하였다.
상기에서 레이저빔(5)은 발진기(도시생략)에 의해 발진되어 반사경(6)에 의해 반사되어 집광렌즈(7)에 의해 유리판에 조사된다.
도 7 및 도 9에서 a, b는 각각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유리판 위에 형성되는 조사영역의 장경 및 단경이다.
제1냉각수단으로 상기 탄산가스레이저에 의하여 가열된 부분에 켄칭(quenching)을 하여 크랙을 발생시키는 켄처를 설치하고, 켄처의 바로 뒤에는 제1흡입장치를 마련한다.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된 부분을 냉각시키는 켄처물질은 유체로써, 종래의 냉각 질소등의 기체 뿐만이 아니고, 물미립자를 포함한 공기 또는 액체상의 물이 바람직하다.
켄처물질주입구(10)로 켄처물질이 주입되어 켄처물질유출구(9)로 배출되어 소재를 냉각시킨다.
켄처물질이 유리판상에 남는 경우는 흡입장치를 이용해 제거하여야 차후의 공정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제1흡입장치는 흡입구(11)와 흡입관(12)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타원의 단위면적 및 단위시간 당, 상기의 본 특정 조사 강도로 함으로써 매끄럽고 깊은 스크라이브라인을 생성시킬 수가 있다.
상기 가열광학기구에는 출력조절기(도시생략)가 내장되어 외부의 입력에 의해 레이저빔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킹수단은 제2탄산가스레이저를 이용하며, 조사된 레이저빔은 원형, 반원형 또는 튜브상으로 하여 열량을 집중시킨다.
상기에서 레이저빔(13)은 발진기(도시생략)에 의해 발진되어 반사경(14)에 의해 반사되어 집광렌즈(60)에 의해 유리판에 조사된다.
상기의 집광렌즈(60)은 종래의 집광렌즈(15)를 대체하여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인 다중초점렌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초점을 가지는 집광렌즈(60)를 사용하였다.
중심부의 초점이 외측부의 초점보다 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외측부의 초점은 종래와 유사하다.
따라서, 입사광(61) 중 중심부는 원초점(63)에서 모이게 되고, 외측부는 근초점(62)에서 모이게 된다.
절단할 유리판의 위치는 집광렌즈(60)와 근초점(62)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그 에너지 준위는 절단예정선(19)를 중심으로 하여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중심부의 에너지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절단예정선의 온도가 주위의 바로 절단예정선 좌우의 온도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반원형과 직사각형이 합쳐진 형태로 하였으며 도 7 및 도 9에서 c는 레이저빔의 조사영역 중 절단 예정선(19)에 대해 수직방향의 폭이고, d 및 e는 레이저빔의 조사영역 중 절단 예정선(19)에 대해 반원형의 직경 및 직사각형의 길이방향 길이이다.
제2탄산가스레이저의 구조는 제1탄산가스레이저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가열광학기구에 의하여 가열된 부분에 켄칭(quenching)을 하는 켄처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는 실시예 1로써 브레이커가 가열광학기구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며, 도 8 및 도 9는 실시예 2로써 브레이커가 가열광학기구와 켄처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물론 실시예 2와 같이 켄처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 절단면을 매끄럽게 하고 절단효율을 높이는데 유리하며, 절단면이 용융하는 것을 막아 치수오차를 줄일 수 있다.
상기의 발명을 통해 유리판의 절단시 절단된 단면의 모양을 평탄하고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단면의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시장치 1의 개념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실시장치 2의 개념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렌즈에 의한 에너지분포도
도 4는 다중초점렌즈의 단면도
도 5은 다중초점렌즈를 사용했을 경우의 에너지분포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장치 1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장치 1에 의한 작업상태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장치 2의 개념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장치 2에 의한 작업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레이저 발진기  3: 집광렌즈
4: 레이저빔 5: 레이저빔
6: 반사경 7: 집광렌즈
8: 스크라이브빔 조사형태 9: 켄처물질 유출구
10: 켄처물질 공급구 11: 흡입구
12: 흡입관 13: 레이저빔
14: 반사경 15: 집광렌즈
16: 브레이킹빔 조사형태 17: 스크라이브라인
19: 절단 예정선 20: 유리판
21: 초기 크랙 22: 절단부  
60: 다중초점렌즈
61: 입사광 62: 근초점
63: 원초점

Claims (2)

  1. 유리판의 절단개시점에 미소한 크랙을 부여하는 크래킹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유리재료에 흡수되는 레이저빔에 의한 스크라이빙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빔조사후의 냉각유체에 의한 냉각수단과, 레이저빔에 의한 브레이킹수단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킹 수단은 레이저발진기와 반사경과 집광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리판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커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집광렌즈는 렌즈 중심부의 초점거리가 렌즈 외측부의 초점거리보다 렌즈에서 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커팅장치
KR10-2003-0017901A 2003-03-21 2003-03-21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KR100507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901A KR100507957B1 (ko) 2003-03-21 2003-03-21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TW93107224A TWI248920B (en) 2003-03-21 2004-03-18 Apparatus for cutting glass plate
JP2005518770A JP4337059B2 (ja) 2003-03-21 2004-03-18 ガラス板切断装置
CNB2004800077173A CN1325406C (zh) 2003-03-21 2004-03-18 用于切割玻璃板的装置
US10/549,928 US7638730B2 (en) 2003-03-21 2004-03-18 Apparatus for cutting glass plate
PCT/KR2004/000592 WO2004083133A2 (en) 2003-03-21 2004-03-18 Apparatus for cutting glass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901A KR100507957B1 (ko) 2003-03-21 2003-03-21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93A KR20040083293A (ko) 2004-10-01
KR100507957B1 true KR100507957B1 (ko) 2005-08-17

Family

ID=3670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901A KR100507957B1 (ko) 2003-03-21 2003-03-21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07957B1 (ko)
CN (1) CN13254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1137B (zh) * 2008-05-30 2011-08-10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激光切割装置及方法
KR20120004456A (ko) * 2009-03-20 2012-01-1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정밀 레이저 스코어링
KR101097328B1 (ko) 2010-01-07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기판 밀봉에 사용되는 레이저 빔 조사 장치, 기판 밀봉 방법,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CN103286456B (zh) * 2013-05-07 2015-07-01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激光切割装置及切割方法
CN103482860B (zh) * 2013-09-05 2016-05-25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激光切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7280A (en) * 1971-09-20 1973-12-04 Ibm Laser generator of te wave guide modes
US4467168A (en) * 1981-04-01 1984-08-21 Creative Glassworks International Method of cutting glass with a laser and an article made therewith
JPS6316893A (ja) * 1986-07-08 1988-01-23 Komatsu Ltd リングモ−ド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1628A (zh) 2006-04-19
KR20040083293A (ko) 2004-10-01
CN1325406C (zh) 200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7050B2 (ja) ガラス板切断装置{glass−platecuttingmachine}
TWI650231B (zh) 雷射切割複合玻璃製品及切割方法
CN105392593B (zh) 借助激光从平坦基板中切割轮廓的设备及方法
CN111065485B (zh) 使用无焦光束调整组件激光加工透明工件的设备和方法
US6800831B1 (en) Method and device for rapid cutting of a workpiece from a brittle material
US62114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non-metallic substrates utilizing a laser initiated scribe
US57762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brittle materials
JP4337059B2 (ja) ガラス板切断装置
EP3206829B1 (en) Method of laser processing for substrate cleaving or dicing through forming &#34;spike-like&#34; shaped damage structures
JP5525491B2 (ja) レーザスコアリングにおける亀裂深さの制御
CN101386466B (zh) 脆性材料基板的倒角方法
CN103030266B (zh) 激光切割方法与装置
US20080035617A1 (en) Method for processing brittle substrates without micro-cracks
KR100507957B1 (ko)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JP2007055000A (ja) 非金属材料製の被加工物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08916B1 (ko) 예열수단을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KR100511439B1 (ko) 광마스크를 가지는 유리판커팅장치
KR102375189B1 (ko) 가스토치와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관 절단방법 및 장치
KR100564079B1 (ko) 통상 다중초점렌즈를 가지는 유리기판절단장치
KR100962823B1 (ko) 부분강화 빔프로파일을 가지는 비금속판 절단방법 및 장치
KR100347952B1 (ko) 유리 절단 방법
CN115043586A (zh) 一种提升玻璃载板切断面品质的激光切割方法
KR200415435Y1 (ko) 직립형 lcd 기판용 유리판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