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076B1 - 수로용 측벽 블록 - Google Patents

수로용 측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076B1
KR100501076B1 KR10-2002-0052334A KR20020052334A KR100501076B1 KR 100501076 B1 KR100501076 B1 KR 100501076B1 KR 20020052334 A KR20020052334 A KR 20020052334A KR 100501076 B1 KR100501076 B1 KR 10050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
side wall
ramp
sp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260A (ko
Inventor
장득이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제일산업 주식회사
박성현
장득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산업 주식회사, 박성현, 장득이 filed Critical 제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076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용 측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 블록 본체(1)의 외벽(2)과 내벽(3)의 사이에 공간부(4)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4)에는 복수개의 식생홈(6)을 갖는 경사로(5)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3)에는 복수개의 통공(7)이 형성된 수로용 측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공(7)은 상기 경사로(5)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로용 측벽 블록{SIDE WALLNBLOCK FOR WATERCOURSE}
본 발명은 수로용 측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 등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측벽 블록에 의해 측벽을 안정화하여 토사 유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생 식물 및 수생어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환경 친화형 자연 생태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로는 물을 필요로 하는 경작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길을 인위적으로 시공하는 데, 종래에는 주로 농한기인 동절기에 경지 정리작업과 동시에 현장에서 거푸짚을 짜서 여기에 콘크리트 믹서를 부어 양생되게 하여 시공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식은 시공 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인력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해 시공비 상승을 초래하게 되며, 특히 동절기에는 콘크리트의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동파에 의한 시공 불량이 다발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장에서 미리 시멘트 몰탈로 성형한 측벽 블록을 제작한 후, 이 측벽 블록을 농수로, 개천 등과 같은 용수로의 측벽에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하여 수로의 측벽이 무너져 토사가 유실되거나, 특히 농수로인 경우 수로내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측벽 블록은 단순히 L자형으로 형성되어 관로의 측벽과 바닥을 콘크리트로 차단하여 토사 유실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이 콘크리트 관로를 통해 흐르는 물은 정화되지 못하고, 오히려 화학적 성분이 용해되어 산성화가 촉진되며, 관로 또는 하천의 물은 수질이 약화되어 농수로서의 사용에 부적합하고, 하천 등지에서는 수생 식물이나, 수생어가 서식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측벽을 안정화하여 토사 유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생 식물 및 수생어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환경 친화형 자연 생태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측벽 블록이 제안되었는 데, 이와 같은 종래의 측벽 블록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11)과 하부 횡벽(13)으로 구성된 측벽 블록(10)에 있어서, 외벽(11)의 내측에는 개방부(14)가 있는 내벽을 구성하여 그 사이에 공간부(15)를 형성하고, 그 공간부에는 경사로(16)를 형성하여 그 로면에 통공(17)을 형성하며, 하부 횡벽(13)에는 어생 공간부(13a)를 구비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양측에 각각 연결부(18)(19)를 돌출하여 결합구(18a)와 결합 요구(19a)를 형성한다.
따라서, 측벽 블록(10)을 길이 방향으로 매설하되 상기 연결부(18)(19)에 형성된 결합구(18a)와 결합 요구(19a)를 통해 연결하여 매설한 다음, 복토하여 복토층(A)이 경사로(16)의 통공(17) 표면까지 채워지게 되며, 이 복토층(A)에 수초를 심거나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수초나 잡초가 자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측벽 블록(10)은 경사로(16)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16)으로 인해 측벽 블록의 강도가 약해져 시간이 경과하면 붕괴될 우려가 있으며, 이 통공(16)을 통해 토사가 수로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수로로 물이 흐르면서 상기 내벽(12)에 형성된 개방부(14)로 유입될 경우 공간부(15)에서 소용 돌이가 발생하여 그 내부의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 등이 충돌하여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어 생존 가능성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로 등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측벽 블록에 의해 측벽을 안정화하여 토사 유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생 식물 및 수생어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환경 친화형 자연 생태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생존 가능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한 자체 구조로 인해 측벽 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로용 측벽 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록 본체의 외벽과 내벽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에는 복수개의 식생홈을 갖는 경사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에는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수로용 측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공은 상기 경사로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삭제
삭제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측벽 블록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로 등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각 측벽 블록을 구성하는 블록 본체(1)의 외벽(2)과 내벽(3)의 사이에 공간부(4)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4)에는 경사로(5)가 형성되며, 이 경사로(5)에는 수생 식물류가 자라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식생(植生)홈(6)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3)에는 수로내의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탈출 통로 또는 물을 유입 또는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7)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벽(3)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통공(7)은 상기 경사로(5)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의 내부에는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 등이 서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생물들은 수로에 물이 흐르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내벽(3)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거나, 상기 경사로(5)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7)을 통해 상기 외벽(2)과 내벽(3) 사이의 공간부(4)에 형성된 경사로(5)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사로(5)에 형성된 복수개의 식생홈(6)에는 수생 식물류가 자라고 있으므로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 등이 자연 생태계와 같이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서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로를 통해 물이 흐를 경우 상기 내벽(3)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7)을 통해 상기 외벽(2)과 내벽(3) 사이의 공간부(4)로 유입 또는 유출되므로 공간부(4)의 내부에서 소용 돌이 현상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공간부(4) 내부의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 등이 충돌하여 부상을 당하는 위험성을 최소화하여 생존 가능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로(5)에는 식생홀의 형상이 아닌 식생홈(6)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록 본체(1)의 자체 구조를 견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서 측벽 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토사가 수로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 등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측벽 블록에 의해 측벽을 안정화하여 토사 유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생 식물 및 수생어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환경 친화형 자연 생태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써 각종 양서류나 파충류 등의 생존 가능성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견고한 자체 구조로 인해 측벽 블록이 설치된 상태에서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인해 측벽 블록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측벽 블록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벽 블록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D-D'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블록 본체 2; 외벽
3; 내벽 4; 공간부
5; 경사로 6; 식생홈
7; 통공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블록 본체(1)의 외벽(2)과 내벽(3)의 사이에 공간부(4)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4)에는 복수개의 식생홈(6)을 갖는 경사로(5)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3)에는 복수개의 통공(7)이 형성된 수로용 측벽 블록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공(7)은 상기 경사로(5)를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용 측벽 블록.
KR10-2002-0052334A 2002-08-31 2002-08-31 수로용 측벽 블록 KR10050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334A KR100501076B1 (ko) 2002-08-31 2002-08-31 수로용 측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334A KR100501076B1 (ko) 2002-08-31 2002-08-31 수로용 측벽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127U Division KR200301108Y1 (ko) 2002-08-31 2002-08-31 수로용 측벽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260A KR20020092260A (ko) 2002-12-11
KR100501076B1 true KR100501076B1 (ko) 2005-07-18

Family

ID=2772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334A KR100501076B1 (ko) 2002-08-31 2002-08-31 수로용 측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31B1 (ko) 2008-04-15 2010-09-10 조을제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29B1 (ko) * 2007-03-21 2007-10-17 한산콘크리트(주) 생태계 보호용 플룸관
CN105133696B (zh) * 2015-09-23 2017-01-18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取水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30A (ja) * 1993-04-12 1994-10-25 Randesu Kk 水路用ブロック
KR200238751Y1 (ko) * 2001-04-02 2001-10-10 오부영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수로용 콘크리트 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30A (ja) * 1993-04-12 1994-10-25 Randesu Kk 水路用ブロック
KR200238751Y1 (ko) * 2001-04-02 2001-10-10 오부영 자연생태계를 고려한 수로용 콘크리트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31B1 (ko) 2008-04-15 2010-09-10 조을제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260A (ko)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076B1 (ko) 수로용 측벽 블록
KR100618560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친환경 하천 바닥 블록설치구조
KR200301108Y1 (ko) 수로용 측벽 블록
KR200411826Y1 (ko)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KR100914046B1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100427564B1 (ko) 초류식생블록
CN216865235U (zh) 一种悬臂式生态挡墙
RU2387131C1 (ru) Комплекс сооружений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и лова рыбы в озерах
JPH05302312A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KR200448974Y1 (ko) 인공어초용 영양블럭 고정장치
KR100753775B1 (ko) 친환경 식생호안블록
JPH06299530A (ja) 水路用ブロック
JP2003232026A (ja) 動植物生息水路用のブロック及び動植物生息用水路
KR200219577Y1 (ko) 하천의 어소(魚巢) 및 식생블록
KR20090012296A (ko) 자연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환경 생태통로가 구비되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석축
KR100509317B1 (ko) 친환경 농업용 용수로
KR100523397B1 (ko) 식생대가 구축되는 도로부근 하천바닥의 세굴방지구조
KR200239884Y1 (ko) 수로용 관부재
KR200447370Y1 (ko) 하천용 인공어초
KR100680244B1 (ko) 하천바닥에 설치되는 어류서식관
KR101437895B1 (ko) 인공어초
JP2003232026A5 (ko)
KR101459654B1 (ko) 친환경 수로 구조물
KR100658439B1 (ko) 하천용 어소블록 구조물
KR100746956B1 (ko) 수질 정화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