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739A -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 - Google Patents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739A
KR19990007739A KR1019980045613A KR19980045613A KR19990007739A KR 19990007739 A KR19990007739 A KR 19990007739A KR 1019980045613 A KR1019980045613 A KR 1019980045613A KR 19980045613 A KR19980045613 A KR 19980045613A KR 19990007739 A KR19990007739 A KR 1999000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orean
english
input method
number plate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한
Original Assignee
홍성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12098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80056075U/ko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80013276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80059494U/ko
Application filed by 홍성한 filed Critical 홍성한
Publication of KR1999000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39A/ko

Links

Landscapes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화기숫자판을 이용하여 한글 영문 및 특수기호 입력을 자유로이 구현할 수 있게 하여 컴퓨터 키보드 대용 기능을 완벽히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화번호 연상 암기용, 문자전송기능, 컴퓨터단말기로써의 기능을 전화기가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
전화기 숫자판으로 한글과 영문 입력을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발명되었다.
92년 한국통신에서 개발한 한글입력시스템(KCS44)은 간결한 입력방식에도 불구하고 60개가 넘는 한글 자모음 및 영문자를 사용자들이 그 배열규칙을 확인하고 쉽게 사용하기에 대단히 혼란스럽게 전화기버튼 사이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익히고 사용하는데 불편이 있어 보급이 안돼 있다.
따라서 전화기숫자판 한글입력 구현방식은 표준화 개정 대상으로 표준화 개정 추진중에 있습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이미 표준화 개정 추진중에 있는 사안으로 이미 일정이 확정되어 있는 전화기자판 한글배열 표준개정 안건 선정작업의 시일의 촉박성 때문에 본인이 표준개정신청서를 먼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 제출하고(98.4.17) 나서 추후 실용신안등록 출원신청을 했습니다만, 본인이 직접 출원서를 작성 제출하는 과정에서 이 안건이 특허출원사항임을 나중에 인지하게 되었고, 특허출원권리범위가 확장되었기에 앞서의 실용신안등록출원의 권리에 대한 우선권주장을 포함하여 새로이 특허출원하게 된 것입니다.
참고로 이 안건은 지적재산권 우선 협상 대상으로 1차 선정(98.4.29)된 본인의 안건을 1차 보완 개정한 실용신안등록출원(98-20-9510)과 2차 보완 개정한 실용신안등록출원(98-20-11222) 및 3차 보완 개정한 실용신안등록출원에 이은 4차 보완개정한 실용신안등록출원을 조금 더 손질하고 컴퓨터상의 빈번히 사용되는 특수기호를 전화기 버튼으로 구현 가능하도록 추가함으로써, 명실공히 컴퓨터 입력장치로서의 컴퓨터 자판의 기능을 충분하게 대신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
본인의 앞서의 안건들과 개정안건과의 발전되고 보완된 점들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아래 도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표준화제정 과제인 전화기 숫자판 한글 배열 표준안의 1차시안 선정작업에서 1차시안 복수선정안 중의 하나로 채택된 본인의 1차시안 선정안과 그후 보완 개정한 1,2,3,4차 실용신안출원의 내용 및 새로이 특허출원하게 된 내용입니다.
TTA의 1차 선정 시안의 핵심은 자음의 Family Group(ㄱ ㅋ ㄲ, ㄷ ㅌ ㄸ, ㅂ ㅍ ㅃ, ㅅ ㅆ, ㅈ ㅊ ㅉ)을 좌측열부터 집중 배치하고 나름으로 규칙성을 세운 배열방식이었고 글자표현은 한글, 영문 공히 ㄱ→1 ㅋ→11 ㄲ→#1 A→2 B→22 C-#2와 같은 표현방식이었습니다.(여기서 한개의 key안에 할당된 3개의 문자중 가운데 문자(예 : ㅋ→11 ㅌ→44)는 충분히 짧은 실시간 이내의 연속버튼 누름방식입니다)
1차 개정 실용신안출원(98-20-9510)의 핵심은 위의 1차 시안에서 충분히 짧은 실시간 이내의 연속버튼 누름방식(예 : ㄸ→44 ㅉ→77)이 표시창이 없는 전화기에서 문자구현의 정확성 여부를 확인하지 못할때 오류발생 가능성이 커서 사용하지 않기로 했으며,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의 경우 단자음(ㄱ ㄷ ㅂ ㅅ ㅈ)을 두번 누르면 되는 것이므로 key에 표시하지 않고 좀 더 간결한 글자배치가 이루어지게 하였습니다.
한편 한글, 영문 표현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1 ㄲ→11 ㅋ→#1 A→2 B→02 C→#2)
특히 ㄲ→11 ㄸ→44 등은 충분히 짧은 실시간 이내의 연속버튼 누름의 제한 조건에서가 아니라 그냥 2번 순차적으로 누르면 됩니다.
2차 개정 실용신안출원(98-20-11222)의 핵심은 1차 개정 안건의 글자배열 순서의 불연속적 배치를 좀 더 자연스러운 연속적인 배치로 바꾼 것입니다.
3차 개정 실용신안등록출원의 핵심은 2차 개정안건에서 횡으로 4개씩의 글자를 배열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ㄱ부터 ㅎ까지 오직 순서에 따른 배열만 신경쓰면 되도록 했습니다.
4차 개정 실용신안등록출원 안건은 TTA 표준화과제 1차 시안 선정안에서 어떻게 하면 좀 더 간결한 한글배열을 이루어 낼 수 있을까에만 신경쓴 나머지 1차 시안 선정안에서 완벽하게 구현되던 한글이 쌍자음 처리가 단문전송에서 의도하던 바와 다른 글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이 생기게 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복고 - 보꼬, 오뚜기 -두기, 오빠 - 옵바, 잇속 - 이쏙, 바빠 - 밥바, 닭고기 - 달꼬기…)등등은 3차 개정 안건에서 신호가 똑같아지는 단점이 생기게 됩니다.
물론 이 경우에 글자 한자씩 입력 완료될때 마다 글자완성표시(*)를 함으로써 완벽한 한글 구현이 가능하게 되나, 이 경우에 글자마다 완성표시로 *특수키를 일일이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쌍자음 생성기능(#4)을 부가하여 매 글자마다 종료표기 해야 하는 불편을 없앴으며, 특허출원하게 된 이번 안건에서는 쌍자음 생성기능의 버튼누름의 횟수를 줄이기 위해 쌍자음 생성기능 key와 한글자음 'ㅁ'의 순서를 전화기숫자판 4번 버튼내에서 뒤바꾸었습니다.
ㄲ → 쌍ㄱ → 41 또는 11
ㄸ → 쌍ㄷ → 4#2 또는 #2#2
ㅃ → 쌍ㅂ → 45 또는 55
ㅉ → 쌍ㅅ → 4#5 또는 #5#5
ㅉ → 쌍ㅈ → 47 또는 77
이로써 본 발명의 한글구현방식은 쌍자음 생성기능 키를 사용하여 한글입력을 하는 경우 매글자마다 구분표기 없이 조합가능한 모든 한글구현이 가능한 완벽한 알고리즘이 형성됐으며, 필요한 경우에 보조적으로 글자완성을 의미하는 *키를 눌러서 글자표현을 하는 경우에는 'ㄱ, ㄴ, ㄷ' 'ㅏ, ㅑ, ㅓ, ㅕ' 등의 낱글자까지도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한편 전화기 숫자버튼을 컴퓨터자판처럼 완벽하게 컴퓨터입력장치로서 대용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특허출원서에서는 컴퓨터자판에 표시된 중요한 특수기호를 부가했습니다.
컴퓨터자판에 표시된 총 40개의 특수문자중에서 이들중 몇개(물론 40개 모두 정의해서 사용 가능함)를 제외하고 전화기버튼 바깥쪽에 연관성있는 4개씩의 특수문자를 모아서 표현함으로써, 특히나 좌측열에는 컴퓨터관련 특수기호를, 우측열에는 구두점을 모아서 집중 배치함으로써 쉽게 찾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따라서 버튼상에 산만하게 분산 배치한 여타 방식이 시각적으로 혼란스럽고, 어렵게 느끼도록 만들며, 심지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한글입력방식조차 혼란스럽고 어렵게 느끼도록 만드는데 비해서 본 제안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은 버튼상에 표시하고, 부가적기능인 특수기호는 버튼 바깥에 산만하지 않게 관련성있는 특수문자를 모아서 집중 배치함으로써 찾기 쉽고 어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배려를 했습니다.
또한 4차 개정 안건과 비교하여 한글/숫자 모드변경 Key를 4번 버튼에서 걷어내고 대신 빈칸(Space) 기능을 할당했으며, 한글/숫자 모드변경 Key와 한글/영문 모드변경 Key는 3,6,9번 버튼 바깥쪽에 할당했습니다.
기존의 전화기에서는 아래에 설명된바 대로 한글/영문, 한글/숫자 모드변환을 하면 되는데, 새로 제조되는 휴대폰이나 신형 전화기에서는 한글/영문, 한글/숫자, 문자/특수기호 3개의 모드 전환키를 3×4 배열의 버튼밑에 별도의 버튼을 설정해서 보급할 수 있습니다.(여기서는 기존의 전화기에 한정해서 설명함)
본 발명은 따라서 영문의 순서대로의 배열처럼 한글 자음도 횡으로 ㄱ에서 ㅎ까지 순서대로의 배열을 함으로써 가장 단순한 배열형태가 되게 하였고, 쌍자음생성 Key를 지정해서 완벽한 한글 표기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특수기호를 전화기버튼 바깥에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전화기자판을 컴퓨터 입력장치로서도 활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전화기 숫자판의 모식도
1) 자음은 순서대로의 배열을 하되 첫번째, 세번째 열에서 자음 한개씩 할당하고 중앙열에는 자음 두개씩 할당 하였습니다.
2) 모음 형성 음소(ㅡ·ㅣ 삼재)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서 우측에 세로로 배열하였습니다.
3) 가장 기본적인 한글, 영문자 할당은 버튼내부에, 특수기호 및 기능키는 버튼 바깥에 할당하였습니다.
4) 한글은 자모음 순서대로 누르며, 쌍자음은 쌍자음 생성 Key를 사용해서 표현한다. 복자음(ㄳ ㄻ ㅀ …)의 경우는 순서대로 누르면 된다.(아래도표 참조)
모음은( ·ㅡ ㅣ)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예) ㅏ = ㅣ + · = 36
ㅑ = ㅣ + · + · = 366
ㅘ = · + ㅡ + ㅣ + · = 6936
5) 영문자의 경우 한 버튼에 할당된 세개의 문자 실현은 다음과 같은 방식이다.(A→2 B→02 C→#2)
다음은 글자구현방식 및 모드전환, 그리고 특수문자 구현방식을 설명하겠습니다.
자음
종성
※ → (Space : 한칸 띄우기) ← (Backspace : 한칸 지우기)
모음
영문자
※ 대문자는 대문자 Mode(##33)로 변환한 후에 위와 같이 입력, 소문자는 소문자 Mode(##66)로 변환한 후에 위와 같이 입력
특수기호 (※ 버튼바깥의 모든 표시 Key는 ##로 시작!)
(1. 버튼바깥에 표시된 모든 특수문자, 기능 Key들은 모두 4자리 명령어 체계이며, ## 다음에 인접버튼 누름방식이다.
2. 컴퓨터 키보드상에 있는 모든 특수기호들중 사용빈도가 높은 29개만 정의했으나, 나머지도 모두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로 여기서는 정의하지 않은 것은 표준화업무를 관장하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와의 협의하에 요지변경이 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마무리 보완의 여지를 남겨두기 위함이다.)
제어기능
한글/영문 대문자 Mode 변환 ##66
한글/영문 소문자 Mode 변환 ##99
한글/숫자 Mode 변환 #33
한글 Space(띄어쓰기) #7
영문 Space(띄어쓰기) ##77
한글 Backspace(글자정정기능) #1
영문 Backspace(글자정정기능) ##11
낱글자 완성 *(필요할때만 사용)
입력종료 **
다음은 전화기자판 한글 영문 입력방식에 따른 예시이다.
< 예 시 문 >
홍길동 : #069#6 13#3 #269#6
강철수 : 136#6 #863#3 #596
김영희 : 13#4 #6663#6 #093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 : #0362 1961 763#6 569 #969#6 #532 13 #596#3
#0635 #0693 ##66 882
서울 종로구 내수동 167 : #563 #696#3 769#6 369 196 2363 #596 #269#6
##33 167
우리 나래(라) 좋은 나라 : #696 #33 236 #3363 #1 #636 769#0 #692 236
#336
따라서 본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의 적용대상 및 범위 그리고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화기숫자판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한글, 영문, 숫자 및 특수문자의 입력을 자유로이 할수 있게 됨으로써,
첫째, 한글의 자음배열만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연상암기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조합가능한 모든 한글을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통신단말기간의 문자전송기능이나, 전자수첩, 한글 Database의 검색기능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안내기능, 예약기능, 무인 114 번호안내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셋째, 컴퓨터에 기본지식이 있는 사용자는 버튼바깥에 배열된 특수기호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는 컴퓨터자판 대용기능을 완벽히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향후 통신기기의 발달과 활성화 전망을 고려할때 중요한 data 입력도구로서의 전화기 단말기의 역할을 격상시키게 될 것이다.

Claims (4)

  1.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배열순서 및 입력방식(복합작용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 대용효과)
  2. 전화기숫자판 - 한글 배열순서 및 입력방식(비고 : 모음처리방식은 특허청구사항이 아님)
  3. 전화기숫자판 - 영문 입력방식
  4. 전화기숫자판 - 특수문자 배열순서 및 입력방식
    ※ [청구항 2] [청구항 3]은 선 실용신안 청구사항을 특허사항으로 변경신청 하면서 우선권 주장을 함.
KR1019980045613A 1998-06-30 1998-10-26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 KR19990007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098U KR19980056075U (ko) 1998-06-30 1998-06-30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입력방식
KR98-20-12098 1998-06-30
KR98-20-13276 1998-07-07
KR2019980013276U KR19980059494U (ko) 1998-07-07 1998-07-07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입력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39A true KR19990007739A (ko) 1999-01-25

Family

ID=6589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613A KR19990007739A (ko) 1998-06-30 1998-10-26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73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234A (ko) * 2000-08-12 2002-02-20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20071240A (ko)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핸디정보시스템 키보드 기능을 구비한 마우스
KR100353445B1 (ko) * 2000-02-10 2002-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378986B1 (ko) * 2000-07-05 2003-04-07 윤동현 전화기의 키패드와 문자입력방법
KR100430922B1 (ko) * 2001-05-18 2004-05-10 윤동현 문자입력키패드
KR100446552B1 (ko) * 2000-07-19 2004-09-01 윤필규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0498263B1 (ko) * 2001-08-28 2005-07-01 김규성 문자입력장치
KR100532317B1 (ko) * 1998-12-24 2006-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글입력장치및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317B1 (ko) * 1998-12-24 2006-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글입력장치및방법
KR100353445B1 (ko) * 2000-02-10 2002-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378986B1 (ko) * 2000-07-05 2003-04-07 윤동현 전화기의 키패드와 문자입력방법
KR100446552B1 (ko) * 2000-07-19 2004-09-01 윤필규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20020013234A (ko) * 2000-08-12 2002-02-20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20071240A (ko) * 2001-03-05 2002-09-12 주식회사 핸디정보시스템 키보드 기능을 구비한 마우스
KR100430922B1 (ko) * 2001-05-18 2004-05-10 윤동현 문자입력키패드
KR100498263B1 (ko) * 2001-08-28 2005-07-01 김규성 문자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549B1 (ko) 투 클릭 모르스부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WO2006115345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20010070793A (ko) 휴대전화 및 전화기의 번호판을 이용한 한글입력 시스템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KR19990007739A (ko) 전화기숫자판 - 한글, 영문, 특수문자 입력방식
KR20170133047A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0330705A (ja) 携帯用通信端末における文字入力システム
KR100446553B1 (ko)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20000020929A (ko) 전화기 글자입력방법 및 그 자판부
KR1006614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0432531B1 (ko) 초성자음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범용 전화기형 자판 및이를 이용한 한글문자 구현방법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365017B1 (ko) 단축한글조합방법 및 장치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41639B1 (ko)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200289449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20010069805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539281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000060607A (ko)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KR20020093727A (ko) 이동식 단말기의 글자형태식 한글입력방법
KR200313360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