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650B1 - 윤활제 압송펌프 및 이 펌프를 이용한 윤활제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윤활제 압송펌프 및 이 펌프를 이용한 윤활제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650B1
KR100494650B1 KR10-2003-0026406A KR20030026406A KR100494650B1 KR 100494650 B1 KR100494650 B1 KR 100494650B1 KR 20030026406 A KR20030026406 A KR 20030026406A KR 100494650 B1 KR100494650 B1 KR 100494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piston
hole
shaft member
pist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428A (ko
Inventor
키요시 타구사가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압송펌프는, 내부에 관통구멍을 갖추고 그 일부분이 고압의 공기를 유입하는 실린더실로 형성된 펌프본체와, 이 펌프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내의 공간에서 각각 상기 관통구멍과 연통되는 1쌍의 윤활제용 흡입밸브유니트와 배출밸브유니트, 상기 관통구멍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실을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피스톤부를 갖추고 이 피스톤부로부터 뻗어 있는 제1축부의 단부면이 상기 관통구멍내의 공간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펌프본체의 관통구멍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축부재의 제1축부의 단부면과 대향하여 상기 공간에 면해 있는 선단부를 갖춘 피스톤축부재의 이동량규제수단은 상기 선단부의 관통구멍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배치된다. 상기 펌프본체에는 한쪽 단부가 상기 피스톤축부재의 제1축부가 위치하는 관통구멍과 연통되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흡입밸브유니트의 윤활제공급용 관로와 연통되는 윤활제용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축부재의 제1축부의 외주에는 1쌍의 밀봉부가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관통구멍의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윤활제 압송펌프 및 이 펌프를 이용한 윤활제 공급방법 {Force pump for lubricant and method for supplying the lubricant by using the force pump}
본 발명은 기계장치의 구성부재에 소정량의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압송펌프 및 이 윤활제 압송펌프를 이용한 윤활제의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장치의 구성부재에 소정량의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압송펌프가 공지되어 있는데, 기계장치의 구성부재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은 기계장치 자체의 본래의 이동목적에서 보면 주변적인 기능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윤활상태가 적절하지 않으면, 기계장치의 가동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든지 구성부재에 인접한 부재를 파손시키게 되는 등 기계장치에 중대한 손상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계장치의 예로서 다이캐스트머신을 들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구성부재의 하나로서 사출슬리브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는 사출플런저(plunger)를 들 수 있다. 사출슬리브에는 한번의 사출마다 고온의 용탕이 공급되고, 용탕과 사출플런저 선단의 플런저팁부는 접촉을 반복하기 때문에 윤활제가 적절하게 공급되지 않게 되면 사출슬리브가 손상되게 된다.
도 3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사출플런저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압송펌프(RBP)의 피스톤 축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서, 참조부호 10은 펌프본체를 나타낸다. 펌프본체(10)의 중심부에는, 오른쪽 단부에 피스톤부(16)가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축부재(12)의 축부를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10A)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4는 상기 피스톤축부재(12)의 축부의 왼쪽 단부에 설치된 밀봉부재인 O링을 나타내고 있다. 참조부호 18은 실린더본체를 나타내는 바, 이 실린더본체(18)는 펌프본체(10)의 오른쪽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본체(18)의 내부에는 피스톤부(16)에 의해 분할되는 공간(R1,R2)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본체(18)의 오른쪽 단부의 블록부에는 커버(26)가 부착되어 있고, 이 커버(26)의 내부에는 상기 블록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구멍과 나사결합되는 행정규제나사(24)가 배치되어 있다. 행정규제나사(24)의 왼쪽 단부의 헤드부는 실린더본체(18)내로 돌출되어 상기 피스톤부(16)의 오른쪽 단부면과 대향하고 있다. 행정규제나사(24)의 오른쪽 단부의 홈을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정규제나사(24)의 헤드부의 축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피스톤축부재(12)가 왕복동할 때의 오른쪽 단부의 위치가 결정된다.
참조부호 20과 22는 각각 상기 공간(R1,R2)과 연통되는 고압의 공기공급배출구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흡입밸브유니트(30)와 배출밸브유니트(28)는 상기 펌프본체(1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참조부호 32와 34는 첵밸브기능을 수행하는 강구와 압축스프링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36도 강구를 나타내는데, 이 강구(36)는 아랫쪽(IN쪽)으로부터 윤활제를 흡입할 때윗쪽으로 밀어올려지게 된다. 이 때, 윤활제는 공간(R3)을 매개로 구멍(10A)내에 채워지게 된다. 그 사이에, 상기 강구(32)는 압축스프링(34)에 의해 아랫쪽으로 내리눌려진다.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윤활제 압송펌프에서는, 윤활제가 압송될 때 O링(14)으로 새어나오는 윤활제가 고압의 공기공급배출구(20)나 실린더본체(18), 심지어는 고압의 공기공급배출구(22)를 통과하여 도시되지 않은 방향절환밸브의 탱크포트로부터 누출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측의 환경대책을 저해하게 된다.
또, 윤활제의 토출량은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행정규제나사(24)의 왼쪽 단부의 헤드부의 위치로 결정된다. 그러나, 이 위치조정에 관해서는 부속의 계측게이지를 이용하여 그 때마다 수동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자로서는 귀찮아진다.
더욱이, 윤활제 압송펌프의 토출동작이 확실하게 실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외부에서 판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윤활제 압송펌프, 고압의 공기공급배출구와 절환밸브 사이의 관로, 함께 쓰이는 공기블로우용 관로, 회로 등을 포함하여 외부배관이 주된 구성요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니트로의 구성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축부재(12)의 1회 왕복동작에 대응되는 윤활제의 토출량이 비교적 많게 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더구나, 행정규제나사(24)가 피스톤부(16)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윤활제 압송펌프(RBP)의 축방향 길이는 길어지고, 실린더본체(18)의 외경도 크게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동절기 저온시나 고점도의 윤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윤활제의 압송력이 부족해지게 된다.
본 출원인은 전술된 모든 문제점을 예의 검토한 결과, 피스톤부의 1회 왕복동작으로 단위 토출량이 적은 윤활제 압송펌프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 윤활제가 누출되지 않고 토출량의 조정이 용이하며 윤활제의 공급제어를 디지털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윤활제 압송펌프 및 이 윤활제 압송펌프를 이용한 윤활제의 공급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윤활제 압송펌프는, 내부에 관통구멍을 갖추고 그 일부분이 고압의 공기를 유입하는 실린더실로 형성된 펌프본체와, 이 펌프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내의 공간에서 각각 상기 관통구멍과 연통되는 1쌍의 윤활제용 흡입밸브유니트와 배출밸브유니트, 상기 관통구멍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실을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피스톤부를 갖추고 이 피스톤부로부터 뻗어 있는 제1축부의 단부면이 상기 관통구멍내의 공간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축부재 및, 상기 펌프본체의 관통구멍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축부재의 제1축부의 단부면과 대향하여 상기 공간에 면해 있는 선단부를 갖추고서 이 선단부의 관통구멍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축부재의 이동량규제수단을 구비한 윤활제 압송펌프에서, 상기 펌프본체에는 한쪽 단부가 상기 피스톤축부재의 제1축부가 위치하는 관통구멍과 연통되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흡입밸브유니트의 윤활제공급용 관로와 연통되는 윤활제용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축부재의 제1축부의 외주에는 1쌍의 밀봉부가 상기 관통구멍에서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통로와 1쌍의 밀봉부가 설치됨으로써 관통구멍에서 누출되는 윤활제가 배출통로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즉, 윤활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본체의 관통구멍내의 공간에 면해 있는 피스톤축부재의 제1축부의 단부면의 위치가 이동량규제수단에 의해 설정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축부재의 왕복동에 의한 흡입밸브유니트로부터의 단위 토출량(Q)이 결정되는데, 즉 토출량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한편, 이 단위 토출량(Q)은 공급해야 할 소정량의 윤활제(V)보다 적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위 토출량(Q)과 소정량의 윤활제(V)에 기초하여 피스톤축부재의 왕복동의 토출횟수(N)를 정할 수 있다. 피스톤축부재의 왕복동은 피스톤부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공간에 고압의 공기공급배출구를 거쳐 절환밸브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번갈아 공급됨에 따라 수행되며, 이 왕복동은 절환밸브를 상기 정해진 토출횟수(N)만큼만 절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제의 공급제어를 디지털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축부재에는 상기 제1축부의 역방향으로 피스톤부로부터 뻗어 있는 제2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축부재가 상기 관통구멍내에서 왕복동작할 때 상기 제2축부의 단부가 상기 펌프본체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축부의 이동량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피스톤축부재가 상기 관통구멍내에서 왕복동작하는 동안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행정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2축부의 단부는 상기 펌프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동작이 확실하게 실시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으며, 행정검출수단에 의해 피스톤축부재의 이동량을 검출하고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펌프본체가 다기관(多岐管)화 되어 필요한 밸브부재를 펌프본체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에는 외부배관이 가급적 줄어들 수 있어 콤팩트화가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징을 갖는 윤활제 압송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1회 왕복동작에 의해 상기 윤활제 압송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윤활제의 단위 토출량(Q)의 배수인 소정량의 윤활제(V)를 기계장치의 구성부재에 공급하는 방법에서, 상기 소정량의 윤활제(V)와 단위 토출량(Q)으로부터 상기 피스톤부의 왕복동작에 필요한 토출횟수(N)를 미리 구하는 공정과, 상기 필요한 토출횟수(N)만큼만 상기 윤활제 압송펌프를 구동시켜서 상기 소정량의 윤활제(V)를 상기 기계장치의 구성부재에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압송펌프(RBP)의 피스톤 축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50은 펌프본체를 나타내며, 이 펌프본체(50)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54)의 오른쪽에는 직경이 큰 관통구멍(5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구멍(54,54A)에 피스톤축부재(52;피스톤부(52A)를 포함)가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축부재(52)의 피스톤부(52A)는 직경이 큰 관통구멍(54A)내에 구획형성된 실린더실을 2개의 공간(R1,R2)으로 분할하고 있다.
참조부호 56과 62는 각각 배출밸브유니트와 흡입밸브유니트를 나타낸다. 상기 관통구멍(54)내의 소정 공간(R3)에 각각의 유니트(56,62)의 밸브통로(압축스프링(58)과 강구(60) 또는 강구(60)가 수납되어 있는 부분)가 연통되어 있다. 참조부호 94와 96은 각각 탱크흡입쪽의 관로와 토출쪽의 관로를 나타낸다. 소정 공간(R3)의 오른쪽에는 상기 피스톤부(52A)의 왼쪽으로 뻗어 있는 제1축부의 왼쪽 단부면이 면해 있다. 참조부호 66은 펌프본체(50)의 왼쪽 단부면에서 관통구멍(54)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부(66A)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축을 나타내며, 이 나사축(66)의 오른쪽 단부의 축부(66C)는 상기 소정 공간(R3)에 면해 있다. 또, 나사축(66)의 오른쪽 단부의 축부(66C)의 단부면이 상기 피스톤축부재(52)의 왼쪽 단부면과 접촉됨에 따라 피스톤축부재(52)가 왕복동되는 행정위치를 규제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66)의 왼쪽 단부의 헤드부(66B)를 손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그 오른쪽 단부의 축부(66C)의 축방향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참조부호 68은 나사축(66)을 펌프본체(50)에 체결하는 너트를 나타내며, 나사축(66)과 너트(68) 및 헤드부(66B)는 본 발명의 이동량(위치)규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이동량규제수단의 다른 예로서, 예컨대 나사축(66)에 축방향을 규제하여 너트(68)를 부착하고 서보모터가 너트의 외주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서보모터에 회전량을 지령하게 되어 나사축(66)의 축방향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참조부호 D1은 배출통로를 나타내는데, 이 배출통로(D1)의 한쪽 단부는 예컨대 O링으로 된 2개의 밀봉부(70,72) 사이에서 관통구멍(54)과 연통되고, 배출통로(D1)의 다른쪽 단부는 흡입밸브유니트(62)의 흡입쪽 관로(94)와 연통된다. 또, 배출통로(D2)는 배출밸브유니트(56)의 O링부에서 누출된 윤활제를 회수하게 되며, 상기 배출통로(D1)와 연통되어 있다.
참조부호 90과 92는 공간(R1,R2)으로 고압의 공기를 번갈아 공급하는 관로를 나타내며, 이들 관로(90,92)는 절환밸브(VL1;도 2참조)를 펌프본체(50)에 탑재함으로써 생략할 수 있다.
참조부호 LSR과 S1은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를 나타낸다. 수광부(S1)는 발광부(LSR)에서 빛이 나와 피스톤부(52A)의 오른쪽으로 뻗어 있는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H)을 관통하는 빛을 받아들인다. 빛을 받아들이는 횟수에 따라 피스톤축부재(52)의 각 왕복동에 따른 행정이동량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는 실린더 형성부재의 단부면에서 오른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의 행정이동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행정이동량을 검출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의 단부면에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여 필요한 행정을 검출하는 방법이나,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의 표면에서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의 이동에 의한 자기적인 변화를 발생시켜 이 변화의 횟수를 검출하는 방법,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의 외주부분에 코일을 배치하여 차동트랜스를 형성하고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의 이동에 의한 인덕턴스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윤활제 압송펌프(RBP)를 이용한 윤활제 공급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참조부호 80은 다이캐스트머신의 사출슬리브를 나타내며, 이 사출슬리브(80)에는 사출플런저(PL)가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82, 84, 86, 88은 각각 고압의 공기원, 필터, 분배기, 압력계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00은 윤활제 탱크를 나타낸다. 윤활제 압송펌프(RBP)의 흡입동작에 의해 윤활제는 관로(94)를 거쳐 흡입밸브유니트(62)로 공급된다. 참조부호 96은 배출밸브유니트(56)로부터 토출된 윤활제를 사출슬리브(80)내로 공급하는 관로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VL1은 상기 분배기(86)로부터의 고압의 공기를 제어장치(CTLR)로부터의 지령신호(VSG1)에 응답하여 관로(90,92)를 거쳐 윤활제 압송펌프(RBP)의 공간(R1 또는 R2)으로 공급하기 위한 절환밸브이다.
또, 참조부호 VL2는 제어장치(CTLR)로부터의 지령신호(VSG2)에 응답하여 관로(98)를 거쳐 고압의 공기를 사출슬리브(80)내로 공급하고 사출슬리브(80)의 내면을 공기로 불어내어 청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절환밸브이다.
또, 제어장치(CTLR)에서는 1회의 단위 토출량(Q)을 공급해야 할 소정량의 윤활제(V)에 비해 적게 설정함과 더불어, 단위 토출량(Q)과 소정량의 윤활제(V)를 이용하여 필요한 토출횟수(N)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S1과 S2는 각각 피스톤축부재(52)와 사출플런저(PL)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검출기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윤활제 압송펌프의 본체가 다기관(多岐管)화 되고, 필요한 밸브는 펌프본체에 직접 부착되며, 공급되는 1차 공기 및 출구포트로의 배관 이외에는 배관이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함께 쓰이는 공기블로우용 관로도 포함하여 장치내에 있는 외부배관을 없앰으로써 콤팩트화가 실현되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윤활제 압송펌프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윤활제 탱크(100)로부터 사출슬리브(80)로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해 분배기(86)로부터의 고압의 공기가 제어장치(CTLR)로부터의 지령신호(VSG1)에 응답하여 윤활제 압송펌프(RBP)의 공간(R1)으로 관로(90)를 거쳐 공급되며, 이 때 절환밸브(VL1)는 오른쪽으로 절환된다. 공간(R1)에 공급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 피스톤부(52A)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윤활제는 관로(94)와 흡입밸브유니트(62)를 거쳐 소정 공간(R3)에 흡입되며, 이 후 절환밸브(VL1)는 왼쪽으로 절환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부(52A)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윤활제는 배출밸브유니트(56)로부터 관로(96)를 거쳐 사출슬리브(80)로 공급되는데, 도 1은 이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윤활제 압송펌프(RBP)는 복동식이고, 절환밸브(VL1,VL2)의 절환에 의해 흡입밸브유니트(62)의 흡입과 배출밸브유니트(56)의 배출이 번갈아 실시된다. 이 때, 소정 공간(R3)으로부터 O링으로 된 밀봉부(70)를 통과하여 새어나온 윤활제는 배출통로(D1)로 흘러서 흡입밸브유니트(62)의 흡입쪽으로 다시 흘러 들어간다.
윤활제의 단위 토출량(Q)의 설정은, 소정 공간(R3)에서의 관통구멍의 단면적과, 1회 왕복하는 행정이동 중에 피스톤부(52A)의 오른쪽으로 뻗어 있는 오른쪽 단부의 제2축부(52B)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구멍(H)을 통과하는 빛이 수광부(S1)에서 받아들여지는 횟수에 따라 결정된 피스톤축부재(52)의 행정이동량을 적산함으로써 결정된다.
윤활제가 공급된 후에는 제어장치(CTLR)로부터의 지령신호(VSG2)에 응답하여 고압의 공기가 관로(98)를 거쳐 사출슬리브(80)내로 공급되고, 이 사출슬리브(80)의 내면은 공기가 불어넣어져서 청정작업이 실시된다. 이 때, 절환밸브(VL2)는 오른쪽으로 절환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기초하여 여러 변경예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압송펌프는, 이동량규제수단의 한쪽 단부와 피스톤축부재의 한쪽 단부가 소정 공간에서 대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스톤축부재의 다른쪽 단부를 피스톤축부재가 왕복동하는 이동량을 검출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각 행정동작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성취할 수 있다. 또, 상기 다른쪽 단부는 펌프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윤활제의 토출확인용 지시계를 설치하는 등 외부에서 윤활제의 토출상태를 눈으로 확인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윤활제 압송펌프내의 피스톤으로부터의 윤활제의 누출에 대응하기 위해 배출통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윤활제가 장치의 외부로 누출될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배출통로의 한쪽 단부(관통구멍과 연통되는 부분)가 압출용 피스톤축부재의 외주의 2곳의 밀봉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출방지효과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1회 행정에서의 단위 토출량(Q)이 공급해야 할 소정량의 윤활제(V)에 비해 적게 설정되는 대신 토출횟수(N)가 설정되기 때문에, 윤활제공급의 제어를 디지털화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토출량(Q)의 설정조작은 윤활제 압송펌프쪽 뿐만 아니라 조작반 또는 제어반에서 디지털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윤활제 압송펌프의 토출용량에 제한되지 않고 공급량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윤활제 압송펌프의 펌프본체를 다기관화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윤활제 압송펌프의 콤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압송펌프의 피스톤 축방향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윤활제 압송펌프를 이용한 윤활제 공급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사출플런저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제 압송펌프의 피스톤 축방향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Claims (3)

  1. 내부에 관통구멍(54)을 갖추고 그 일부분이 고압의 공기를 유입하는 실린더실로 형성된 펌프본체(50)와; 이 펌프본체(50)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구멍(54)내의 공간(R3)에서 각각 상기 관통구멍(54)과 연통되는 1쌍의 윤활제용 흡입밸브유니트(62)와 배출밸브유니트(56); 상기 관통구멍(54)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실을 2개의 공간(R1,R2)으로 분할하는 피스톤부(52A)를 갖추고 이 피스톤부(52A)로부터 뻗어 있는 제1축부의 단부면이 상기 관통구멍(54)내의 공간(R3)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축부재(52) 및; 상기 펌프본체(50)의 관통구멍(54)의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축부재(52)의 제1축부의 단부면과 대향하여 상기 공간(R3)에 면해 있는 선단부를 갖추고서 이 선단부의 관통구멍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배치되는, 예컨대 나사축(66)과 너트(68) 등을 구비한, 피스톤축부재의 이동량규제수단;을 구비한 윤활제 압송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50)에는 한쪽 단부가 상기 피스톤축부재(52)의 제1축부가 위치하는 관통구멍(54)과 연통되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흡입밸브유니트(62)의 윤활제공급용 관로(94)와 연통되는 윤활제용 배출통로(D1)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축부재(52)의 제1축부의 외주에는, 1쌍의 밀봉부(70,72)가 상기 관통구멍(54)에서 상기 배출통로(D1)와 연통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압송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축부재(52)에는 상기 제1축부의 역방향으로 피스톤부(52A)로부터 뻗어 있는 제2축부(52B)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축부재(52)가 상기 관통구멍(54)내에서 왕복동작할 때 상기 제2축부(52B)의 단부가 상기 펌프본체(50)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축부(52B)의 이동량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피스톤축부재(52)가 상기 관통구멍(54)내에서 왕복동작되는 동안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행정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압송펌프.
  3. 제1항에 기재된 윤활제 압송펌프를 이용하여,
    피스톤부의 1회 왕복동작에 의해 상기 윤활제 압송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윤활제의 단위 토출량(Q)의 배수인 소정량의 윤활제(V)를 기계장치의 구성부재에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량의 윤활제(V)와 단위 토출량(Q)으로부터 상기 피스톤부의 왕복동작에 필요한 토출횟수(N)를 미리 구하는 단계;와,
    상기 필요한 토출횟수(N)만큼만 상기 윤활제 압송펌프를 구동시켜서 상기 소정량의 윤활제(V)를 상기 기계장치의 구성부재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공급방법.
KR10-2003-0026406A 2002-05-17 2003-04-25 윤활제 압송펌프 및 이 펌프를 이용한 윤활제 공급방법 KR100494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2257A JP2003328928A (ja) 2002-05-17 2002-05-17 潤滑剤圧送ポンプおよび同ポンプを用いた所定量の潤滑剤供給方法
JPJP-P-2002-00142257 2002-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428A KR20030089428A (ko) 2003-11-21
KR100494650B1 true KR100494650B1 (ko) 2005-06-13

Family

ID=2970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406A KR100494650B1 (ko) 2002-05-17 2003-04-25 윤활제 압송펌프 및 이 펌프를 이용한 윤활제 공급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328928A (ko)
KR (1) KR100494650B1 (ko)
TW (1) TWI2251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35440C (zh) * 2005-04-25 2009-09-02 何扬东 混凝土泵用润滑系统增压阀
JP5280645B2 (ja) * 2007-05-15 2013-09-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集中潤滑装置
CN102853238A (zh) * 2012-03-21 2013-01-02 马鞍山友邦重工机械有限公司 龙门铣床铣头箱用柱塞泵
TWI526786B (zh) * 2015-03-18 2016-03-21 shi-jie Tang Fluid supply device
CN107448762B (zh) * 2017-09-29 2023-08-08 广东鸿荣重工股份有限公司 用于液压设备的自动润滑泵
CN112762338B (zh) 2020-12-30 2022-07-15 上海精智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油脂定量装置
KR102547638B1 (ko) * 2023-02-01 2023-06-26 류광현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습식윤활 기능을 갖는 유체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428A (ko) 2003-11-21
TW200413640A (en) 2004-08-01
TWI225120B (en) 2004-12-11
JP2003328928A (ja)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218B2 (en) Clamping device for cylinder sleeves and use thereof, and mud pump having a clamping
KR100893991B1 (ko) 약액 공급장치
CN101382156A (zh) 流量控制阀和带有该流量控制阀的缸设备
KR100494650B1 (ko) 윤활제 압송펌프 및 이 펌프를 이용한 윤활제 공급방법
JP5627266B2 (ja) 潤滑剤を調量して放出するための装置
RU2006141599A (ru) Многоцилиндровый насос с гидроприводом
JP2008133800A (ja) 薬液供給装置
US4371001A (en) Check valve assembly
KR960008067A (ko) 방류 제어기능을 가진 가변 용량형 펌프
KR100674430B1 (ko) 유압 브레이커용 윤활유공급장치
US5655885A (en) Reciprocating piston pump with modular fluid subassembly
KR19990079544A (ko) 플런저펌프 및 그 시스템
US6983682B2 (en) Method and device at a hydrodynamic pump piston
US4536137A (en) Submergible pumping apparatus
US3430652A (en) Intermittently operable fluid ballast mechanism
EP1312793B1 (en) High-pressure fuel feed device
US5624246A (en) Hydraulic ammonia solution pump
US4402255A (en) Compressed-air vibrator with reciprocating piston
US5165875A (en) Reciprocating hydraulic pump
US3602336A (en) Lubricant metering assembly and valves and piston therefor
ATE202406T1 (de) Pumpe für ein hochdruckreinigungsgerät
US6283727B1 (en) Metering pump
WO2004072487A1 (en) Control valve for a pneumatic cylinder
JPH03219106A (ja) 切換弁付シリンダ
RU1778428C (ru) Нагнет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