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346B1 - 생선비늘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생선비늘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346B1
KR100504346B1 KR1020040021002A KR20040021002A KR100504346B1 KR 100504346 B1 KR100504346 B1 KR 100504346B1 KR 1020040021002 A KR1020040021002 A KR 1020040021002A KR 20040021002 A KR20040021002 A KR 20040021002A KR 100504346 B1 KR100504346 B1 KR 100504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fish
shaft
support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래
장규철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Priority to KR102004002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2Washing or descal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비늘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롤러브러시와, 상기 롤러브러시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모터를 가지고 상기 롤러브러시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생선비늘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브러시는 브러시축과,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압착판과 한 쌍의 압착판사이에 개재하는 원형의 모지지판과 모지지판의 둘레연부에 스틸재질의 브러시모가 다수개 결합되어 형성되는 솔부를 가지고 상기 축공을 통해 상기 브러시축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브러시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생선 몸통 두께에 관계없이 생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생선몸통의 전 영역에 걸쳐 비늘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선비늘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ish Scales}
본 발명은 생선비늘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선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비늘을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선은 외표면 대부분 영역이 비늘로 덮여 있는 몸통을 갖고 있다. 여기서 각 비늘은 생선의 아가미 측 부분이 몸통에 고정되고 비늘 상호간은 부분적으로 포개지도록 몸통을 덮고 있다. 그리고 비늘은 보통 몸통의 양면을 덮고 있으나, 생선의 종류에 따라서는 몸통의 일면을 덮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생선의 몸통을 덮고 있는 비늘은 불가식(不可食) 부분으로서 생선을 조리하기 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생선의 비늘은 칼로 생선의 몸통을 꼬리로부터 입을 향하는 방향으로 긁어 제거할 수 있으나, 생선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비늘을 제거할 수 있는 도구나 장치가 199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0342호(발명의 명칭 : 생선비늘제거기),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8429호(발명의 명칭 : 생선비늘제거장치)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12는 종래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비늘제거장치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투입구(110a)가 형성된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내부 투입구(110a)의 하부영역에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브러시어셈블리(120, 130)와, 케이싱(110)의 내부 브러시어셈블리(120, 130)의 하부영역에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된 안내슈트(141)와, 케이싱(110)의 내부 안내슈트(141)의 하부영역에 설치된 생선받이통(142)과, 케이싱(110)의 내부 생선받이통(142)의 전방영역에 설치된 모터(143)를 갖고 있다.
각 브러시어셈블리(120, 130)는 브러시축(121, 131)과, 브러시축(121, 131)에 결합된 솔부(122, 132)를 갖고 있다. 솔부(122, 132)는 브러시축(121, 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브러시축(121, 131)에 결합되고, 외주면 전 영역에는 브러시모(122a, 132a)가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비늘제거장치는 모터(143)의 회전구동력을 이용하여 한 쌍의 솔부(122, 132)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150)와, 회전구동부(150)와 연동하여 한 쌍의 솔부(122, 132)를 브러시축(121, 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160)를 갖고 있다.
회전구동부(150)는 체인(152)을 통해 모터(143)의 축에 연결되고 웜기어(도시되지 않음)와 웜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브러시축(121, 131)에 연결된 회전구동축(151)을 가지고, 회전구동축(151)의 회전동작에 따라 한 쌍의 솔부(122, 132)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 때 회전구동부(150)는 각 솔부(122, 132)를 상대방을 향해(각 브러시의 상측 연부 기준)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왕복구동부(160)는 회전구동축(151)에 베벨기어(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된 왕복구동축(161)과 각 솔부(122, 132)를 브러시축(121, 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할 수 있도록 각 솔부(122, 132)의 양단에 접촉되어 있는 두 쌍의 푸싱바(162)를 가지고, 회전구동축(151)의 회전동작에 따라 푸싱바(162)를 브러시축(121, 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킨다. 이 때 왕복구동부(160)는 각 푸싱바(16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생선의 비늘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143)에 구동전압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솔부(122, 132)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대방을 향해(각 브러시의 상측 연부 기준) 회전한다.
다음에 투입구(110a)를 통해 생선을 투입한다. 여기서 생선은 입과 꼬리가 솔부(122, 13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투입된다.
투입구(110a)에 투입된 생선은 한 쌍의 솔부(122, 132)의 사이공간을 통과한 후 안내슈트(141)를 타고 생선받이통(142)으로 낙하한다. 생선이 한 쌍의 솔부(122, 132)의 사이공간을 통과하는 동안 브러시모(122a, 132a)에 의해 생선의 몸통 양면을 덮고 있는 비늘이 제거된다.
여기서 생선의 비늘제거는 생선이 한 쌍의 솔부(122, 132)의 사이공간을 진입할 때 생선의 각 비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러시모(122a, 132a)가 박히고, 생선이 한 쌍의 솔부(122, 132)의 사이공간을 벗어날 때 브러시모(122a, 132a)에 박힌 비늘이 생선의 몸통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브러시모(122a, 132a)가 각 비늘에 박혀 비늘 각각에 개별적인 분리력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칼과 같이 생선의 꼬리로부터 입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하나의 분리력을 비늘에 인가하는 도구보다 효율적으로 비늘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브러시모(122a, 132a)를 사용하여 비늘을 제거하는 종래의 생선비늘제거장치에 따르면, 브러시모(122a, 132a)를 강성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생선의 몸통두께가 브러시모(122a, 132a)사이의 이격거리보다 크거나 비늘이 몸통의 일 측만을 덮고 있는 생선의 비늘을 제거하고자 할 때, 브러시모(122a, 132a)가 몸통 내부로 침투하기 때문에 생선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생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러시모(122a, 132a)를 연성재질로 제작하는 경우 브러시모(122a, 132a)가 비늘에 잘 박히지 않기 때문에 생선 비늘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러시모(122a, 132a)사이의 최소이격거리는 몸통의 중앙영역 두께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갖도록 선택되어 브러시모(122a, 132a)가 몸통의 중앙영역에 집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생선 몸통의 상측영역 및 하측영역을 덮고 있는 비늘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브러시모(122a, 132a)의 재질과 관계없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틸재질의 브러시모를 사용하여 생선을 손상시키지 아니하고 몸통의 전 영역에 걸쳐 비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롤러브러시와, 상기 롤러브러시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모터를 가지고 상기 롤러브러시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생선비늘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브러시는 브러시축과,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압착판과 한 쌍의 압착판사이에 개재하는 원형의 모지지판과 모지지판의 둘레연부에 스틸재질의 브러시모가 다수개 결합되어 형성되는 솔부를 가지고 상기 축공을 통해 상기 브러시축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브러시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브러시모에 의한 생선몸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솔부를 형성하는 브러시모는 웨이브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생선몸통과 솔부사이의 접촉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브러시디스크의 압착판 및 모지지판은 동일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선으로부터 분리된 비늘이 효율적으로 솔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브러시는 상기 브러시디스크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브러시축에 결합되는 디스크분리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 영역에 모터축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앙영역에 기립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축을 지지하는 모터축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상기 모터축지지프레임에 나란하도록 기립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축을 상기 지지판에 나란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러시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모터축지지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작업테이블상에서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비늘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는 일 영역에 브러시축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축은 상기 브러시축삽입공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의 작업테이블상에서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는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장착된 구름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선몸통의 두께에 따라 작업테이블과 롤러브러시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는 상기 구름체를 유동 가능하도록 탑재하는 캐리어와 상기 케이싱을 하방향을 따라 가압할 때 상기 캐리어가 상기 케이싱의 저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수축하는 탄성체를 갖는 구름체승강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롤러브러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롤러브러시의 결합사시도이고, 도4a, 도4b, 도4c, 도4d, 도4e, 도4f 및 도4g는 도2의 브러시디스크의 제작공정도이고, 도5는 도1의 롤러브러시의 단면도이고, 도6은 도1의 구동부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과 좌측에 각각 한 쌍씩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두 쌍의 롤러브러시(10)와, 롤러브러시(10)를 지지하는 지지체(20)와, 지지체(20)에 설치된 모터(31)를 가지고 롤러브러시(10)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30)를 갖고 있다.
롤러브러시(10)를 좌우로 한 쌍씩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은 두 작업자가 동시에 생선비늘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하로 한 쌍씩 분리하여 배치한 것은 생선의 종류에 따라 브러시모의 길이를 달리하여 생선비늘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롤러브러시(10)는,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축(11)과, 브러시축(11)에 연속적으로 결합된 다수의 브러시디스크(12)와, 브러시축(11)에 결합된 각 브러시디스크(12)사이에 개재하는 디스크분리부재(16)를 갖고 있다.
각 브러시디스크(12)는 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압착판(13, 14)과, 한 쌍의 압착판(13, 14)사이에 개재하는 원형의 모지지판(15)과, 모지지판(15)에 스틸재질의 브러시모가 다수개 결합되어 형성되는 솔부(17)를 갖고 있다. 여기서 솔부(17)를 형성하는 브러시모는 웨이브형태로 형성되고, 스틸재질로는 스틸와이어의 소선과 같이 강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용한다.
압착판(13, 14)은 중앙영역에 축공(13a, 14a)이 형성되어 있다.
모지지판(15)은 중앙영역 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영역에는 다수의 모삽입공(15b)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브러시디스크(12)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웨이브형태의 브러시모원형(18)을 다수개 형성한다(도4a 참조). 여기서 웨이브형태의 브러시모원형(18)은 가는 스틸재질 철선을 절단한 후 웨이브형태로 가공하거나, 스틸재질의 와이어를 절단한 후 꼬인 소선을 풀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브러시모원형(18)은 웨이브 형태이외 직선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 철제 박판을 원형으로 절단한 후 블랭킹공정 및 펀칭공정(축공 및 모삽입공 형성)을 거쳐 한 쌍의 압착판(13, 14) 및 모지지판(15)을 형성한다(도4b 참조). 이 때 한 쌍의 압착판(13, 14)중 하나(13)는 다른 것보다 작은 직경의 축공을 형성한다.
다음에 브러시모원형(18)을 모지지판(15)의 모삽입공(15b)에 삽입한다(도4b 및 도4c참조).
다음에 모삽입공(15b)에 삽입된 브러시모원형(18)을 모지지판(15)의 외측으로 절곡한다(도4d 참조).
다음에 브러시모원형(18)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모지지판(15)이 중간에 위치하고 직경이 작은 압착판(13)이 맨 위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압착판(13, 14)과 모지지판(15)을 다이(62)에 탑재한다. 다이(62)의 중앙영역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천공홀(62a)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압착판(13, 14)과 모지지판(15)은 축공(13a, 14a, 15a)이 다이(62)의 천공홀(62a)에 연통하도록 다이(62)에 탑재된다(도4e 참조).
다음에 펀치(61)를 가압하여 한 쌍의 압착판(13, 14)과 모지지판(15)의 축공(13a, 14a, 15a)과 다이(62)의 천공홀(62a)을 통과시킨다(도4e, 도4f 및 도4g 참조). 이 때 펀치(61)는 압착판(13, 14)의 축공(13a, 14a)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사용한다. 펀치(61)가 다이(62)의 천공홀(62a)을 통과함에 따라 상부에 있는 압착판(13)의 축공(13a) 둘레영역이 하부에 있는 압착판(14)의 축공(14a)을 통과함으로써 한 쌍의 압착판(13, 14)은 결속되게 된다.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브러시(10)의 브러시축(14)은 상호 연결되어 있고,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브러시(10)의 브러시축(14)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
디스크분리부재(16)는 브러시축(11)을 삽입할 수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분리부재(16)는 각 디스크분리부재(16)와 교대로 브러시축(11)에 결합된다.
지지체(20)는 지지판(21)과, 지지판(21)의 상면에 설치된 케이싱(22)과, 지지판(21)의 상면 중앙영역에 기립 설치된 모터축지지프레임(23)과, 지지판(21)의 상면 모터축지지프레임(23)의 좌측 영역에 상호 나란하도록 기립 설치된 한 쌍의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과, 지지판(21)의 상면 모터축지지프레임(23)의 우측 영역에 상대방 및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에 나란하도록 기립 설치된 한 쌍의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을 갖고 있다.
케이싱(22)은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a, 24b)중 내측에 위치하는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b)과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a, 25b)중 내측에 위치하는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a)사이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지판(21)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축지지프레임(23)에는 모터축(31)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과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에는 롤러브러시(10)의 브러시축(14)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과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에는 후술하는 보호커버(41, 42)를 장착하기 위한 걸림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축지지프레임(23),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 및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 상호간은 4개의 고정봉(28)을 통해 설치위치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축지지프레임(23)과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a, 24b)중 내측에 위치하는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b)은 다수의 프레임분리부재(29)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구동부(30)는 모터축지지프레임(23)에 지지된 모터축(31a)과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 및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에 지지된 브러시축(14)사이에 개재하는 동력전달부(32)와, 케이싱(22)의 우측면을 관통해 모터(31)에 연결된 코드(33)와, 케이싱(22)의 전면에 마련되어 코드(33)를 통한 모터(31)에의 전압공급을 개폐하는 스위치(34)를 갖고 있다.
동력전달부(32)는 상측에 위치하는 브러시축(14)의 연결영역에 장착된 종동스프로켓(32a)과, 하측에 위치하는 브러시축(14)의 연결영역에 나란하게 장착된 중간스프로켓(32b, 32b')과,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a, 24b)중 내측에 위치하는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b)과 모터축지지프레임(23)의 사이영역에서 모터축(31a)에 장착된 원동스프로켓(32c)과, 원동스프로켓(32c)과 중간스프로켓(32b) 상호간 및 종동스프로켓(32a)과 중간스프로켓(32b') 상호간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32d)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31)의 회전구동력은 체인(32d) 및 스프로켓(32a, 32b, 32b')을 통해 브러시축(14)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는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브러시(10)를 상방 및 후방에서 둘러싸도록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과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에 설치된 기역자형상의 보호커버(41)와,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롤러브러시(10)를 상방에서 둘러싸도록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24)과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25)에 설치된 반원형상단면의 보호커버(4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생선의 비늘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 상부에 위치하는 롤러브러시(10)를 이용하여 비늘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위치(34)를 조작하여 모터(31)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면, 모터축(31a)의 회전구동력은 스프로켓(32a, 32b, 32b', 32c)과 체인(32d)을 통해 브러시축(14)에 각각 전달된다. 이에 따라 좌측 상부에 위치하는 롤러브러시(10)는 도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생선 몸통의 상측 꼬리 인접영역이 솔부(13)에 접촉하도록 생선을 잡은 상태에서 작업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7a 참조). 이에 따라 생선몸통의 상측영역 비늘이 제거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생선 몸통의 하측 꼬리 인접영역이 솔부(13)에 접촉하도록 손으로 생선을 잡은 상태에서 작업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7b 참조). 이에 따라 생선몸통의 하측영역 비늘이 제거된다.
다음에 작업자는 생선 몸통의 중앙 아가미 인접 영역이 솔부(13)에 접촉하도록 손으로 생선을 잡은 상태에서 작업자 자신을 이동시킨다(도7c 참조). 이에 따라 생선몸통의 중앙영역 비늘이 제거된다.
다음에 생선을 뒤집어 잡은 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선몸통의 뒷면을 덮고 있는 비늘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생선으로부터 제거된 비늘의 흩어짐은 기역자 형상의 보호커버(41)에 의해 일정지역으로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틸 재질로 솔부(13)를 형성하는 한편, 생선 몸통과 솔부(13)사이의 접촉강도 및 접촉영역이 기계적으로 고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선 몸통 두께에 관계없이 생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생선몸통의 전 영역을 덮고 있는 비늘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솔부(17)가 손상된 브러시디스크(12)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크분리부재(16)를 사용하여 브러시디스크(12)사이에 비늘도피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생선으로부터 분리된 비늘이 효율적으로 솔부(13)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되어 비늘제거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솔부(13)를 형성하는 브러시모를 웨이브형태로 형성하여 생선몸통에 접촉할 때 브러시모의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써, 강성재질의 솔부(13)에 의한 생선의 손상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브러시디스크(12)의 압착판(13, 14) 및 모지지판(15)을 평판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롤러브러시의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롤러브러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번호에 대시(')를 첨가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롤러브러시(10')를 사용하여 비늘을 제거하는 경우 생선몸통과 솔부(17')사이의 접촉영역이 증가되기 때문에 비늘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지지체(20)를 고정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82)을 갖는 지지체(81)와, 케이싱(82)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84)를 갖는 구동부(83)와, 케이싱(82)의 내부에서 모터축(84a)에 결합되는 롤러브러시(87)와, 롤러브러시(8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싱(82)의 전면에 결합된 반원형상단면의 보호커버(88)와, 케이싱(82)의 상부영역에 결합된 어깨띠(89)를 갖고 있다.
케이싱(82)은 후단영역에 대략 반원형상단면으로 절취되어 파지부(82a)가 형성되어 있고, 전단영역에 전면캡(82b)이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면캡(82b)에는 브러시축(87a)을 삽입하기 위한 브러시축삽입공(82c)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83)는 케이싱(82)의 후단영역을 관통해서 모터(84)에 연결되는 코드(85)와, 케이싱(82)의 파지부(82a) 상면에 마련되어 코드(85)를 통한 모터(84)에의 전압공급을 개폐하는 스위치(86)를 갖고 있다.
롤러브러시(87)는 도3에 도시된 롤러브러시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브러시축(87a)은 전면캡(82b)에 형성된 브러시축삽입공(82c)을 통해 케이싱(82)의 내부에서 모터축(84a)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생선비늘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선을 몸통의 일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작업테이블에 올려놓는다.
다음에 파지부(82a)를 잡은 상태에서 스위치(86)를 조작하여 모터(84)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면, 모터축(84a)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롤러브러시(87)는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장시간 작업을 하는 경우 어깨띠(89)를 이용하여 어깨에 맨 상태로 롤러브러시(87)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회전하는 롤러브러시(87)를 작업테이블에 올려진 생선의 몸통위로 이동시키면서 비늘을 제거한다.
다음에 생선몸통의 일면의 비늘이 다 제거되면, 생선을 뒤집어 작업테이블에 올려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생선몸통의 나머지 면을 덮고 있는 비늘을 제거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손으로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체(81)를 구성하고 있으나, 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위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결합상태도 및 그 사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상단면의 케이싱(91)을 갖는 지지체(90)와, 케이싱(91)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102)를 갖는 구동부(101)와, 케이싱(91)의 내부에서 모터축(102a)에 결합되는 롤러브러시(105)와, 롤러브러시(105)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케이싱(91)의 전면에 결합된 반원형상단면의 보호커버(106)를 갖고 있다.
케이싱(91)은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좌우 2분할체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파지부(9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91)의 전면에는 브러시축(105a)을 삽입하기 위한 브러시축삽입공(9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90)는 케이싱(91)의 저면에 결합된 캐리어(93)와, 캐리어(93)를 케이싱(91)의 저면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캐리어승강부(97)와, 캐리어(93)에 탑재된 볼(92)을 갖고 있다.
캐리어(93)는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 상판부(94)와 하판부(95)를 갖고 있다. 상판부(94)의 중앙영역에는 반원형상의 유동공간부(94a)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하판부(95)는 유동공간부(94a)에 대응하는 영역에 원형의 노출개구부(9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캐리어(93)는 후술하는 승강안내볼트(98)에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캐리어승강부(97)는 케이싱(91)의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4개의 승강안내볼트(98)와, 각 승강안내볼트(98)에 하나씩 장착된 스프링(99)을 갖고 있다.
볼(92)은 캐리어(93)의 노출개구부(95a)와 유동공간부(94a) 사이공간에 장착되어 있다.
구동부(101)는 케이싱(91)의 후단영역을 관통해서 모터(102)에 연결된 코드(103)와, 파지부(91a)에 마련되어 코드(103)를 통한 모터(102)에의 전압공급을 개폐하는 스위치(104)를 갖고 있다.
롤러브러시(105)는 도3에 도시된 롤러브러시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브러시축(105a)은 케이싱(91)의 전면에 형성된 브러시축삽입공(91b)을 통해 케이싱(91)의 내부에서 모터축(102a)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사용하여 생선비늘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선을 몸통의 일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작업테이블에 올려놓는다.
다음에 롤러브러시(105)가 생선위에 위치하도록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작업테이블에 올려놓는다.
이 때 롤러브러시(105)가 생선의 몸통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파지부(91a)를 잡은 상태에서 케이싱(91)을 작업테이블을 향해 가압한다. 케이싱(91)을 가압하면 스프링(99)이 수축하면서 캐리어(93)와 볼(92)은 승강안내볼트(98)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캐리어(93)와 볼(92)이 승강안내볼트(98)를 따라 상승하면 볼(92)과 케이싱(91)의 저면사이의 이격거리와 롤러브러시(105)와 작업테이블사이의 이격거리가 줄어든다.
케이싱(91)의 가압동작은 롤러브러시(105)가 생선에 접촉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다음에 파지부(91a)를 잡은 상태에서 스위치(104)를 조작하여 모터(102)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면, 모터축(102a)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롤러브러시(105)는 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볼(92)의 구름동작을 이용하여 케이싱(91)을 이동시키면서 롤러브러시(105)를 생선의 몸통에 접촉시킨다. 이 때 롤러브러시(105)와 생선사이의 접촉이 생선몸통 전 표면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생선의 위치를 손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생선몸통의 일면의 비늘이 다 제거되면, 생선을 뒤집어 작업테이블에 올려 놓고 전술한 방법으로 생선몸통의 나머지 면을 덮고 있는 비늘을 제거한다.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경우 도8에 도시된 형태의 롤러브러시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틸재질로 솔부를 형성하는 한편, 생선 몸통과 솔부사이의 접촉강도 및 접촉영역이 기계적으로 고정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선 몸통 두께에 관계없이 생선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생선몸통의 전 영역에 걸쳐 비늘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롤러브러시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의 롤러브러시의 결합사시도,
도4a, 도4b, 도4c, 도4d, 도4e, 도4f 및 도4g는 도2의 브러시디스크의 제작공정도,
도5는 도1의 롤러브러시의 단면도,
도6은 도1의 구동부의 상세도,
도7a, 도7b 및 도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를 사용하여 비늘을 제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롤러브러시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11은 도10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결합상태도 및 그 사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종래의 생선비늘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5 : 롤러브러시 11, 121, 131 : 브러시축
12 : 브러시디스크 13, 14 : 압착판
15 : 모지지판 17 : 솔부
20, 81, 90 : 지지체 21 : 지지판
22, 82, 91, 110 : 케이싱 23 : 모터축지지프레임
24 : 좌측 브러시지지프레임 25 : 우측 브러시지지프레임
28 : 고정봉 29 : 프레임분리부재
30, 83, 101 : 구동부 31, 84, 102, 143 : 모터
32 : 동력전달부 33, 85, 103 : 코드
34, 86 104 : 스위치 41, 42, 88, 106 : 보호커버
56 : 결합부재 91 : 볼
92 : 캐리어 97 : 캐리어승강부
98 : 승강안내볼트 99 : 스프링
120, 130 : 브러시어셈블리 141 : 안내슈트
142 : 생선받이통 150 : 회전구동부
160 : 왕복구동부

Claims (8)

  1. 롤러브러시와, 상기 롤러브러시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모터를 가지고 상기 롤러브러시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갖는 생선비늘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브러시는 브러시축과, 중앙영역에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압착판과 한 쌍의 압착판사이에 개재하는 원형의 모지지판과 모지지판의 둘레연부에 스틸재질의 브러시모가 다수개 결합되어 형성되는 솔부를 가지고 상기 축공을 통해 상기 브러시축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브러시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부를 형성하는 브러시모는 웨이브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브러시디스크의 압착판 및 모지지판은 동일방향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브러시는 상기 브러시디스크사이에 개재하도록 상기 브러시축에 결합되는 디스크분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 영역에 모터축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앙영역에 기립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축을 지지하는 모터축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상기 모터축지지프레임에 나란하도록 기립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축을 상기 지지판에 나란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브러시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모터축지지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일 영역에 브러시축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시축은 상기 브러시축삽입공을 통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케이싱의 저면에 장착된 구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구름체를 유동 가능하도록 탑재하는 캐리어와 상기 케이싱을 하방향을 따라 가압할 때 상기 캐리어가 상기 케이싱의 저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수축하는 탄성체를 갖는 구름체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20040021002A 2004-03-27 2004-03-27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0504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002A KR100504346B1 (ko) 2004-03-27 2004-03-27 생선비늘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002A KR100504346B1 (ko) 2004-03-27 2004-03-27 생선비늘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346B1 true KR100504346B1 (ko) 2005-07-27

Family

ID=3730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002A KR100504346B1 (ko) 2004-03-27 2004-03-27 생선비늘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3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8858A (zh) * 2012-12-08 2013-05-15 宁波市鄞州云帆工程咨询有限公司 电动柔性可调式鱼鳞刮除器
CN104782735A (zh) * 2015-05-18 2015-07-22 浙江海洋学院 一种海鱼杀鱼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98858A (zh) * 2012-12-08 2013-05-15 宁波市鄞州云帆工程咨询有限公司 电动柔性可调式鱼鳞刮除器
CN104782735A (zh) * 2015-05-18 2015-07-22 浙江海洋学院 一种海鱼杀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6000789T2 (de) Haarschneidegerät
CN110877372A (zh) 一种家具板材加工用打孔装置
CN211305551U (zh) 一种五金加工固定装置
US5878643A (en) Curl type sandwich automatic cutting device
KR100504346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1565532B1 (ko) 황태 연육기
KR100770796B1 (ko) 휠 디스크의 벤트홀 가공장치
CN211100106U (zh) 顶击式震筛机
KR100567243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0567242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0567244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KR100567241B1 (ko) 생선비늘제거장치
CN111618160A (zh) 一种钣金件冲裁模具
CN101720970A (zh) 樱桃自动去核机
US2783603A (en) Row cropper attachment for combines
CN208728993U (zh) 一种方形钢丝网罩的加工设备
KR101831606B1 (ko) 모과의 씨부위 제거장치
CN204317066U (zh) 一种简易花生脱粒机
CN110253084B (zh) 一种轻质铝合金地板加工设备
CN113620094A (zh) 铜箔生产设备
US2448775A (en) Honeycomb uncapper
JPH08187530A (ja) プレス機のスクラップ回収装置
CN206643961U (zh) 线型同步带伸缩装置
CN214390321U (zh) 一种核桃破碎机
CN218018708U (zh) 一种直线往复式切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