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378B1 -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 Google Patents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378B1
KR100496378B1 KR10-2002-0082452A KR20020082452A KR100496378B1 KR 100496378 B1 KR100496378 B1 KR 100496378B1 KR 20020082452 A KR20020082452 A KR 20020082452A KR 100496378 B1 KR100496378 B1 KR 10049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lmet
pump
head
pump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5960A (ko
Inventor
박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02-008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3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1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 A42B3/122Cushioning devices with at least one layer or pad containing a fluid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의 내부중 턱 주위에 팽창 가능한 복수의 에어패드를 구비함으로서, 다양한 얼굴형상에 적절하게 밀착됨으로서, 착용감과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0) 내부중 사용자의 턱 영역에 부착되어 내부 공기의 양에 따라 팽창 가능한 한 쌍의 에어패드(20); 상기 헬멧(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수동으로 소정의 공기압을 공급하는 에어펌프(40); 및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40)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각 에어패드(20)에 연결되는 공급관(42)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A helmat provided with an airpad}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헬멧의 내부중 턱 주위에 팽창 가능한 복수의 에어패드를 구비함으로서, 다양한 얼굴형상에 적절하게 밀착됨으로서, 착용감과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경주용 자동차, 모터보트의 운전자들은 자신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헬멧을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헬멧은 서로 다른 머리 형상과 크기에 대응하여 다음의 표 1과 같이 국제적으로 8가지의 표준이 정해져 있다.
이러한 8가지 표준은 각각 A형, C형, E형, G형, J형, K형, M형, O형이며, 이는 서구형, 동양형, 여성용, 남성용 등의 개별적인 기준에 따라 정해진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머리에 딱 맞는 헬멧을 주문 제작하지 않는 이상에는 상기 8가지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입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헬멧 표준은 머리(특히 해골)의 크기와 길이의 비를 파라미터로 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같은 해골의 치수를 가진 사람은 같은 헬멧을 선택하여야 했다. 그러나, 해골의 치수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 얼굴 근육의 차이, 얼굴 지방의 분포 차이, 광대뼈의 고저 등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전혀 상이하였다.
즉, 같은 헬멧을 착용하더라도, 얼굴의 볼살이 많은 사람의 경우 머리(12) 부분은 편안하나 안면부위가 심하게 압착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얼굴의 볼살이 평균보다 적은 사람의 경우에는 헬멧(10)이 흔들거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헬멧을 국제 표준에 맞도록 8가지 규격으로 제작하면서도, 개인별 얼굴 형태에 맞춰질 수 있는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헬멧의 내면과 머리 및 얼굴을 밀착시킴으로서 일체감을 높여 안전성을 제고시킨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헬멧의 내부에 장착된 에어패드의 팽창 정도를 착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착용자의 선호도에 맞출 수 있는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0) 내부중 사용자의 턱 영역에 부착되어 내부 공기의 양에 따라 팽창 가능한 한 쌍의 에어패드(20);
상기 헬멧(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수동으로 소정의 공기압을 공급하는 에어펌프(40); 및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40)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각 에어패드(20)에 연결되는 공급관(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펌프(40)의 일측에 배출버튼(54)과 상기 배출버튼(54)의 동작상태에 따라 개폐되는 배출밸브(52)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급관(42)은 상기 배출밸브(52)까지 분지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펌프(40)는, 상기 헬멧(10)의 턱부분 내면에 부착되는 고정판(50);
상기 고정판(50)상에 고정되고 손가락으로 반복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중심이 비어 있는 펌프볼(44);
상기 펌프볼(44)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펌프볼(44)의 내부방향으로 유동을 허용하는 제 1 체크밸브(48); 및
상기 펌프볼(44)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펌프볼(44)의 외부방향으로 유동을 허용하는 제 2 체크밸브(46);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체크밸브(48, 46)는, 탄성적인 합성수지재를 일체로 사출하여 성형되며, 상기 고정판(50)에 위치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60); 상기 플랜지(60)와 연속된 중공부(62); 상기 중공부(62)와 연속되고, 상기 중공부(62)의 내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헤드(64); 및 상기 헤드(64)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헤드(64)의 변형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공(66)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패드(20)는 두 장의 합성수지를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것이며, 통기를 위해 복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10)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머리(12)가 헬멧(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착용자의 턱영역에는 한쌍의 에어패드(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패드(2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펌프(40)가 헬멧(10)의 내면중 맨 앞쪽 턱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펌프(40)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를 에어패드(20)로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관(42)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10)의 정면도이다. 헬멧(10)의 앞부분에는 종래의 헬멧과 유사하게 투명한 플라스틱 투명창(14)이 구비되어 있고, 통풍을 위해 개폐면적이 조절되는 통풍구(16)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에어패드(20)와 공급관(42) 및 에어펌프(40)는 헬멧(10)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치위치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실제로는 헬멧(10)의 내면영역에 설치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패드(2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중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패드(20)는 한쌍의 합성수재를 압착하여 제작되고, 내부에 공기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통공(24)은 두장의 합성수지재를 완전히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 착용자의 턱부분에 장기간 밀착되었을 때, 땀, 수분, 공기 등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끈적임이나 불쾌감이 없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관통공(24)은 에어패드(20)의 크기에 따라 2 ~ 8개 정도를 적당한 간격으로 설계하면 좋다.
압착부(22)는 두장의 합성수지재가 압착되어 접착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압착부(22)는 에어패드(22)가 팽창되었을 때, 에어패드(20)의 중앙영역이 지나치게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팽창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압착부(22)는 에어패드(20)의 면적에 대해 균일한 간격으로 분포하도록 설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22)와 압착부(22) 사이에 공기가 위치하게 된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펌프(40)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펌프(40)는 대략 고정판(50), 펌프볼(44) 및 다수의 밸브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판(50)은 사각형이나 원형의 비교적 딱딱한 부재로서, 펌프볼(44)이나 밸브장치의 위치를 확정하고, 헬멧(10)의 내면에 단단하게 부착되는 기능을 갖는다.
펌프볼(44)은 반구형상이며,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성형된다. 또한, 내부가 비어 있어, 손가락 누를 경우 쉽게 들어가고, 손가락을 뗄 경우 고무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펌프볼(44)은 고정판(50)에 단단하게 밀착되 어 있어 공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제 1 체크밸브(48)는 펌프볼(44)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와 펌프볼(44)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또한, 펌프볼(44)이 눌러진 상태에서 복원될 때, 복원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하도록 일방향 유동만을 허용하고, 펌프볼(4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지는 못한다. 이러한 제 1 체크밸브(48)의 상세한 구성과 동작원리는 도 6 및 도 7에서 하도록 한다.
제 2 체크밸브(46)는 펌프볼(44)의 일측과 공급관(42) 사이를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펌프볼(44)이 눌러질 때, 내부의 공기를 공급관(42) 방향으로 압송하는 일방향 유동만을 허용하고, 공급관(42) 내부의 공기가 펌프볼(44) 내부로 역류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제 2 체크밸브(46)의 구성은 제 1 체크밸브(48)와 동일하며, 설치방향(도 5를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의 진행만 허용)도 동일하다.
배출버튼(54)은 착용자의 손가락으로 눌러질 수 있는 구성이고, 손가락을 떼었을 경우, 탄성에 의해 다시 돌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배출관(55)은 일단은 공급관(42)의 일측으로부터 분지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판(50)을 지나 배출밸브(52)까지 연장되어 있다.
배출밸브(52)는 배출버튼(54)과 접해 있고, 고정판(50)의 측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배출버튼(54)이 눌러졌을 경우, 배출밸브(52)가 개방되어 배출관(55)과 외부 대기가 연통하고, 배출버튼(54)에서 손가락을 떼었을 경우, 배출밸브(52)가 폐쇄되어 배출관(55)은 외부 대기와 차단된다.
도 6은 도 5에 사용되는 체크밸브(46, 48)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사용되는 체크밸브(46, 48)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46, 48)는 작은 힘에도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연한 고무와 합성수지재를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며, 높이는 대략 5mm ~ 10mm 범위이다.
체크밸브(46, 48)의 일측에는 플랜지(60)가 형성되어, 체크밸브(46, 48)를 고정판(50)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내부는 중공부(62)가 축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64)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부에 개폐공(66)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62)과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공(66)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자체 탄성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위치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즉, 헤드(64)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는 공기가 유동되지 못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60) 방향에서 헤드(64)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중공부(62)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헤드(64)가 조금씩 변형되고, 이로 인해, 밀착되어 있던 개폐공(66)이 조금씩 벌어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배출밸브(52)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배출밸브(52)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의 착용중에는 스프링(70)에 의해 배출밸브(52a, 52b)가 외부와 폐쇄되어 있고, 손가락(77)으로 누를 경우, 고정판(50)과 배출밸브(52a, 52b)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서 압축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의 동작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착용자가 헬멧(10)을 착용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착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의 내부에 머리(12)를 집어넣어 헬멧(10)을 착용한다.
그 다음, 엄지손가락으로 펌프볼(44)을 수회 누른다. 펌프볼(44)이 눌러지면서, 펌프볼(44) 내부의 공기는 제 2 체크밸브(46)와 공급관(42)을 지나 턱의 양쪽영역에 있는 에어패드(20)의 내부로 보내진다. 이 때, 제 1 체크밸브(48)는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지 않으므로, 압축된 공기는 제 2 체크밸브(46)로만 유동한다.
이 때, 에어패드(20)는 압송된 공기의 충진됨에 따라 점차 부풀어 오르고, 팽창된 에어패드(20)로 인해, 헬멧(10)의 내면과 착용자의 얼굴부분 사이가 에어패드(20)로 채워지게 된다. 비록, 헬멧(10)과 착용자의 얼굴 사이의 빈공간이 비정형적이더라도, 에어패드(20)가 이에 맞게 팽창되기 때문에 착용에 따른 일체감이 높아진다.
착용자가 손가락을 펌프볼(44)에서 떼면, 펌프볼(4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펌프볼(44)이 다시 부풀어 오르고 이 때, 외부로부터 제 1 체크밸브(48)를 통해 펌프볼(44)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나, 제 2 체크밸브(46)는 역류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펌프볼(44)이 복원되더라도 공급관(42) 내부의 공기는 변동이 없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서(즉, 펌프볼을 수회누름), 에어패드(20)는 팽창하고, 착용자는 자신의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적당한 팽창이 이루어졌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착용한 헬멧을 벗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착용자는 손가락(77)으로 배출버튼(54)을 수초간 누른다. 이 때, 배출밸브(52)가 개방되면서, 에어패드(20) 내에 압축되어 있던 공기가 공급관(42)을 역류하여 배출관(55)을 경유한 뒤 대기중에 배출된다. 손가락(77)을 떼면, 배출밸브(52)는 다시 폐쇄되고, 착용자는 헐거워진 헬멧(10)을 벗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헬멧(10)을 쉽게 벗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 턱부위에 에어패드(20)를 설치하였으나, 정수리 부분, 관자놀이 부분 등 헬멧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에어패드를 중복 설치할 수 있고, 공급관(42)으로 간단히 연결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어펌프(40)의 설치위치가 착용자의 턱 맨앞쪽 부분이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없이 착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에 의하면, 헬멧을 국제 표준에 맞도록 8가지 규격으로 제작하면서도, 개인별 얼굴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맞춰질 수 있다. 이는 헬멧을 세분화하여 제작할 필요성을 생략하는 것이므로 생산원가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헬멧의 내면과 머리 및 얼굴을 밀착시킴으로서 일체감을 높여 외부 충격시에도 안전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패드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헬멧의 내부에 장착된 에어패드의 팽창 정도를 착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착용자의 개인별 선호도에 맞출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의 정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패드(20)의 사시도,
도 4는 도 3중 A-A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펌프(40)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사용되는 체크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배출밸브(52)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배출밸브(52)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 헬멧, 12 : 머리,
14 : 투명창, 16 : 통풍구,
20 : 에어패드, 22 :압착부,
24 : 관통공, 26 : 쿠션부,
40 : 에어펌프, 42 : 공급관,
44 : 펌프볼, 46 : 제 2 체크밸브,
50 : 고정판, 52 : 배출밸브,
54 : 배출버튼, 55 : 배출관,
60 : 플랜지, 62 : 중공부,
64 : 헤드, 66 : 개폐공,
70 : 스프링, 77 : 손가락.

Claims (5)

  1.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10) 내부중 사용자의 턱 영역에 부착되어 내부 공기의 양에 따라 팽창 가능한 한 쌍의 에어패드(20);
    상기 헬멧(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수동으로 소정의 공기압을 공급하는 에어펌프(40);
    상기 에어펌프(4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출버튼(54)과 상기 배출버튼(54)의 동작상태에 따라 개폐되는 배출밸브(52); 및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40)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각 에어패드(20)에 연결되며, 중간영역이 분지되어 상기 배출밸브(52)까지 연장된 공급관(42);으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펌프(40)는,
    상기 헬멧(10)의 턱부분 내면에 부착되는 고정판(50);
    상기 고정판(50)상에 고정되고 손가락으로 반복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중심이 비어 있는 펌프볼(44);
    상기 펌프볼(44)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펌프볼(44)의 내부방향으로 유동을 허용하는 제 1 체크밸브(48); 및
    상기 펌프볼(44)의 내부와 연통하고, 상기 펌프볼(44)의 외부방향으로 유동을 허용하는 제 2 체크밸브(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48, 46)는,
    탄성적인 합성수지재를 일체로 사출하여 성형되며,
    상기 고정판(50)에 위치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60);
    상기 플랜지(60)와 연속된 중공부(62);
    상기 중공부(62)와 연속되고, 상기 중공부(62)의 내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헤드(64); 및
    상기 헤드(64)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헤드(64)의 변형에 따라 개폐되는 개폐공(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드(20)는 두 장의 합성수지를 상호 압착하여 형성된 것이며, 통기를 위해 복수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KR10-2002-0082452A 2002-12-23 2002-12-23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KR10049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452A KR100496378B1 (ko) 2002-12-23 2002-12-23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452A KR100496378B1 (ko) 2002-12-23 2002-12-23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960A KR20040055960A (ko) 2004-06-30
KR100496378B1 true KR100496378B1 (ko) 2005-06-21

Family

ID=3734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452A KR100496378B1 (ko) 2002-12-23 2002-12-23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671Y1 (ko) * 2012-10-09 2013-03-05 주식회사 제이아이씨 에어패드가 착탈되는 오토바이 헬멧
KR102301982B1 (ko) 2019-11-18 2021-09-15 임채현 에어 패드를 구비한 흔들림 방지 펜싱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960A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8923C (en) Protective helmet with self-contained air pump
US5894606A (en) Swimming goggle
US6591429B1 (en) Physical protector
US8881315B2 (en) Protective helmet
US3866243A (en) Headgear with automatic sizing means
US7735160B1 (en) Chin guard apparatus for use with a helmet
US5349702A (en) Leak-proof cap with improved seal construction
US20040003452A1 (en) Helmet chinstrap
US9169836B2 (en) Structure of simplified inflation valve
JP2014031606A (ja) スポーツ活動用の保護ヘルメット
CA2365894A1 (en) Sporting helmet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with a pump
KR100496378B1 (ko) 에어패드가 장착된 헬멧
US5950247A (en) Protective sports eyeglasses with buffer and shock-absorbing function
KR101833304B1 (ko) 안경의 코받침
KR20070063940A (ko) 브래지어용 컵
US6387064B1 (en) Foot pump powered neck massaging device
AU739479B2 (en) Protective sports eyeglasses with buffer and shock-absorbing function
JPH04194005A (ja) ヘルメット
WO1993001732A1 (en) Helmet retention system
KR200486922Y1 (ko) 수경 보호 패드
US20140304880A1 (en) Breathable Air-Cushion Type Healthcare Softgoods
ITMO20010235A1 (it) Casco protettivo
GB2404328A (en) Helmet with inflatable lining of cells interconnected by passageways which can deform to limit pressure rise on impact
CN2312736Y (zh) 具有气垫式护垫的泳镜
CN218524022U (zh) 一种快散热防弹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