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557B1 -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557B1
KR100503557B1 KR10-2002-0084463A KR20020084463A KR100503557B1 KR 100503557 B1 KR100503557 B1 KR 100503557B1 KR 20020084463 A KR20020084463 A KR 20020084463A KR 100503557 B1 KR100503557 B1 KR 10050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yarn
coloring
unit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678A (ko
Inventor
이기중
Original Assignee
이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중 filed Critical 이기중
Priority to KR10-2002-0084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55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는, 편직용 원사를 공급하기 위한 원사 공급부; 상기 원사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원사에 염색제를 착색하는 착색부; 편직물에 형성될 이미지 패턴의 각 화소에 상응하는 염색제가 상기 원사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착색되도록 상기 착색부를 구동하여 염색제의 칼라와 착색 패턴을 제어하는 착색제어부; 및 상기 착색부로부터 착색처리된 원사를 공급받아 편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편직물을 직조하는 편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사에 대한 착색제어와 일련의 편직처리를 통해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편직물을 간편히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a multicolor textile having image pattern}
본 발명은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되는 원사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염색제를 착색하는 처리와 더불어 편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설정된 다색 이미지 패턴이 편직물에 형성되도록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염색사로 편직되어 정형화된 이미지 패턴을 가지게 되는 편직물(이하, 다색 편직물이라고 함)의 제조를 위해서는 각각의 염색사를 각기 별도의 타래를 통해 공급하여 횡편기 혹은 환편기에서 직조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편직물에 형성될 이미지 패턴이 다수의 칼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칼라의 상당수 실타래가 필요하게 되므로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사 → 편직 → 정련/표백 → 침염 → 탈수/건조 등의 과정을 포함하는 공정과 같이 원사를 일단 편직한 후 염색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이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직물의 변형 등을 고려했을 때 이 방법은 사용가능한 원사의 종류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고, 편직물에 대한 부분적 염색이 곤란하므로 복잡한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침염(dip-dyeing) 방식은 색채의 톤(tone)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이미지 패턴을 구성하는 경우에 특히 많이 사용되는데, 염색제를 사용한 디핑공정이 보통 80℃정도에서 수행되므로 아크릴 섬유의 경우 그 길이가 늘어나는 등 직물의 형태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9-00000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날염 매체에 대하여 프린트 방식으로 날염공정을 수행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 경우 균일하게 편직물의 내부까지 프린트하는 것이 곤란하며, 특히 니트와 같이 굵은 원사로 편직된 날염 매체에 대해서는 착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원사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착색처리를 한 후 편직공정을 수행하는 일련의 동작을 통해 기 프로그래밍된 정형화 이미지 패턴을 편직물에 형성하게 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는, 편직용 원사를 공급하기 위한 원사 공급부; 상기 원사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원사에 염색제를 착색하는 착색부; 편직물에 형성될 이미지 패턴의 각 화소에 상응하는 염색제가 상기 원사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착색되도록 상기 착색부를 구동하여 염색제의 칼라와 착색 패턴을 제어하는 착색제어부; 및 상기 착색부로부터 착색처리된 원사를 공급받아 편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편직물을 직조하는 편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착색부는, 염색제를 수용하기 위한 염색제 탱크; 상기 염색제 탱크로부터 염색제를 공급받아 원사의 특정 부분에 분사하는 분사부; 및 염색제가 분사된 부분에 열을 가하여 염색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색부가, 원사에 착색될 액상의 염색제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부; 공급관을 통해 상기 용기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염색제 탱크; 및 상기 염색제 탱크와 용기부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색제어부를 통해 상기 조절밸브가 구동되어 상기 염색제 탱크로부터 용기부로 유입되는 염색제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공급관을 통해 상기 용기부와 연통되는 한편, 내부공간에는 염색제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농도조절수 탱크; 및 상기 농도조절수 탱크와 용기부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어부를 통해 상기 조절밸브가 구동되어 농도조절수 탱크로부터 용기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는 편직될 이미지 패턴의 일정구간에 상응하는 부분의 원사 상에 식별자를 마킹하기 위한 마킹부; 및 편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별자를 감지함으로써 이미지 패턴의 형성상태를 체크하게 되는 감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식별자는 마그네틱 재료 혹은 형광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원사공급부(5), 착색부(10), 착색제어부(20) 및 편직부(30)를 포함한다.
원사공급부(5)는 편직용 원사를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사 권취수단(미도시)과 장력조절수단(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기술적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원사로는 예컨대, 면이나 울, 아크릴 방적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밖에 각종의 섬유사가 사용 가능하다.
착색부(10)는 착색제어부(20)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구동되어, 상기 원사공급부(5)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편직용 원사에 선택적으로 염색제를 착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염색제는 염료(dye)나 안료(pigment), 섬유염색용 잉크 등의 색소제로 이루어지며, 그밖에 염착을 촉진시키는 촉염제나 균염제, 분산제, 유연제 등의 염색조제가 부가적으로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염색제로는 원사의 종류에 상응하여 다양한 공지의 염색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원사가 아세테이트나 폴리에스테르 방적사인 경우에는 통상의 분산염료가 물, 호료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원사가 울인 경우에는 산성염료가 사용될 수 있고, 면사인 경우에는 반응성 염료가, 아크릴 방적사인 경우에는 염기성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착색부(10) 구성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사(1)에 선택적으로 염색제를 분사하는 분사부(11)와, 분사된 염색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사부(11)와 건조부(15) 사이에는 이송롤러(14)를 개재하여 팽팽한 상태로 원사(1)의 이송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부(11)는 염색제가 수용되는 염색제 탱크(12)와 연결된 상태로 설치가 된다. 상기 분사부(11)의 단부에는 노즐(11a)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바람직하게 콤프레셔(compressor)와 같은 압력제공수단(미도시)이 결합되어 염색제의 분사를 위한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분사부(11)로는 통상의 스프레이건(spray gun)에 사용되는 기술적 구성이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다.
분사부(11)와 염색제 탱크(12) 사이에는 조절밸브(13)가 개재되어 염색제 탱크(12)로부터 분사부(11)에 유입되는 염색제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조절밸브(13)로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그 개폐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밸브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착색제어부(20)를 통해 상기 분사부(11) 또는 조절밸브(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함으로써 원사(1)에 착색되는 염색제의 칼라나 착색면적, 착색속도 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색제어부(20)는 프로그래밍된 처리순서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예컨대, 마이컴(Micom) 형태로 구성되며, 분사부(11)나 조절밸브(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분사부(11)를 통해 선택적으로 염색제가 착색된 원사(1)는 이송롤러(14)를 경유하여 팽팽한 상태로 건조부(15)로 전달되어 건조처리를 거치게 된다. 상기 건조부(15)는 염색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온풍수단이나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15)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통상의 날염장치 등에 구성되는 공지의 건조수단이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15)에서의 건조처리는 원사가 예컨대 면, 울, 아세테이트, 아크릴 등의 방적사인 경우 100 ~ 160 ℃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수초 내지 수십초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건조처리의 공정시간이나 온도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원사나 염색제의 종류에 상응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는 상기 착색부(10)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사(1)에 대하여 침염(dip-dyeing)처리를 수행하여 후단의 편직부(30)로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용기부(16); 염색제 탱크(12) 및 조절밸브(13)를 포함한다.
용기부(16)에는 원사(1)에 착색될 액상의 염색제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부(16) 입구의 원사(1) 유입부분에는 제1안내롤러(17a)가 설치되고, 용기부(16)의 바닥부에는 제2안내롤러(17b)가 설치된다. 따라서, 공급된 원사(1)는 상기 제1안내롤러(17a)와, 제2안내롤러(17b)와, 용기부(16) 후단의 이송롤러(1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이송됨으로써 용기부(16) 내부에 연속적으로 침지되는 동작을 거치게 된다.
염색제 탱크(12)는 바람직하게 복수개가 구비되어 각기 다른 칼라의 염색제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염색제 탱크(12)에는 착색제어부(20)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조절밸브(13)가 결합되며, 상기 조절밸브(13)에는 공급관(18)이 연결되어 액상의 염색제가 상기 용기부(16)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18)에는 부가적으로 압력제공수단(미도시)이 결합되어 염색제의 분사를 위한 소정 압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착색제어부(20)를 통해 각 염색제 탱크(12)의 조절밸브(13)의 개폐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용기부(16)에 유입되는 각 염색제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사(1)에 다양한 혼합칼라를 착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착색제어부(20)는 각 염색제 탱크(12)의 솔레노이드 조절밸브(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는 농도조절수 탱크(19)가 포함되어 원사(1)에 착색되는 염색제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단일한 염색제가 수용된 단일의 염색제 탱크(12)가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다중의 염색제 탱크(12)가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농도조절수 탱크(19)에는 염색제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물이 수용되고, 다른 염색제 탱크(12)와 같이 조절밸브(13) 및 공급관(18)이 결합되어 용기부(16)로 농도조절수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착색제어부(20)를 통해 염색제 탱크(12) 및 농도조절수 탱크(19)의 조절밸브(13)에 대한 개폐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용기부(16)에 유입되는 단일 혹은 다중의 염색제에 대한 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색채의 톤(tone)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패턴으로 원사에 착색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청색(blue) 염료가 수용된 염색제 탱크(12)의 조절밸브(13)를 제어하여 용기부(16) 내의 염료량을 100%, 95%, 90%, 85%,..의 순서로 감소시킴과 더불어, 농도조절수 탱크(19)의 조절밸브(13)를 제어하여 용기부(16) 내의 농도조절수를 1%, 5%, 10%, 15%,..의 순서로 증가시키게 되면, 용기부(16) 내의 염색액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염색제의 농도가 점차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원사에는 청색에서 순차적으로 옅은 하늘색으로 변화된 염색제가 순차적으로 착색되고 후단의 편직부(30)를 통한 편직처리를 거친 후에는 톤(tone)처리된 편직물이 얻어지는 것이다.
착색부(10) 구성의 대안으로는 통상의 잉크젯 프린터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즉, 착색용 헤드가 주기적으로 수평이송되며 선택적으로 원사에 염색제를 착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원사에 염색제를 착색하기 위한 잉크젯 프린터의 상세한 구조는 버블젯(Bubble Jet) 방식, 압전소자(Piezo Type) 방식 등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착색부(10) 구성의 다른 대안으로는 회전 드럼을 이용한 공지의 전사인쇄(decal comania) 방식으로 원사에 염색제를 착색하는 실시예를 들 수 있다. 즉, 회전하는 드럼의 외주면상에 도포부(미도시)를 구성하여 소정 패턴에 따라 염색제를 인쇄한 후 드럼의 회전에 따라 원사에 전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전사인쇄에 사용되는 염색제로는 예컨대, 고온 혹은 저온 분산염료와 물, PVC 등이 혼합된 승화용 전사잉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 디스 아조 옐로우(Dis Azo yellow)와 같은 유기안료와, 기름, 용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비이클과, 드라이어 등의 보조제를 혼합한 전사잉크가 사용될 수 있고, 그밖에 다양한 공지의 전사잉크가 사용 가능하다.
착색부(10) 구성의 또다른 대안은 요판인쇄에 해당하는 공지의 그라비어(gravure) 인쇄방식으로 원사에 염색제를 착색하는 것이다. 즉, 에칭 등의 방법으로 원판에 오목패턴을 형성하고 염색제를 채워넣은 후, 원사를 사이에 두고 롤러 등의 압착수단을 이용하여 압착하여 전사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착색부(10)는 착색제어부(20)로부터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착색제어부(20)는 연동 메모리(25)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 즉, 편직될 이미지 패턴의 각 화소(pixel)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인출한 후 착색부(10)를 구동하여 착색 칼라를 비롯하여 착색패턴, 즉 착색면적이나 농도, 착색속도 등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원사에 대한 선택적인 착색처리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착색부(10) 후단에는 마킹부(35)가 더 구성되어 편직될 이미지 패턴의 일정구간, 예컨대 화상 프레임(frame)을 구성하는 각 행(row)에 상응하는 원사의 양단에 식별자를 마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별자는 마그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밖에 형광물질 등 육안으로는 구분할 수 없으나 소정의 감지수단으로 식별이 가능한 다양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마그네틱 재료로는 예컨대, 통상의 바륨 페라이트 영구자석의 분말체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는 화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원사(1)상에 상기 마킹부(35)를 통해 선택적으로 염색제가 착색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원사(1)의 양단에 식별자(I)가 마킹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양측 식별자(I) 사이의 착색부분은 편직시 화상 프레임의 한 행(one row)을 구성하는 각 화소가 될 수 있으며, 그밖에 편직방법이나 화상 프레임 상의 식별자(I) 설정위치에 따라 두 행(two row) 이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편직 루프(loop)를 생성하여 직조하는 실시예의 경우, 화상 프레임 상의 양단에 식별자(I)가 위치되도록 설정하고 루프가 생성되는 반주기마다 선택적으로 염색제를 착색하게 되면, 양측 식별자(I) 사이의 착색부분은 화상 프레임의 두 행을 구성하는 각 화소가 될 것이다.
마킹부(35)와 더불어 본 발명에는 상기 식별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40)가 부가적으로 더 구성된다. 이 감지부(40)는 편직부(30)측에 구성되어 상기 원사(1)로부터 식별자(I)를 감지함으로써 이미지 패턴의 형성상태, 즉 편직처리에 따라 화상 프레임의 각 행이 제대로 형성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감지부(40)의 구성은 식별자(I)를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자(I)가 마그네틱 재료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지부(40)는 홀(hole)센서와 같은 자기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식별자(I)가 자외선 여기 형광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통상의 UV램프와 같은 자외선발생부와, 형광체의 발광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소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것이다.
상기 감지부(4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착색제어부(20)로 입력되어 착색부(10)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제어를 위한 인자(factor)로 사용된다. 즉, 해당 시점 감지부(40)에 식별자(I)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착색제어부(10)에서는 이를 에러(error) 상태로 판단하고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여 착색부(10) 및 편직부(30)의 구동을 중단시키거나 오차보상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편직부(30)는 착색부(10)로부터 선택적 착색이 이루어진 원사를 공급받아 편직물을 직조하는 부분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통상의 횡편기, 환편기 등 각종 편직장치의 구성이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편직부(30)에 전달되는 원사는 단일의 원사공급부(5) 및 착색부(10)는 물론이며, 병렬구성된 다중의 원사공급부(5) 및 착색부(10)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염색제로서 염료(dye)가 채용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편직부(30)의 후단에는 증열기(미도시)가 부가적으로 더 포함되어 고착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증열기는 원사(1)에 염료가 고착되도록 스티밍(steaming)처리를 하는 것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증열장치가 동일하게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증열기는 스팀을 상기 편직물에 가할 수 있는 한 상기 편직부(30)와 어떠한 결합관계를 가져도 무방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착색제어부(10)는 바람직하게 상기 편직부(30)의 편직속도에 동기하여 착색부(10)의 착색처리 속도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 착색제어부(10)와 연동하는 메모리(25)에는 편직부(30)의 게이지(gauge) 및 편직물의 사이즈 등의 인자에 기반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편직부(30)가 3게이지, 즉 인치당 바늘이 3개로 구성되고 루프의 반주기마다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는 폭 20인치의 편직물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이에 상응하여 메모리(25)에는 화상 프레임의 두 행(two row)당 120개(20인치x3게이지x2)의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단계①은 기설정된 화상이미지에 따라 착색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제어명령 데이터열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착색부(10)에서는 단계②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열의 액티브(active) 레벨에 동기하여 원사공급부(5)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사에 염색제를 선택적으로 착색한다.
착색부(10)를 경유하면서 선택적으로 염색제가 착색된 원사는 편직부(30)로 전달되어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편직물로 편직처리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단계③은 이러한 과정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루프의 형성과 함께 화상 프레임의 화소를 형성하게 되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는 편직물(K)을 제조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희망하는 다양한 패턴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편직물상에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단 원사에 선택적 착색처리를 한 다음 일련의 편직처리를 수행하여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편직물을 제조하게 되므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염색 혹은 날염공정시 옷감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사의 종류나 편직물의 두께에 제한없이 균일한 착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서 착색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착색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원사에 식별자가 마킹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편직물에 이미지 패턴이 형성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5...원사공급부 10...착색부 11...분사부
12...염색제 탱크 13...조절밸브 15...건조부
16...용기부 19...농도조절수 탱크 20...착색제어부
25...메모리 30...편직부 35...마킹부
40...감지부 I...식별자

Claims (10)

  1. 편직용 원사를 공급하기 위한 원사 공급부;
    상기 원사 공급부로부터 전달되는 원사에 염색제를 착색하는 착색부;
    편직물에 형성될 이미지 패턴의 각 화소에 상응하는 염색제가 상기 원사의 길이를 따라 선택적으로 착색되도록 상기 착색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염색제의 칼라와 착색 패턴을 조절하는 착색제어부; 및
    상기 착색부로부터 착색처리된 원사를 공급받아 편직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편직물을 직조하는 편직부;를 포함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부가,
    염색제를 수용하기 위한 염색제 탱크;
    상기 염색제 탱크로부터 염색제를 공급받아 원사의 특정 부분에 분사하는 분사부; 및
    염색제가 분사된 부분에 열을 가하여 염색제를 건조시키도록 온풍수단이나 히터를 구비한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부가,
    원사에 착색될 액상의 염색제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부;
    공급관을 통해 상기 용기부에 염색제를 공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염색제 탱크; 및
    상기 염색제 탱크와 용기부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어부를 통해 조절밸브가 구동되어 염색제 탱크로부터 용기부로 유입되는 염색제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염색제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여 공급관을 통해 상기 용기부로 공급하게 되는 농도조절수 탱크; 및
    상기 농도조절수 탱크와 용기부 사이에 개재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어부를 통해 조절밸브가 구동되어 농도조절수 탱크로부터 용기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부가,
    외주면이 원사와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드럼; 및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 일측에 염색제를 도포하여 회전드럼의 회전시 상기 원사에 착색되도록 하는 도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부가,
    염색제가 채워지도록 오목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원판; 및
    원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원판 상에 압력을 가하여 원사에 염색제를 전사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직될 이미지 패턴의 일정구간에 상응하는 부분의 원사 상에 식별자를 마킹하기 위한 마킹부; 및
    편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식별자를 감지함으로써 이미지 패턴의 형성상태를 체크하게 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가 마그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가 형광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제에는 염료가 함유되고,
    미고착된 염료를 고착시키기 위해, 상기 편직부에서 직조된 편직물에 대하여 스팀을 가하도록 상기 편직부의 다음단에 설치되는 증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편직물 제조장치.
KR10-2002-0084463A 2002-12-26 2002-12-26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050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463A KR100503557B1 (ko) 2002-12-26 2002-12-26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463A KR100503557B1 (ko) 2002-12-26 2002-12-26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535U Division KR200308771Y1 (ko) 2002-12-26 2002-12-26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678A KR20040057678A (ko) 2004-07-02
KR100503557B1 true KR100503557B1 (ko) 2005-07-27

Family

ID=3735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463A KR100503557B1 (ko) 2002-12-26 2002-12-26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223B1 (ko) * 2006-03-23 2006-08-22 주식회사 로보피아 줄무늬를 갖는 직물의 편직 디자인 방법 및 장치
KR200472057Y1 (ko) * 2012-07-13 2014-04-03 정수현 방향제 부착용 직물 제조 장치
KR20210023326A (ko) 2019-08-23 2021-03-04 정국찬 다색 편직물 무커팅 형성가능한 섬유 편직 장치
KR102240807B1 (ko) 2019-10-16 2021-04-15 정국찬 다색 편직물 무커팅 형성가능한 섬유 편직 장치의 실린더 상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678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8855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tinción continua con índigo.
CN109487469B (zh) 一种染色装置及其方法
US3906757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dyeing of yarns
IL174273A (en)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ly coating textile
ITMI20060048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tintura con indaco
KR100503557B1 (ko)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US6328767B1 (en) Yarn with partial dyed side surface and device for adhering dye liquid to drying and taking up the same
JP2015055015A (ja) 色柄編機の染色装置
CN1587483A (zh) 刺绣品的热彩化工艺方法、产品
CN108642756A (zh) 一种段染染色固色模块化组合设备
CN101775719A (zh) 一种喷涂法染布的工艺
CN101929047B (zh) 一种生产混彩花纹效果布料的方法
KR100985471B1 (ko) 실시간 염색 기능을 구비한 자수기
KR200406083Y1 (ko) 섬유사 나염 사이징 장치
JP2006299462A (ja) 色柄横編機
KR200308771Y1 (ko)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다색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1684233B1 (ko) 다색의 크레이프 원사 스페이스 염색방법 및 그 장치
CN109572175A (zh) 经纱转印机
CN107723974A (zh) 一种无污水印染转移与上色一体化装置
KR100469585B1 (ko) 스팽글 원단의 발염방법
CN111778617B (zh) 一种仿蜡印花面料仿提花的工艺
KR200385403Y1 (ko) 날염 원단용 증열기
CN208914781U (zh) 经纱转印机
KR100921983B1 (ko) 원단에 탈색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6410091B1 (en) Plastisol-printed dyed polyester fabric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