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314B1 -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314B1
KR100503314B1 KR10-2002-0014215A KR20020014215A KR100503314B1 KR 100503314 B1 KR100503314 B1 KR 100503314B1 KR 20020014215 A KR20020014215 A KR 20020014215A KR 100503314 B1 KR100503314 B1 KR 100503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ittent
sensor
detection sensor
magnet
continuous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010A (ko
Inventor
정종명
Original Assignee
정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명 filed Critical 정종명
Priority to KR10-2002-001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3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은, 인체에 의해 발생된 원적외선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지속적인 센싱과 전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 전원 인가시 전자석으로 되어 극성이 바뀌도록 된 코아판 끝단에 자석을 구비시켜 자석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무브먼트부, 및 상기 무브먼트부에서 발생되는 자석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의 실리콘창(103) 상부를 가려 원적외선의 입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자석에 접합된 단속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시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특히 공공시설에 설치된 다수의 전등 중 미등(전력소비가 낮은 전등) 한개 정도만 켜놓았다가 사람이 접근하게 되면 다른 전등들도 켜지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공기기를 사용자가 있을때만 작동되도록 자동 전원 차단기능을 추가 설치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continuous sensor-lamp and, method for as the same}
본 발명은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코일이 감긴 코아판에 자석을 구비시켜 전류의 인가에 따른 자석의 회전운동을 발생하는 무브먼트부의 회전축에 접합된 단속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센서의 실리콘창 상부를 가려 적외선의 입사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연속적으로 센싱되도록 구성된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평상시에는 비워두었다가 이용할 때만 잠깐씩 머무르는 장소가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장소는 이용하지 않는 시간에도 계속 전등을 켜 둔다거나 아니면 사용자가 이용할 때 직접 점등하고 나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계속 점등해 놓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개발된 기존의 센서등은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게되면 점등되었다가 전등이 켜진 뒤에 움직여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소등이 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중간에 소등이 되지않기 위해서는 인체가 움직여 주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그래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무거운 짐을 들고있거나 용무를 보고 있거나 하여 기다리는 동안 몸의 움직임이 작거나 아니면 움직임이 없으면 갑자기 전등이 소등되어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용무를 보거나 기다리는 동안 괜히 몸을 움직여야 되는 이런 어려운 장소에서는 설치할 수가 없으므로 획기적인 기능에도 불구하고 적용범위가 매우 한정적으로 되어 버렸다.
상기와 같이 이용되는 센서의 원리를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초전형 적외선 센서에 사용되는 초전재료는 Pb(Zr,Ti)O3계의 압전세라믹이나 LiTaO3와 같은 단결점을 사용하여 도 1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즉 캡(101)상부에 적외선 파장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실리콘창(103)을 설치하고, 하부패키지(105)위에 적외선을 감지하는 초전체(109)를 유리로 된 지지대(107) 상부에 접착제로 고정한 후 알루미나 기판(111)과 접착제로 고정되고 알루미나 기판(111)위에 고임피던스 부하(113)를 인쇄하여 초전체(109)의 온도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가 흐르도록 되어있다. 부하(113)를 통과한 후 전류 증폭기인 FET(115)에 의하여 증폭된다. 한편 하부지지대(105)에는 신호를 외부로 유도하는 와이어(117)가 설치되며 상부 캡(101)과 하부패키지(105)는 질소봉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초전체(109)의 작동원리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초전체(109)의 내부에는 특정방향의 자발분극(123)을 갖도록하면 도 2(a)와 같이 임의의 온도(TK)에서 표면에 부유전하(121)가 초전체(109)의 내부전하와 반대의 부호를 갖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초전체(109)에 적외선이 입사하여 접촉하게 되면 열에 의하여 초전체(109)의 온도가 도 2a의 TK에서 도 2b의 (T+T)K만큼 상승하게 되며, 아래의 식 1에 따라 내부의 자발분극(123)량이 도 2(b)와 같이 변화하게 된다.
T = k * Ps ------- 식 1
여기서, T는 온도변화량, k는 비례상수, Ps는 자발분극의 변화량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내부 자발분극(123)의 변화는 급속히 변화하게 되고, 표면에 결합되어 있던 부유전하(121)는 이러한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도 2(b)의 점선으로 둘러싸이지 않은 부유전하(123)가 단시간에 걸쳐 관찰된다.
이러한 내부 자발분극(123)과 결합하지 않은 부유전하(121)는 초전체(109) 표면의 도선에 의하여 접속한 고임피던스 부하(113)를 통하여 흐르고 이때 전압계를 연결하면 출력전압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초전형 적외선 검출기는 온도변화를 검출하기 때문에 초전체(109)의 온도가 변화하여, 고임피던스 부하(113)를 통하여 출력전압이 발생한 후 안정상태로 되면(즉, 미결합된 부유전하가 방전된 후)출력접압은 더 이상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속적인 출력을 언기위해서는 입사되는 적외선을 일정 주기로 단속시켜 초전체(109)에 연속적으로 온도변화를 주어야 한다.
이때 단속주기가 너무 빠르면 초전체(109)가 미쳐 적외선에 의하여 가열되지 못하여 출력접압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초전체(109)의 열용량을 고려하여 단속주기를 적정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동작 없이도 인체의 유무를 지속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코일이 감긴 코아판에 자석을 구비시켜 전류의 인가에 따른 자석의 회전운동을 발생하는 무브먼트부의 회전축에 접합된 단속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단속부는 센서의 실리콘창 상부를 가림으로서 입사되는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단속하여 센서가 연속적으로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은, 움직임의 동작에 의해 인체가 감시구역내에 들어오면 인체에 의해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켜 지속적인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센서부위를 자동 개폐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원적외선 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미리 설정된 샘플링 시간으로 샘플링한 후 인체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속적인 센싱을 위한 신호의 발생과 전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과, 교류전원 인가시 전자석으로 되어 극성이 바뀌도록 된 말굽형상의 코아판 양측 끝단에 N극과 S극이 마주보며 형성된 자석을 구비시켜 자석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무브먼트부 및 상기 무브먼트부(400)에서 발생되는 선택적인 자석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의 실리콘창(103) 상부를 가려 원적외선의 입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으며 상기 자석(415) 상부면에 접합된 단속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브먼트부는 상기 마이컴(300)에 의해 발생된 지속적인 센싱을 위한 신호를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N극과 S극이 마주보며 형성된 자석 중심에 관통된 일정 직경을 갖는 기둥형상의 회전축(413)이 관통되어 구비된 지지부재(403) 상부에 접합되며 전원공급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405)이 감긴 "ㄷ "자 형상으로 양측 끝단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중심홀(411)을 기준으로 자석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곡면부가 구비된 코아판(4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속부는 일측에 상기 중심축에 압착되는 구멍을 갖으며 타측으로 일정 넓이를 갖는 스틱형상으로 된 것과, 중심에 상기 중심축에 압착되는 구멍을 갖으며 부채꼴로 형성된 일정 각도의 원형 센싱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뿐만 아니라,
움직임의 동작에 의해 인체가 감시구역내에 들어오면 인체에 의해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켜 지속적인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센서부위를 자동 개폐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빛의 밝기에 따라 저항 값이 다르게 검출되는 소자를 이용하여 센서등 설치장소의 조도를 검지한 후, 미리 설정된 조도 값과의 비교를 수행하는 조도측정단계와,
상기 조도의 밝기에 따라 단속부의 구동을 단속하는 구동타이머의 동작으로 센서의 센싱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회전시키는 단속부구동단계와, 상기 단속부의 상태에 따라 감지된 적외선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호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저장하고 나서, 상기 구동타이머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아직 구동타이머의 설정시간까지 지속적으로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센싱단계 및 상기 단속부가 닫힌상태에서 구동타이커의 설정시간 동안 디지털신호값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해놓은 기준값과 비교에 따라 전등이 계속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인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허용범위적용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허용범위적용단계는 전등의 점등시간설정에 따라 설정값에서 임의의 값을 반복적으로 빼나가 점등시간의 설정된 시간이 0으로 되면 전등을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속부구동단계는 구동타이머의 시간 설정을 1초로 하였을 경우 1초마다 단속부를 1회 구동 시 180도를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속부구동단계는 무브먼트부의 코일에 가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최초 단속부의 회전시 실리콘창의 상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싱단계와 상기 허용범위적용단계는 구동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끝나게 되면 상기 조도측정단계의 조도검지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허용범위적용단계는 상기 디지털 신호값의 최대치가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에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등시간을 20 ~ 30초로 설정한 것이 바람직 하겠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감지 센서등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움직임의 동작에 의해 인체가 감시구역내에 들어오면 인체에 의해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부(100)가 구비된다. 도시 되지 않았으나,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원적외선을 모아주는 집광렌즈와 집광 후 적외선 파장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를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상기 센서부에(100) 의해 필터링되어 검출된 원적외선 에너지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증폭된 원적외선 신호를 미리 설정된 샘플링 시간으로 샘플링한 후 인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마이컴(300)을 형성시킨다.
상기 마이컴(300)에는 상기 증폭된 원적외선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부(310)와, 상기 A/D 변환부에서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가 인체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임을 분석하여 상기 센서부(100)에 대한 제어신호나 전등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분석제어부(330)와, 상기 원적외선신호 데이터가 센서부(100)에 대한 제어신호로 판별되면 지속적으로 센싱을 하기 위한 단속부의 회전시간을 조절하는 구동타이머의 작동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속제어출력부(350) 및 상기 원적외선 신호 데이터가 전등에 대한 제어신호로 판별되면 해당 전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등의 점등시간을 카운팅을 수행하는 전등제어부(370)를 더 형성이 되어있다.
상기 마이컴(300)에 의해 발생된 단속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자석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무브먼트부(400)와, 상기 무브먼트부(400)에서 발생되는 회전운동에 대해 회전축에 구비되며, 일측은 상기 센서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실리콘창(103) 상부를 회전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속부(500)를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전등제어부(37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전등(600)을 형성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브먼트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일측 외주면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405)이 감긴 "ㄷ "자 형상의 코아판(401)이 구비되고, 상기 코아판(401) 양측 끝단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대응되도록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의 코아판(401) 저면에는 상기 코아판(401) 양측 끝단의 사이에 위치하며 일정 직경을 갖는 중심홀(411)이 관통되어 구비된 지지부재(403)가 접착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중심홀(411)을 기준으로 일정 직경의 원을 그리며 상기 코아판(401)의 마주보고 있는 면을 절삭하여 곡면부(412)를 형성시킨다.
상기 중심홀(411)에는 기둥형상의 회전축(413)이 삽입된다.
상기 중심홀(411) 즉, 상기 곡면부(412)가 이루는 원의 중심에서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곡면부(412)와 근접하게 상기 곡면부(412) 내측에 원형의 자석(415)을 부설시킨다.
상기 자석(415)은 N극과 S극이 마주보며 중심이 상기 회전축(413)이 관통하도록 제작된다.
상기 자석(415) 상부면을 돌출한 회전축(413)에는 일측에 상기 회전축(413)과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센서의 실리콘창(103) 상부를 덮을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 단속부(500)가 삽입되어 상기 자석(415)의 상부면과 접합된다.
상기 자석(415)에 접합된 단속부 상부면에는 회전축(413)과의 견고한 접합을 위한 조임부(417)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무브먼트부(400)는 우선 상기 코일(405)의 a로 "- "전류를 인가하고, 코일 b로 "+ "전류를 인가하게되면, 상기 "ㄷ "자 형상의 코아판(401) 일측 즉, A부분은 "S "극으로 자장이 형성되고, 타측 즉, B부분은 "N "극으로 자장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413)을 중심으로 원형의 자석(415)중 "S "극에 해당되는 부분이 코아판(401) "B "쪽으로 이동하게되고, "N "극에 해당되는 부분이 코아판 "A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단속부(500)가 회전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또한, 상기 두가지의 방향이동은 동시에 일어남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코일(405)의 a로 "+ "전류를 인가하고, 코일(405) b로 "- "전류를 인가하게되면, 상기 "ㄷ "자 형상의 코아판(401) 일측 즉, A부분은 "N "극으로 자장이 형성되고, 타측 즉, B부분은 "S "극으로 자장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회전축(413)을 중심으로 원형의 자석(415)중 "N "극에 해당되는 부분이 코아판(401) "B "쪽으로 이동하게되고, "S "극에 해당되는 부분이 코아판(401) "A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단속부(500)가 회전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되며, 또한, 상기 두가지의 방향이동은 동시에 일어남은 자명할 것이다. 결국 상기 두가지의 코일(405)에 전류를 인가하는 방법으로 단속부(500)의 180°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의 전류 인가방법을 반복적으로 계속함으로써 단속부(500)의 회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감지 센서등의 단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단속부의 회전되는 중심에 구멍(501)을 형성시켜 상기 회전축(413)에 압착 고정되도록 구비시켜 회전 각도에 따라 센싱구간(d)을 설정하여 이에 따라 알맞게 제작하여 구비시킨다. 또한, 도면과 같이 나열된 단속부의 형태는 네가지로 제시하였지만 상기 제시한 것과 다른 형상의 단속부를 제작하여 구동시킬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감지 센서등의 마이컴에서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마이컴에서는 조도측정단계(S100), 단속부구동단계(S200), 센싱단계(S300), 허용범위적용단계(S400)를 진행한다.
상기 조도측정단계(S100)는 마이컴(300)의 외부콘트롤단자의 입출력 상태를 정의해 주고, 연속감지 센서등의 작동 수행을 위한 설정값을 정의하는 초기화를 수행하고(S101), 센서등 설치장소의 조도를 검지한 후(S103), 미리 설정된 조도 값과의 비교를 수행한다(S105). 상기 조도 검지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빛의 밝기에 따라 저항 값이 다르게 검출되는 소자를 이용함이 바람직 하겠다.
상기 단속부구동단계(S200)는 상기 조도 검지결과 조도가 밝다고 판별되면 전등을 점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조도 검지과정을 다시 수행하고, 반면 어둡다고 판별되면 구동타이머의 동작으로 인해 단속부(500)가 1회 구동(180도 회전)이 이루어지며(S201), 무브먼트부(400)의 코일에 가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열림과 닫힘을 판단하여 초기에는 단속부(400)가 오픈상태를 유지한다(S203).
상기 센싱단계(S300)는 상기 단속부(400)의 상태가 열린상태이면 실리콘창(103)이 단속부(400)에 의해 개방되므로 센서에 의해 설치장소 주위의 적외선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호 값으로 변환한 후(S301), 디지털 신호의 최대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저장하고나서(S303), 상기 구동타이머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S305) 아직 구동타이머의 시간이 끝나지 않았으면 지속적으로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화하는 과정을 진행하고(S301), 반면 구동타이머의 시간이 끝나게 되면 상기 조도측정단계의 조도검지과정을 수행하게된다(S103).
상기 허용범위적용단계(S400)는 상기 단속부(400)의 상태가 닫힌 상태로 판별되면, 상기의 디지털 신호값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해놓은 기준값과 비교하여(S401) 디지털 신호값의 최대치가 기준값보다 높으면(S403) 전등의 점등시간을 설정한 후(S405), 구동타이머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구동타이머 시간이 종료될때까지 반복적으로 구동타이머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S407), 반면 구동타이머의 시간이 끝나게 되면 상기 조도측정단계의 조도검지과정을 수행하게된다(S103). 상기 점등시간 설정은 사람이 있는지의 확인 후 지속적으로 전등의 점등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시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20 ~ 30초로 설정하였다.
한편, 상기 디지털 신호값의 최대치가 기준값보다 낮으면 구동타이머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S40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등시간 카운팅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허용범위적용단계(S400)에서 전등의 점등시간설정에 따라 설정값에서 임의의 값을 반복적으로 빼나가(S410) 설정 시간이 0 이되면(S412) 종료로 판단하여 전등을 소등하게된다(S414). 이때 설정시간이 종료됐다는것은 인체의 원적외선이 감지되지않아 더 이상의 전등을 켜놓지 않게 된다는 것으로 판단하게 됨이 바람직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감지장치 및 방법은, 복도, 출입문, 엘리베이터, 공중화장실, 가정화장실, 회의실, 창고, 공중전화박스등에 사용되는 전등에 적용시 저렴한가격으로 설치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음과 함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특히 공중화장실과 같이 공공시설에 설치된 다수의 전등 중 미등(전력소비가 낮은 전등) 한개 정도만 켜놓았다가 사람이 접근하게 되면 다른 전등들도 켜지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온풍기, 에어컨등 대전력이 사용되는 공공기기를 사용자가 있을때만 작동되도록 자동 전원 차단기능을 추가 설치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안용 인체감지 센서로 활용하여 인체의 움직임과는 상관없이 인체 그 자체만으로도 감지가 가능하여 보안용으로도 활용이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도 2b는 초전형 적외선 센서의 적외선 감지부 초전재료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감지 센서등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브먼트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속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감지 센서등의 마이컴에서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등시간 카운팅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센서부 200 : 증폭부
300 : 마이컴 310 : A/D 변환부
330 : 분석제어부 350 : 단속제어부
370 : 전등제어부 400 : 무브먼트
500 : 단속부 600 : 전등

Claims (12)

  1. 움직임의 동작에 의해 인체가 감시구역내에 들어오면 인체에 의해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켜 지속적인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센서부위를 자동 개폐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증폭된 원적외선 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미리 설정된 샘플링 시간으로 샘플링한 후 인체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속적인 센싱을 위한 신호의 발생과 전등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
    교류전원 인가시 전자석으로 되어 극성이 바뀌도록 된 말굽형상의 코아판 양측 끝단에 N극과 S극이 마주보며 형성된 자석을 구비시켜 자석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무브먼트부; 및
    상기 무브먼트부(400)에서 발생되는 선택적인 자석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서의 실리콘창(103) 상부를 가려 원적외선의 입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으며 상기 자석(415) 상부면에 접합된 단속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브먼트부는
    상기 마이컴(300)에 의해 발생된 지속적인 센싱을 위한 신호를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N극과 S극이 마주보며 형성된 자석 중심에 관통된 일정 직경을 갖는 기둥형상의 회전축(413)이 관통되어 구비된 지지부재(403) 상부에 접합되며 전원공급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하는 코일(405)이 감긴 "ㄷ "자 형상으로 양측 끝단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중심홀(411)을 기준으로 자석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곡면부가 구비된 코아판(4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일측에 상기 중심축에 압착되는 구멍을 갖으며 타측으로 일정 넓이를 갖는 스틱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중심에 상기 중심축에 압착되는 구멍을 갖으며 부채꼴로 형성된 일정 각도의 원형 센싱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
  5. 움직임의 동작에 의해 인체가 감시구역내에 들어오면 인체에 의해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증폭시켜 지속적인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센서부위를 자동 개폐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빛의 밝기에 따라 저항 값이 다르게 검출되는 소자를 이용하여 센서등 설치장소의 조도를 검지한 후, 미리 설정된 조도 값과의 비교를 수행하는 조도측정단계;
    상기 조도의 밝기에 따라 단속부의 구동을 단속하는 구동타이머의 동작으로 센서의 센싱을 단속하는 단속부를 회전시키는 단속부구동단계;
    상기 단속부의 회전에 따라 감지된 적외선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호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구동타이머의 회전상태를 확인하여 구동타이머의 설정시간까지 반복적으로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여 디지털 신호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값의 최대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센싱단계; 및
    상기 단속부의 회전 중 실리콘창 상부를 가린상태가 되면, 구동타이머의 설정시간 동안의 디지털 신호값의 최대치와 미리 설정해놓은 기준값과의 비교에 따라 전등이 계속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인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허용범위적용단계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허용범위적용단계는
    전등의 점등시간설정에 따라 설정값에서 임의의 값을 반복적으로 빼나가 점등시간의 설정된 시간이 0으로 되면 전등을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단속부구동단계는
    구동타이머의 시간을 1초로 하여 1초마다 단속부를 1회 구동 시 180도를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단속부구동단계는
    무브먼트부의 코일에 가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최초 단속부의 회전시 실리콘창의 상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센싱단계는
    구동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끝나게 되면 상기 조도측정단계의 조도검지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허용범위적용단계는
    구동타이머의 설정시간이 끝나게 되면 상기 조도측정단계의 조도검지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허용범위적용단계는
    상기 디지털 신호값의 최대치가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에 점등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
  12. 제 5 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점등시간을 20 ~ 30초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감지 센서등의 운용방법.
KR10-2002-0014215A 2002-03-15 2002-03-15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 KR100503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215A KR100503314B1 (ko) 2002-03-15 2002-03-15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4215A KR100503314B1 (ko) 2002-03-15 2002-03-15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010A KR20030074010A (ko) 2003-09-19
KR100503314B1 true KR100503314B1 (ko) 2005-07-25

Family

ID=3222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215A KR100503314B1 (ko) 2002-03-15 2002-03-15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625B1 (ko) 2009-04-08 2011-03-16 심병건 인체연속감지센서와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17A (ko) * 2003-08-28 2005-03-10 (주)우인엔터프라이즈 적외선 감지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등의자동 점멸장치 및 방법
KR200450116Y1 (ko) * 2008-03-18 2010-09-06 주식회사 세명전자 센서등
KR101312691B1 (ko) * 2011-08-25 2013-09-27 김종현 인체 감지형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1065A (ja) * 1992-11-09 1994-05-3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
KR200196091Y1 (ko) * 2000-04-28 2000-09-15 주식회사메타텍 센서를 이용한 전등 제어 장치
KR20020029874A (ko) * 2002-01-10 2002-04-20 김재영 인체 연속 감지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1065A (ja) * 1992-11-09 1994-05-3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器具
KR200196091Y1 (ko) * 2000-04-28 2000-09-15 주식회사메타텍 센서를 이용한 전등 제어 장치
KR20020029874A (ko) * 2002-01-10 2002-04-20 김재영 인체 연속 감지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625B1 (ko) 2009-04-08 2011-03-16 심병건 인체연속감지센서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010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0706B2 (en) Method of calibrating a daylight sensor
KR100503314B1 (ko) 연속감지 센서등 및 이의 운용방법
CN106094884B (zh) 智能节能控制装置
WO2015088243A1 (ko) 회전형 초음파모터를 이용한 적외선센서 모듈
JP3684970B2 (ja) パッシブ型の検知装置
CA2619630C (en) Multiple sensor lighting system
CA2619487C (en) Multiple sensor variable illumination level lighting system
KR100454532B1 (ko) 절전스위치
CN213482650U (zh)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
KR101058154B1 (ko) 적외선 센서 조명 제어 장치
JP2002100268A (ja) 非接触スイッチ装置
JP3548847B2 (ja) 物体等の検知装置
KR101033115B1 (ko) 에너지 절약형 인체감지 조명등
KR100202925B1 (ko) 조명기구 자동제어 장치
CN111811664A (zh) 一种存在式人体感应传感器
CN1652653B (zh) 节电开关
KR20170097430A (ko) 연속감지 센서모듈 및 그 구동방법
JPH1137840A (ja) 人検知装置
KR100377806B1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 모듈
JP2001013262A (ja) 電気器具の作動装置および電気器具
JPS5825593Y2 (ja) 照明装置
JPH031784Y2 (ko)
JPS5848324A (ja) 自動点消灯スイツチ
JP3068544U (ja) 人感センサ付き照明装置
KR200346592Y1 (ko)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