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450B1 -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450B1
KR100493450B1 KR10-2000-0078710A KR20000078710A KR100493450B1 KR 100493450 B1 KR100493450 B1 KR 100493450B1 KR 20000078710 A KR20000078710 A KR 20000078710A KR 100493450 B1 KR100493450 B1 KR 10049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terface unit
central control
control station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521A (ko
Inventor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4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교환기의 액세스 교환국과 중앙 제어국간의 IPC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과금 정보의 유실을 방지 할 수 있는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는, 전자교환기의 유지 및 보수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 제어국과;
상기 중앙 제어국과 연결되며, 가입자간 호처리 및 과금을 수행하는 액세스 교환국에 있어서,상기 액세스 교환국은 상기 중앙제어국과 호처리를 수행하고, 가입자 장치의 과금 정보 전달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과금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과금용 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과금용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및 통신 제어기로 구성되는 과금 저장회로;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Description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Charge Information Storing Device i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
본 발명은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프로세서간의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정상적인 과금 정보의 저장이 불가능할 때에 대응하기에 적당한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전화 교환 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전화 교환 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장치는 크게 교환기의 유지 보수기능을 담당하는 중앙 제어국(Central Control Subsystem : CCS)(10)과, 각 가입자의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액세스 교환국(Access Switching Subsystem : ASS)(20)으로 구성된다. 중앙 제어국(10)은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인 범용 기억장치(1)와, 범용 기억 장치(1)와 SCSI 버스로 연결되며, 범용 기억 장치(1)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SCSI 제어 회로(2)와, SCSI 제어 회로(2)와 VME 버스로 연결되며, SCSI 제어 회로(2)를 제어하는 주 프로세서(4)와, 주 프로세서(4)와 VME 버스로 연결되며, 각 액세스 교환국(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PC 통신용 회로(3)로 구성된다. 반면, 각 액세스 교환국(20)은 중앙 제어국(10)의 IPC 통신용 회로(3)와 IPC 케이블로 연결되며 해당 가입자의 과금 정보를 전달을 제어하는 주 프로세서(5)와, 주 프로세서(5)와 글로벌 버스(Global Bus)를 통하여 연결된 주변 프로세서(6)와, 주변 프로세서(6)와 TD 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가입자 장치(7)로 구성된다. 여기서, IPC는 Inter Processor Communication의 약어로 전자 교환 시스템에 구비된 각 프로세서간 통신을 의미하며, VME 버스는 중앙 제어국(10)내 회로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버스로서 주 프로세서(4)가 마스터로 동작하며 나머지는 슬래이브(slave)로 동작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존의 전화 교환 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액세스 교환국(20)을 도시하였지만, 실제적으로는 다수개가 연결된다. 중앙 제어국(10)의 주 프로세서(4)와 액세스 교환국(20)의 주 프로세서(5)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액세스 교환국(20)의 과금 정보를 중앙 제어국(10)의 범용 기억장치(1)에 저장한다. 즉, 액세스 교환국(20)의 가입자 장치(7)의 통신실시에 따라 발생된 과금 정보는 액세스 교환국(20)에서 IPC 케이블 경로를 통하여 중앙 제어국(10)의 주 프로세서(4)로 전송된다. 중앙 제어국(10)의 주 프로세서(4)는 SCSI 제어 회로(2)와 VME 버스로 상호간 송수신이 가능하며, SCSI 제어 회로(2)는 다시 SCSI 버스를 이용하여 범용 기억장치(1)로 과금 정보를 전송하여 저장시킨다.
그러나, 전자 교환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여 중앙 제어국(10)과 임의의 액세스 교환국의 주 프로세서가 서로 IPC 통신을 실행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과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프로세서간 통신을 실시 할 수 없다. 따라서, 과금 정보의 유실을 발생되어 정확한 과금을 청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자 교환기의 액세스 교환국과 중앙 제어국간의 IPC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과금 정보의 유실을 방지 할 수 있는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는,
전자교환기의 유지 및 보수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 제어국과;
상기 중앙 제어국과 연결되어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임의의 가입자 장치의 과금 정보 전달을 제어하는 주 프로세서와, 상기 주 프로세서와 글로벌 버스(Global Bus)로 인터페이스하여 상기 중앙 제어국간 통신이 비정상적인 경우에 자국의 과금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한 후, 중앙 제어국간 통신이 정상적일 때 상기 저장된 과금 정보를 중앙 제어국으로 전송하는 과금 저장회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제어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는 전자교환기의 유지 및 보수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 제어국과; 상기 중앙 제어국과 연결되며, 가입자간 호처리 및 과금을 수행하는 액세스 교환국에 있어서,상기 액세스 교환국은 상기 중앙제어국과 호처리를 수행하고, 가입자 장치의 과금 정보 전달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과금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과금용 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과금용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및 통신 제어기로 구성되는 과금 저장회로;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교환 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환기의 유지 보수기능을 담당하는 중앙 제어국(Central Control Subsystem : CCS)(30)과, 각 가입자의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액세스 교환국(Access Switching Subsystem : ASS)(40)으로 구성된다.
중앙 제어국(30)은 일반적으로 하드 디스크인 범용 기억장치(31)와, 범용 기억 장치(31)와 SCSI 버스로 연결되며, 범용 기억 장치(31)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SCSI 제어 회로(32)와, SCSI 제어 회로(32)와 VME 버스로 연결되며, SCSI 제어 회로(32)를 제어하는 주 프로세서(34)와, 주 프로세서(34)와 VME 버스로 연결되며, 각 액세스 교환국(4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PC 통신용 회로(33)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액세스 교환국(40)은 중앙 제어국(30)의 IPC 통신용 회로(33)와 IPC 케이블로 연결되며 해당 가입자 장치(43)의 과금 정보를 전달을 제어하는 주 프로세서(41)와, 주 프로세서(41)와 글로벌 버스(Global Bus)를 통하여 연결된 주변 프로세서(42)와, 주변 프로세서(42)와 TD 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가입자 장치(43)와, 주 프로세서(41)와 글로벌 버스(Global Bus)를 통하여 연결되며, 각 액세스 교환국(40)과 중앙 제어국(30)간 IPC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각 액세스 교환국(40)의 과금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한 후, 각 액세스 교환국(40)과 중앙 제어국(30)간 IPC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다시 전송하는 과금 저장회로(50)로 구성된다.
여기서, 과금 저장회로(50)는 별도의 제어 회로를 구비하지 않고, 기존의 주변 프로세서(42)와의 통신용으로 사용하던 글로벌 버스(Global Bus)를 데이터 전송 경로로 사용하였다. 또한, 글로벌 버스는 3중화로 구현된 메인 프로세서와 주변 프로세서간의 통신용 버스를 의미하며, 주변 프로세서는 스위치, 망 동기, 가입자 회로 등을 제어하기 위한 하위 프로세서를 각각 의미한다.
이러한 과금 저장회로(50)는 글로벌 버스를 통하여 주 프로세서(41)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53)와, 상기 인터페이스부(53)와 연결되어 과금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과금용 메모리(51)와, 인터페이스부(53)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54)와; 인터페이스부(53) 및 중앙처리장치(CPU)(54)와 연결되어 과금용 메모리(51)를 직접 제어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 DMAC)(51) 및 상호 범용 직렬 통신 제어기(Dual Universal Serial Communication Controller : DUSCC)(52)로 구성된다. 여기서, 과금용 메모리(51)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플레쉬 메모리나 NVRAM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교환국(40)의 주 프로세서(41)는 중앙 제어국(30)의 주 프로세서(34)간 설정된 IPC 상태 및 케이블 상태를 확인하여(S1), 주 프로세서(41)가 정상적으로 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S2).
상기 판단 결과,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현재의 과금 정보를 중앙 제어국(30)의 주 프로세서(34)로 전송하고(S6),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액세스 교환국(40)의 주 프로세서(41)는 현재의 과금 정보를 자국(액세스 교환국)의 과금용 메모리(51)에 저장한다(S3). 또한, 액세스 교환국(40)의 주 프로세서(41)는 과금의 전송과 저장에 필요한 플래그를 세팅한다.
그리고, 액세스 교환국(40)의 주 프로세서(41)는 중앙 제어국(30)의 주 프로세서(34)와 정상적으로 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지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판단한다. 즉, IPC 상태가 정상적인지를 판단한다(S4).
상기 단계 S4의 판단 결과,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 액세스 교환국(40)의 주 프로세서(41)는 과금용 메모리(51)에 저장된 과금 정보를 중앙 제어국(34)으로 전송한다(S5).
따라서, 중앙 제어국(30)의 주 프로세서(34)는 수신한 과금 정보를 범용 메모리에 저장한 후, 설정된 절차를 통하여 과금을 처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에 따르면, 전자 교환기의 액세스 교환국과 중앙 제어국간의 IPC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중앙 제어국내의 범용 기억장치에 과금 정보를 저장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과금 정보의 유실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중앙 제어국에 실장 되어 있는 여러 회로의 불량 상태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과금 저장회로는 기존에 사용하던 글로벌 버스(Global Bus)를 이용하여 구현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공급회로나 제어회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통신 장비의 소형화 경량화 경향에 부응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이에 따른 효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첨부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전화 교환 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 교환 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교환 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장치의 동작을 보인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중앙 제어국 31 : SCSI 제어기/기억장치
32 : SCSI 제어 회로 33 : IPC 통신용 회로
34 : 주 프로세서 35 : 전력 회로
40 : 액세스 교환국 41 : 주 프로세서
42 : 주변 프로세서 43 : 가입자 장치
51 : 과금용 메모리 52 : DUSCC
53 : 인터페이스부 54 : 중앙처리장치(CPU)
55 : DMAC

Claims (3)

  1. 전자교환기의 유지 및 보수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 제어국과;
    상기 중앙 제어국과 연결되며, 가입자간 호처리 및 과금을 수행하는 액세스 교환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교환국은 상기 중앙제어국과 호처리를 수행하고, 가입자 장치의 과금 정보 전달 및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과금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과금용 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과금용 메모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및 통신 제어기로 구성되는 과금 저장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저장회로는 글로벌 버스를 통하여 주 프로세서(와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과금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과금용 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과금용 메모리를 직접 제어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 및 상호 범용 직렬 통신 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3. 삭제
KR10-2000-0078710A 2000-12-19 2000-12-19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KR10049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710A KR100493450B1 (ko) 2000-12-19 2000-12-19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710A KR100493450B1 (ko) 2000-12-19 2000-12-19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521A KR20020049521A (ko) 2002-06-26
KR100493450B1 true KR100493450B1 (ko) 2005-06-07

Family

ID=2768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710A KR100493450B1 (ko) 2000-12-19 2000-12-19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4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917A (ko) * 1994-09-02 1996-04-20 강박광 담배 필터용 입상 복합 분자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60013269A (ko) * 1994-10-27 1996-05-22 김상규 코르크깔창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76336A (ko) * 1998-03-31 1999-10-15 윤종용 교환기에서 과금 데이터 유실 방지 방법
KR100258178B1 (ko) * 1997-12-03 2000-06-01 정선종 차세대 이동통신망 제어국의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장치
KR20000046383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정합 시스템
KR20010046676A (ko) * 1999-11-15 2001-06-15 정용문 음향 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917A (ko) * 1994-09-02 1996-04-20 강박광 담배 필터용 입상 복합 분자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60013269A (ko) * 1994-10-27 1996-05-22 김상규 코르크깔창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258178B1 (ko) * 1997-12-03 2000-06-01 정선종 차세대 이동통신망 제어국의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장치
KR19990076336A (ko) * 1998-03-31 1999-10-15 윤종용 교환기에서 과금 데이터 유실 방지 방법
KR20000046383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전전자 교환기의 가입자 정합 시스템
KR20010046676A (ko) * 1999-11-15 2001-06-15 정용문 음향 정보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521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450B1 (ko) 전자 교환시스템의 과금 정보 저장 장치
CN110053650B (zh) 一种列车自动运行系统、列车自动运行系统架构及列车自动运行系统的模块管理方法
JPH11259185A (ja) 計算機システム及び電源情報通知方式
KR100238149B1 (ko) 주문형 비디오 시스템의 데이타정합장치 및 방법
KR0143970B1 (ko) 복수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단일 프로세서의 통신포트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258255B1 (ko) 브이5.2 정합의 공통 제어 프로토콜 처리 방법
KR100237452B1 (ko) 기억장치를 이용한 nms와 교환기간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교환기 관리 장치
KR100291099B1 (ko)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JP2009017619A (ja) 電源活殺回路、遠隔監視制御装置、および遠隔監視制御装置のリセット方法
KR100279827B1 (ko) 원격접속 스위치 모듈의 독립운용 제어 방법
KR100275481B1 (ko) 이동응용부 동작 메시지를 이용한 교환기 시각 조정 방법
KR19980057607A (ko) 이중화장치
KR940008779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KR100229434B1 (ko) 이중화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KR100419014B1 (ko) 전전자교환기와 전송장비 간의 하나의 링크 스타트업지원방법
JP269586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9980016046A (ko)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KR20130005037A (ko) 이중화 제어를 위한 atca 시스템
KR100322027B1 (ko) 운용자 명령어에 의한 베어러 채널 감사방법
KR20000028321A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외부 정합장치 장애 처리 방법
KR101443251B1 (ko) 대기모드에서 전화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326001Y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JPS59200560A (ja) 通話時間監視装置
KR1999006060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과금 데이터 유실 방지방법
KR19990057996A (ko) 교환기시스템의 프로세서 긴급 복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