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975B1 -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975B1
KR100496975B1 KR10-2003-0018919A KR20030018919A KR100496975B1 KR 100496975 B1 KR100496975 B1 KR 100496975B1 KR 20030018919 A KR20030018919 A KR 20030018919A KR 100496975 B1 KR100496975 B1 KR 10049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bject
backlight
value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094A (ko
Inventor
백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9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작용하는 피사체 뒤의 역광 데이터와 피사체 데이터를 보정하여 선명한 피사체 이미지를 얻기위한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역광 데이터를 피사체 데이터와 비교 보정 처리하여 코덱부로 전달하는 역광/피사체 보정 처리부를 구비하고, 단말기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역광/피사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역광/피사체를 검출하여 서로 비교한 결과 역광 데이터 값이 피사체 데이터 값보다 더 크면 역광/피사체 데이터 값을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저된 역광/피사체 데이터 값을 레벨 변환하여 서로 비교한 결과 피사체 데이터 값이 역광 데이터 값보다 더 크면 역광/피사체 데이터 값을 자동이득 조절하여 코덱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역광 데이터 최대 값에서 피사체 데이터의 최대 값을 뺀 다음 그 보정 데이터를 가지고 다시 자동이득 조절을 함으로써 소정의 원하는 피사체 이미지를 선명하게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the Method for back light and a subject compensation of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를 보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작용하는 피사체 뒤의 역광 데이터와 피사체 데이터를 보정하여 선명한 피사체 이미지를 얻기위한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존의 음성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더해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소형카메라를 단말기의 전면이나 측면에 향하도록 고정되거니 회전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서 활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투사하도록 하면 상대측으로 화상정보가 전달되는 것이다.
도 1 은 상기한 화상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화상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는 영상처리부(110), 음성처리부(120), 전송데이터 처리부(130), 송/수신부(140), 수신테이터 처리부(150), 화면표시부(160), 스피커(170), 키입력부(180) 및 제어부(190)를 갖는다.
상기 영상처리부(110)는 피사체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압축하여 전송데이터 처리부(130)로 보낸다.
상기 음성처리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전송데이터 처리부(130)로 보낸다.
상기 전송데이터 처리부(130)는 영상처리부(110)와 음성처리부(120)로부터 입력받은 각각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송/수신부(1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송/수신부(140)는 전송데이터 처리부(13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여 수신데이터 처리부(150)로 보낸다.
상기 수신데이터 처리부(150)는 송/수신부(140)에서 수신한 신호를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 및 복조하여 영상신호는 화면표시부(160)로, 음성신호는 스피커(170)로 각각 보낸다.
상기 화면표시부(160)는 단말기의 각종 동작상태를 표시하거나 수신데이터 처리부(150)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스피커(170)는 수신데이터 처리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180)는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부(19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180)에서 인가된 키데이터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종래의 화상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영상처리부(110)는 촬상부(111)에 의해 피사체 영상, 예를 들면 사용자 얼굴을 촬상한다.
상기 촬상부(111)는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 캠코더와 같은 장치가 채용된다.
압축부(112)는 무선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하도록 MPEG와 같은 압축방법으로 촬상부(1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압축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는 카메라로 피사체 영상을 촬영할때, 카메라의 역광 보정 알고리즘은 몇개의 광학검출창(Optical detecting window)을 두고 각각의 창에 대하여 가중 팩터(Weighting factor)를 주어 처리를 하였지만, 이 기술 역시도 피사체 보다 피사체 배경의 역광(Back light)이 더욱 강하게 되면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작용하는 피사체 뒤의 역광 데이터와 피사체 데이터를 보정하여 선명한 피사체 이미지를 얻기위한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 촬영시 카메라의 역광/피사체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화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를 검출하는 역광/피사체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역광 데이터(B)를 피사체 데이터(A)와 비교하여 크면 보정된 역광 데이터가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보다 작아지도록 보정하는 역광/피사체 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상기에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는 각각 휘도성분의 데이터인 이다.상기에서 역광/피사체 보정부에서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및 역광 데이터의 레벨을 각각 변환시켜주는 레벨 컨버터와, 상기 레벨 컨버터에 의해 각각 변환된 피사체 데이터 및 역광 데이터의 레벨을 자동이득 조절해주는 AGC회로를 더 포함한다.
삭제
상기에서 역광/피사체 보정부는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 값에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뺀 결과 값을 보정된 역광 데이터 값으로 하고,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 값에서 실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뺀 결과 값을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값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레벨 컨버터는 보정 전의 역광 데이터의 값을 보정 후의 역광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시키고, 보정 전의 피사체 데이터의 값을 보정 후의 피사체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 촬영시 카메라의 역광/피사체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를 서로 비교한 결과 역광 데이터(B) 값이 피사체 데이터(A) 값보다 더 크면 보정하여 역광 데이터 값이 피사체 데이터 값 보다 작아지도록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값과 상기 보정된 역광 데이터 값을 레벨 변환하고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값이 상기 보정된 역광 데이터 값 보다 더 크면 상기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값과 상기 보정된 역광 데이터 값을 자동이득 조절하여 코덱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는 각각 휘도성분의 데이터를 이용한 것으로, 역광/피사체 보정 단계는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 값에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빼어 역광 데이터 값을 보정하고,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 값에서 실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빼어 피사체 데이터 값을 보정하는 것이며, 레벨 변환은 상기 보정 전의 역광 데이터(B)의 값을 보정 후의 역광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보정 전의 피사체 데이터(A)의 값을 보정 후의 피사체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시킨다.
상기에서 검출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를 서로 비교한 결과 피사체 데이터(A) 값이 역광 데이터(B) 값 보다 크면 보정하지 않고 코덱부로 전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 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음성이나 화상 통화 및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화상 서비스 구현을 위해 사용자로부터의 화상 통화 모드 요구가 있는 경우 코덱부(Codec)(210)를 제어하여 외부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등과 같은 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한 후 디코딩시키며, 화상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JPEG/M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 촬영시 피사체보다 피사체의 역광이 강할때, 강한 역광을 검출하는 역광/피사체 보정 처리부(240)를 구비한다.
메모리(201)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0)에 의해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RF(Radio Frequency)부(202)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무선 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 및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에서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시 제어부(200)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RF부(202)는 화상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되어 역광/피사체 보정 처리부(240)를 통한 코덱부(210)에서 인코딩 및 압축 처리된 각종 화상 데이터를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외부 무선 통신망으로 무선 송신한다.
오디오부(203)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RF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하며, 또한 정지화상이나 동화상 통화 모드시 상기 RF부(20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무선 오디오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 출력시킨다.
키입력부(204)는 다수의 숫자키 및 정지화상이나 동화상 서비스를 위한 화상 통화 모드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표시부(205)는 화상 통화모드시 단말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고, 키입력부(204)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 (20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화상입력부(230)는 화상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 정지화상이나 동화상 통화 모드시 사용자의 모습 및 사용자 후면에 존재하는 각종 배경화상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역광/피사체 보정 처리부(240)를 통해 코덱부(210)로 인가시킨다.
상기 화상입력부(230)의 동작을 살펴보면, 피사체의 이미지는 렌즈부(231)를 통하여 CMOS센서(232)로 제공된다.
그러면 CMOS센서(232)는 렌즈부(231)를 통과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촬상 화상신호)로 변환출력하며, 카메라가 가지는 노출, 감마, 이득조정, 화이트 밸런스, 컬러 매트릭스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 ADC(Analog-to-Digital Converter)(233)는 COMS센서(232)에서 이득조절된 1필드분의 촬상 화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DSP(Digital Signal Processor)(234)로 출력한다.
상기 DSP(234)는 디지털 변환된 1필드분의 촬영 화상신호를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ee) 또는 PAL(Phase Alternation by Line) 방식의 화상신호로 처리한다.
상기 코덱부(21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화상입력부(230)로부터 제공되는 촬상 화상신호(Y,C)를 JPEG 또는 MPEG포맷으로 변환하고 소정 비율로 압축하며, 외부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화상 데이터의 압축화상을 압축해제하고 디코딩하여 표시부(205)로 보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광/피사체 보정 처리부의 상세한 내부 블록 구성도로서, 피사체와 강한 휘도성분의 역광을 검출하는 역광/피사체 검출부(241)와, 이 역광/피사체 검출부(241)에서 검출된 역광/피사체를 보정해주는 역광/피사체 보정부(242)와, 보정된 역광/피사체의 레벨을 변환시켜주는 레벨 컨버터(243)와, 레벨 컨버터(243)에서 변환된 역광/피사체 레벨을 자동 이득 조절해주는 AGC회로(244)로 구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성분의 역광 데이터와 피사체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A 는 카메라 촬영시 원하는 피사체의 데이터이고 B 는 휘도성분의 역광 데이터이다.
그러나 상기 원하는 피사체의 데이터(A)보다 역광 데이터(B)가 훨신 크기때문에 실제로 촬영한 피사체의 데이터는 a 와 같이 엄청 작아진 피사체의 데이터를 얻게 되므로 실제로 촬영된 피사체는 선명하지가 못하다.
그러므로 상기 도 3 의 역광/피사체 보정부(242)에서 이를 보정해주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역광 데이터(B)의 최대치 레벨 값인 255비트(bit)에서 원하는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치 레벨 값인 210비트를 빼면, 즉 255-210=45 그 결과의 값인 45비트 값이 역광 데이터로 작아진다.
한편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치 레벨 값인 255비트(bit)에서 실제로 작아진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치 레벨 값인 50비트를 빼면, 즉 255-50=205 그 결과의 값인 205비트 값이 원하는 피사체 데이터로 커진다.
상기 작아진 역광 데이터의 값과 커진 피사체 데이터의 값을 레벨 컨버터(243)에서 각각의 레벨을 변환시킨다.
즉, 보정 전의 역광 데이터의 값 255비트를 보정 후의 역광 데이터의 값 45비트로 변환시키고, 보정 전의 피사체 데이터의 값 50비트를 보정 후의 피사체 데이터의 값 205비트로 변환시킨다.
상기 레벨 컨버터(243)에서 각각의 레벨을 변환된 역광 데이터의 값과 피사체 데이터의 값을 AGC회로(244)에서 자동이득 조절을 한 다음 상기 코덱부(2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코덱부(210)는 역광/피사체 보정 처리부(24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JPEG/MPEG의 소정 포맷으로 압축하여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201)에 저장하고 RF부(202)와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통신망을 거쳐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코덱부(210)는 외부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무선 수신되는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 등과 같은 화상 데이터를 압축 해제한 후 디코딩시킨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카메라 역광/피사체 보정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동작이 시작되면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501)한다.
상기 단말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501)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로서 화상입력부(230)를 통해 화상 데이터로 입력(502)되어 처리된 다음 휘도성분의 역광/피사체 데이터는 역광/피사체 보정 처리부(240)의 역광/피사체 검출부(241)에서 검출(503)된다.
상기 역광/피사체 검출부(241)에서 검출(503)된 역광 데이터는 역광/피사체 보정부(242)에서 피사체 데이터와 그 크기를 서로 비교 판단(504)한다.
상기 비교 판단(504)결과 역광 데이터의 크기가 피사체 데이터의 크기보다 크면 역광 데이터의 최대 값(B)에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뺀 다음 그 결과 값을 역광 데이터 값으로 설정(505)하고, 상기 역광 데이터의 최대 값(B)에서 실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뺀 다음 그 결과 값을 피사체 데이터 값으로 설정(506)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설정(505)(506)된 역광 데이터 값의 레벨과 피사체 데이터 값의 레벨을 레벨 컨버터(243)에서 각각 변환(507)시킨다.
상기 레벨 컨버터(243)에서 각각의 레벨을 변환(507)시킨 후 변환된 피사체의 데이터 크기와 역광의 데이터 크기를 비교 판단(508)하여 아직도 역광 데이터의 크기가 피사체 데이터의 크기보다 더 크면 상기 비교 판단 단계(504)로 재 진행한다.
상기 비교 판단(508)결과 피사체 데이터의 크기가 역광 데이터의 크기보다 더 크면 해당하는 데이터를 AGC회로(244)에서 자동이득 조절(509)을 한 다음 코덱부(210)로 전달(510)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에 작용하는 피사체 뒤 휘도성분의 역광 데이터 최대 값에서 피사체 데이터의 최대 값을 뺀 다음 그 보정 데이터를 가지고 다시 자동이득 조절을 함으로써 소정의 원하는 피사체 이미지를 선명하게 얻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화상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광/피사체 보정 처리부의 상세한 내부 블록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휘도성분의 역광 데이터와 피사체 데이터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카메라 역광/피사체 보정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Claims (11)

  1.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 촬영시 카메라의 역광/피사체를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카메라로 촬영되어 화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를 검출하는 역광/피사체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역광 데이터(B)를 피사체 데이터(A)와 비교하여 크면 상기 역광 데이터가 상기 피사체 데이터 보다 작아지도록 보정하는 역광/피사체 보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는 각각 휘도성분의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광/피사체 보정부에서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및 역광 데이터의 레벨을 각각 변환시켜주는 레벨 컨버터와,
    상기 레벨 컨버터에 의해 각각 변환된 피사체 데이터 및 역광 데이터의 레벨을 자동이득 조절해주는 AGC회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광/피사체 보정부는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 값에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뺀 결과 값을 보정된 역광 데이터 값으로 하고,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 값에서 실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뺀 결과 값을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벨 컨버터는 보정 전의 역광 데이터의 값을 보정 후의 역광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시키고,
    보정 전의 피사체 데이터의 값을 보정 후의 피사체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7.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 촬영시 카메라의 역광/피사체를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를 서로 비교한 결과 역광 데이터(B) 값이 피사체 데이터(A) 값보다 더 크면 보정하여 역광 데이터 값이 피사체 데이터 값 보다 작아지도록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값과 상기 보정된 역광 데이터 값을 레벨 변환하고 서로 비교하여 상기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값이 상기 보정된 역광 데이터 값 보다 더 크면 상기 보정된 피사체 데이터 값과 상기 보정된 역광 데이터 값을 자동이득 조절하여 코덱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는 각각 휘도성분의 데이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역광/피사체 보정 단계는,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 값에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빼어 역광 데이터 값을 보정하고,
    상기 역광 데이터(B)의 최대 값에서 실제 피사체 데이터(a)의 최대 값을 빼어 피사체 데이터 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변환은,
    상기 보정 전의 역광 데이터(B)의 값을 보정 후의 역광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보정 전의 피사체 데이터(A)의 값을 보정 후의 피사체 데이터의 값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피사체 데이터(A)와 역광 데이터(B)를 서로 비교한 결과 피사체 데이터(A) 값이 역광 데이터(B) 값 보다 크면 보정하지 않고 코덱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방법.
KR10-2003-0018919A 2003-03-26 2003-03-26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49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919A KR100496975B1 (ko) 2003-03-26 2003-03-26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919A KR100496975B1 (ko) 2003-03-26 2003-03-26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94A KR20040084094A (ko) 2004-10-06
KR100496975B1 true KR100496975B1 (ko) 2005-06-23

Family

ID=3736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919A KR100496975B1 (ko) 2003-03-26 2003-03-26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9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94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751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조정방법
KR100819243B1 (ko) 카메라 폰에서 이미지 촬영 및 저장방법
US20030197790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a peripheral luminous intensity
US86989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in a mobile termin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KR20040100746A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역광촬영을 보정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40235413A1 (en) Mobile terminal having image processing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0605841B1 (ko) 엘시디의 회색 준위 상관 색온도 보정장치 및 방법
KR100496975B1 (ko) 카메라의 역광과 피사체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325250B1 (ko) 카메라폰에서 반투과형 엘씨디 백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방법
KR100459422B1 (ko) 카메라 결합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질 보정 방법
US20060022924A1 (en) Head drum assembly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300589B1 (ko) 화상처리장치및그방법
KR100403369B1 (ko)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 방향지시 장치 및 방법
JP2003188801A (ja) テレビ電話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装置
KR10077092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방법
KR100769672B1 (ko) 화상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33545A (ko) 휴대전화의 화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686314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装置
KR100593298B1 (ko) 고화소 영상을 프리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76874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2074816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00622225B1 (ko) 휴대 전화기에서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동기화 장치및 방법
KR100669607B1 (ko) 휴대 단말기의 모드별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20080006126A (ko) 무선송신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5742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이미지를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