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212B1 -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 - Google Patents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212B1
KR100500212B1 KR10-2002-0024320A KR20020024320A KR100500212B1 KR 100500212 B1 KR100500212 B1 KR 100500212B1 KR 20020024320 A KR20020024320 A KR 20020024320A KR 100500212 B1 KR100500212 B1 KR 10050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n
bridge
support
connecting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989A (ko
Inventor
권오근
김원근
윤숙현
이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피에스씨
Priority to KR10-2002-002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2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경간 피에스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PSC빔 합성형교는 교각 상에 2개의 받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한쪽 받침에서 과도한 반력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 3 과 같이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를 가설함에 있어서 지상에서 빔(1)을 제작할 때 빔(1)의 일단 또는 빔의 양단 상·하부에 연결홈(6)을 형성한 상태로 교각(4)위에 2개의 가받침(5′)상에 설치하고, 각 빔(1)간을 상·하부 연결판(7)(8)으로 연결하며, 하부연결판(8)의 중앙하부에 진받침(9)을 설치한 후 양측의 가받침(5′)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Multi-span P.S.C. - I bea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의 가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피에스씨-아이빔(P.S.C-I Beam)을 지상에서 미리 제작하여 교대 또는 교각 위에 가설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서 피 에스 씨-아이빔을 교대 또는 교각위에서 연결판(Sole Plate)을 설치하여 구조적으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한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의 가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는 예시도 1 및 예시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씨.강연선(2)을 매몰 고정한 빔(1)을 교대(3) 또는 교각(4)위에 설치하고 각 빔(1)의 하부에는 받침(5)을 설치하여 빔(1)을 받쳐주도록 하였으며, 지점부 부모멘트 구간마다 피.씨.강연선을 연결하여 인장정착하거나 빔의 측면을 연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이 연속되도록 한 후에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은 지점부 부모멘트 부에 있어서 빔과 인접한 빔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시공방법이 복잡하여 작업능력이 떨어지고 비경제적이며, 교각상의 받침(5)도 각 빔(1)의 양단에 각각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결국 하나의 교각 위에 2개의 받침이 설치되고 그에 따라 교각(4)의 상부 단면을 크게 하여야 하고, 2개의 받침(5)으로 전달되는 상부 하중의 하중 분배가 2개의 받침 중 한개의 받침으로 편중되어 허용 하중이상의 과도한 편심하중이 재하됨에 따라 받침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빔의 연결부에 연결홈을 형성하여 연결판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연결판의 중앙에는 1개의 받침만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빔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부하중이 한개의 받침에 과도하게 편심하중으로 작용하지 않고, 또한 한개의 받침에 예측된 하중만이 작용하므로 받침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의 가설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의 가설에 있어서, 지상에서 빔을 제작할 때 빔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 상·하부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교각에는 2개의 가받침을 설치한 상태에서 빔을 설치한 후 빔과 인접한 빔 사이에는 대칭형의 상·하부 연결판의 연결봉이 연결홈에 끼워지도록 하며, 하부연결판의 밑면 중앙에 진받침을 설치한 후에 가설치한 가받침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를 가설함에 있어서 지상에서 빔(1)을 일단 또는 빔의 양단 상·하부에 연결홈(6)을 형성한 상태로 제작하고 교각 상부에 가받침(5′)을 미리 설치한 후, 가받침(5′)을 연결판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각 빔(1)의 연결홈을 하부연결판(8)의 연결봉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연결판(8) 위에 올려놓은 후, 다시 상부연결판(7)의 연결봉은 각 빔(1)의 상부연결홈(6)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가받침(5′)을 제거한다.
연결홈(6)은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서 연결판(7)(8)의 연결봉(7′)(8′)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며 빔(1)의 위치가 약간 이동되더라도 상·하부연결 판(7)(8)의 연결봉(7′)(8′)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결홈(6)의 내부는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하부플랜지콘크리트(1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6)은 주입구(11)가 하부플랜지콘크리트(10)의 상부로 관통되어 있고, 상부플랜지콘크리트(12)에 형성된 연결홈(6)의 주입구(13)는 상부연결 판(7)에 천공되어 있다.
상부연결판(7) 및 하부연결판(8)을 상·하부에 각각 결합하게 되면 상부연결판(7)의 연결봉(7′)은 상부플랜지콘크리트(12)에 형성된 연결홈(6)에 삽입되고, 하부연결판(8)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연결봉(8′)은 하부플랜지콘크리트 (10)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홈(6)에 삽입되는데, 이와 같이 상·하부연결판 (7)(8)이 안치되면 상부연결판(7)에 천공되어 있는 주입구(13)와 하부플랜지콘크리트(10)에 천공되어 있는 주입구(11)를 관통하여 고강도 몰탈을 주입시킴으로서 연결봉(7′)(8′)주위의 연결홈(6)내에 고강도 몰탈이 충진되어 결국 상·하부연결판 (7)(8)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예시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아이빔에 관한 사시도로서 예를 들어서 제1경간 또는 마지막 경간의 빔(1)은 교각에 걸쳐지는 단부쪽에만 연결홈(6)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고, 중간경간에 사용되는 빔(1)은 양단에 연결홈(6)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하부연결판(7)(8)은 두꺼운 철판으로 되어 있고 연결봉(7′)(8′)은 8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시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연결부의 평면도로서 상부연결판(7)의 주입구(12)는 연결봉(7′)의 인접부위에 형성되어 연결홈(6)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 5 및 예시도 6 은 각각 예시도 4 의 A-A선 및 B-B선 단면도로서 상·하부연결판(7)(8)의 위치와 연결홈(6) 및 주입구(11)(12)의 위치를 나타내며, 받침(5)을 교각(4)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빔(1)을 고정한 후, 상·하부연결판(7)(8)의 고정후에 하부연결판(8)의 하부중앙에 한 개의 진받침(9)이 설치되면 기설치한 좌우의 가받침(5′)을 제거하는 것이다.
예시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빔의 설치상태사시도서 각 경간 사이의 연결부에 상·하부연결판(7)(8)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를 가설함에 있어서 지상에서 빔(1)을 제작할 때 빔(1)의 일단 또는 빔의 양단 상·하부에 연결홈(6)을 형성한 상태로 교각(4)위에 2개의 받침(5)상에 설치하고, 각 빔(1)간을 상·하부 연결판 (7)(8)으로 연결하며, 하부연결판(8)의 중앙하부에 진받침(9)을 설치한 후 양측의 가받침(5′)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연결판에 의하여 각 빔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과도한 편심반력이 발생하지 않아 받침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의 일부가설상태 정면도,
도 2 는 종래의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의 지점연결부 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의 중간 경간에 사용되는 피에스씨-아이빔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의 지점연결부 평면도,
도 5 는 도 4 의 A-A선 단면도,
도 6 은 도 4 의 B-B선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경간 피에스씨-아이빔교의 일부가설상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빔, 2 - 피.씨.강연선,
3 - 교대, 4 - 교각,
5 - 받침, 5′- 가받침,
6 - 연결홈,
7 - 상부연결판, 8 - 하부연결판,
9 - 진받침, 10 - 하부플랜지콘크리트,
11,13 - 주입구, 12 - 상부플랜지콘크리트,

Claims (3)

  1. (삭제)
  2.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 합성형교에 있어서 교각(4)위에 얹히는 인접한 아이빔(1)의 상·하단에 연결홈(6)이 형성되고, 상·하부연결판(7)(8)의 연결봉 (7′)(8′)이 연결홈(6)내에 고강도 몰탈로 결합되도록하며, 하부연결판(8)의 중앙 한개의 진받침(9) 고정하고 상기 몰탈은 상부연결판과 하부플랜지콘크리트(10)에 각각 주입구 (13)(11)를 천공하여 연결홈(6)내로 고강도 몰탈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경간 피에스씨-아이빔 합성형교.
  3. (삭제)
KR10-2002-0024320A 2002-05-03 2002-05-03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 KR10050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320A KR100500212B1 (ko) 2002-05-03 2002-05-03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320A KR100500212B1 (ko) 2002-05-03 2002-05-03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739U Division KR200285975Y1 (ko) 2002-05-06 2002-05-06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989A KR20030085989A (ko) 2003-11-07
KR100500212B1 true KR100500212B1 (ko) 2005-07-12

Family

ID=3238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320A KR100500212B1 (ko) 2002-05-03 2002-05-03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046B1 (ko) * 2002-05-27 2005-01-24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연결판에 의하여 연속화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교량 및 그 단부의 연속화 공법
CN101793004B (zh) * 2010-02-26 2011-10-26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的减隔震结构
CN101892624B (zh) * 2010-07-16 2011-12-07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的减隔震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900A (ko) * 2000-01-22 2001-08-03 이무일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 및 그 연속화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900A (ko) * 2000-01-22 2001-08-03 이무일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 및 그 연속화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989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066B1 (ko) 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 세그먼트(pps)개복식 콘크리트 아치교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009134B1 (ko) 장경간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1012759B1 (ko) 초고강도 콘크리트 날개형 캔틸레버부를 구비한 교량용 콘크리트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박스 거더 교량
KR100991869B1 (ko) 단경간 및 다경간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JP6223082B2 (ja) 橋桁
KR20130083410A (ko) 하천횡단용 변단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횡방향 연결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88074B1 (ko) 교대 벽체와 일체화 시공되는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653803B1 (ko) 소하천 조립식 교량
KR100968259B1 (ko) 등단면 또는 변단면 콘크리트블록내에 pc강선이 위치된 슬래브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500212B1 (ko)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및 그 가설방법
KR10078563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KR100374284B1 (ko) 정착블록이 부착된 피에스씨빔 및 그연속화 공법
KR200285975Y1 (ko) 다경간 피 에스 씨-아이빔교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200189311Y1 (ko) 정착블록이 부착된 피에스씨빔
KR20010073900A (ko) 연속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 및 그 연속화 시공방법
KR102151046B1 (ko) 확대접합면을 가지는 고강도 분절 거더 및 고강도 분절 거더의 시공방법
KR101140632B1 (ko)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101342894B1 (ko) 트러스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그 제작 방법 및 연속화 교량의 제작 방법
KR102471342B1 (ko)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KR20030012014A (ko) 플레이트거더 설치방식을 이용한 프리플렉스교량구조
KR101044469B1 (ko) 돌출보가 부착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30012015A (ko) 강바닥판 및 프리플렉스거더 복합형 교량구조
KR102625599B1 (ko) 응력 전달이 균일한 교량 상부 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관통홀 타입 프리캐스트 지지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