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655B1 -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 - Google Patents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655B1
KR100493655B1 KR10-2002-0067484A KR20020067484A KR100493655B1 KR 100493655 B1 KR100493655 B1 KR 100493655B1 KR 20020067484 A KR20020067484 A KR 20020067484A KR 100493655 B1 KR100493655 B1 KR 10049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vegetation
earth structure
suppor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510A (ko
Inventor
박경북
손석희
윤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정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Priority to KR10-2002-006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6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6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토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체를 이용한 끼움방식에 의한 조립식 축조방식으로 방음벽의 축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콘크리트를 패널 또는 블록의 형태로 제작하여 절면지에의 보강토, 옹벽, 방음벽 등의 축조를 위하여 사용되었던 토류 구조물은 중량감에 의한 시공 상의 문제점과, 배수 및 수분 보유가 용이치 않아 식생체의 고사에 따른 녹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2002년 10월 18일자로 출원한 특허 제 2002-638850호에서는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진 지지틀과 지지틀의 전방으로 상부가 돌출되게 경사진 받침틀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이 제안되어 상,하,후방이 개방되어진 틀만의 구조에 따른 경량으로의 제작과, 받침틀의 경사 구조에 따른 높은 토류 및 수분 보유율로 식생의 활착력이 높도록 하였으나, 축조 시 토류 구조물의 개방된 후방이 마감되어지는 절면지 등에의 축조는 용이하나 방음벽의 설치 시에는 개방된 후방을 마감토록 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설치 상의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진 지지틀과, 지지틀의 전방으로 상부가 돌출되게 경사진 받침틀로 구성되어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에 있어서, 후방에 마감틀을 형성시켜 상, 하부만이 개방되어진 구조로 형성시키고, 지지틀의 양측에 끼움부를 형성시켜 지지체를 이용한 단순 끼움방식만으로 용이하게 방음벽 등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옹벽, 식생옹벽, 식생블럭, 방음벽, 담, 중앙분리대, 자연형 하천정비, 절면지의 보강토 등의 축조

Description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Assembly earth retaining structures to improve a activity of the vegetation}
본 발명은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토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방이 마감되어 상, 하부만이 개방되어진 틀만의 구조로서 지지체를 이용한 끼움방식에 의한 좌우배열 및 상하적층의 조립식 축조로 방음벽의 축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절면지 등에의 보강토, 옹벽 등을 축조하기 위한 토류 구조물은 콘크리트를 패널 또는 블록의 형태로 제작되었던 것으로,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감으로 축조 후 전방으로의 돌출현상, 휨현상, 이탈현상 등의 수평변위와 지반의 침하현상 및 슬라이딩 현상과 같은 수직변위에 취약하여 이를 고려하여 시공토록 해야 했기 때문에 축조 시 작업의 곤란함이 있었고, 또한 흙의 보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식생을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식생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했으나 단지 토류 구조물에 구멍을 뚫는 방법으로 식생 공간을 마련토록 함으로서 식생 공간의 협소함과 더불어 수분 보유 및 배수가 용이치 않기 때문에 식생체가 고사되어 식생에 의한 녹화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2002년 10월 18일자로 출원한 특허 제 2002-638850호에서의 토류 구조물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진 지지틀(100)과 지지틀(100)의 전방으로 상부가 돌출되게 경사진 받침틀(200)로 이루어져 상,하,후방이 개방되어진 틀만의 구조로 되어 있어 이에 따른 경량으로의 제작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축조가 용이하고, 받침틀(200)의 경사진 구조에 따른 높은 토류 및 수분 보유율로 식생의 활착력이 높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토류 구조물은 축조 시 토류 구조물의 후방을 마감토록 하면서 토류 구조물의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되는 절면지 등에의 축조는 용이하나, 방음벽 등과 같이 토류 구조물의 개방된 후방을 마감토록 하기 위한 어떠한 매체가 없는 경우의 축조 시에는 토류 구조물의 전, 후방을 대응되게 결속시켜 축조하거나 별도의 마감수단을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설치 상의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되어진 지지틀과, 지지틀의 전방으로 상부가 돌출되게 경사진 받침틀로 구성되어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의 후방에 마감틀을 형성시켜 상,하부만이 개방되어진 구조로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틀의 양측에는 끼움부를 형성시켜 지지체를 이용한 끼움방식으로 좌우배열 및 상하적층의 용이한 결속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방음벽의 축조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구조상의 기능이 동일할 경우에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류를 잡아 보유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대응되게 수직판상으로 형성된 지지틀(10)(10a)과, 지지틀(10)(10a)의 전방으로 상부가 돌출되게 경사진 받침틀(20)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10)(10a)의 후방으로는 마감틀(30)이 형성되고, 지지틀(10)(10a)의 양측으로는 홈과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어 이 끼움부(11)에 대응되어 결합되어지는 또 다른 끼움부(41)가 양측에 형성된 지지체(40)를 이용한 끼움방식에 의하여 좌우나열 및 상하적층 구조로 축조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토류 구조물의 끼움부(11)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있고 한 쌍의 내입홈(11a)과 내입홈(11a) 사이에 돌출부(11b)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서, 상기 지지체(40)의 끼움부(41)는 토류 구조물의 내입홈(11a)에 삽입되어지는 한 쌍의 돌기(41a)와 토류 구조물의 돌출부(11b)가 삽입되어지는 요입부(41b)가 갖추어져 있어 지지체(40)는 "H" 형태로 연장되어진 레일의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별도의 제작이 가능하나 시중에 이미 통용되고 있는 "에이치빔"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받침틀(2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켜 상황에 따른 적절한 시공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예시된 바와 같이 만곡형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도 4 내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곡형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만곡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은 수분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여 배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형태이고, 절곡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은 절곡된 부분에의 수분 체류를 유도하여 수분 보유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받침틀(20)의 다양한 형태는 수분의 보유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식생을 위하여 식재되어지는 식물체의 종류에 따라 수분의 필요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식물체의 종류에 따른 식생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받침틀(20)의 다양한 형태는 옹벽이나 방음벽 등의 축조 시 받침틀(20)이 외부로 노출되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장식의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분의 보유력을 조절할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으로서 받침틀(20)의 경사도가 작용되는 것으로, 만곡형으로 경사질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도 θ1이 0°~ 90°이하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고, 절곡형으로 경사질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도 θ1의 범위가 만곡형과 동일하고 θ2와 θ3의 범위는 90°~ 180° 이하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θ1의 경사도는 작을수록, θ2와 θ3의 경사도는 클수록 수분의 보유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감틀(30)을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시켜 돌출토록 함으로서 식생 공간의 확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상기 마감틀(30) 역시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시켜 상기 받침틀(20)과 같이 토류 및 수분 보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토류 구조물은 콘크리트, 플라스틱, 금속류, 목재류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틀(20)과 마감틀(30)을 수직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적층결합시킨 상태의 전, 후방이 판상이 되도록 함으로서 통상의 방음벽 형태를 그대로 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토류 구조물은 틀만의 구조에 따른 경량화가 가능하고, 경사형으로 형성된 받침틀(20)에 의한 높은 토류 및 수분 보유율로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은 물론이고, 지지틀(10)(10a)의 후방에 마감틀(30)이 형성되어 상, 하부만이 개방되어 있어 개방된 후방을 마감토록 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지지체(40)를 이용한 좌우배열 및 상하적층 결합방식만으로도 방음벽을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체(40)가 레일 형태로 되어 있어 상,하 적층 결합 시 상, 하에 위치되는 토류 구조물 간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토류 구조물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체 식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류 구조물의 자유로운 배열이 가능하며,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조된 토류 구조물에는 식물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식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도 22는 받침틀(10)이 경사형으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과 수직형으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을 상,하로 교차되게 적층시킨 격자쌓기 축조방법으로서, 이 경우는 식생의 생장공간이 확장되어 생장이 용이하고, 관목이 생장할 충분한 빛과 공간을 확보해 주는 안정적인 축조방법이다.
도 23은 경사형으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만의 상,하 교차 적층에 의한 격자쌓기 축조방법으로서, 축조 후 양쪽으로의 식생이 가능하며, 일정 높이를 유지하여 초목류 및 관목의 식생이 모두 용이한 방법이다.
도 24는 경사형으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만의 상,하 적층에 의한 수직쌓기 축조방법으로서 초목류의 식생이 용이한 방법이다.
도 25는 받침틀과 마감틀이 경사형으로 이루어진 토류 구조물만의 수직쌓기 축조방법으로서 시공 후 양쪽으로의 초목류 식생에 용이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토류 구조물은 지지체를 이용한 끼움방식에 의한 조립식 축조가 가능토록 되어 절면지 등에의 보강토 형성은 물론 방음벽 등과 같이 토류 구조물의 개방된 후방을 마감토록 하기 위한 어떠한 매체가 없는 경우의 축조 시에는 용이하게 축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토류 구조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받침틀이 절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받침틀이 절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상면도.
도 6은 도 1의 받침틀이 절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토류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면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10은 도 7의 받침틀이 절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11은 도 7의 받침틀이 절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상면도.
도12는 도 7의 받침틀이 절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측면도.
도13은 도 7의 마감틀이 만곡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14는 도 13의 상면도.
도15는 도 13의 측면도.
도16은 받침틀과 마감틀이 수직형으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17은 도 16의 상면도.
도18은 도 16의 측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토류 구조물에 지지체를 결합시키는 분해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토류 구조물에 지지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2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축조된 상태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을 이용한 참고사용 상태도.
도23은 본 발명을 이용한 제 2의 참고사용 상태도.
도24는 본 발명을 이용한 제 3의 참고사용 상태도.
도25는 본 발명을 이용한 제 4의 참고사용 상태도.
도26은 종래 토류 구조물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10a : 지지틀 11: 끼움부
11a: 내입홈 11b:돌출부
20: 받침틀 30: 마감틀
40: 지지체 41: 끼움부
41a: 끼임부 41b: 돌기
41b: 요입부

Claims (6)

  1. 양측으로 대응되게 수직판상으로 형성된 지지틀(10)(10a)과, 지지틀(10)(10a)의 전방으로 상부가 돌출되게 경사진 받침틀(2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10)(10a)의 후방으로는 마감틀(30)이 형성되고, 지지틀(10)(10a)의 양측으로는 홈과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끼움부(11)가 형성되어 이 끼움부(11)에 대응되어 결합되어지는 끼움부(41)가 형성된 지지체(40)를 이용한 끼움방식으로 좌우나열 및 상하적층 구조로 축조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 구조물의 끼움부(11)는 한 쌍의 내입홈(11a)과 내입홈(11a) 사이에 돌출부(11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40)는 한 쌍의 돌기(41a)와 요입부(41b)가 갖추어져 "H" 형태로 연장되어진 레일의 형태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20)은 만곡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20)은 절곡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틀(30)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색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
KR10-2002-0067484A 2002-11-01 2002-11-01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 KR10049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84A KR100493655B1 (ko) 2002-11-01 2002-11-01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484A KR100493655B1 (ko) 2002-11-01 2002-11-01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510A KR20040038510A (ko) 2004-05-08
KR100493655B1 true KR100493655B1 (ko) 2005-06-28

Family

ID=3733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484A KR100493655B1 (ko) 2002-11-01 2002-11-01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65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2332A (ja) * 1975-03-07 1976-09-09 Toho Yamazaki Dobeinoshokuseihohonarabinisonokozobutsu
JPS53108708U (ko) * 1977-02-07 1978-08-31
JPS6027155U (ja) * 1983-07-27 1985-02-23 菱和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緑化擁壁ブロツク
JPS6154011U (ko) * 1985-08-31 1986-04-11
JPH07279278A (ja) * 1994-04-05 1995-10-24 Asanumagumi:Kk 植栽可能な防音壁体構造
KR970011207A (ko) * 1995-08-31 1997-03-27 정승일 식생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공법
JP2001342632A (ja) * 2000-03-28 2001-12-14 Mawatari Shokai:Kk 組立柵工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2332A (ja) * 1975-03-07 1976-09-09 Toho Yamazaki Dobeinoshokuseihohonarabinisonokozobutsu
JPS53108708U (ko) * 1977-02-07 1978-08-31
JPS6027155U (ja) * 1983-07-27 1985-02-23 菱和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緑化擁壁ブロツク
JPS6154011U (ko) * 1985-08-31 1986-04-11
JPH07279278A (ja) * 1994-04-05 1995-10-24 Asanumagumi:Kk 植栽可能な防音壁体構造
KR970011207A (ko) * 1995-08-31 1997-03-27 정승일 식생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공법
JP2001342632A (ja) * 2000-03-28 2001-12-14 Mawatari Shokai:Kk 組立柵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510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KR102314601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201192012Y (zh) 一种垂直绿化组合构件
KR100844108B1 (ko)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KR100493655B1 (ko) 식생의 활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토류 구조물및 이를 이용한 축조공법
KR200389264Y1 (ko) 생태옹벽블록
KR100636085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100765341B1 (ko) 녹화가 가능한 벽구조물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853728B1 (ko)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200378431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294881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KR100482956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CN201437594U (zh) 一种挡墙砌块及挡墙
KR100664875B1 (ko) 소하천 조경용 식생구조물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CN210263129U (zh) 一种整体式生态挡土板构造
CN211297793U (zh) 应用于墙面垂直绿化的水土分离式种植框架结构
KR200324831Y1 (ko) 식생옹벽
JP3774459B2 (ja) 組立柵工
KR200372057Y1 (ko)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KR20070047137A (ko) 식생용 옹벽블록
CN215758828U (zh) 一种植草型护岸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