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768B1 - 전기접속부형성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접속부형성장치및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96768B1 KR100496768B1 KR10-1998-0709933A KR19980709933A KR100496768B1 KR 100496768 B1 KR100496768 B1 KR 100496768B1 KR 19980709933 A KR19980709933 A KR 19980709933A KR 100496768 B1 KR100496768 B1 KR 100496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piece
- electrical connection
- cone
- forming device
- connection form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16—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cone
- H01R4/502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a cone combined with a threaded ferrule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duc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0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 F01N3/2013—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using electric or magnetic heat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상은 전기접속부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외부 원추형상체(3)를 가지는 제1접촉편(1)을 포함한다. 또한 내부 원추형상체(4)를 가지는 제2접촉편(2)도 있다. 제2접촉편(2)은 전기 리드(24)에 연결된다. 접촉편(1, 2)은 해제 가능한 콘프레스 핏트 접속부를 형성한다. 상기 콘프레스 핏트 접속부를 위해, 제1접촉편(1)은 너트(6)와 결합되는 나선핀(5)을 가져서 제1접촉편에 축방향으로 제2접촉편을 밀게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개의 전선을 연결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납땜에 의해 2 개의 전선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들 2 개의 전선의 해제가능한 접속부는 전선 각각을 접촉편에 접속시키고, 연속해서 이들 접촉편을 순차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2 개의 전선을 해제가능하게 접속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접촉편들의 한쪽의 가운데에 다른쪽을 밀어 넣을 수 있는 접촉편이 알려져있다. 이와 같은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 접촉편이 혓바닥 형상의 양태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편은 제 2 접촉편에 있는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수용부(receiver)에 밀려 넣어진다. 이와 같은 전기 접속부들은 단지 저전류가 흐르는 전선에만 주로 사용된다.
영국 특허공보 GB 449 934호에는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접속부에 있어서, 서로 해제가능한 원추형 압축 조인트를 형성하는 2 개의 접촉편이 설치된다. 이들 접촉편 중 제 1 접촉편은 나사 부분과 조합되는 원추형상부를 갖춘 일단부를 구비한다. 제 2 접촉편은 관통 개구(feed-through opening)와 조합되는 원추형 수용부를 가진다. 제 1 접촉편은 제 2 접촉편에 삽입될 수 있다. 해제가능한 원추형 압축 조인트의 형성은 제 1 접촉편의 나선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너트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제 2 접촉편의 1 단부면에 밀착되어 접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장치의 구조에 의해, 접촉편들이 그들의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상이한 열팽창 거동이 있는 경우, 원추형 압축 조인트가 느슨해지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자동차 분야에 있어,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데에는 다른 장치가 이용된다. 예컨대, 차체에 자동차 배터리의 접지부를 결합시키기 위해, 차체에 용접되는 접지 볼트(earthing bolt)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지 볼트에는 나선부가 배열되며, 이러한 나선부에 의해 접촉편, 예컨대, 접지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슈(cable shoe)가 접지 볼트에 나사결합된다. 접지 케이블이 차체에 연결될 경우, 실질적으로 비해제식 접속부가 요구된다.
해제가능한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프랑스 특허공보 FR 740 84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전기 케이블이 배터리의 접속 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의 접속 터미널은 절두원추체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접속 터미널에 있어, 경사진 나선형 보어가 자유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나선형 보어에 원추형 나사가 나사결합된다. 배터리의 접속 터미널은 종방향 평면으로 분할되어 떨어져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에 연결된 접속편은 부시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이것에는 배터리의 접속 터미널에 상응하는 형태로 된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편이 접속 터미널에 고정된다면, 접속 터미널은 나사의 나사조절에 의해 이격되며, 그에 의해 해제가능한 접촉편과 접속 터미널과의 압축 접속부가 배열된다. 이러한 장치의 구조의 잇점은 나사의 제거후 접촉편이 쉽게 접속 터미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배터리의 접속 터미널에 케이블을 접촉시키기 위한 또 다른 실현 방법이 독일 특허공보 DE-OS 21 04 036호에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절두원추 형상부를 갖춘 터미널 컵을 포함한다. 절두원추형상부는 케이싱부가 탄성을 가지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두원추 형상부에는 결합 너트를 위한 외부 나선부가 제공되어 있다. 터미널 컵을 배터리 터미널과 접촉시키기 위해, 터미널 컵은 배터리 터미널에 배열되고 결합 너트를 외부 나선부에 결합된다. 탄성부는 결합 너트에 의해 배터리 터미널의 표면에 압축된다. 터미널 컵과 배터리 터미널간의 전기 접촉을 증전시키기 위해 원추형 축의 내부면에 돌출부가 마련되어 접속 터미널의 표면에 새겨진다.
전기 접속부를 위한 특별한 요구 사항으로서 특히 촉매 변환기의 전기 가열시 벌집형상체가 전력 공급원에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촉매 변환기는 예컨대 내연 기관의 배기 시스템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촉매 변환기의 사용은 자동차의 유해 방출물에 대한 법적 요구 조건에 따라 더욱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감소시키기 위한 요구의 증가와 함께, 보다 복잡한 가스 정화 시스템이 내연 기관에 설치되고 있다. 특히, 연소 기관의 시동 상태 중에 방출된 유해 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자동 3-방향 촉매 변환기에 부가하여 전기가열형 촉매 변환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WO 92/02714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같은 전기가열식 촉매 변환기와 더불어, 동력 라인에 대해 촉매 변환기의 터미널의 전기 접속을 형성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촉매 변환기의 가열 과정 중에 500 암페어 이상이 전달되어야 한다. 촉매 변환기의 표면에 동력 공급선이 상대적으로 근접해 있기 때문에, 동력 공급선 및 접속점들은 상당한 온도 변화를 나타낸다. 촉매 변환기의 근접부에 있어, 접속점에서 350?? 이상의 온도를 나타낸다.
앞서 공지된 촉매 변환기와 함께, 전기선의 케이블 슈는 나사결합에 의해 촉매 변환기의 터미널에 고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3은 캡형식 체결 요소를 가진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4는 슬롯형 부시를 가진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 1 접촉편 2 : 제 2 접촉편
3 : 외향 원추부 4 : 내향 원추부
5 : 나선형 핀 6 : 너트
7 : 접속 러그 8 : 중심도체
9 : 전기 절연부 10 : 슬리브
11 : 케이싱 12 : 용접 시임
13 : 나선형 보어 14 : 나사
15 : 스페이서 16 : 외부 나사산
17 : 요소 18 : 수용부
19 : 내부 나사산 20 : 리밋 스톱
21 : 부시 22 : 너트
23 : 외부 나사산 24 : 전선(전기도체)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신뢰성 높은 전기 접속부가 얻어지는 전기가열식 벌집형상체의 케이스에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의해 다양한 온도하에서도 역시 안정하게 전기 접속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대량 생산에서도 취급이 용이하고, 그리고 전 제조 과정으로 집적될 수 있는 전기 접촉부를 얻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전기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자동화될 수 있어야 한다.
이들 목적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관련된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제 15항의 특징부에 관련된 전기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기타의 잇점은 특허청구범위의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외부 원추형상체를 가지는 제 1 접촉편 및 내부 원추형상체를 가지는 제 2 접촉편을 포함하며, 외부 원추형상체의 둘레면과 내부 원추형상체의 둘레면은, 제 1 접촉편 및 제 2 접촉편의 재료 짝맞춤(material paring) 및 표면 상태(surface condition)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되며 제 1 접촉편과 제 2 접촉편이 자동 로킹 원추형 조인트(self-locking cone-shaped joint)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안전하고 확실한 전기 접속부가 간단한 수단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장치의 잇점은 원추형 조인트가 자동 로킹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접촉편 사이의 안전된 접속부를 위해 부가적인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 1 접촉편의 외부 원추형상체 부근에는 원추형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요소(element)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선부가 제공된다. 외부 원추형상체를 갖추어서 그것의 표면에 나선부를 갖추고 있다. 즉, 이러한 요소에 의해, 제 1 및 제 2 접촉편은 서로에 대해 원추형 조인트가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이 요소는 원추형 조인트의 자동 형성이 가능하게 하는 장착용 요소이다. 대안으로, 이 요소는 체결용 요소로 구성됨으로써 원추형 조인트의 부가적인 고정이 얻어지게 된다. 체결용 요소는 너트일 수 있으며, 대안으로 나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더욱 바람직한 구조에 의하면 나선부가 나선형 핀이고, 이러한 나선형 핀의 외경이 내부 원추형상체의 최소 직경에 거의 상응하거나 또는 최소 직경 이하인 것이 제안된다. 대안으로, 제 1 접촉핀은 외부 원추형 수단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선형 보어를 가질 수도 있다. 나선형 핀에 요소를 나사결합하고, 그리고 나선형 보어에 요소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접촉핀 사이의 상대운동이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제 1 및 제 2 접촉편 사이의 접촉 압력은 요소의 조임 토오크에 의해 결정된다.
요소가 나선형 보어에 나사결합된다면, 요소에는 제 1 접촉편에 접촉상태로 있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쇼울더(shoulder)가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와 같은 요소는 나사일 수 있는데, 이러한 나사는 헤드 또는 선택적으로 스페이서로서 제 1 접촉편에 가압되어 접촉된다.
또 다른 제안에 따르면, 나선부는 외부 나사산의 형태로 구성되고, 외부 나사산의 외경은 적어도 외부 원추형상체의 최대 직경에 상응한다. 상기 요소는 제 2 접촉편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 및 하나 이상의 리밋 스톱(limit stop)을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하나 이상의 리밋 스톱은 제 2 접촉편의 축선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제 2 접촉편과 결합한다.
이러한 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의 구성에 의해,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속부를 외적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원추형 조인트가 상기 요소에 의해 보호된다.
슬롯형 부시에 의해 형성된 제 1 접촉편을 갖춘 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가 특히 유리하다. 부시에는 요소가 나사결합될 수 있어서, 내부 원추형상체가 배열된 제 2 접촉편이 외부 원추형상체에 가압된다.
이러한 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접촉편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 제 1 접촉편은, 바람직하게로는 촉매 변환기의 전기 가열식 벌집형상체의 케이싱으로부터 안으로 돌출하는 중심도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촉매 변환기를 위한 동력 공급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실현된다.
바람직하게, 외부 및 내부 원추형상체의 둘레면 경사각은 1ㅀ와 5ㅀ 사이, 바람직하게는 1.75ㅀ이다. 이러한 경사각에 의해, 작은 체결 모멘트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접촉편 사이에 큰 접촉에 의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소정의 범위의 경사각에 있어서는, 특히 1.75ㅀ에서는 원추형 조인트가 자동적으로 로킹되므로, 이러한 주어진 범위 내의 경사각이 특히 유리하다. 이들 접촉편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강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외부 원추형상체는 외향 원추체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 원추형상체는 내향 원추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향 원추체와 내향 원추체는 자동 로킹 원추형 압축 조인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는데, 이러한 전기 접속부 형성 방법에 있어서, 내부 원추형상체를 갖춘 제 2 접촉편이 제 1 접촉편의 외부 원추형상체의 일부분 상에 배열된다. 이후, 제 1 접촉편의 외부 원추형상체의 부근에 형성된 나선부와 요소가 나사결합되어, 제 2 접촉편이 제 1 접촉편 위로 가압되어 제 1 및 제 2 접촉편 사이에 자동 로킹 원추형 조인트를 형성하게 된다. 만약 요소가 자동 로킹 원추형 조인트를 위한 부가적인 고정 수단으로서 이용된다면, 이 요소는 최종 상태에서도 나사결합된 위치로 유지된다. 또한, 자동 로킹 원추형 조인트가 사용된 후에, 상기 요소를 제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추가의 원추형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추형 조인트의 자동 로킹 구조에 의해, 제조과정이 간소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한 다음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전기적으로 가열가능한 촉매 변환기로의 전선 또는 전기도체(24)의 결합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촉매 변환기의 구조는 예컨대 WO 92/02714에 기술되어 있다.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제 1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케이싱(11) 내에는 관통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관통 개구를 통해 금속의 슬리브(10)가 연장한다. 이러한 금속 슬리브(10)는 케이싱(11)과 용접되어 있다. 슬리브(10)와 금속 케이싱(11)간의 용접 시임(welding seam)은 도면부호 12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 슬리브(10)를 통해 중심도체(8)가 연장한다. 케이싱(11)에서 연장하는 중심도체(8)의 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촉매 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슬리브(1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케이싱(11)으로부터 떨어져 모아지는 중심도체(8)의 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동력 공급원에 연결된 전기도체(24)에 전기 접속을 위한 역할을 한다.
중심도체(8)와 슬리브(10) 사이에 전기 절연부(9)가 부착되어 있어서, 슬리브(10)와 중심도체(8) 사이에는 전기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연부(9)는 예컨대 산화 알루미늄일 수 있다.
슬리브(1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며 케이싱(11)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모아지는 중심도체(8)의 단부는 제 1 접촉편(1)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 1 접촉편(1)은 외향 원추부(3)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외향 원추부(3)는 케이싱(11)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경사져 있다. 외향 원추부(3)에는 나선형 핀(5)이 연결된다. 이러한 나선형 핀(5)에는 너트 형태의 요소(6)가 나사결합된다.
제 1 접촉편(1)의 외향 원추부(3)에는 제 2 접촉편(2)이 배열된다. 이 제 2 접촉편(2)에는 외향 원추부(3)에 상응하는 내향 원추부(4)가 배치된다. 너트(6)를 사용함으로써, 내향원추부(4)를 가진 제 2 접촉편은 외향 원추부(3)에 가압되고, 이로써 원추형 압축 조인트가 형성된다.
제 2 접촉편(2)에는 접속 러그(lug for connection; 7)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2 접촉편(2)이 전선(24)에 연결된다. 전선(24)과 접속 러그(7)의 접속은 나사 및/또는 납땜 및/또는 용접 접속형태로 가능하다.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제 2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역시, 케이싱(1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중심도체(8)의 단부 부분은 외향 원추부(3)를 갖춘 제 1 접촉편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향 원추부(3)는 케이싱(1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단부면을 향해 경사진다. 제 1 접촉편(1)의 단부면으로부터 제 1 접촉편(1)의 축방향, 즉 중심도체(8)의 축방향으로 나선형 보어(13)가 연장한다. 이러한 나선형 보어(13)에 나사 형태의 요소(14)가 나사결합한다. 나사(14)의 헤드와 제 2 접촉편(2) 사이에는 제 2 접촉편(2)과 접하는 스페이서(15)가 배치된다. 나사(14)를 나선보어(13)에 결합시킴으로써, 제 1 접촉편(1)의 축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제 2 접촉편(2)이 스페이서(15)에 의해 외향 원추부(3)에 가압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접촉편(2)의 내향 원추부(4)의 둘레면은 외향 원추부(3)의 둘레면과 접한다. 접속 러그(7)가 제 2 접촉편(2)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접속 러그(7)는 전선(24)을 제 2 접촉편(2)에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상응하는 실시예의 촉매식 벌집형상체에 연결된 중심도체(8)의 원칙적인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구조에 상응한다.
케이싱(1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중심도체(8)의 부분은 제 1 접촉편(1)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 1 접촉편(1)은 외부 나사산(16)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 나사산(16)의 나사 직경은 적어도 외향 원추부(3)의 최대 직경에 상응한다. 제 1 접촉편(1)의 외부 나사산(16)에는 요소(17)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요소(17)에는 내부 나사산(19)이 배열된다. 이러한 요소(17)는 관형으로서, 제 2 접촉편(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8)를 갖추고 있다. 내부 나사산(19)의 반대측의 요소(17)의 단부에는, 연속하는 리밋 스톱(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밋 스톱(20)은 제 2 접촉편(2)과 맞물린다. 제 2 접촉편(2)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향 원추부(4)가 배열되고, 이러한 내향 원추부(4) 위로 제 1 접촉편(1)의 외향 원추부(3)가 접한다. 제 2 접촉편(2)에는, 리밋 스톱(20)에 형성된 구멍(25)을 통해 연장하는 전선(24)이 접속되어 있다. 요소(17)는 제 1 및 제 2 접촉편(1 및 2) 사이의 원추형 압축 조인트를 둘러싼다.
도 4는 금속 슬리브(10)가 중심을 통해 연장하는 케이싱(11)을 도시한다. 슬리브(10)는 케이싱(11)에 용접된다. 스터드형(stud-shaped)의 중심도체(8)가 슬리브(10)를 통해 연장한다. 케이싱(11)으로 돌출하는 중심도체(8)의 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촉매 변환기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중심도체(8)와 슬리브(10) 사이에는 전기 절연물(9)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스터드 형상의 중심도체(8)의 구성은 예컨대, SAE TECHNICAL PAPER SERIES 940465에 기재된 P. F. Kupper, W. Maus 등의 논문에 알려져 있다.
케이싱(11)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터드형의 중심도체(8)의 단부 부분에는 슬롯형 부시(21)가 배열된다. 이러한 부시(21)는 외부 나사산을 갖춘 원통부를 가진다. 외부 나사산(23)의 외경은 적어도 부시(21)의 외부 원추부(3)의 최소 직경에 상응한다. 외부 나사산(23)에는 너트(22)가 결합되어 내향 원추부를 가진 제 2 접촉편(2)이 부시(21)의 외향 원추부(3)에 가압된다. 이러한 슬롯형 부시(21)는 제 2 접촉편(2)에 의해 서로 압착되어서 부시(21)와 스터드형의 중심도체(8) 사이에는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은 또한 부시(21)와 제 2 접촉편(2) 사이에도 형성된다. 제 2 접촉편(2)은 전기도체(24)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히 촉매 변환기의 중심도체와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전기적 중심도체(8)는 예컨대, 금속 벌집형상체에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연결된다. 원추형 압축 조인트가 형성되고 해제되었을 때, 중심도체(8)와 금속 벌집형상체 사이의 접속점은 없거나 또는 부하상태에서 아주 작다. 그 이유는 전기 접속부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힘은 실질적으로 중심도체에 대해 수직으로 가해지기 때문이다.
용어, 원추부(cone)는 엄밀한 기하학적 의미에서의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접촉핀 사이의 압축 조인트가 만들어질 수 있는 형상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원추부는 프리즘, 바람직하게는 삼각 프리즘이나 피라미드일 수도 있다.
Claims (15)
- 외부 원추형상체(3)를 갖는 제 1 접촉편(1, 21) 및 내부 원추형상체(4)를 갖는 제 2 접촉편(2)을 포함하는 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에 있어서,상기 외부 원추형상체(3)의 둘레면과 상기 내부 원추형상체(4)의 둘레면은, 상기 제 1 접촉편(1, 21) 및 상기 제 2 접촉편(2)의 재료 짝맞춤 및 표면 상태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 1 접촉편(1, 21)과 상기 제 2 접촉편(2)이 자동 로킹 원추형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접촉편(1, 21)의 외부 원추형상체(3) 부근에는 원추형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요소(6, 14, 17, 22)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선부(5, 13, 16, 2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나선부는 나선형 핀(5)이고, 상기 나선형 핀(5)의 외경은 내부 원추형상체(4)의 최소 직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나선부는 상기 외부 원추형상체(3)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나선형 보어(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요소(6, 14, 17, 22)는 장착용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요소(6, 14, 17, 22)는 체결용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체결용 요소는 너트(6, 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체결용 요소는 나사(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나선부는 외부 나사산(16)이고, 상기 외부 나사산(16)의 외경은 외부 원추형상체(23)의 적어도 최대 직경에 상응하고,상기 요소(17)는 제 2 접촉편(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18) 및 하나 이상의 리밋 스톱(20)을 갖추고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리밋 스톱(20)은 상기 제 2 접촉편(2)의 축선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2 접촉편(2)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제 1 접촉편은 외부 원추형상체(3)를 갖는 슬롯형 부시(21)를 포함하고, 상기 부시(21)에 요소(22)가 나사결합될 수 있어서, 상기 내부 원추형상체(4)를 구비하는 상기 제 2 접촉편(2)이 외부 원추형상체(3)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접촉편(1, 21; 2)중 하나는, 전기가열식 벌집형상체의 케이싱(1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중심도체(8)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둘레면들의 경사각은 1°와 5°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원추형상체(3)가 외향 원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 원추형상체(4)는 내향 원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장치.
- 제 1항에 따른 전기 접속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내부 원추형상체(4)를 갖춘 제 2 접촉편(2)이 제 1 접촉편(1, 21)의 외부 원추형상체(3) 일부분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접촉편(1, 21)의 외부 원추형상체(3) 부근에 형성된 나선부(5, 13, 16, 23)와 요소(6, 14, 17, 22)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2 접촉편(2)이 상기 제 1 접촉편(1, 21) 위로 가압되어 제 1 및 제 2 접촉편(1, 21; 2) 사이에 자동 로킹 원추형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상기 나사결합 이후에 상기 요소(6, 14, 17, 22)가 제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전기 접속부 형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709933A KR100496768B1 (ko) | 1996-06-04 | 1997-06-03 | 전기접속부형성장치및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622406.3 | 1996-06-04 | ||
KR10-1998-0709933A KR100496768B1 (ko) | 1996-06-04 | 1997-06-03 | 전기접속부형성장치및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6359A KR20000016359A (ko) | 2000-03-25 |
KR100496768B1 true KR100496768B1 (ko) | 2005-09-30 |
Family
ID=4367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9933A KR100496768B1 (ko) | 1996-06-04 | 1997-06-03 | 전기접속부형성장치및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967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11926A1 (de) * | 2021-08-06 | 2023-02-09 | Vitesco Technologies GmbH | Segmentierte elektrische durchführu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2005786A1 (de) * | 2012-03-21 | 2013-09-26 |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 Verdrehsicherer elektrischer Anschluss, insbesondere für einen elektrisch beheizbaren Wabenkörper |
-
1997
- 1997-06-03 KR KR10-1998-0709933A patent/KR1004967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11926A1 (de) * | 2021-08-06 | 2023-02-09 | Vitesco Technologies GmbH | Segmentierte elektrische durchführu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6359A (ko) | 2000-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205504B (zh) | 特别用于电加热蜂窝体的防旋转式固定的电连接件 | |
US5267877A (en) | Coaxial connector for corrugated conduit | |
US5137470A (en) | Connector for coaxial cable having a helically corrugated inner conductor | |
US5918571A (en) | Dual electrode high thread spark plug | |
US5620291A (en) | Quick disconnect fastener | |
US10731534B2 (en) | Catalyst body, electrically heated catalyst, motor vehicle with catalys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talyst | |
US6250975B1 (en) | Anti-rotation ground terminal for weld nut | |
US20110045714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 |
US10950844B2 (en) | Battery pole and electrical contact unit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battery pole and an on-board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 |
JPH11512166A (ja) | 抗電気腐食保護手段を備える電気絶縁貫通アセンブリ | |
JPH1155823A (ja) |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ジョイント装置 | |
RU2196373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 |
KR100496768B1 (ko) | 전기접속부형성장치및방법 | |
EP0962665B1 (en) | Threaded fastening structure and nut member | |
US20240170862A1 (en) | Contact-Protected Screw-Connection Device | |
FR2897124A1 (fr) | Dispositif d'immobilisation en rotation d'un ecrou a sertir | |
EP0808077B1 (en) | Electrode structure for high temperature heated body | |
EP1729372A1 (en) | Female electric terminal | |
US6942526B2 (en) | Tool-less terminal connector for side mount-type battery | |
US20200406190A1 (en) | Electrical connector attached to an elongated conductive element, in particular for an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 |
FR2689690A1 (fr) | Cosse femelle de connexion électrique pour borne de raccordement. | |
EP4195415A1 (en) | Electric connection | |
US20200408841A1 (en) | Connector Assembly, Battery Pole Terminal and Battery Sensor | |
US12046842B2 (en) | Battery and battery clamp systems | |
JP2003092101A (ja) | バッテリターミナ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