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871B1 - 금속중공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중공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871B1
KR100492871B1 KR10-2003-0015607A KR20030015607A KR100492871B1 KR 100492871 B1 KR100492871 B1 KR 100492871B1 KR 20030015607 A KR20030015607 A KR 20030015607A KR 100492871 B1 KR100492871 B1 KR 10049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hollow body
wires
spiral
twi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891A (ko
Inventor
아키라 쯔다
마사타다 누마노
요시히로 나카이
쯔요시 노무라
다까시 곤도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스미덴 파인 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스미덴 파인 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 noble metal or a noble metal all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4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bars or wire
    • B21C37/042Manufacture of coated wire o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4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bars or wire
    • B21C37/045Manufacture of wire or bars with particular section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2Making tubes or metal hoses with helically arrang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2Ropes or cables with a hollow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2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2Strands coreles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07B2201/2027Compact wind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38Strand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39Strand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wires or filaments three to eight wires or filaments respectively forming a single laye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42Strands characterised by a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292Workpiece with longitudinal passageway or stopweld material [e.g., for tubular stock,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33Helical or with helical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65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magnetic properties, or preformed fiber orientation coordinate with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종래의 제조방법으로써 소성가공이 어려운 가는직경의 금속중공체를 제조하는 것은 어려웠다. 직경이 가늘수록, 제조비용은 높아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본원발명은, 복수개의 금속와이어를 꼬인선 집합체로 가공하고, 인접하는 금속와이어끼리를 평면형상의 접촉부분에서 접촉시키며, 집합체는 외측으로부터 접착수단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일체화되고, 내경이 균일하고 내면이 청정한 금속중공체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중공체 및 그 제조방법{HOLLOW METAL OBJECT AND METHOD OF ITS FABRICATION}
본 발명은 코어부분에 공간을 가지고, 상기 공간을 통해서 액체 및 기체와 같은 유체를 통과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금속중공체에 관한 것이다.
금속중공체는 종래부터 파이프 또는 튜브로써, 그 내부에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로써, 또 구조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재 등으로써 사용되어 왔다. 금속은 전연성(展延性)이 풍부하고, 소성(塑性)가공이 가능하며, 적당한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지나 소성물 등으로는 적용할 수 없는 복잡한 형상이 요구되는 분야에 있어서 유용되고 있다. 또 금속이 가진 도전성에 의해 전기회로의 일부로써 이들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들의 성질은 금속의 종류, 가공도, 열처리 등에 의해 자유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의 이용분야는 상당히 광범위한 것으로 되어있다.
금속중공체중에서도, 그 외경이 수㎜이하의 가는 직경관에 대해서는 통상의 유체통과로써의 사용이외에 미세구멍방전가공용 전극이나 의료기기 등 특수한 분야에서의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의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의 기계적 강도의 확보의 요청으로부터, 텅스텐이나 몰리브덴이라고 하는 고융점금속 또는 스테인레스강이 소재 재질로써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고융점금속은 실온에 있어서의 소성변형능력이 낮고, 가공하기 어려운 재료이기 때문에 중공체를 제조하는 것은 다른 연질금속에 비해 용이하지 않다. 고융점금속으로부터 중공체를 제조하는 기술로써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1-157925호에 금속선을 연선(撚線)가공하고 선끼리의 간극에 납땜용 충전재를 채워서 납땜하는 것에 의해 방전가공용 금속중공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금속중공체의 제조방법으로써는 신관, 휘감기(spiraling), 봉합 등의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방법은 직경이 비교적 큰, 전연성이 풍부한 금속의 중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빈번히 사용되고 있지만, 본원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최대직경 1㎜이하의 가는 직경관의 제조나, 소성가공성이 낮은 고융점금속 등을 소재로 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상당히 어렵다. 이것은 가는 직경의 중공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소재로 하는 재료에 큰 소성변형을 줄 필요가 있기 때문으로, 변형 및 어닐링 공정을 반복해서 실시해서 가공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여도 최종제조물에 있어서 치수정밀도나 형상정밀도를 보증하는 것은 아주 곤란하였다.
이에 대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57925호에 개시된 금속중공체에서는 땜납재가 되는 제 2의 금속선의 주위에, 금속중공체를 구성하는 제 1의 금속선을 함께 꼬고(twisting), 그후 납재로 되는 제 2의 금속의 선의 융점이상으로 가열해서 제 1의 금속선을 땜납해서 금속중공체를 제조한다. 이 방법으로 최대직경이 0.04㎜~0.5㎜의 가는 금속중공체를 제조할 수 있지만, 중공체의 내부에서 땜납재의 두께가 불안정하게 되고, 또 개재물이나 기포 등에 의한 돌기가 발생하기 쉽고, 실제로 유체를 통과시킬 때에 장애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임의의 금속소재를 사용해서 가는 직경의 금속중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하면,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는,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1)가 인접하는 와이어 사이에서 면형상의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제 1의 금속의 융점보다 낮은 제 2의 금속(2)이, 이 중공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충전되고, 이 중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가 상기 제 2의 금속(2)에 의해 서로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금속중공체의 단면도를 도 1에 도시한다.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1)사이에서 접촉면에 평면성을 가지게 하는 것은, 그 면사이에 얇게 들어간 상기 제 2의 금속(2)의 용착작용에 있어서 강고한 접합을 가능하게 하고 금속중공체의 강성을 높인다. 마찬가지로, 상기 면사이의 간격이 작기 때문에 중공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충전된 제 2의 금속(2)은 금속중공체의 내부에 침입하는 일이 없고, 금속중공체의 내부표면은 청정하게 유지된다.
삭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는, 제 3의 금속(3)이 표면에 피복된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1)가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사이에서 면형상의 접촉면을 가지고, 접착제 또는 수지경화성 물질(2)이, 이 중공체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충전되고, 이 중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1)가 상기 경화성물질(2)에 의해 서로 용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금속중공체의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본 구성에 의해, 상기 제 1실시예의 특징을 구비하고, 또한 제 3의 금속(3)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금속중공체의 내면에 필요한 표면성질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제 1의 금속과 제 2의 금속의 젖음성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에, 제 3의 금속으로써 제 2금속과의 젖음성이 좋은 금속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제 2금속의 용착성능이 향상하고, 금속중공체의 강도나 기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고, 제 4의 금속(4)이 표면에 피복된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1)가,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사이에서 면형상의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 1의 금속의 융점보다 융점이 낮은 제 4의 금속(4)이 이 중공체의 와이어사이에서 융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1)가 서로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금속중공체의 단면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본 구성을 채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실시예의 특징을 구비한 금속중공체의 접합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고, 금속중공체 내외의 기밀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서는,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는,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1), 또는 제 3의 금속(3)이 피복된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1)가, 인접하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사이에서 면형상의 접촉면을 가지고, 제 1의 금속보다 융점이 낮은 제 2의 금속(2)이 이 중공체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충전되고, 이 중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1)가 제 2금속(2)에 의해 서로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금속중공체의 단면도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본 구성에서는 상기 제 1실시예의 특징을 구비한 금속중공체를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중공체는 최대 외경이 0.04㎜이상, 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금속중공체의 제조기술에서는 최대 외경1㎜이하의 금속중공체는 제조가 상당히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는 최대직경이 최소 0.04㎜의 금속중공체를, 재질을 불문하고 제조할 수있다. 최대직경이 0.04㎜보다도 작게되면, 꼬인 선형상으로의 가공이 곤란하게 된다. 또 최대직경이 1㎜를 초과하는 금속중공체는 종래의 제조기술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본 발명을 적용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중공체는 선재로써 가공가능한 모든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몰리브덴, 텅스텐, 동, 니켈, 티탄, 철, 아연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적합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방전가공용의 전극으로써 본 발명의 금속중공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텅스텐, 몰리브덴 등에 세륨, 토륨 등과 같은 일함수가 큰 금속을 미량첨가해서 제 1의 금속으로써 사용하면 가공속도의 증대가 도모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금속중공체의 외층에 두께 0.1㎛~100㎛의 금, 은. 동, 알루미늄 등의 도전률이 높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피복층을 가져도 된다. 이 피복층에 의해 금속중공체 전체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용도에 따른 적합한 전기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같은 방법으로, 금속중공체의 외층에, 두께 0.1㎛~100㎛의 니켈 또는 크롬 등과 같은 내식성이 높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피복층을 가져도 된다. 이 피복층에 의해 동금속중공체를 부식성환경하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이 금속중공체를 구성하는 물질이 환경에 용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금속중공체는 두께 0.5㎛~20㎛의 절연피막을 가져도 된다.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예를들면 이 금속중공체를 방전가공용전극으로써 사용한 경우, 여분의 방전을 방지하고, 가공부분의 치수정밀도나 면성상(面性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와이어가 나선형상으로 꼬일 때에 최대직경이 2%이상 20%이하의 범위만큼 감소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에 다이에 의해 압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중공체를 본 공정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그 이후에 기술한 특징을 금속중공체에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직경에서 측정한 압축의 정도가 2%미만이면,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끼리의 접촉이 면형상이 아닌 부분이 나타나고, 본 발명의 특징인 강고한 와이어끼리의 접착이 얻어지지 않고, 또 이 중공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땜납재와 접착성분이 금속중공체의 내부에 침입하고, 내부표면의 오염이나 돌기부의 발생의 원인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이 압축의 정도가 20%를 초과하면 금속중공체를 구성하는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가 과잉의 변형을 받고, 금속중공체의 구조가 불안정한 것으로 된다. 또, 텅스텐이나 몰리브덴 등과 같은 가공성이 낮은 금속을 제 1의 금속으로써 사용한 경우, 금속중공체의 가공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는,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의 외측표면에 형성된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제 2 또는 제 4의 금속을 충전하는 기술로써 용융도금, 전기도금, 화학도금, 증착, 금속분말 페이스트 도포법의 어느한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필요한 물질을 소기의 양만큼 균일하게 이 중공체의 외측움패임부의 부분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중공체는 산업상의 용도로써 방전가공용 전극, 액체운반용 금속파이프 및 보호관 등으로써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첨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원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 등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중공체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이하 설명한다.
(실시예 1)
1㎛이하의 니켈을 얇게 도금한 직경 23.6㎛의 텅스텐선 10개를 최대직경에서 5%의 압축을 가하면서 함께 꼬고, 최대외경 95㎛의 연선(撚線)집합체를 얻었다. 이 집합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움패임부 및 상기 집합체의 외표면에 은페이스트를 충전 및 도포하고, 그후 1050°의 비산화성분위기중에서 연속적으로 가열해서 납땜을 행하였다. 그 결과 외경 100㎛, 인장강도 2000N/mm2의 금속중공체를 얻었다. 이것을 길이 20㎝로 절단하고, 미세구멍방전가공용 튜브전극(tube electrode)으로해서 6㎜두께의 초경합금(超硬合金)에 구멍형성가공을 행한 바, 상부구멍직경(전극이 최초로 가공된 쪽의 구멍직경) 135㎛, 하부구멍직경(전극이 최후로 가공된 쪽의 직경) 145㎛로 천공(穿孔)을 행할 수 있었다.
비교로써 종래사용되어왔던 외경 100㎛의 동튜브를 사용해서 상기와 동일한 가공을 행한 바, 상부구멍직경 145㎛, 하부구멍직경 230㎛로 치수정밀도는 본 발명의 금속중공체가 우수했다.
(실시예 2)
1㎛이하의 니켈을 얇게 도금한 직경 23.6㎛의 몰리브덴선 10개를 최대직경에서 5%의 압축을 가하면서 함께 꼬고, 최대 외경 95㎛의 연선집합체를 얻었다. 이 집합체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형상의 움패임부 및 상기 집합체의 외표면에 은페이스트를 충전 및 도포하고, 그후 1050°의 비산화성분위기중에서 연속적으로 가열을 행하고, 납땜을 행했다. 그 결과 외경 100㎛, 인장강도 2000N/㎜2의 금속중공체를 얻었다. 또, 그 표면에는 대략 1㎛의 에나멜 피복막을 형성했다. 이것을 길이 20㎝로 절단하고 미세구멍 방전가공용 튜브전극으로 해서, 6㎜두께의 초경합금에 구멍형성가공을 행한바, 상부구멍직경 130㎛, 하부구멍직경 135㎛의 천공을 행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막두께 1㎛의 은을 피복한 직경 23㎛의 텅스텐선 7개를 전체의 최대직경에서 3%의 압축을 가하면서 함께 꼬고, 최대외경 73㎛의 연선집합체를 얻었다.
그후 이 집합체를 1050°의 비산화성분위기중에서 연속적으로 가열을 행해서 납땜을 행했다. 그 결과, 외경 80㎛, 인장강도 2100N/㎜2의 금속중공체를 얻었다. 이것을 길이 20㎝로 절단하고 미세구멍 방전가공용 튜브전극으로하여, 6㎜두께의 초경합금에 구멍형성가공을 행한바, 상부구멍직경 125㎛, 하부구멍직경 135㎛의 천공을 행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1㎛이하의 니켈을 얇게 도금한 직경 23.6㎛의 텅스텐선 10개를 최대직경에서 10%의 압축을 가하면서 함게 꼬고, 최대외경 90㎛의 연선집합체를 얻었다. 그후 아연증기속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것에 의해 표면에 아연을 중착했다. 그 결과, 외경 100㎛, 인장강도 2000N/㎜2의 금속중공체를 얻었다. 이것을 길이 20㎝로 절단하고 미세구멍 방전가공용 튜브전극으로하여, 6㎜두께의 초경합금에 구멍형성가공을 행한 바 상부구멍 135㎛, 하부구멍 145㎛의 천공을 행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직경 236㎛의 황동선 10개를 최대직경에서 5%의 압축을 가하면서 함께 꼬고, 최대외경 950㎛의 연선집합체를 얻었다. 그후 아연을 연속적으로 전기도금하는 것에 의해 외경 1㎜, 인장강도 600N/㎜2의 금속중공체를 얻었다. 그 결과, 종래의 황동튜브에 비해 제조원가를 대략 반으로 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1㎛이하의 니켈을 얇게 도금한 직경 23㎛의 텅스텐선 7개를 최대직경에서 20%의 압축을 가하면서 함께 꼬고, 최대외경 64㎛의 연선집합체를 얻었다.
이 집합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움패임부 및 상기 집합체의 외표면에 은페이스트를 충전 및 도포하고, 그후 1050°의 비산화성분위기중에서 연속적으로 가열을 행하고 납땜을 행하였다. 그 결과 외경 70㎛, 인장강도 2200N/㎜2의 금속중공체를 얻었다. 얻어진 금속중공체를 사용해서 초미량혈액채취용무통침을 제작하고, 혈액의 통과실험을 실시한 바, 종래의 스테인레스강의 채혈침에 비해 혈전의 발생이 반이하로 저하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종래의 방법에서는 제조할 수 없었던, 직경 1㎜이하의 금속중공체를 정밀도 좋게,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소성가공이 곤란한 고융점금속으로도 가는 직경의 금속 중공체를 제조할 수 있고, 이 금속중공체는 방전가공용전극 및 유체통과용 유로로써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실시예만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유첨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이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며, 유첨된 청구범위와 그 등가적인 것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금속중공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금속중공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금속중공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제 1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2 : 제 2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용착재 또는 경화성물질
3 : 제 3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피복층
4 : 제 4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피복융착층

Claims (33)

  1.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나선형상으로 꼬이고,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지며,복수개의 와이어(1)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평면형상이고, 중공체의 외부에 나선형상의 움패임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와이어와;
    상기 제 1금속보다 융점이 낮고,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충전되며, 상기 중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1)와 함께 용착되는 제 2금속(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2.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나선형상으로 꼬이고, 제 3의 금속(3)이 표면에 피복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와이어(1)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평면형상이고, 나선형상의 움패임부가 중공체의 외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와이어와;
    상기 제 1금속보다 융점이 낮고,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충전되며, 중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와 함께 용착되는 제 2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중공체.
  3.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나선형상으로 꼬이고,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1)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평면형상인 복수개의 와이어와;
    상기 제 1금속보다 융점이 낮고, 상기 와이어를 피복하며, 중공체의 와이어사이에서 융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1)를 서로 용착하는 제 4금속(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4.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나선형상으로 꼬이고, 복수개의 와이어(1)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평면형상이고, 중공체의 외측에 나선형상의 움패임부가 형성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 또는 제 3금속(3)이 피복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와;
    접착제 또는 수지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충전되며, 중공체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1)를 서로 고착하는 경화성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5. 제 1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는 금속 중공체에 있어서, 최대 외경이 0.04㎜이상,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6. 제 2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는 금속중공체에 있어서, 최대외경이 0.04㎜이상,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7. 제 3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는 금속중공체에 있어서, 최대외경이 0.04㎜이상,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속중공체.
  8. 제 4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가지는 금속중공체에 있어서 최대외경이 0.04㎜이상,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9. 제 1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1금속은 몰리브덴, 텅스텐, 동, 니켈, 티타늄, 철, 아연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속중공체.
  10. 제 2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기제 1금속은 몰리브덴, 텅스텐, 동, 니켈, 티타늄, 철, 아연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하는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11. 제 3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1금속은 몰리브덴, 텅스텐, 동, 니켈, 티타늄, 철, 아연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속중공체.
  12. 제 4항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꼬여서 중공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 1금속은 몰리브덴, 텅스텐, 동, 니켈, 티타늄, 철, 아연 및 이들을 주성분으로하는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속중공체.
  13. 제 1항에 있어서, 외층에 두께 0.1㎛이상, 100㎛이하의 금, 은, 동, 알루미늄, 니켈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진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피복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14. 제 2항에 있어서, 외층에 두께 0.1㎛이상, 100㎛이하의 금, 은, 동, 알루미늄, 니켈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진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피복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15. 제 3항에 있어서, 외층에 두께 0.1㎛이상, 100㎛이하의 금, 은, 동, 알루미늄, 니켈 또는 크롬으로 이루어진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피복층을 가지는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16. 제 1항에 있어서, 최외층에 두께 0.5㎛이상, 20㎛이하의 절연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17. 제 2항에 있어서, 최외층에 두께 0.5㎛이상 20㎛이하의 절연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18. 제 3항에 있어서, 최외층에 두께 0.5㎛이상, 20㎛이하의 절연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19. 제 4항에 있어서, 최외층에 두께 0.5㎛이상, 20㎛이하의 절연피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
  20. 제 1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이용하는 방전가공용 전극.
  21. 제 1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이용하고, 유체를 운반하는 금속파이프.
  22. 제 2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이용하는 방전가공용 전극
  23. 제 2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이용하고, 유체를 운반하는 금속파이프.
  24. 제 3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이용하는 방전가공용전극.
  25. 제 3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이용하고, 유체를 운반하는 금속파이프.
  26. 제 4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이용하는 방전가공용전극.
  27. 제 4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사용하고, 유체를 운반하는 금속파이프.
  28.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와이어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평면현상이며, 나선형상의 움패임부가 중공체의 외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와이어를 나선형상으로 꼬는 단계와;
    최대직경을 2%이상, 20%이하의 범위만큼 감소시키도록, 나선형상으로 꼬일 때 복수의 와이어에 다이에 의해 압축을 가하는 단계와;
    중공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와 함께 용착되도록,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제 1금속보다 융점이 낮은 제 2금속을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의 제조방법.
  29.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표면이 제 3금속으로 피복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와이어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면형상이며, 중공체의 외부에 나선형상의 움패임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와이어를 나선형상으로 꼬는 단계와;
    최대직경을 2%이상, 20%이하의 범위만큼 감소시키도록, 나선형상으로 꼬일 때 복수개의 와이어에 다이에 의해 압축을 가하는 단계와;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제 1금속보다 융점이 낮은 제 2금속을 충전해서 중공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함께 용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의 제조방법.
  30.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융점이 제 1금속보다 낮은 제 4금속으로 표면이 피복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와이어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면형상인 복수개의 와이어를 나선형상으로 꼬는 단계와;
    최대직경을 2%이상, 20%이하의 범위만큼 감소시키도록, 나선형상으로 꼬일 때 복수개의 와이어에 다이에 의해 압축을 가하는 단계와;
    제 4금속이 중공체의 와이어사이에서 융착하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와이어를 서로 용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의 제조방법.
  31. 복수개의 와이어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면형상이고, 나선형상의 오목부가 중공체의 외부에 형성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 또는 제 3금속이 피복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와이어를, 중공부를 가진 형태로 나선형상으로 꼬는 단계와;
    최대직경이 2%이상, 20%이하의 범위로 감소되도록, 나선형으로 꼬일 때 복수개의 와이어에 다이에 의해 압축을 가하는 단계와;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접착제 또는 수지의 어느하나로 이루어진 경화성 물질을 충전해서 중공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서로 고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중공체의 제조방법.
  32.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와이어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면형상이고, 나선형상의 움패임부가 중공체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와이어를 나선형상으로 꼬는 단계와;
    용융도금, 전기도금, 화학도금, 증착, 또는 금속분말페이스트도포법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해서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융점이 제 1금속보다 낮은 제 2금속을 충전해서 중공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함께 용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의 제조방법.
  33. 중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표면이 제 3금속으로 피복된 제 1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와이어가 접촉하는 인접면이 면형상이며, 나선형상의 움패임부가 중공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나선형상으로 꼬는 단계와;
    용융도금, 전기도금, 화학도금, 증착 또는 금속분말도포법중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나선형상의 움패임부에 융점이 제 1금속보다 낮은 제 2금속을 충전해서 중공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와이어를 함께 용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항에 기재된 금속중공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3-0015607A 2002-03-22 2003-03-13 금속중공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492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9945A JP3759058B2 (ja) 2002-03-22 2002-03-22 金属中空体と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079945 2002-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891A KR20030086891A (ko) 2003-11-12
KR100492871B1 true KR100492871B1 (ko) 2005-06-02

Family

ID=2803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607A KR100492871B1 (ko) 2002-03-22 2003-03-13 금속중공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7399B2 (ko)
JP (1) JP3759058B2 (ko)
KR (1) KR100492871B1 (ko)
CN (1) CN1248795C (ko)
DE (1) DE10311899A1 (ko)
HK (1) HK1056339A1 (ko)
TW (1) TW5908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8961B2 (en) * 2005-12-22 2008-05-06 Rambus Inc. Clock distribution network supporting low-power mode
US20090205741A1 (en) * 2007-01-10 2009-08-20 Sumitomo (Sei) Steel Wire Corp. Connection method of metal linear element and connection device of metal linear element
CN105328287A (zh) * 2015-11-13 2016-02-17 芜湖楚江合金铜材有限公司 一种慢走丝电火花线切割电极丝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8722A (en) * 1968-09-17 1971-03-09 Ppg Industries Inc Longitudinally reinforced flexible duct
JPS57144632A (en) * 1981-03-03 1982-09-07 Tanaka Kikinzoku Kogyo Kk Manufacture of discharge work electrode
JPS57144630A (en) * 1981-03-03 1982-09-07 Tanaka Kikinzoku Kogyo Kk Electrode for discharge work
US4448655A (en) * 1981-11-17 1984-05-15 Inoue-Japax Research Incorporated Traveling-wire electroerosion machining electrode and method
US4797527A (en) * 1985-02-06 1989-01-10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de for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422310B2 (ja) * 1999-09-24 2003-06-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放電加工用金属中空体とその製造方法
GB2379996B (en) * 2001-06-05 2004-05-19 Tayside Flow Technologies Ltd Flow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56339A1 (en) 2004-02-13
US20030180568A1 (en) 2003-09-25
TW590821B (en) 2004-06-11
JP2003275927A (ja) 2003-09-30
CN1446644A (zh) 2003-10-08
CN1248795C (zh) 2006-04-05
US6897399B2 (en) 2005-05-24
TW200305466A (en) 2003-11-01
JP3759058B2 (ja) 2006-03-22
DE10311899A1 (de) 2003-10-23
KR20030086891A (ko) 200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2726B2 (ja) コイル用導体線、及びコイル用電線
US4810593A (en) High-strength conductor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5436082A (en) Protective coating combination for lead frames
CN1278814C (zh) 具有聚合物涂层的焊头
WO2007064646A2 (en) Edm wire
EP2041810B1 (en) Wire-in-channel superconductor
KR100492871B1 (ko) 금속중공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8037324A (ja) 銅クラッドステンレス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
US5400659A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and manufacture method of same
US11833745B2 (en) Structures formed from high technology conductive phase materials
JP2000077593A (ja) 半導体用リードフレーム
JP2000107943A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
JPH01283707A (ja) 高強度導体
JP3422310B2 (ja) 放電加工用金属中空体とその製造方法
JP3262285B2 (ja) 装飾材料工芸材料高耐蝕性材料用金類金属被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98210A (ja) 複合金属めっき線
JP5239304B2 (ja) 同軸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236061B2 (ja) 宝飾材料工芸材料高耐蝕性材料用白金類金属被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11544A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
JPH0349829A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極線
RU2216804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ысокопрочного электропроводника
JP2005085590A (ja) 複合被覆銅線、複合被覆エナメル銅線および複合被覆融着エナメル銅線
WO2002014563A1 (en) Process of making alloy fibers
RU2362680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aina et al. Joining technolog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a new kind of 3D wir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