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301B1 - 주유 노즐 - Google Patents

주유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301B1
KR100506301B1 KR10-2003-0005741A KR20030005741A KR100506301B1 KR 100506301 B1 KR100506301 B1 KR 100506301B1 KR 20030005741 A KR20030005741 A KR 20030005741A KR 100506301 B1 KR100506301 B1 KR 10050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nozzle
discharge pipe
shielding plate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9397A (ko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filed Critical 김성우
Priority to KR10-2003-000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3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6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4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액체 연료의 공급을 위한 주유기의 선단에 형성되는 주유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주유 종료시 주유 노즐에 남아있는 유류의 누설을 방지하여 공연한 유류의 낭비를 방지하고 토양의 오염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주유 노즐은 솔레노이드밸브가 유로를 차단한 이후에도 일정한 양의 유류가 토출관에 남아있게 되는 것이고, 토출관을 차량의 연료 주입구에서 빼냄과 동시에 남아있던 유류의 대부분이 주유소 바닥으로 떨어져 불필요한 유류의 낭비를 초래하고 토양 및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주유 노즐의 일측에 형성되는 토출관의 개구 선단을 개폐토록 회동되는 차폐판을 구비함으로서 토출관에 남아있던 유류가 유실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주유 노즐.

Description

주유 노즐 {A fuel dispensing nozzle}
본 발명은 액체 연료의 공급을 위한 주유기의 선단에 형성되는 주유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주유 종료시 주유 노즐에 남아있는 유류의 누설을 방지하여 공연한 유류의 낭비를 방지하고 토양의 오염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에서 유류를 흡입하여 호스를 통해 자동차 등에 유류를 급유토록 하는 기기로서, 이는 내부에 유류흡입 및 이의 관련 각종 기계적인 장치들을 포함하는 주유기 본체(10)와, 상기 본체와 호스(20)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의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흡입된 유류를 차량 등에 급유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 노즐(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지하에 매설된 유류저장탱크에 관 접속되어 직접적으로 흡인을 이루는 펌프(12)가 구비되고 상기 펌프(12)의 토출측에는 유량계(15)가 형성되어 흡인 토출 되어진 유류의 양을 계측함으로서 유류의 단가에 따라 공급된 유류의 대가를 계산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량계(15)는 토출 측이 유속을 제어하거나 유로를 단속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18)가 내설되고 주유원이 손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권총(GUN) 형상을 이루는 주유 노즐(30) 사이에 마련된 호스(20)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주유 노즐(30)의 일측에는 주유가 이루어지는 차량 등의 연료 탱크 주입구로 직접 삽입되는 토출관(32)이 돌출 형성됨으로서 펌프(12) 흡인된 유류를 비산됨이 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주유 노즐(30)에는 조작레버(33)를 설치하여 주유원의 조작에 의해서솔레노이드밸브(18)에 의한 유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토출관(32)의 내측에는 연료탱크의 유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4)를 형성하고 주유 종료시점에 감지센서(34)의 신호에 따라 콘트롤러(35)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8)가 유로를 폐쇄토록 함으로서 과도한 급유에 따른 유류의 넘침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차량의 연료 주입구 내로 직접적인 삽입이 이루어지는 토출관(32)은 주유원이 붙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료주입구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서 주유노즐(30)에 형성된 솔레노이드밸브(18)가 유로를 차단한 이후에도 일정한 양의 유류가 남아있게 되는 것이고, 토출관(32)을 연료주입구에서 빼냄과 동시에 대부분이 주유소 바닥으로 떨어져 불필요한 유류의 낭비를 초래하고 토양 및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류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원으로 수많은 차량에 주유를 행할 때마다 불가피하게 버려지는 유류의 양은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 할 것이고, 이는 국가 경쟁력을 저해하는 커다란 요인이라 할 것이나 당장에 느끼는 손실은 미미함으로서 간과되기 쉽다 할 것이다.
특히, 급유를 받고자 하는 차량이 많거나 주유원이 많은 신경을 기울이지 않을 경우에는 토출관(32)에 남아있는 유류가 다 투입되기 전에 연료주입구로부터 주유노즐(30)을 빼내는 경우가 많아지는 것이고, 이 경우에는 더욱 많은 양의 유류가 버려지게되는 폐해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첫 번째 목적은 주유가 종료된 후 토출관내에 남아있는 유류를 가둬둠으로서 불필요한 유류의 낭비를 방지하고, 두 번째 목적은 유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동안 유류에 직접적인 자장을 가함으로서 유류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주유 노즐의 일측에 형성되는 토출관의 개구 선단을 개폐토록 회동되는 차폐판을 구비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는 주유 노즐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보이는 주유 노즐의 요부분리사시도이며, 제7도는 주유 노즐의 개구 선단에 형성된 차폐판의 작동 상태를 보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출관(32)의 내측에 형성된 감지센서(34)에 연동하며 조작레버(33)의 조작에 따라 유로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18)가 내설된 주유 노즐(30) 본체의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토출관(32)이 돌출 형성되어 주유를 이루는 주유 노즐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32)의 개구 단부에는 한 쌍의 마주보는 끼움홈(2)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2)으로는 토출관(32)의 개구면을 단속할 수 있도록 차폐판(1)의 양측부가 삽입되어 회동 자재되어지도록 되는 구성이다.
상기 차폐판(1)은 토출관(32)의 개구된 하단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관상으로 성형되는 토출관(32)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고 내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반원형의 원판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차폐판(1)은 끼움홈(2)을 기준하여 하부는 토출관(32)의 외측으로 회동하고 상부는 토출관(32)의 내측으로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경 원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유류의 토출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토출관(32)의 개구면의 하부측 1/2을 가로막을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이면 충분한 것이다.
이는 토출관(32)이 유류의 주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향 절곡되어짐으로서 하부측에 남아 있는 유류의 양이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묻어있는 유류 또한 토출관(32)의 하부측으로 편중되기 때문이다.
이때, 토출관(32)의 선단 내측에는 차폐판(1)의 외주 길이에 대응하는 영구자석(3)이 끼움 결합되어짐으로서 철판 등으로 이루어진 차폐판(1)이 토출관(32)의 선단에 밀착되어 유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차폐판(1)의 내측에는 영구자석(3)의 자기장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패킹 등의 기밀부재(7)를 형성하여 더욱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끼움홈(2)에 대응하여 차폐판(1)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회전축(4)을 형성하고 그 외주 면에 감싸여지도록 코일스프링(5)을 끼움 결합시킴으로서 코일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차폐판(1)이 토출관(32)의 선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3)과 회전축(4) 및 코일스프링(5)을 동시에 채용하여 더욱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주유 노즐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 노즐(30)의 조작레버(33)를 당겨주면 콘트롤러(35)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8)가 동작하여 유로가 개방됨과 동시에 펌프(12)가 가동되어 지하 유류저장탱크에서 흡인된 유류가 유로를 따라 토출관(32)에 이르면 유류의 토출 압력이 영구자석(3)의 흡인력과 코일스프링(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차폐판(1)을 밀어내면서 회동시켜 토출관(32)의 선단이 완전히 개방됨으로서 주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주유가 종료되어 솔레노이드밸브(18)가 동작하여 유로가 폐쇄되면 유류의 토출압력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 영구자석(3)의 흡인력이나 코일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해 차폐판(1)이 토출관(32)의 선단에 다시금 밀착되어 기밀을 이룸으로서 토출관(32)의 내부에 남아있던 유류 방울의 누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폐판(1)에 의해 가두어진 유류로 감지센서(34)의 단부가 침적되어 감지센서(34)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지센서(34)의 단부가 토출관(32)의 단부 상측을 향하도록 굴절되게 형성된다. 상기 감지센서(34)는 토출관(32)의 내공간에 형성되어 일측의 단부는 제2도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32)의 토출측 단부에 근접되어지도록 형성하되 차폐판(1)에 의해 가둬진 유류에 침적되지 않도록 단부를 구부려 상부로 형성하거나 토출관(32)의 단부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차폐판(1)과 영구자석(3)이 밀착된 후 개방된 위치에 놓여지도록 함으로서 주유를 개시할 때 토출되는 유류가 차폐판(1)에 부딪혀 튀어 오르는 등의 이유로 감지센서(34)의 단부가 막혀 솔레노이드밸브(18)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타측 단부는 컨트롤러(35)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서 솔레노이드밸브(18)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주유 노즐의 감지센서(34)는 토출관(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벤튜리관을 형성하여 차량 연료탱크의 유면이 상승함에 따라 벤튜리관으로 작용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컨트롤러(35)에 전달하면 상기 컨트롤러(35)의 개폐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18)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감지센서(34)의 선단 개구부가 막히거나 이물질이 끼일 경우 솔레노이드밸브(18)의 부작동으로 인하여 주유 종료시점에서 유로의 폐쇄를 이루지 못해 넘치게 됨으로서 많은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항상 청결히 관리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토출관(32)의 선단에 형성된 영구자석(3)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주유가 행해질 때 유류 입자의 스핀들 회전반경에 변화를 주어 화학 "포텐셜"이나 "엔트로비"를 일정 상태로 바꾸어줌으로서 그 결과는 액체 연료중에서는 "졸" 혹은 "겔"화를 방지하여 슬러지를 완전히 해소하고 또 전위(電位)가 올라가 활성을 일정한 것으로 바꾸며, 표면장력을 낮추어 기름과 물과의 분리작용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서 연료의 개질 효과를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주유시 빈번하게 일어나는 유류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주유가 이루어지는 유류는 토출구의 선단에 삽설되어진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음으로서 유류의 질이 개선되어 연소에 따른 오염물질의 총 배출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주유기의 전체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주유기에 형성된 주유 노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는 주유 노즐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유 노즐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차폐판 2: 끼움홈
3: 영구자석 4: 회전축
5: 코일스프링 7: 기밀부재
10: 주유기본체 12: 펌프
15: 유량계 18: 솔레노이드밸브
20: 호스 30: 주유노즐
32: 토출관 33: 조작레버
34: 감지센서 35: 컨트롤러

Claims (3)

  1. 토출관(32)의 내측에 형성된 감지센서(34)에 연동하며 조작레버(33)의 조작에 따라 유로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18)가 내설된 주유 노즐(30) 본체의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토출관(32)이 돌출 형성되어 주유를 이루는 주유 노즐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32)의 개구 하단부 내측에는 반원형의 영구자석(3)을 삽설하고 그 단부에 인접토록 한 쌍의 마주보는 끼움홈(2)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2)으로는 토출관(32)의 개구면을 단속할 수 있도록 차폐판(1)의 양측부가 삽입되어 회동자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회전축(4)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회전축(4)의 외주에는 코일스프링(5)을 형성하여 차폐판(1)이 탄력적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34)는 토출관(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유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일어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밸브(18)를 연동토록 하는 것으로 그 선단부가 토출관(32)의 항시 개방상태로 있는 상방부를 향하도록 굴절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 노즐.
KR10-2003-0005741A 2003-01-29 2003-01-29 주유 노즐 KR100506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741A KR100506301B1 (ko) 2003-01-29 2003-01-29 주유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741A KR100506301B1 (ko) 2003-01-29 2003-01-29 주유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397A KR20040069397A (ko) 2004-08-06
KR100506301B1 true KR100506301B1 (ko) 2005-08-04

Family

ID=3735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741A KR100506301B1 (ko) 2003-01-29 2003-01-29 주유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3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7516A (ko) * 1974-01-31 1975-08-25
JPH06122500A (ja) * 1992-10-08 1994-05-06 Tominaga Oil Pump Mfg Co Ltd 給油装置の誤給油防止装置
JPH06239399A (ja) * 1993-02-08 1994-08-30 Tatsuno Co Ltd 給油ノズル
KR970038963U (ko) * 1995-12-23 1997-07-29 한상관 자석을 부착시킨 유류공급장치
KR19990034196U (ko) * 1998-01-16 1999-08-25 이종수 주유기의 노즐 조작장치
KR200307476Y1 (ko) * 2002-11-21 2003-03-19 이재언 주유기용 밀폐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7516A (ko) * 1974-01-31 1975-08-25
JPH06122500A (ja) * 1992-10-08 1994-05-06 Tominaga Oil Pump Mfg Co Ltd 給油装置の誤給油防止装置
JPH06239399A (ja) * 1993-02-08 1994-08-30 Tatsuno Co Ltd 給油ノズル
KR970038963U (ko) * 1995-12-23 1997-07-29 한상관 자석을 부착시킨 유류공급장치
KR19990034196U (ko) * 1998-01-16 1999-08-25 이종수 주유기의 노즐 조작장치
KR200307476Y1 (ko) * 2002-11-21 2003-03-19 이재언 주유기용 밀폐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397A (ko) 200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999B2 (en) Fuel dispensing device with expansion chamber
KR100506301B1 (ko) 주유 노즐
CA2956828C (en) Breather check valve
KR200307476Y1 (ko) 주유기용 밀폐캡
KR200374138Y1 (ko) 이종연료 혼유방지 주유노즐
CN218572566U (zh) 香薰机防漏油结构及香薰机
CN219933675U (zh) 一种主机轴承加油装置
KR100451972B1 (ko) 주유기
KR100250522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CN220448539U (zh) 一种喷雾仪器
KR960000490Y1 (ko) 오일용기
CN213686239U (zh) 无压受油控制组件
KR101218362B1 (ko) 혼유방지용 주유기
KR101284952B1 (ko)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KR200301966Y1 (ko) 주유기용 밀폐캡
KR200208898Y1 (ko) 급유구 자동장치
KR20180001337A (ko) 차량용 엔진 공기 흡입라인의 이물질 제거용 약액 투입장치
JP2505264Y2 (ja) 地下タンク装置の溢出防止装置
KR200275258Y1 (ko) 주유기
KR100428224B1 (ko) 주유건의 잔류연료 흡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60612A1 (en) Fuel nozzle drip retainer
JPH0659300U (ja) オイル注入装置のノズル
KR100452726B1 (ko) 주유시 필러도어 주변의 오염방지장치
KR20020054371A (ko) 연료 주입성 개선 및 연료증발가스 저감을 위한연료탱크의 레벨링 파이프
KR200162519Y1 (ko) 연료탱크의 레벨링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