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196B1 -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 Google Patents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196B1
KR100496196B1 KR10-2002-0071616A KR20020071616A KR100496196B1 KR 100496196 B1 KR100496196 B1 KR 100496196B1 KR 20020071616 A KR20020071616 A KR 20020071616A KR 100496196 B1 KR100496196 B1 KR 10049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nel
precast concrete
bottom plate
integrall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6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1028A (en
Inventor
김선주
류근한
김우학
유승민
이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빌테크
이광명
유승민
김우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빌테크, 이광명, 유승민, 김우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빌테크
Priority to KR10-2002-0071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196B1/en
Publication of KR2003001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0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196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강재 빔이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완전히 일체로 거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한 조립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및 그에 사용되는 빔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having a prefabricated concrete panel and a steel beam more rigidly connected to be able to be completely structurally integrated, and easy to assemble a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and a beam connection assembly used therein will be.

본 발명에서는 강재 빔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일체로 조립된 구조의 합성빔으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는, 하면에는 다수개의 스터드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는 수직한 한 쌍의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체결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저판과, 상부는 상기 연결저판과 결합되고 하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매립되는 루프철근으로 구성된 빔 연결 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강재 빔의 복부 하단부는 상기 체결판에 삽입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저판과 일체로 체결되므로써, 상기 강재 빔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일체로 조립되어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및 이에 사용되는 빔 연결 조립체가 제공된다.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beam of the steel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is integrally assembled, the precast concrete panel, the lower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uds and a fastening plate made of a pair of steel plate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The connection bottom plate is integrally provided, and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ottom plate, and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beam connecting assembly consisting of a loop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the lower end of the steel beam to the fastening plate By inserting and fastening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bottom plate by fastening means, there is provided a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and a beam connecting assembly used therei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beam is assembled and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el. . .

Description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및 그에 사용되는 빔 연결 조립체{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강재 빔이 간편하고 견고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구조의 빔 연결 조립체와, 이러한 빔 연결 조립체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having a novel structure of beam connection assembly, which allows precast concrete panels and steel beams to be assembled in a simple and robust manner, and an assembly structure using such a beam connection assembly.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하에서는 "PC패널"이라고 표기합니다) 합성빔은, 강선의 긴장에 의해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I형 강재 빔이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Precast concrete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 panel") The composite beam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a precast concrete panel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by a tension of steel wire and an I-type steel beam are assembled.

이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은, I형 강재 빔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합성되는 것이므로, I형 강재 빔과 PC패널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is a composite of the type I steel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it is absolutely important to make the type I steel beam and the PC panel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structurally act integrally. Do.

특허출원 제2000-54489호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채택하고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I형 강재 빔간의 연결구조는 도 6a 내지 도 6c와 같다. Patent Application No. 2000-54489 discloses an example of a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wherein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e I-type steel beam is adopted as shown in FIGS. 6A to 6C. .

요컨대,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에 스터드(22)가 구비된 플레이트(21)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에 설치하고, I형 강재 빔(10)의 하부 플랜지(11)와 상기 플레이트(21)를 용접하는 방법으로, I형 강재 빔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연결하고 있다. In short, as shown in FIG. 6A, a plate 21 having a stud 22 at the bottom thereof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the lower flange 11 of the I-type steel beam 10 is provided. And the plate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type I steel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도 6b에 도시된 연결구조에서는, 상기 플레이트(21)의 하부에 스터드를 구비하지 않고, 단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에 플레이트(21)와 고장력 볼트(23)를 상부를 향하여 설치하고, 상기 고장력 볼트(23)를 I형 강재 빔(10)의 하부 플랜지(11)에 관통시켜 체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In the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6B, the plate 21 and the high tension bolt 23 are installed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without having a stu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21. The high tension bolt 23 is passed through the lower flange 11 of the I-type steel beam 10 to be fastened.

한편, 도 6c에 도시된 연결구조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 내에 U자형 철근(24)을 설치하고 그 철근(24)의 단부를 I형 강재 빔(10)의 하부 플랜지(11)에 관통시켜 체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Meanwhile, in the connection structure shown in FIG. 6C, the U-shaped rebar 24 is install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the end of the rebar 24 passes through the lower flange 11 of the I-type steel beam 10. The structure is fastened.

위와 같은 종래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우선 도 6a와 같은 경우에는, 플레이트(21)와 I형 강재 빔(10)의 하부 플랜지(11)를 용접할 때, 강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21)가 용접열에 의하여 팽창하므로써 플레이트(21) 주위의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플레이트(21) 주위의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플레이트(2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이 일체로 거동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결국 I형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이 구조적으로 일체화되지 못한 합성 빔이 만들어진다. First, as shown in FIG. 6A, when welding the plate 21 and the lower flange 11 of the I-type steel beam 10, the plate 21 made of steel expands by the heat of welding so that the plate 21 is formed around the plate 21. The probability of cracking in concrete is very high. The cracking of the concrete around the plate 21 results in the plate 21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becoming unintegrated, resulting in the type I steel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A composite beam is created in which 20 is not structurally integrated.

한편, 도 6b의 조립구조에 있어서는, 플레이트(21)가 단지 볼트(23)에 의해서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결합되어 있을 뿐이므로, I형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연결이 매우 취약하여 결국 I형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이 구조적으로 일체로 거동할 수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ssembly structure of FIG. 6B, since the plate 21 is only coupled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only by the bolt 23, the I-type steel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 Is very fragile, so that the type I steel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cannot be structurally integrated.

도 6c의 조립구조에서는, 플레이트(21) 없이 I형 강재 빔(10)의 하부 플랜지(1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이 직접 맞닿아 있는 구조이므로 이 역시 연결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일체화되지 못한다. 특히, 하부 플랜지(1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은 어떠한 접착력을 가지고 맞닿아 있는 것이 아니라, 철근(24)과 이를 체결하는 너트에 의한 수직력에 의해서만 마주하고 있을 뿐이므로, 하부 플랜지(1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우수 등이 투입될 수 있으며, 빔에 가해지는 진동 하중 등에 의하여 철근(24) 단부의 고정상태가 느슨하게 되는 경우, 하부 플랜지(11)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 사이의 틈이 더욱 커지고 서로 부딪쳐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assembly structure of FIG. 6c, since the lower flange 11 of the I-type steel beam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directly contact each other without the plate 21, this connection is also not firm. It is not structurally integrated. In particular, the lower flange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re not in contact with any adhesive force, but only faced by the vertical force by the reinforcing bars 24 and the nut fastening them, so that the lower flange When the gap between the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generated, rainwater may be injected, and when the fixed stat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24 is loosened due to the vibration load applied to the beam, the lower fl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11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becomes larger and the likelihood of damage to each other is very high.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단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강재 빔이 더욱 견고하게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완전히 일체로 거동하도록 할 수 있는 조립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및 그에 사용되는 빔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and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e steel beam is more firmly connected to the assembly structure that can be structurally completely integrated behavio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having a beam and a beam connection assembly used therein.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강재 빔이 간편한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는 조립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및 그에 사용되는 빔 연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having an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e steel beam can be assembled in a simple manner, and a beam connecting assembly used therefor.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재 빔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이 일체로 조립되어 합성된 구조의 합성빔으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는, 하면에는 다수개의 스터드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는 수직한 한 쌍의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체결판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저판과, 상부는 상기 연결저판과 결합되고 하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매립되는 루프철근으로 구성된 빔 연결 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강재 빔의 복부 하단부는 상기 체결판에 삽입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저판과 일체로 체결되므로써, 상기 강재 빔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일체로 조립되어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이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 composite beam of a structure in which the steel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is integrally assembled and synthesized, the precast concrete panel,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uds, The connection bottom plat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astening plate made of a pair of vertical steel plate, and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consisting of a loop reinforcing bar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embedd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dominal lower end of the steel beam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late and fasten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bottom plate by the fastening means, the steel beam is assembled and synthesized integrally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el A beam is provid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매립되는 루프철근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에 존재하는 횡방향 철근과 결속되거나 또는 횡방향 철근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강재 빔으로서는, 복부에 사다리꼴 형태의 절취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허니컴 거더 형식의 I형 강재 빔을 사용할 수 있다.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op reinforcement embedd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may be bound to the transverse rebar present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or may function as a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as the steel beam, the abdomen A honeycomb girder type I steel beam formed with a trapezoidal cutout at predetermined intervals may be used.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합성빔에 있어서, 상기 연결저판과 루프철근의 상면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가진 피복두께 확보용 후판을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저판의 상면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연결저판을 결합하고, 연결저판의 상면에는 모르타르를 채워서 상기 루프철근의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Further, in the composit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ck plate for securing a thicknes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bottom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of reinforcement,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ttom plate i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Placing concrete in the state positioned to be coupled to the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e connecting bottom plat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ttom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tructure to secure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roof reinforcement by filling the mortar.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므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I형 강재 빔(10)의 복부(12)에 사다리꼴 형태의 절취부(14)가 형성되어 있는 허니컴(honeycomb) 거더 형식의 빔(10)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에 의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결합되어 이루어진 합성빔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선A-A에 따른 개략적인 측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honeycomb girder type beam 10 having a trapezoidal cutout portion 14 formed in an abdomen 12 of an I-type steel beam 1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coupled to a precast concrete panel 20 by an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FIG. 2 is shown, and in FIG. 2, a schematic lateral cross-section along line AA of FIG. 1 is shown.

도 1 및 도 2에서 I형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이 결합되는 부분(C)의 조립구조는 후술하는 내용 및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기 때문에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In FIG. 1 and FIG. 2,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portion C to which the I-type steel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re coupled will be omitted because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결합되는 I형 강재 빔(10)은 상부 플랜지(11)와 복부(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인 I형 강재 빔에서와 같은 하부 플랜지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빔 연결 조립체(30)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빔 연결조립체(30)에 상기 I형 강재 빔(10)의 복부(12) 하단부가 조립되므로써 I형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이 일체로 결합된다. 도면에서 I형 강재 빔(10)의 일예로서 복부(12)에 사다리꼴 형태의 절취부(14)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허니컴 거더 형식의 빔을 예시하였는데, 위와 같은 허니컴 거더 형식의 빔의 경우, 구조적인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빔의 복부 부분의 일부를 절취하므로써, 사용 강재량이 절감되고 그에 따라 비용 및 자중이 절감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shaped steel beam 10 coupled to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composed of an upper flange 11 and the abdomen 12, the lower flange as in a typical I-shaped steel beam is provided Not. The beam connecting assembly 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the lower part of the abdomen 12 of the I-type steel beam 10 is assembled to the beam connecting assembly 30 so that I The steel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re integrally coupled. In the drawing, as an example of the I-shaped steel beam 10, a honeycomb girder type beam is formed in the abdomen 12 with a trapezoidal cutout portion 14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ase of the honeycomb girder type beam as described above, By cutting away a portion of the abdomen of the beam of relatively low structural importance, the amount of steel used is reduced, thereby reducing costs and weight.

그러나, 위 허니컴 거더 형식의 빔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빔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조립구조는 위 허니컴 거더 형식의 빔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식의 강재 빔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the honeycomb girder-type beam is just one example, and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pplied to the honeycomb girder-type beam, but is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teel beams. It can be.

다음에서는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빔 연결 조립체의 실시예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므로써 빔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조립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looking at the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used in the assembly structure in detail.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연결 조립체(30)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빔 연결 조립체(30)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도 1의 선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빔 연결 조립체(30)를 이용한 조립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line BB of Figure 1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shown in Figure 3a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FIG. 3C is a view similar to FIG. 3B,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빔 연결 조립체(3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콘크리트에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I형 강재 빔(10)의 복부(12) 하단부와 연결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I형 강재 빔(10)을 일체로 연결하게 되는 강재로 이루어진 연결저판(3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저판(31)의 하면에는 콘크리트 매립되는 다수개의 매립 스터드(35)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기 I형 강재 빔(10)의 복부(12)가 삽입되어 고장력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6)에 의하여 복부(12)를 고정시키는 체결판(32)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판(32)은 연결되는 I형 강재 빔(10)의 복부(12)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직립되어 있으며 I형 강재 빔(10)의 종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는 한 쌍의 수직 강재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판(32)은 공장에서 빔 연결 조립체(30)를 제조할 때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연결저판(31)에 부착된다.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s installed integrally coupled to the concret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abdomen 12 of the I-type steel beam 10 to form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the I type.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bottom plate 31 made of steel for connecting the steel beam 10 integrally.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ottom plate 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mbedded studs 35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the upper portion of the abdomen 12 of the I-type steel beam 1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means 36 such as high-tensile bolts Fastening plate 32 for fixing the abdomen 12 by the () is provided integrally. The fastening plate 32 is erected to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abdomen 12 of the I-type steel beam 10 to be connected and a pai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shaped steel beam (10) It consists of vertical steel plates. The fastening plate 32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base plate 31 by a method such as welding when manufacturing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n the factory.

상기 체결판(32)에는 고장력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6)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판(32)에 삽입되는 빔 복부(12)의 하단부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은 구조계산에 따라 1열 배치 이외에도 2열 배치, 3열 배치 등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e fastening plate 3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inserting the fastening means 36, such as high-tensile bolts, the fastening hole is also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beam abdomen 1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late 32 Formed. The fastening hole may be changed to a two-row arrangement, a three-row arrangement, etc. in addition to the one-row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alculation.

상기 연결저판(31)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결합을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하여 빔 연결 조립체(30)에는 상기 연결저판(31)과 연결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 매립되는 다수개의 루프철근(33)이 구비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철근(33)은 상단부가 상기 연결저판(31)의 하면에 스폿 용접 등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분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루프철근(33)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콘크리트에 매립되는데, 이와 같이 루프철근(33)은 그 상단부가 연결저판(31)과 연결된 상태로 하부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고정되므로, 빔 연결 조립체(30)가 더욱 견고하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In order to further secure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bottom plate 31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has a plurality of loop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ttom plate 31 and embedd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Reinforcing bar 33 is provid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3a to 3c, the roof reinforcement 33 is at least partial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by spot welding or the like. Meanwhile, the roof reinforcement 33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s such, the roof reinforcement 33 has a lower portion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with its upp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ttom plate 31. Since it i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fixed,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s more firmly combined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to form an integral.

특히,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결속선(37)을 이용한 결속선 이음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루프철근(33)의 하부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 배치되는 횡방향 철근(23)과 연결시키게 되면 루프철근(33)의 하단부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콘크리트에 더욱 견고하게 매립시킬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B, the lower part of the roof reinforcing bar 33 is dispos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by a method of joining the wires using the binding line 37 or welding, a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23. When connected, the lower end of the roof reinforcement 33 can be more firmly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한편, 루프철근(33)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횡방향 철근(23)과 연결시키는 대신에,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루프철근(33)을 횡방향 철근으로서 기능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연결저판(31)이 구비되는 위치에서 횡방향 철근(23)을 좀더 크게 제작하여 그 상단부를 연결저판(31)과 결합시키므로써 루프철근(33)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stead of connecting the loop reinforcement 33 with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23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the roof reinforcement 33 functions as a transverse reinforcement, as shown in FIG. 3C. It is possible. In other words,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23 is made larger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is provided, and the upper end portion thereof is coupled with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to function as the roof reinforcing bar 33.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연결 조립체(30)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루프철근(33)이 연결저판(31)과 결합되는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Figure 4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a,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loop rebar The structure in which 33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is modified.

요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저판(31)의 측면에 결합공(34)을 형성하고, 각각의 결합공(34)에 루프철근(33)의 단부를 각각 삽입하므로써 상기 루프철근(33)과 연결저판(31)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것처럼 루프철근(33)을 횡방향 철근(23)과 결속시킬 수 있으며, 도 3c의 경우처럼, 횡방향 철근(23)을 크게 확장하여 그 단부를 절취한 후 연결저판(31)의 측면 결합공(34)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ure 4, by forming a coupling hole 34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base plate 31,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loop reinforcement 33 in each coupling hole 34, the loop reinforcement ( 33) and the connection base plate 31 can be combined. Also in this case, the loop reinforcement 33 can be engaged with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23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3C,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23 is greatly expanded to cut the end thereof, and then the connecting bottom plate (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into the side engaging hole 34 of 31).

다음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빔 연결 조립체(3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연결저판(31)에 체결판(32) 및 스터드(35)를 일체로 부착하고 루프철근(33)을 상기 연결저판(31)과 결합하여, 앞서 설명한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빔 연결 조립체(30)를 제작한다. 이렇게 사전 제작된 빔 연결 조립체(30)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 제작용 거푸집 내에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빔 연결 조립체(30)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일체가 된 상태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제작한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거푸집에 배근되어 있던 횡방향 철근(23)과 빔 연결 조립체(30)의 루프철근(33)을 결속시키며,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크게 확장된 횡방향 철근을 스폿 용접 등에 의하여 연결저판(31)과 결합시키거나 또는 미리 연결저판(31)에 결합되어 있던 루프철근(33)을 횡방향 철근으로서 배치한다. First, the fastening plate 32 and the stud 35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and the loop reinforcing rod 3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thereby as shown in FIGS. 3A and 4. The sam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s fabricated. The pre-fabricated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s placed in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concrete is cast to precast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The concrete panel 20 is manufactured.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b, the transverse reinforcing bar 23 and the roof reinforcing bar 33 of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which was reinforced to the formwork before placing concrete, bi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3c In the case of the example, the greatly expanded transverse rebar is coupled with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by spot welding or the like, or the loop reinforcing bars 33 previously joined to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are arranged as the transverse rebar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 강선을 배치하고 강선의 긴장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을 도입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Arrangement of the steel wire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the introduction of the prestress stress by the tension of the steel wire can be used a general known meth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빔 연결 조립체(30)를 설치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제작할 때, 경우에 따라서는 루프철근(33)의 피복두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아니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면도로서, 루프철근(33)의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When manufactur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by pouring concrete with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nstalled, in some cases,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roof reinforcement 33 may not be sufficiently secured.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as shown in FIGS. 3B and 3C, which show a structure for securing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roof reinforcement 33. As shown in FIG.

루프철근(33)의 피복두께가 충분히 확보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저판(31)과 루프철근(33) 사이에 피복두께 확보용 후판(38)을 게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연결저판(31)과 루프철근(33)에 상면 및 하면이 각각 부착되고 소정 두께를 가진 상기 피복두께 확보용 후판(38)이 연결저판(31)과 루프철근(33) 사이에 존재하도록 하므로써 루프철근(33)의 위치가 하측으로 더 아래에 놓이게 하고, 그에 따라 루프철근(33)에 대한 적정한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것이다. If the cover thickness of the roof reinforcement 33 is not sufficiently secured, a thick plate 38 for securing the cover thicknes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and the roof reinforcement 33 as shown in FIG. 5A. That i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and the roof reinforcement 33, and the thick plate 38 for securing the coating thickness is present between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and the roof reinforcing bar 33. By doing so, the position of the roof reinforcement 33 is further lowered to the lower side, thereby ensuring an appropriate coating thickness for the roof reinforcement 33.

또다른 방법으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저판(31)의 상면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빔 연결 조립체(30)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결합시키고, 아래에 놓여진 연결저판(31)의 상면으로는 모르타르 등으로 채우므로써 루프철근(33)에 대하여 적정한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것이다. 도 5b에는 도 4에 도시된 빔 연결 조립체(20)에 대하여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피복두께 확보 구조는 도 3a에 도시된 빔 연결 조립체(20)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B,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s pre-filled by pouring concrete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t is combined with the cast concrete panel 20, and filled with mortar or the lik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placed below to secure an appropriate coating thickness for the roof reinforcing bar (33). Although FIG. 5B illustrates a structure for securing the coating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20 illustrated in FIG. 4, the structure for securing the coating thickness may be applied to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20 illustrated in FIG. 3A. have.

위와 같은 방법으로, 빔 연결 조립체(3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공장 또는 교량인접 현장작업장에서 제작한 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현장으로 이동하여 거치시킨다(예를 들면 교량의 시공의 경우, 교각과 교각 사이 또는 교각과 교대 사이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거치시킨다).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fter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manufactured in a factory or a bridge adjacent site workshop with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ntegrally couple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moved to the site and mount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bridge constructio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mounted between the bridge and the bridge or between the bridge and the bridge).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거치시킨 후에, 하부 플랜지가 제거된 I형 강재 빔(10)의 복부(12) 하단부를 상기 빔 연결 조립체(30)의 체결판(32) 사이에 삽입한 후, 체결공에 체결수단(36)을 삽입하여 체결하므로써, 상기 I형 강재 빔(10)과 빔 연결 조립체(30)를 조립하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일체로 합성하게 되는 것이다. After mounting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the lower part of the abdomen 12 of the I-shaped steel beam 10 with the lower flange removed is inserted between the fastening plates 32 of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By fastening by inserting the fastening means 36 in the fastening hole, the I-shaped steel beam 10 and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are assembled to synthesize the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ntegrally. will be.

한편, 또다른 시공방법으로서, 공장 또는 교량인접 현장작업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 강재 빔(10)의 복부 하단부를 상기 빔 연결 조립체(30)의 체결판(32)에 삽입하여 체결수단(36)으로 체결하므로써, 상기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일체로 합성한 후, 합성된 빔을 교량시공 현장으로 이동하여 거치시킬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construction method, by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abdomen of the steel beam 10 to the fastening plate 32 of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manufactured in the factory or bridge adjacent site workshop By fastening by the fastening means 36, after the steel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integrally synthesized, the synthesized beam may be moved to a bridge construction site and mounte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 일체로 구비된 빔 연결 조립체(30)에 I형 강재 빔(10)의 복부 하단부를 삽입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결합하므로써, 매우 간편하게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합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빔 연결 조립체(30)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매우 견고한 조립구조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빔 연결 조립체(30)를 통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빔(10)이 결합되는 경우 구조적인 합성 정도가 매우 우수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abdomen of the I-beam steel beam 10 into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ntegrally provid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made in advance by coupling by fastening means It is very easy to synthesize the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is coupled to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by a very rigid assembly structure,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passed through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 And the beam 10 are combined, the structural synthesis degree is very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허니컴(honeycomb) 거더 형식의 빔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결합되어 이루어진 합성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beam in which a honeycomb girder type beam is combined with a precast concrete panel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선A-A에 따른 개략적인 측방향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later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연결 조립체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beam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빔 연결 조립체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도 1의 선B-B에 따른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beam connecting assembly shown in FIG. 3A.

도 3c는 도 3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빔 연결 조립체를 이용한 조립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3c is a view similar to Figure 3b,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embly structure using a beam connection assembly.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빔 연결 조립체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beam conn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루프철근의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Figures 5a and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b and 3c,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securing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roof reinforcement.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종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에 있어서의 강재 빔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6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steel beam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in the conventional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respectivel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I형 강재 빔 20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10: Type I steel beam 20: Precast concrete panel

30 : 빔 연결 조립체 31 : 연결저판30: beam connection assembly 31: connection bottom plate

32 : 체결판 33 : 루프 철근32: fastening plate 33: loop reinforcement

Claims (6)

복부(12)에 절취부(14)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허니컴 거더 형식의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을 일체로 조립하여 합성시키기 위한 빔 연결 조립체로서, A beam connecting assembly for integrally assembling and combining the honeycomb girder-type steel beam 10 and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formed in the abdomen 12 with a cutout portion 1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하면에는 다수개의 스터드(35)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는 수직한 한쌍의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체결판(32)이 일체로 구비된 연결저판(31)과, 상부는 상기 연결저판(31)과 결합되고 하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패널(20) 내의 횡방향 철근으로서 기능하는 루프철근(33)으로 구성되며; A plurality of studs 35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a connecting bottom plate 31 integrally provided with a fastening plate 32 formed of a pair of vertical steel plate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coupled to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The lower part is made up of a loop reinforcement 33 embedd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functioning as transverse reinforcement in the concrete panel 20; 상기 루프철근(33)과 연결저판(31)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 매립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강재 빔(10)의 복부(12) 하단부가 상기 체결판(32)에 삽입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저판(31)과 일체로 체결되므로써 강재 빔(10)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일체로 조립시켜 합성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연결 조립체. The lower end of the abdomen 12 of the steel beam 10 in a state in which the roof reinforcement 33 and the connection bottom plate 31 are embedd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integrally coupled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late 32 and is fasten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bottom plate 31 by the fastening means, so that the steel beam 10 is integrally assembled with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synthesized. Beam connection assembly. 복부(12)에 절취부(14)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허니컴 거더 형식의 강재 빔(10)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이 일체로 조립되어 합성된 구조의 합성빔으로서, A honeycomb girder-type steel beam 10 and a precast concrete panel 20 are integrally assembled by combining the cutout portions 14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abdomen 12, and are synthesized as a composite beam.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는, 하면에는 다수개의 스터드(35)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는 수직한 한 쌍의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체결판(32)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연결저판(31)과, 상부는 상기 연결저판(31)과 결합되고 하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패널(20) 내의 횡방향 철근으로서 기능하는 루프철근(33)으로 구성된 빔 연결 조립체(3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uds 35 on the lower surface and a connecting bottom plate 31 integrally provided with a fastening plate 32 composed of a pair of vertical steel plates on the upper surface.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and the lower part is embedded in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the beam connection assembly 30 composed of a loop reinforcement 33 which functions as a transverse reinforcement in the concrete panel 20 Are integrally combined, 강재 빔(10)의 복부(12) 하단부는 상기 체결판(32)에 삽입되고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저판(31)과 일체로 체결되므로써, 상기 강재 빔(10)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일체로 조립되어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The lower part of the abdomen 12 of the steel beam 1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late 32 and fasten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by a fastening means, such that the steel beam 10 is connected to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is assembled and synthesiz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결저판(31)과 루프철근(33)의 상면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가진 피복두께 확보용 후판(38)을 설치하여 상기 루프철근(33)의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Between the connecting bottom plate 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of reinforcement 33 is installed a plate thickness securing plate 38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have a structure to ensure the cover thickness of the roof reinforcement 33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결저판(31)의 상면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20)과 연결저판(31)을 결합하고, 연결저판(31)의 상면에는 모르타르를 채워서 상기 루프철근(33)의 피복두께를 확보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The concrete is plac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ottom plate 31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to couple the precast concrete panel 20 and the connection bottom plate 31, and the connection bottom plate ( 31) Precast concrete panel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ortar is filled with a structure to secure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roof reinforcement (33).
KR10-2002-0071616A 2002-11-18 2002-11-18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KR1004961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616A KR100496196B1 (en) 2002-11-18 2002-11-18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616A KR100496196B1 (en) 2002-11-18 2002-11-18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028A KR20030011028A (en) 2003-02-06
KR100496196B1 true KR100496196B1 (en) 2005-06-17

Family

ID=2772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616A KR100496196B1 (en) 2002-11-18 2002-11-18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1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000B1 (en) * 2002-11-18 2004-12-09 주식회사 노빌테크 Longitudinal Connecting Method of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KR100486772B1 (en) * 2002-12-05 2005-05-03 주식회사 노빌테크 Honeycomb Type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KR101034363B1 (en) * 2009-06-17 2011-05-16 (주)대산씨에스에이 Iron frame preceding installation method for construction and structure of supre multistoried building elevato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3717U (en) * 1979-10-23 1981-05-28
JPS6150108U (en) * 1985-08-23 1986-04-04
JPS61166010U (en) * 1985-04-05 1986-10-15
JPH0480450A (en) * 1990-07-23 1992-03-13 Fujita Corp Oscillation controlling mechanism for composite beam
JPH04124347A (en) * 1990-09-14 1992-04-24 Fuji P S:Kk Shear-prestressed concrete floor slab composite part and its manufacture
JPH0510001A (en) * 1991-07-03 1993-01-19 Oriental Kensetsu Kk Precast concrete beam
KR19980022313A (en) * 1996-09-21 1998-07-06 최훈 Connection structure of ready-made concrete girder and steel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KR19990025559A (en) * 1997-09-12 1999-04-06 김헌출 P.C beam easy to join and construction method of frame part using same
KR20020021747A (en) * 2000-09-16 2002-03-22 박영호, 정광량 Composite beam with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panel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3717U (en) * 1979-10-23 1981-05-28
JPS61166010U (en) * 1985-04-05 1986-10-15
JPS6150108U (en) * 1985-08-23 1986-04-04
JPH0480450A (en) * 1990-07-23 1992-03-13 Fujita Corp Oscillation controlling mechanism for composite beam
JPH04124347A (en) * 1990-09-14 1992-04-24 Fuji P S:Kk Shear-prestressed concrete floor slab composite part and its manufacture
JPH0510001A (en) * 1991-07-03 1993-01-19 Oriental Kensetsu Kk Precast concrete beam
KR19980022313A (en) * 1996-09-21 1998-07-06 최훈 Connection structure of ready-made concrete girder and steel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KR19990025559A (en) * 1997-09-12 1999-04-06 김헌출 P.C beam easy to join and construction method of frame part using same
KR20020021747A (en) * 2000-09-16 2002-03-22 박영호, 정광량 Composite beam with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028A (en)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662B1 (en) Prefabricated precast steel grid composite de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JP4347500B2 (en) Bridge girder
JPH09221717A (en) Steel-concrete composite floor-slab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5987680A (en) Bridge deck unit and process for construction bridge deck using the unit
KR100626544B1 (en) Hybrid Beam of Steel Plate and Concrete, and High Streng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KR100676627B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arranged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and the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device
KR100644745B1 (en) Pc column-beam join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05002B1 (en)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5256341A (en) Corrugated steel-plate web u component bridge
KR100496196B1 (en)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Assembly therefor
KR100541163B1 (en)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Embedded and Mechanically Connected Lower Flan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2008088634A (en) Composite steel-concrete floor slab
KR200347024Y1 (en) Complex Slab Structure using 2 Dimensionally arrayed Corrugated Type Deck Plate
KR100486772B1 (en) Honeycomb Type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KR100461000B1 (en) Longitudinal Connecting Method of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Novel Connecting Structure
KR100596072B1 (en)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Embedded Lower Flan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480471B1 (en)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Honeycomb Type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KR101342894B1 (en) Trust typ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of continuation bridge using the same
KR20050073773A (en) Slab structure making use of corrugated type deck plate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KR100541162B1 (en)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Embedded Lower Flan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4660810B2 (en) Boundary beam damper
KR20050021611A (en) Apparatus for enhancing shear strength of column slab connection part and structure thereof using the same
KR100527601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Using Stepping Prestressing
KR200330981Y1 (en) Composite Beam Stiffened with Prestressed Concrete Panel Having Embedded Lower Flan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638673B1 (en) Connection detai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between abutment and steel girder in integral abutment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