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263B1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263B1
KR100498263B1 KR10-2001-0051937A KR20010051937A KR100498263B1 KR 100498263 B1 KR100498263 B1 KR 100498263B1 KR 20010051937 A KR20010051937 A KR 20010051937A KR 100498263 B1 KR100498263 B1 KR 10049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s
numbers
language
phone
as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294A (ko
Inventor
김규성
Original Assignee
김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성 filed Critical 김규성
Priority to KR10-2001-005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2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숫자는 계열성을 가지고 있다. 문자는 변별력을 가지고 있다.
인간이 숫자와 문자를 발명한 역사는 수 천년이나 되면서도 숫자의 계열성과
문자의 변별력을 따로 쓰고 있다.
숫자 1, 2, 3, 4, 5, 6, 7, 8, 9, 0과 .과 '을 사용하여 한글 자모 24자와 영문 알파벳 26자를 100% 완벽하게 나타내어 호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발명하였다. 그리하여 컴퓨터에서 숫자 10개, 한글 자모 24자, 영문 알파벳 26자 모두 60개의 키를 12개 키로 줄여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컴퓨터의 자판 뿐 아니라 전화기, 휴대폰, 삐삐, 휴대용 단말기수첩, 비밀번호제작기 등에 쓰면 편리 할 것이다.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APPARATUS FOR INPUT A CHARACTER}
한글의 자모의 활용, 영문 알파벳국가에서 영문 알피벳 활용에서 지금까지 전화기나 휴대폰의 단말기의 숫자에 문자 표시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숫자와 문자가 1:1로 호환이 안되어 숫자와 문자를 따로 쓰고 일원화하여 쓰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숫자와 문자가 발명된지 수 천년이 지나는 동안에 숫자는 숫자의 계열성만 이용하였고 문자는 변별력만 이용하였다.
기존의 전화기에서는 문자와 숫자가 1:1로 대응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문자의 위치를 찾아야 하는데 실제로 위치를 찾는다는 것은 한 번 더 생각해야하고 그에 수반되는 입력된 정보를 찾는다는 동작이 더 필요한데 그것은 사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기존의 시장에 나온 전화기는 M1, M2, M3, M4 정도로 단축기억 다이얼을 4개만 만든 전화기도 있다. 이것은 단축 다이얼이 4개만 넘어가도 그 자체를 외우기가 어려워서 실용성이 적고 일반인들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실증을 보이는 것이다.
단축다이얼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고 기존의 빈 번호에 순차적으로 들어가 기억이 되어 찾을 때마다 위치의 일관성이 없다.
종래의 기술이 해결하지 못했던, 숫자와 문자가 1:1대응으로 호환이 된다. 1, 2, 3, 4, 5, 6, 7, 8, 9, 0과 .와 '로 한글과 영문을 100%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인류가 지금까지 발명하여 사용하여 온 한글의 자모와 영문의 알파벳이 갖고 있는 변별력과 숫자가 갖고 있는 계열성을 일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필자의 12전화기가 실용화가 이루어지면 컴퓨터의 키보드도 5분만에 외우고 평생 기억이 저절로 된다.
기존의 단축다이얼의 수를 필요한만큼 늘이고 단축번호를 선택하도록 바꾸어야 한다.
컴퓨터의 자판을 축소하여 한글 자모 24자와 영문 알파벳 26자를 0, 1, 2, 3, 4, 5, 6, 7, 8, 9, 0과 .와 '으로 간편하게 입력하며 나아가 전화기, 휴대폰, 삐삐, 휴대용단말기수첩, 비밀번호제작기등에서 문자 입력을 쉽게 한다.
<1, 2, 3, 4, 5, 6, 7, 8, 9, 0과 .와 '로 나타낸 한글 자모>
자음 1 ('1) 2 3 ('3) 4 5 6 ('6) 7 8 ('8) 9 0
ㄱ(ㅋ) ㄷ(ㅌ) ㅂ(ㅍ) ㅇ(ㅎ)
모음 .1 .2 .3 .4 .5 .6 .7 .8 .9 .0
철수 0.347.7, 영희 8.48'8.9.0, 빨리와 66.144.08.5.1 아빠 8.166.1, 엄마 8.355.1, 학교 '8.111.6, 교회 1.6'8.5.0, 서울역 7.38.748.41, 집 9,06. 시청 7.00.38, 빵집 66.189.06, 동회 3.58'8.5.0, 오늘은 8월 15일입니다. 8.52.548.92 .'8'.8.7.34 .'15'.8.048.062.0.1.
< 아래의 사항들을 생각하면 저절로 숙달 되고 그림으로 파워포인트로 설명하면 한 번 보고 의외로 쉽게 외워진다>
한글 자모는 자모 순서와 수의 순서가 일치하도록 구성하였다.
모양이 닮은 문자에 수를 연관시켰다. 기타는 연상법으로 기억하도록 한다.
자음 중 격음ㅋ,ㅌ,ㅍ,ㅎ에는 '을 찍었다.
모음에는 모두 .을 찍었다.
12문자에 나오는 숫자에는 앞뒤에 .'123'.의 예와 같이 .''.표시를 하였다.
1에서는 1에서 앞쪽 머리끝 나온 부분을 앞으로 당기면 ㄱ이 된다. ㅋ은 ㄱ에서 연상을 한다. 1의 앞쪽 머리를 떼어서 1의 뒷등에 붙이면 ㅏ가 연상 된다.
2에서 ㄴ이 2의 아래 각이 진 곳에 숨어 있다. 2를 위 반원을 곧게 펴고 2의 끝부분을 떼어서 등에 붙이면 ㅑ가 연상된다.
3은 ㄷ을 뒤로 돌려 쌓아 놓은 모습이다. 3에서 가운데 꼭지는 그대로 두고 반원을 위 아래로 곧게 펴면 ㅓ 모양이 남는다.
4를 모두 떼어서 ㄹ을 조합하는 모습을 생각할 수 있다. 4에서 사선부분을 떼어서 등에 붙이고 수평부분을 등쪽으로 밀면 ㅑ가 된다.
5는 ㅁ에서 오른쪽 기둥 위를 떼어 아래로 내리면 5가 된다. 모음에서는 5는 발음이 ㅗ이다.
ㅂ에서 오른쪽 꼬리를 떼어내면 6이 되고, 6에서 가운데 가로선을 떼어 아래에 붙이면 ㅛ 모양이 된다.
7에서 아래 사선을 떼면 꼭지 부분에 ㅅ모양이 남고 ㅜ에서 오른쪽 뒷꼭지를 떼어내면 7모양이 된다.
ㅇ이 두 개 모이면 8이 되고 8의 머리와 밑부분을 나누어서 머리를 수평으로 펴고 밑부분을 수직으로 펴면 ㅠ가 된다.
9에서 머리의 가로선분을 잘라 오른쪽 등에 붙이면 ㅈ이 되고 그래로 9두발로 밟으면 ㅡ악 하고 ㅡ가 된다.
0은 고무풍선의 둥근 모양을 연상하고 ㅊㅊㅊㅊㅊ....하고 바람이 빠지는 연상을 하고 다 빠지면 ㅣ모양을 납작해지는 모습을 연상한다.
이상의 모습을 파워포인트로 띄워보이면 쉽게 외워져서 생활에 응용 할 수가 있다.
<1, 2, 3, 4, 5, 6, 7, 8, 9, 0과 .와 '로 나타낸 영문 알파벳>
가장 1 2 3 4 5 6 7 8 9 0
닮은 것 I Z M F R G J S q C
2획이나 .1 .2 .3 .4 .5 .6 .7 .8 .9 .0
두번째 L V W X H D T E P O
3획이나 '1 '2 '4 '7 '8 '0
세번째 A N K Y B U
I AM A BOY. 1 '13 '1 '8.0'0. DO YOU LOVE ME? .6.0 '7.0'0 .1.0.2.8 3.8? 등으로 나타낸다.
< 아래의 사항들을 생각하면 저절로 숙달 되고 그림으로 파워포인트로 설명하면 한 번 보고 의외로 쉽게 외워진다 >
모양이 닮은 문자에 수를 연관시켰다. 즉 기존의 알파벳 순서보다 모양이 수에 닮은 것을 우선하였다.
1ILA, 2ZVN, 3MW, 4FXK, 5RH, 6GD, 7JTY, 8SEB, 9qP, 0COU
숫자와 모양이 가장 많이 닮은 것에는 부호를 달지 않았다.
해당 숫자에 두 번 째까지 밖에 없는 것과 2획으로 된 것에는 .을 찍었다.
해당 숫자에 3획이나 세 번 째 오는 것에는 '을 찍었다.
1에서 I는 쉽게 연상이 되며 L은 꼬리를 떼면 1과 닮았고 A는 1번으로 나오는 알파벳 순서이며 3획이다.
2에서 Z는 닮았고, V는 2의 아래 각이 진 곳에 숨어 있고, N는 2가 누워있는 모양이며 3획이다.
3에서 M은 첫번째이고 W는 두 번째이다.
4에서 Four에서 F는 4이고 X는 오른쪽 아래 부분을 떼어 왼쪽에 수직으로 붙이면 4모양이 된다. K는 오른쪽 끝부분을 떼어 위쪽으로 밀어올리면 4모양이 되며 3획이라서 3번째가 된다.
5에서 R의 왼쪽 기둥을 위로 올리고 오른쪽 꼬리를 떼어 붙이면 5 모양이 된다. H는 왼쪽 기둥을 올리고 오른쪽 윗부분을 떼어 붙이면 5모양이 연상 된다.
6에소 G는 닮았고 D는 왼쪽 기둥 위로 연장선을 그으면 6이 연상 된다.
7에서 J는 꼬리를 떼어 위로 붙이면 닮았고 T는 앞쪽 위를 연장선을 그으면 7이 되고 Y는 꼭대기를 펴서 앞쪽으로 수평으로 밀면 7모양이 되며 3획이다.
8에서 S는 닮았고, E는 필기체 E가 2획이며 B는 3획이다.
9는 q가 닮았고 P는 9를 연상하며 2획이라는 것을 연상한다.
0는 C는 닮았다는 것을 연상하고 O는 좌우 2개로 나누어지는 것을 생각하여 2번째로 기억하고 U는 세로선 가로선 세로선 등 3개의 선을 연상하면 3번째로 기억이 된다.
이상의 설명을 파워포인트로 띄워 보여주면 쉽게 인식이 되어 연상 할 수 있으며 기억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생활화가 쉬워진다.
12자모나 12alphabet를 전화에 이용 할 때는 1, 2, 3, 4, 5, 6, 7, 8, 9, 0과 .와 '를 누르기 위해 건반(keyboard)이 모두 12개가 필요하다. 1부터 0까지 10개 외에 .과 '를 누를 건반이 더 필요한 것이다. 이것은 건반을 두 개 더 늘여도 되고 기존의 *과 #을 .과 ' 대신 써도 된다. 즉 현재의 10개의 건반으로도 가능하다.
활용방법은 12자모나 12alphabet가 한글과 영문으로 바뀌는 모습을 휴대폰에서는 동영상으로 띄우면 되고 전화기에서는 간단한 A4용지 한 페이지에 동영상의 그림이 바뀌는 모습을 그리면 가능하다.
이철수의 전화번호가 02-809-3059인데 12전화기로 전화하려면 02-809-3059를 누르고 이철수에 해당하는 12자모 8.00.347.7를 누르면 809-3059 전화번호가 단축다이얼 8.00.347.7로 기억이 된다. 다음에 이철수에게 전화를 할 때는 보통의 전화 02- 809-3059로 해도 되고 8.00.347.7를 누르면 02-809-3059로 신호가 간다. 이철수를 철수로 입력 시켜도 된다. 그러면 0.34 7.7을 누른다.
이철수에게 전화 거는 방법이 02-809-3059, 이철수(8.00.347.7), 이철(8.00.34), 철(0.34), 중학동기(9.78'8.113.581.0), 친한 친구(0.02'8.120.021.7), 수(7.7) 등의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생길 수 있으며 그중의 하나를 입력하여 쓰든 다 입력하여 사용하든 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활용하면 된다.
ANDERSON의 전화번호가 02-3670-0298이라면 전화기에서 02-3670-0298로 전화를 하여도 되고 12전화기에 기억시키고 싶으면 02-3670-0298을 누르고 ANDERSON에 해당하는 12alphabet '1'2.6.858.0'2를 누르면 된다.
ANDERSON을 AND만으로 입력 시켜도 된다. AND에 해당하는 12alphabet는 '1'2.6이다.
즉 번호와 문자가 이원일체가 되면 셋 중 어떤 방법을 써도 원하는 곳으로 전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글로 입력시키면 음소로 분석되고 이것은 바로 해당되는 숫자로 변환되어 기억되는 것이다. 숫자로 입력시켜도 말로 전화를 걸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말은 곧 음소로 인식되어 해당되는 숫자로 연상되기 때문이다.
즉 단축 다이얼에 숫자나 문자나 중 어느 것으로나 입력할 수 있고 둘 중 한가지만 입력하여도 전화를 걸 때 숫자 문자 두 다 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여러 가지 호칭이나 번호로 입력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1:1대응이 되지 않으면 왜 불편한가?
이름에 따라 번호가 연상되지 않아서 번호를 외우는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단축 다이얼 기능은 100개가 아닌 22개도 많아서 불편하여 고객들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
이것은 또한 음성으로 치는 타자기의 발명 특허도 가능한 것이다.
문자가 인식이 잘된다고 지금과 같이 문자의 변별성을 숫자의 순차적 계열성에 따라서 전화기에 문자를 쓰면 문자의 변별성 따로 숫자의 계열성 따로 2원화되고 문자는 숫자보다 순서의 계열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처음의 의도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없다. 1:1로 문자와 숫자가 대응이 되는 것이 전화 번호에 문자를 표시하는데 먼저 해결되어야만 효율적이고 처음의 의도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화기의 문자표시 방법은 문자가 숫자보다 인식하기 편리하다는 것만은 알고 표시만 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순서의 계열성은 숫자로 따로 인식하고 외워야 한다. 그래서 전화기를 보고 문자를 전화기에서 찾아서 눌러야 한다. 이래서는 번호만 알고 누르는 것이 차라리 더 빠르고 정확할 때도 많은 것이다. 그래서 실제로는 대부분의 소비자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기존의 어떤 전화기는 M1, M2, M3, M4 정도로 단축기억 다이얼을 4개만 만든 전화기도 있다. 이것은 단축 다이얼이 4개만 넘어가도 그 자체를 외우기가 어려워서 실용성이 적고 일반인들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실증을 보이는 것이다.
지금의 단축 기억 장치의 문제점
현재 사용되는 전화기 자체의 기억시키는 단축다이얼 숫자가 22(휴대폰은 99개)개 뿐이고 그나마도 문자와 1:1 대응이 아니기 때문에 전화하고 싶은 부서나 이름을 또 외워야하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는데 번호와 문자가 2원화 되어 있다. 입력한 당사자만 알고 그것도 따로 메모를 한 것을 보고 확인을 해야 확실하게 보내고 싶은 곳으로 보낼 수 있어 사실상 효용 가치가 적다. 실제로 소비자들의 사용상태를 알아보니 그 기능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현재의 영문자 표시에서는 문자와 숫자가 1:1 대응이 아니기 때문에 전화를 걸 때마다 그 문자가 몇 번이며 전화기의 어느 부분에 있는가를 전화기를 보고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찾을 수가 없다. 그러나 1:1 대응이 된다면 어두운 곳에서도 문자가 숫자로 두뇌 속에서 즉시 1:1로 호환되기 때문에 문자의 위치는 숫자로 저절로 정해지고 휴대폰이 점점 작아지더라도 문자 위치를 찾기가 숫자로 저절로 되며 심지어 시력이 극히 나쁜 사람이라도 이름에 따른 번호를 찾을 수가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화기의 문자표시 방법은 문자가 숫자보다 인식하기 편리하다는 것만은 알고 표시만 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순서의 계열성은 숫자로 따로 인식하고 외워야 한다. 그래서 전화기를 보고 문자를 전화기에서 찾아서 눌러야 한다. 이래서는 번호만 알고 누르는 것이 차라리 더 빠르고 정확할 때도 많은 것이다. 그래서 실제로는 대부분의 소비자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타당성과 계열성을 갖춘 방식으로 숫자와 문자를 1:1대응 시키고 기억법으로 쉽게 기억하게 하며 번호마저 마음 내키는대로 바꿀 수 있고 그 바뀐 번호에 따라 원하는 이름이 저절로 연상된다면 엄청나게 편리하게 되어 소비자의 호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의 키보드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키보드의 문자나 부호의 위치가 저절로 외워져서 타자의 속도가 빨라지고 정확해진다.
12자모키보드에서 '학교'의 12자모는 '8.111.6인데 81116만 쳐도 컴퓨터가 단어를 인식하여 빠른 교정이 가능하게 입력해 놓으면 '8.111.6로 인식하여 학교가 될 수있으니 타자의 속도가 보통사람이 1분에 350타 정도로 칠 수 있다. 숙달되면 더 빨라질 수가 있다. 12건반은 두 손을 얹으면 두 손 안에 완전히 들어온다. 한글 12자모와 영문 12alphabet의 위치를 외우고 두 손바닥 이내에서 타자를 칠 수가 있다.
영문에서도
I AM A BOY의 12alphabet는 1 '13 '1 '8.0'0인데 1131800을 쳐도 컴퓨터가 단어를 인식하여 1 '13 '1 '8.0'0로 인식하여 I AM A BOY를 빨리 칠 수가 있다.
10,000명이라도 이름만 알면 전화를 걸 수 있기 때문에 114에 전화 거는 시간, 전화번호 메모하는 시간 찾는 시간이 절약된다.
개인 전화기에는 즉시 실행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사업을 하는 기업체나 사업가는 전화국에 전화번호를 예를 들면 COCA COLA로 등록하여 0.00'1 0.0.1'1에 해당하는 현재의 전화기의 00010011을 누르면 회사로 전화가 되도록 한다. 만약에 12전화기가 되도록 일반화가 되었거나 전화국에 12전화가 되도록 계약하여 시설이 되어 있다면 0.00'10.0.1'1로 전화를 하면 된다. 이 때 .와 '에 해당하는 것은 *와 #로 대신하여 전화기의 기존 외부 건반을 증설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삐삐나 휴대용 단말기수첩 등에 문자입력을 하는 것이 쉬워진다.
상업적 이용 가치가 많아 외화획득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지구인은 모두 문자와 숫자를 쓰며 특히 영문alphabet은 전세계인이 모두 상관하고 있으니까 200여개국(지구상의 모든 나라)에 특허를 낼 수 있다.(이 특허가 나오면 안쓰는 회사는 문을 닫아야 될 정도로 예측됨). 전화기와 휴대폰은 물론이고 기타 상품의 이미지도 향상될 수 있다.
상품의 이미지 광고나 선전을 전화 번호로 할 수 있다.. 긴 전화번호를 문장을 간단한 숫자로 전화 할 수 있다.
동명이인이 10,000명이라도 쉽게 구분하는 방법으로 해결함-이름 뒤에 도시명 마을명을 쓰면 된다. 따라서, 공공기관, 회사, 단체, 학교, 학원이름이나 근무처만 알면 바로 전화를 걸 수가 있다.
유명한 기관의 전화번호는 전혀 외울 필요가 없다.
전화기, 휴대폰, 카폰, 키폰, T.V 켜기와 끄기, 문열기와 닫기에 쓸 수가 있다.
상품선전과 전화번호를 함께 알릴 수 있다. 예약이 빈번한 공항 같은 곳에서는 전화 번호의 홍보 때문에 꼭 필요 할 것이다
전화번호를 광고하는 회사는 이 전화기의 특징을 이용하여 상품명 회사명 전화번호를 광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연코 사용하게 되고 회사에 사용을 권장할 것이다.
학원과 같은 곳에서는 고객의 전화번호를 이름으로 전화기에 바꿔 입력하여 놓으면 언제나 수첩을 보지 않고도 전화를 할 수가 있다.
대기업에서 키폰에서 각부서의 번호를 부서명대로 번호를 부여하면 그때마다 수첩이나 조견표를 보고 번호를 확인 할 필요 없이 이름만 알면 원하는 부서에 바로 전화를 할 수가 있다.
미리 기억 시켜 놓은 전화번호 써비스 (요금을 받고나서, 혹은 무료로) 책자 무료 배부(한글의 사전 배열 순서대로 쓴 전화 문자부, 또는 영어의 알파벳 순서로 배열한 전화 문자부), 혹은 번호를 다 바꿔놓은 전화기 혹은 전화국과의 사전 약속, 혹은 고객이 선정할 수 있는 전화번호 입력시켜 놓은 책자의 판매 혹은 전화 번호 입력 업무 써비스, 혹은 주요한 기관 번호를 미리 문자로 입력시켜 놓는 써비스
각 사람들은 자주 전화하는 곳의 전화 번호를 단 한 번만 10-20초만에 입력 해 놓으면 평생 기억 할 수가 있다.
전세계 200여개국 회사, 단체, 개인, 국가, 공공기관, 일반전화기, 상용전화기,휴대폰, 키폰 (키폰에서 회선을 100개 단위에서 수십만 개로 넓히고도 더 빨리 찾을 수 있다 ) 각 회사는 자사의 상품이나 상호 이미지를 문자나 글월로 만들 수 있는 전화 번호를 부여하여 외우게 하여 선전을 할 수가 있다. 이미지에 맞는 말 만들기 등으로 선전을 할 수가 있다.
전화국에서 114 안내에 바로 활용 할 수가 있다. 혹은 소비자가 700식의 안내 전화에 12자모나 12alphabet로 전화 거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삭제
  2. 번호키 1에 "ㄱ", "ㅏ", "ㅋ"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I", "L", "A"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2에 "ㄴ", "ㅑ"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Z", "V", "N"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3에 "ㄷ", "ㅓ", "ㅌ"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M", "W"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4에 "ㄹ", "ㅕ"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F", "X", "K"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5에 "ㅁ", "ㅗ"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R", "H"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6에 "ㅂ", "ㅛ", "ㅍ"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G", "D"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7에 "ㅅ", "ㅜ"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J", "T", "Y"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8에 "ㅇ", "ㅠ", "ㅎ"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S", "E", "B"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9에 "ㅈ", "ㅡ"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Q", "P"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며;
    번호키 0에 "ㅊ", "ㅣ" 각각을 제1언어의 첫 번째와 두번째 자소로 할당 배치하고, "C", "O", "U" 각각을 제2언어의 첫 번째, 두번째 및 세 번째 자소로 함께 할당 배치하여;
    각 번호키가 한 번 입력되면 첫 번째 자소의 입력으로,
    .키와 번호키가 순차 입력되면 각 번호키에 할당된 제1 혹은 제2언어중 두 번째 자소의 입력으로,
    '키와 번호키가 순차 입력되면 각 번호키에 할당된 제1 혹은 제2언어중 세 번째 자소의 입력으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삭제
KR10-2001-0051937A 2001-08-28 2001-08-28 문자입력장치 KR10049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937A KR100498263B1 (ko) 2001-08-28 2001-08-28 문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937A KR100498263B1 (ko) 2001-08-28 2001-08-28 문자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294A KR20030018294A (ko) 2003-03-06
KR100498263B1 true KR100498263B1 (ko) 2005-07-01

Family

ID=2772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937A KR100498263B1 (ko) 2001-08-28 2001-08-28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82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413A (ja) * 1989-03-03 1990-09-12 Meidensha Corp テンキーによるフルキーボードのサポート方法
KR920008578A (ko) * 1990-10-10 1992-05-28 배명진 제한된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문자명령의 처리방법
KR19990007739A (ko) * 1998-06-30 1999-01-25 홍성한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
KR20000020929A (ko) * 1998-09-24 2000-04-15 홍범준 전화기 글자입력방법 및 그 자판부
KR200235143Y1 (ko) * 2001-03-08 2001-10-06 김정태 컴퓨터용 한글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0413A (ja) * 1989-03-03 1990-09-12 Meidensha Corp テンキーによるフルキーボードのサポート方法
KR920008578A (ko) * 1990-10-10 1992-05-28 배명진 제한된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문자명령의 처리방법
KR19990007739A (ko) * 1998-06-30 1999-01-25 홍성한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
KR20000020929A (ko) * 1998-09-24 2000-04-15 홍범준 전화기 글자입력방법 및 그 자판부
KR200235143Y1 (ko) * 2001-03-08 2001-10-06 김정태 컴퓨터용 한글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294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46943B (e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system with virtual keyboard
CN101256462B (zh) 基于全混合联想库的手写输入方法和装置
JP3904946B2 (ja) 特殊文字を用いて情報を携帯装置に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IL149205A (en) A method for producing characters and / or signs and information information from related media
US11467727B2 (en) Character input device
TW200539017A (en) Character displaying method
US6799914B2 (en)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KR20030049443A (ko)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98263B1 (ko) 문자입력장치
JPH11327766A (ja) 数値キ―ボ―ドを有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キ―入力方法
KR100641448B1 (ko)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2263980B1 (ko) 한글과 라틴 문자가 조합된 문자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007859A (ko) 중국어 병음 입력을 위한 디지털 전자 장치 및 그의 병음입력방법
KR100397509B1 (ko) 전화기자판이부착된한글입력장치및그방법
KR1005179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KR100631675B1 (ko) 휴대단말기의 중국어 폰북 실시간 검색방법
TW200830117A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with mandarin phonetic symbols
TW432314B (en) Multi-lingual characters and symbols input method with matrix concept
KR20000005855U (ko) 한글자모배열 전화기자판
KR20000060607A (ko)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KR20080013806A (ko) 문자배열 방법과 문자입력 장치
KR100679696B1 (ko) 한글의 간편 입력방법과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