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644B1 - 유리고브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유리고브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644B1
KR100502644B1 KR10-2002-0028096A KR20020028096A KR100502644B1 KR 100502644 B1 KR100502644 B1 KR 100502644B1 KR 20020028096 A KR20020028096 A KR 20020028096A KR 100502644 B1 KR100502644 B1 KR 10050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b
glass
glass gob
shaft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101A (ko
Inventor
정만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64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고브를 형성하는 보울과, 상기 보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고브를 수령하는 하부몰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고브를 상기 하부몰드로 전달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유리고브의 낙하방향에 가로로 형성되는 평면 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낙하하는 유리고브와 접촉되는 고브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고브접촉부재가 결합되는 종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크기가 변경되거나 하부몰드의 배치방향이 바뀌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고브접촉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고브 전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고브접촉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데 따른 시간을 줄여 유리제품의 생산량 감소에 따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리고브 전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리고브 전달장치{APPARATUS FOR DELIVERING GLASS GOB}
본 발명은, 유리고브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의 구조를 개선한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상의 유리원료는 멜터 내에서 가열되어 용융된 후, 리파이너 내에서 정제됨으로써 유리제품의 성형을 위한 용융유리로 형성된다. 용융유리는 피더에서 적절하게 교반된 다음 보울을 통해 유출되면서 고브절단기에 의해 일정량만큼 절단된다. 이러한 상태를 유리고브(Glass Gob)라 하며, 유리고브는 보울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몰드로 제공되어 플런저와 함께 유리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이 때, 하부몰드로 제공되는 유리고브에는 고브절단기에 의한 절단자국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단자국은 성형되는 유리제품에 치명적인 결점인 비스코스 불량 등을 발생시킨다.
이에, 고브절단기에 의한 절단자국을 없애기 위해 보울과 하부몰드 사이에는 유리고브 전달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유리고브 전달장치는 지지부 상에 마련되어 회전가능한 긴 봉 형상의 회전축과,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된 고브접촉부재를 갖는다. 고브접촉부재는 하부몰드의 상방, 즉 유리고브의 낙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낙하하는 유리고브와 접촉된 후 회전하면서 유리고브를 믹싱(Mixing)하여 절단자국을 없앤 후 유리고브를 하부몰드로 전달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리고브 전달장치에 있어서는,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크기, 예를 들어 유리제품이 음극선관인 경우, 14인치, 20인치, 30인치 등으로 변경되거나 혹은 하부몰드의 배치방향이 바뀔 경우, 유리고브 전달장치 전체 설비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유리제품의 크기에 따라 하부몰드의 크기 역시 변경되어 설치되며, 이럴 경우, 유리고브가 낙하하는 낙하방향에 대한 하부몰드의 고브 수령 위치가 변경된다. 따라서, 고브접촉부재의 위치 역시 하부몰드의 배치방향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를 변경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유리고브 전달장치에는 고브접촉부재의 위치변경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크기가 변경되거나 하부몰드의 배치방향이 바뀜에 따라 유리고브 전달장치 전체 설비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피할 수는 없다. 더욱이, 유리고브 전달장치 전체 설비를 이동 배치하는 시간만큼 유리제품의 생산량이 감소되므로 이에 따른 로스(Loss)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크기가 변경되거나 하부몰드의 배치방향이 바뀌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고브접촉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고브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브접촉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데 따른 시간을 줄여 유리제품의 생산량 감소에 따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리고브 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유리고브를 형성하는 보울과, 상기 보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고브를 수령하는 하부몰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고브를 상기 하부몰드로 전달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유리고브의 낙하방향에 가로로 형성되는 평면 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낙하하는 유리고브와 접촉되는 고브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고브접촉부재가 결합되는 종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길이 연장 및 수축가능한 텔레스코픽바아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종동축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한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종동축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축으로는 복수의 기어열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간편하게는 상호 경사지게 치형 맞물림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로 채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고브 전달장치(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고브(G)를 형성하는 보울(10)과 보울(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리고브(G)를 수령하는 하부몰드(2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보울(10)은 용융유리의 유로를 이루는 피더(11)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보울(10) 내에는 용융유리를 교반하여 보울(10)의 하단에 형성된 고브유출구(10a)로 용융유리를 일정량만큼 밀어내는 니들유니트(12)가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브유출구(10a)의 주변에는 니들유니트(12)의 하강시 고브유출구(10a)로 유출된 용융유리를 소정의 중량만큼 절단하여 유리고브(Glass Gob)로 형성하는 고브절단기(14)가 마련되어 있다.
보울(10)의 하부에는 고브유출구(10a)로부터 낙하하는 유리고브(G)를 수령하는 하부몰드(22)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몰드(22)는 회전가능한 원반상의 턴테이블(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소정의 스테이션을 형성한다. 즉, 유리고브(G)가 수령되었을 경우에는 도시 않은 플런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예를 들어 음극선관과 같은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성형된 유리제품을 냉각하는 냉각 스테이션, 그리고, 후공정으로 유리제품의 이송하는 이송 스테이션을 형성한다. 이러한 하부몰드(22)는 페디스털(21)에 의해 턴테이블(20) 상에 지지되어 있다.
보울(10)과 하부몰드(22) 사이에는 고브절단기(14)로 인해 유리고브(G)에 형성된 절단자국을 없앤 후, 유리고브(G)를 하부몰드(22)로 전달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30)가 마련되어 있다.
유리고브 전달장치(30)는 지지부(31)와, 지지부(31) 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60)과, 회전축(6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삽입공(80a)이 형성된 고브접촉부재(80)와, 회전축(60)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50)를 포함한다.
지지부(31)와 회전축(60) 사이에는 고브접촉부재(80)를 포함한 회전축(6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슬라이더(32,36,39)가 마련되어 있다. 각 슬라이더(32,36,39)는 지지부(31)를 중심으로 고브접촉부재(80)를 하부몰드(2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슬라이더(32)와, 제1슬라이더(32)의 이동방향에 가로로 이동가능한 제2슬라이더(36)와, 고브접촉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슬라이더(39)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더(32)는 그 하단이 지지부(31)와 상호 도브테일 형상으로 맞물려 있으며, 지지부(31)와 제1슬라이더(32) 사이에는 제1슬라이더(32)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핸들(34)이 마련되어 있다. 제2슬라이더(36) 역시 그 하단이 제1슬라이더(32)의 상단과 상호 도브테일 형상으로 맞물려 있으며, 제1 및 제2슬라이더(32,36) 사이에는 제2슬라이더(36)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핸들(37)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3슬라이더(39)는 회전축(60)을 포함하여 회전구동부(50)와 일체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제2 및 제3슬라이더(36,39) 사이에는 제2슬라이더(36)에 대해 제2슬라이더(36)를 승강시키기 위한 실린더장치(41)가 마련되어 있다. 실린더장치(41)는 일단이 제2슬라이더(36)에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본체(42)와, 실린더본체(42)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축소되며 단부가 제3슬라이더(39)에 결합된 실린더로드(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린더장치(41) 주변에 설치되어 제3슬라이더(39)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로드(미도시) 등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한편, 유리고브 전달장치(30)의 전체적인 크기를 고려할 때, 제1 및 제2핸들(34.37), 그리고 실린더장치(41)에 의해 이동되는 각 슬라이더(32,36,39)의 이동 거리는 그다지 크지 않다. 따라서, 유리제품의 크기에 따라 대응하는 하부몰드(22)를 턴테이블(20) 상에 재설치하거나 혹은 하부몰드(22)의 배치방향이 바뀔 경우, 각 슬라이더(32,36,39)의 이동만으로는 원하는 위치로 고브접촉부재(80)를 이동시킬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0)의 구조를 개선하고 있다. 회전축(60)은 제3슬라이더(39)에 설치된 축지지부(4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축(60)은 하부몰드(22)로 제공되는 유리고브(G)의 낙하방향에 가로로 형성되는 평면 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단위부재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단위부재부분을 각각 구동축(61) 및 종동축(63)으로 하여 설명한다.
회전축(60)은 제3슬라이더(39) 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일단이 회전구동부(50)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축(61)과, 구동축(61)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고 일단부에 고브접촉부재(80)가 결합되는 종동축(63)을 포함한다.
구동축(61)과 종동축(63)은 각기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바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낙하하는 유리고브(G)에 대한 고브접촉부재(80)의 배치 위치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고자 한다면, 텔레스코픽바아로 되어 있는 구동축(61)과 종동축(63)의 외측면에 눈금선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동축(63)의 단부에는 나사부(63a)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부(63a)와 이격된 위치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랜지(6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종동축(63)을 고브접촉부재(8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80a)으로 삽입한 후, 고브접촉부재(80)의 일단이 연장플랜지(63b)에 접촉된 상태에서 너트(84)를 나사부(63a)에 체결함으로써 고브접촉부재(80)를 설치할 수 있다.
구동축(61)과 종동축(63)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전달부(70)가 마련되어 있다. 전달부(70)는 회전구동부(50)에 의한 구동축(61)의 회전운동을 종동축(63)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한다. 이에, 전달부(70)는 상호 경사지게 치형 맞물림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71,72)를 포함한다. 각 베벨기어(71,72)에는 구동축(61) 및 종동축(63)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73,74)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구동부(50, 도 1 참조)는 제3슬라이더(39)에 연결되어 제3슬라이더(39)와 함께 승강가능한 브래킷(46)에 지지되어 있는 구동모터(51)와, 구동모터(51)의 모터축에 결합된 구동풀리(53)와, 구동축(61)의 일단에 마련된 피동풀리(55)와, 구동풀리(53) 및 피동풀리(55)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벨트(57)를 포함한다. 이에, 구동모터(51)가 작동되어 모터축이 회전하면 회전력을 구동풀리(53), 벨트(57) 및 피동풀리(55)로 옮겨지면서 구동축(6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구동모터(51)로는 정역 회전 및 정지각 제어가능한 스태핑모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리고브 전달장치(30)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턴테이블(20) 상에 하부몰드(22)가 "A" 상태에서 "B" 상태로 그 배치방향이 바뀐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유리고브 전달장치(3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대해 용이하게 설명하고자 도시한 도면일 뿐, 실제로는 하나의 턴테이블(20) 상에 하부몰드(22)가 "A" 상태 및 "B" 상태로 뒤섞여 배치된 경우는 없으며, "A" 상태 혹은 "B" 상태로 일률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언급한다. 이 때, "B" 상태가 비교적 크기가 큰 유리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하부몰드(22)의 배치상태가 된다.
먼저, 종동축(63)으로 고브접촉부재(80)의 삽입부를 끼워 넣는다. 고브접촉부재(80)의 일단이 연장플랜지(63b)에 접촉되면 너트(84)를 이용하여 종동축(63)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63a)로 체결함으로써 종동축(63)에 고브접촉부재(80)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고브접촉부재(80)가 장착된 종동축(63)의 단부를 제2베벨기어(72)의 결합부(74)와 결합시킨다. 그러면, 회전구동부(50)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축(61)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종동축(63)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 제1핸들(34)을 조작하여 지지부(31)에 대하여 제1슬라이더(32)를 도 1의 좌우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켜 그 위치를 맞춘 후, 제2핸들(37)을 조작하여 제1슬라이더(32)에 대하여 제2슬라이더(36)를 도 1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를 맞춘다. 그런 다음, 실린더본체(42)에 작동유체를 공급하여 실린더로드(44)를 작동시켜 제3슬라이더(39)를 소정 거리 승하강시키면서 제3슬라이더(39)의 그 위치 역시 적절하게 조절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3슬라이더(32,36,39)의 이동거리는 매우 적으며, 턴테이블(20)의 주변설비 등과를 고려할 때, 최초 설치된 상태를 거의 유지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유리제품 성형공정이 개시된다. 즉, 니들유니트(12)의 하강에 의해 보울(10)의 고브유출구(10a)로 일정량의 용융유리가 흘러나오게 되면, 용융유리는 고브절단기(14)에 의해 소정의 중량만큼 절단되어 유리고브(G)의 형태로 하강한다.
하강된 유리고브(G)는 회전하는 고브접촉부재(80)에 접촉된다. 즉, 구동모터(51)의 작동에 의해 모터축이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구동풀리(53), 벨트(57) 및 피동풀리(55)로 옮겨지면서 구동축(61)을 회전시킨다. 구동축(61)이 회전되며 제1베벨기어(71) 및 제2베벨기어(72)를 통해 종동축(63)이 회전되고 이에 결합된 고브접촉부재(80)가 회전할 수 있다.
이처럼 회전되는 고브접촉부재(80)에 보울(10)로부터 낙하된 유리고브(G)가 접촉되면 유리고브(G)는 고브접촉부재(80)의 외표면을 따라 믹싱(Mixing)된 후, 그 절단자국이 소멸된다. 그런 다음 고브접촉부재(80)로부터 다시 낙하하여 하부몰드(22) 내로 전달된다. 하부몰드(22) 내에 유리고브(G)가 제공되면 도시 않은 플런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하부몰드(22) 내에서 유리제품이 성형된다.
이 때, 구동축(61)과 종동축(63)의 길이는 보울(10)과 하부몰드(22)간의 상관관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61)과 종동축(63)이 텔레스코픽바아로 되어 있다면, 낙하하는 유리고브(G)의 낙하방향에 맞추어 구동축(61)과 종동축(63)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60)을 유리고브(G)의 낙하방향에 가로로 형성되는 평면 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단위부재부분으로 형성함으로써,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크기가 변경되거나 하부몰드(22)의 배치방향이 바뀌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고브접촉부재(80)의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고브접촉부재(80)의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가변시킴으로써, 고브접촉부재(8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데 따른 시간을 줄여 유리제품의 생산량 감소에 따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축을 두 개의 단위부재부분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의 단위부재부분으로 회전축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되는 유리제품의 크기가 변경되거나 하부몰드의 배치방향이 바뀌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고브접촉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고브 전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브접촉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키는데 따른 시간을 줄여 유리제품의 생산량 감소에 따른 로스(Loss)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유리고브 전달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고브 전달장치 주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회전축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확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울 14 : 고브절단기
20 : 턴테이블 22 : 하부몰드
30 : 유리고브 전달장치 31 : 지지부
50 : 회전구동부 60 : 회전축
61 : 구동축 63 : 종동축
70 : 전달부 80 : 고브접촉부재

Claims (5)

  1. 유리고브를 형성하는 보울과, 상기 보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고브를 수령하는 하부몰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고브를 상기 하부몰드로 전달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유리고브의 낙하방향에 가로로 형성되는 평면 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낙하하는 유리고브와 접촉되는 고브접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적어도 일단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축선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며 일단부에 상기 고브접촉부재가 결합되는 종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길이 연장 및 수축가능한 텔레스코픽바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및 상기 종동축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한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종동축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호 경사지게 치형 맞물림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고브 전달장치.
KR10-2002-0028096A 2002-05-21 2002-05-21 유리고브 전달장치 KR100502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096A KR100502644B1 (ko) 2002-05-21 2002-05-21 유리고브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096A KR100502644B1 (ko) 2002-05-21 2002-05-21 유리고브 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101A KR20030090101A (ko) 2003-11-28
KR100502644B1 true KR100502644B1 (ko) 2005-07-20

Family

ID=3238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096A KR100502644B1 (ko) 2002-05-21 2002-05-21 유리고브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51B1 (ko) * 2010-12-21 2012-02-15 임소영 원토 선별 및 이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560U (ko) * 1974-12-19 1976-06-23
JPS5179559U (ko) * 1974-12-19 1976-06-23
JPS6465027A (en) * 1987-09-03 1989-03-10 Asahi Glass Co Ltd Method for charging gob
JPH02145441A (ja) * 1988-11-28 1990-06-04 Asahi Glass Co Ltd ゴブ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560U (ko) * 1974-12-19 1976-06-23
JPS5179559U (ko) * 1974-12-19 1976-06-23
JPS6465027A (en) * 1987-09-03 1989-03-10 Asahi Glass Co Ltd Method for charging gob
JPH02145441A (ja) * 1988-11-28 1990-06-04 Asahi Glass Co Ltd ゴブ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101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06916U (zh) 一种激光切管机
KR960013524B1 (ko) 유리판 절단기계
CN112979143A (zh) 玻璃液搅拌均化装置及玻璃液均化方法、玻璃熔化炉
KR100502644B1 (ko) 유리고브 전달장치
US4063864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confections provided with center fillings
CN111089749A (zh) 一种取芯设备以及取芯工艺
CN208717467U (zh) 一种单晶炉用晶体提升旋转机构
CN114161280B (zh) 一种新型微型电机磁环磁瓦塑形装置
CN114603771B (zh) 一种注塑机用支撑装置及使用方法
CN211770925U (zh) 玻璃自动压嘴机
JP2015040139A (ja) 管ガラスの製造方法
CN114083666A (zh) 一种异形陶瓷生产线
CN220011031U (zh) 一种新型提升机
CN109940142B (zh) 智能给汤离心浇铸机
KR100414178B1 (ko) 유리고브 전달장치
CN208410026U (zh) 一种自动清废机的物料移动平台
KR100282556B1 (ko) 플런저 교체장치
CN210453476U (zh) 自动成型机
CN219465140U (zh) 切管机自动托料装置
CN210764974U (zh) 一种玻璃离心甩制机
KR100414171B1 (ko) 유리고브 가열장치
CN219789130U (zh) 一种注塑瓶胚水口自动剪切装置
CN213499935U (zh) 一种空心砖生产用切坯机
CN210231504U (zh) 一种方便对模具进行快速冷却的铸造模具用熔铸装置
CN218709904U (zh) 用于药用玻璃的投料机的快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