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909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909B1
KR100502909B1 KR10-2003-0004281A KR20030004281A KR100502909B1 KR 100502909 B1 KR100502909 B1 KR 100502909B1 KR 20030004281 A KR20030004281 A KR 20030004281A KR 100502909 B1 KR100502909 B1 KR 10050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glass
grooves
discharg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257A (ko
Inventor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9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8Sealing, e.g. seals specially adapted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상판과 글라스 하판을 소정의 미세간격으로 대향 배치하여 상호 직교방향의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양 단부의 내측으로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홈을 형성하여 미세한 흠이 크랙으로 성장되지 않게 막아주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을 구성하는 글라스 기판의 외주연에서 시작되는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전에 의한 칼라 구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화면의 대형화 및 화상 변화의 응답성이 뛰어나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장치이다. 공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방식 별로 교류식과 직류식이 개발되어 있고, 또 방전 형태에 따라 면 방전형과 대향 방전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나 주로 교류 구동식의 면 방전형이 범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교류 구동식 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는 통상 2장의 글라스 기판을 대향되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주변을 밀봉하여 내부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봉되는 기본적 구성에 더하여, 화상 등의 표시면으로 되는 전면측 기판 상에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쌍으로 한 스트라이프상의 표시전극을 여러 쌍으로 형성 배열해 놓고 있고, 기판 상에 가깝게 배열되는 표시전극 사이로는 차광층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은 각각 전용의 투명전극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어 있고, 또 상기 투명전극은 주전원선에서 분지되어 배열되는 것이다. 여기서 통상 투명전극은 ITO, SnO2 등으로 형성되고, 주전원선은 크롬과 동박의 적층체, 혹은 은박 등의 적층체로 형성된다.
최근에는 투명전극 없이 주전원선에서 직접 표시전극을 전개하여 놓은 것도 있고 또 전면측 기판에는 복수열로 배치된 전극군을 덮도록 붕규산 글라스 등으로 되는 유전체층과, 이 유전체층의 상면은 산화 망간층으로 피복하여 높은 2차전자 방출계수를 갖는 보호층으로 형성되게 한 구성도 실시되고 있다.
상기 전면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배면 기판에도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에 직교하는 위치로 데이터전극이 형성 배열되고 인접하는 데이터전극 사이로는 스트라이프상의 격벽이 상기 데이터전극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됨과 아울러 이 격벽의 측면에는 데이터전극을 피복하도록 형광체층이 마련된 방전 셀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방전 셀은 특정의 가스, 예를 들면 헬륨, 네온, 알곤, 키세논 등의 가스로 봉입된다.
상술한 구성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대향하고 사이 공간이 진공으로 유지되는 2장의 글라스 기판에 의해 그 내부에서는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에 대해 데이터전극이 좁은 방전공간을 끼고 직교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전극 사이로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초기 동작에 있어서, 주사전극 또는 유지전극에 방전 개시전압을 초과하는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전체 방전셀에서 방전이 일어나거나 벽전하의 형성, 소멸이 일어난다. 다음에 화상표시 동작에서 데이터전극에 + 화상표시전압을, 그리고 주사전극에 - 주사펄스전압을 인가하면 방전공간 내에서 화상표시 방전이 일어나고 주사전극 상의 보호막층의 표면에 + 전하가 축적된다. 유지동작의 초기에 주사전극에 + 전압을 인가하고 유지전극에 - 전압을 인가하면 주사전극 상의 보호막층 표면의 + 전하에 의해 유지방전이 기동한다. 그 후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에 + 유지펄스전압을 번갈아 인가하는 것으로 유지동작이 지속된다. 이렇게 행해지는 유지방전의 정지는 유지전압에 + 소거펄스전압을 인가하는 것으로 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2장의 대향 배치된 글라스 기판 사이의 미세 간격으로 방전가스를 주입하고 봉지한 것이며, 방전가스 중에서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외선을 배면측의 글라스 기판 상의 형광체에 조사하여 발광 표시되게 하는 것이나,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글라스 기판은 신호가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전체면에 걸쳐 방전이 반복되어 표면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기판의 취약부는 열에 의한 스트레스가 누적되면서 크랙으로 성장하는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열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열판을 부가시켜 기판이 받는 열을 냉각하는 방식이 실시되고 있으나, 이 방열판은 패널의 유효면에 국한시켜 배치될 뿐이고 주변부에는 미치지 않는 것이므로 패널의 주변부에서의 열에 의한 손상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글라스 기판을 모재에서 정해진 규격대로 절단하였을 때 모서리 부분에 남게 되는 미세한 흠 등은 상기 열에 의한 스트레스에 대단히 취약한 부분으로 되어 반복해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점차 커져 크랙으로 성장할 우려가 크므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미세 흠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공정시, 모듈 조립 단계나 모니터 조립 단계 과정에서 작업자나 제조 장치의 기구물이 부가하는 물리적인 힘 또는 충격에 의해서도 크랙으로 조금씩 진행될 수 있다. 가령,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듈 조립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샤시 베이스에 회로 보드를 체결할 때, 대개 조립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배면 기판을 바닥쪽으로 놓은 상태에서 그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회로 보드를 체결하는 힘이 상기 전,배면 글라스 기판으로 부가되어 상기한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힘의 부가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니터 조립 단계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크랙은, 조립 완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어느 일정 장소로 이동시킬 때에, 부주의에 의해 외부 충격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져 상기 충격에 의한 진동이 상기 흠으로 전달되어 일어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어나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절단 가공된 글라스 기판의 모서리 부분을 다시 면취하여 미세한 흠 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대처해 왔다. 그러나 면취 가공하더라도 모서리 부분에는 새롭게 미세한 흠이 남기 마련이며, 이 흠은 그 크기가 종전보다 작게 되는 것일 뿐 이 역시도 열에 의한 스트레스가 반복하여 가해지면 성장해서 크랙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기판 모서리 부분의 미세한 흠이 성장할 수 없는 구조로 개량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라스 상판과 글라스 하판을 소정의 미세간격으로 대향 배치하여 상호 직교방향의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양 단부의 내측으로 패널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홈을 형성하여 미세한 흠이 크랙으로 성장되지 않게 막아주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 양 기판의 단부에 형성된 홈은 그 상면으로 실리콘이 도포될 수도 있다.
도포된 실리콘은 양 기판의 단부가 동작 중에 받게 되는 스트레스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크랙으로의 성장 억제 효과가 더욱 배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관련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이 상호 교차상으로 대향 배치되어 미세 간격을 두고 대치한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양 기판의 대치에 의해 패널은 유효면(2)의 주변으로 각각 기판의 양 단부(4, 6)를 외측방으로 연장시키고 있게 된다. 이들 양 단부(4, 6)에는 기판의 절단 과정에서 미세한 흠을 안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 단부(4, 6)에 그 가장자리를 타고 평행하게 홈(8, 10)을 형성하여 두고 있다.
상기 홈(8, 10)은 기판의 봉합 전에 미리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도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양 기판을 봉합할 때 얼라인 마크로도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 홈(8, 10)의 형성은 다이아몬드 커팅과 같은 물리적 방법은 생산성 문제와 함께 커팅 부위에 응력이 남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글라스 기판을 패터닝하고 소정부위만 식각하여 홈(8, 10)이 형성되게 하는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형성된 홈(8, 10)은 그 외측방에 존재하는 미세 흠이 패널의 동작에 의해 받게 되는 열의 영향으로 성장하게 되더라도 그 성장은 상기 홈(8, 10)과 만났을 때에 더 이상 발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므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로서, 홈(8, 10)이 형성된 기판의 양 단부(4, 6)에 상기 홈(8, 10)을 피복하도록 실리콘층(12)을 도포해 둔 예를 보여 주고 있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14는 방열판(18)의 주변에 개재되는 양면테이프(16)에 의해 접착 설치된 새시이다.
상기와 같이 도포된 실리콘층(12)은 홈(8, 10)이 형성된 부위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홈(8, 10)의 외측에 잔존한 미세 흠이 열에 의한 스트레스에 견딜 수 있게 보강하여 주는 것이므로 상기 미세 흠의 성장 발생이 현저히 억제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미세 흠이 스트레스에 의해 성장하게 되더라도 역시 홈(8, 10)과 만나게 되면 그 성장이 중단되어 버리기 때문에 크랙으로 발전하게 되는 불상사는 생기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글라스 상판과 글라스 하판을 소정의 미세간격으로 대향 배치하여 상호 직교하는 방향의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양 단부의 내측으로 패널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홈을 형성한 것이므로 그 가장자리에 잔존하는 미세한 흠이 패널의 동작에 의한 열의 영향을 받더라도 크랙으로 성장되지 않게 막아주는 장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유효면 4, 6 : 단부
8, 10 : 홈 12 : 실리콘층

Claims (2)

  1. 글라스 상판과 글라스 하판을 소정의 미세간격으로 대향 배치하여 상호 직교방향의 외측방으로 연장되는 양 단부를 가지는 상태로 봉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상판과 하판의 유효면 외측 양 단부는 패널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실리콘층으로 도포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3-0004281A 2003-01-22 2003-01-2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281A KR100502909B1 (ko) 2003-01-22 2003-01-2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281A KR100502909B1 (ko) 2003-01-22 2003-01-2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257A KR20040067257A (ko) 2004-07-30
KR100502909B1 true KR100502909B1 (ko) 2005-07-21

Family

ID=3735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281A KR100502909B1 (ko) 2003-01-22 2003-01-2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9995C (zh) * 2007-01-12 2008-12-0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平面显示面板
CN111710245B (zh) * 2020-07-17 2022-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显示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257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90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20072590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5089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47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7088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908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3089B1 (ko) 플라즈마 표시패널
KR1005805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5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62B1 (ko)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패널조립체
JP3270506B2 (ja)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1029146B1 (ko) 플라즈마 표시패널
KR1007266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298404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03644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775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컬러필터 접합방법
KR1004422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40087697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08138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5524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6면취 유리기판의 제조방법
KR20070032147A (ko) 방전 노이즈를 줄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089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5524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4면취 유리기판의 제조방법
JP200221664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並びにそのシール構造
KR200100774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