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928B1 -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928B1
KR100488928B1 KR1019970067780A KR19970067780A KR100488928B1 KR 100488928 B1 KR100488928 B1 KR 100488928B1 KR 1019970067780 A KR1019970067780 A KR 1019970067780A KR 19970067780 A KR19970067780 A KR 19970067780A KR 100488928 B1 KR100488928 B1 KR 10048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cassette
liquid crystal
crystal cell
bal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952A (ko
Inventor
정석진
Original Assignee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6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92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카세트(C)의 대각선 모서리 부분이 한 쌍으로 구성된 2개의 카세트 정렬 유니트(10,10')에 의해 정렬되고, 카세트(C)에 적층식으로 수납된 복수개의 액정 셀은 2개의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30')에 의해 정렬된다. 카세트 정렬 유니트(10,10')는 모터(1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되는 한 쌍의 정렬 블럭(21,21')이 카세트(C)의 모서리 양측을 밀착하게 되어서, 카세트(C)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카세트(C)를 정렬시킬 수가 있다.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30')는 모터(3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되는 정렬바(40,41)가 가이드 레일(38,39)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가 있게 되어, 모델 변경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카세트(C)의 개구부로 신속히 대응할 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본 발명은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셀과 카세트의 모델 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되어, 카세트를 정렬시키고 액정 셀을 정중앙에 정렬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의 위상을 변화시켜 원하는 글자나 문자 또는 숫자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액정표시소자는 2개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구조의 액정 셀과, 이 액정 셀로 빛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를 포함한다.
액정 셀은 화소전극이 형성된 하부 유리기판과 상부 유리기판 각각의 내측면에 액정 분자의 초기 배열 상태를 결정하는 배향막을 설치하고, 2개의 유리기판 중 어느 하나의 유리기판상에는 접착제를 프린트하고, 다른 하나의 유리기판에는 스페이서를 코팅한 후, 봉착 공정에서 이들 2개의 유리기판을 겹쳐 포갠 상태로 압착장치의 건조 오븐에 넣고, 열압착을 실시함으로써 제작된다. 이러한 액정 셀에는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만 입사되도록, 상부 기판의 상부면과 하부 기판의 하부면 각각에 편광판을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액정 셀은 여러 공정을 통해서 제작되므로, 수 개의 액정 셀이 카세트에 수납된 상태로 후속 공정으로 운반되어진다. 특히, 각 공정의 장비는 자동으로 작동되므로, 카세트와 액정 셀이 정확한 위치에 정렬되어야만, 차질없이 공정을 진행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카세트와 액정 셀을 정렬시키기 위해서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였는데, 액정 셀의 크기가 자주 변경됨에 따라 공압 실린더의 위치 제어를 하는 센서의 부착 위치와 공압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모델 변경에 따라 수시로 변경해주어야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액정 셀의 크기가 변경되면 이에 따라 카세트의 크기도 변경되는데, 종래의 정렬 장치는 1종의 카세트만 정렬할 수가 있게 되어 있어서, 새로운 정렬 장치를 카세트의 크기에 따라 제작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정렬 작업중의 실수로 인하여, 카세트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액정 셀을 정중앙에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의 정렬바에 과다한 압력이 인가될 소지가 있는데, 종래에는 이를 방비할 보호 수단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정렬 장치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액정 셀과 카세트의 크기가 변경되어도 센서의 부착 위치나 공압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변경해주지 않아도 되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 셀의 크기 변경에 따라 같이 변경되는 여러 가지 크기의 카세트를 정렬시킬 수 있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정렬 작업중의 실수에 의해, 정렬바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되지 않도록 방비할 수 있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본체 프레임의 저면에 테이블이 설치되고, 테이블상에 복수개의 액정 셀이 수납된 카세트가 안치된다. 대각선 방향인 테이블의 모서리 두 부분에 카세트의 하부 모서리 두 부분을 밀착하여 정렬시키는 제 1 및 제 2 한 쌍으로 이루어진 2조의 제 1 및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가 설치된다. 각 카세트 정렬 유니트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된다. 본체 프레임의 저면에는 카세트내의 각 액정 셀의 양측면을 밀착하여 정중앙에 정렬시키는 제 1 및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가 설치된다. 액정 셀 정렬 유니트도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동시에 작동된다.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구동원인 모터가 테이블의 모서리 하부에 장착된다. 모터의 축은 카세트의 일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모터의 축에 볼 스크류가 한 쌍의 기어로 연결된다. 볼 스크류에는 정렬 몸체가 나사결합되어, 볼 스크류의 자전(自轉) 운동에 의해 정렬 몸체는 전후진하게 된다. 정렬 몸체에 카세트를 밀착하는 정렬축이 끼워지고, 카세트를 향하는 정렬축의 일단에 카세트를 밀착하는 정렬 블럭이 설치된다. 정렬 블럭과 정렬 몸체 사이의 정렬축 외주에 압축 스프링이 끼워지고, 압축 스프링의 압축력은 정렬축의 타단에 체결된 조정 스크류에 의해 조정된다.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는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와 직교하도록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데,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에는 구동원인 모터가 없다. 대신에 각 카세트 정렬 유니트의 각 볼 스크류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베벨가 치합되는 것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어서,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는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의 모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한편,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구동원인 모터가 본체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된다. 모터의 축은 액정 셀의 일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모터의 축에 오른나사식 볼 스크류가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결된다. 오른나사식 볼 스크류에 정렬 몸체가 나사결합되고, 정렬 몸체의 내측면 상부에 정렬판이 설치된다. 정렬판의 내측면에 카세트의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액정 셀의 일측면을 밀착하는 정렬바가 설치된다.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는 모터가 없는 대신에, 왼나사식 볼 스크류가 구비되고, 이 왼나사식 볼 스크류가 오른나사식 볼 스크류의 단부에 연결축으로 서로 연결되어서,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의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되면, 각 유니트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정렬판에는 직선 가이드가 횡으로 설치되고, 이 직선 가이드에 정렬바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액정 셀의 크기에 따라 정렬바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정렬 몸체의 양측 하부는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직선 가이드에 의해 지지를 받게 된다.
특히, 오동작에 의해, 정렬바가 계속 액정 셀을 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액정 셀 정렬 유니트에 구비되고,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정렬 몸체의 내측면 상부에는 소정의 폭으로 홈부가 형성되어, 이 홈부에 의해 정렬 몸체와 정렬판은 이격,배치된다. 정렬바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정렬판이 홈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정렬판은 정렬 몸체에 힌지연결된다. 정렬판의 회전시, 정렬판과 접촉되는 센서 도그가 정렬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선단부가 홈부를 통해 정렬판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센서 도그에 접촉되는 정렬판의 회전을 감지하는 오동작 감지 센서가 정렬 몸체에 부착되어서, 오동작 감지 센서에 의해 전진된 액정 셀 정렬 유니트 전체가 초기 위치로 원상복귀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2조의 카세트 정렬 유니트에 의해 카세트의 모서리가 정렬되고, 2개의 액정 셀 정렬 유니트에 의해 액정 셀이 정중앙에 정렬되고, 특히 각 정렬 유니트는 정렬 블럭과 정렬바가 전진하는 동작에 의해 카세트와 액정 셀을 정렬하게 되므로써, 액정 셀과 카세트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우측면도, 도 3은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카세트 정렬 유니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평면도, 도 5는 정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액정 셀 정렬 유니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정면도, 도 7은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렬 장치는 본체 프레임(1)의 저면에 설치된 테이블(2)의 대향 모서리 부분 각각에 설치되어 카세트(C)의 모서리를 밀착하여 정렬시키는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와, 본체 프레임(1)의 저면에 설치되어 액정 셀의 양측면을 밀착하여 정렬시키는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로 구성된다.
카세트 정렬 유니트(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방향인 카세트(C)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설치되는 2조로 구성되고, 또한 각 조는 제 1 및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10,10')로 이루어진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제 1 및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10,10')가 도 4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각 카세트 정렬 유니트(10,10')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고, 다만 구동원은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에만 구비되어서, 각 카세트 정렬 유니트(10,10')는 카세트(C)의 모서리 부분에 직교,배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원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10,10')가 동시에 작동되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의 구성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인 모터(11)가 테이블(2)의 하부에 배치되고, 모터(11)의 축은 카세트(C)의 일측면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볼 스크류(14)는 한 쌍의 기어(12,13)에 의해 모터축에 연결되고, 테이블(2)의 밑면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25)에 지지된다. 슬라이더(15)가 볼 스크류(14)에 나사결합되어서, 볼 스크류(14)의 자전 동작에 의해 슬라이더(15)가 전후진된다. 한 쌍의 너트(16,17)가 슬라이더(15)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15)와 함께 전후진된다. 정렬 몸체(18)가 한 쌍의 너트(16,17)중,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와 인접하지 않는 너트(16)에 설치된다. 좌우 소정 간격을 이루는 2개의 정렬축(19,20)이 정렬 몸체(18)에 나사결합되고, 카세트(C)의 일측면을 밀착하는 정렬 블럭(21)이 카세트(C)를 향하는 각 정렬축(19,20)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정렬 블럭(21)이 카세트(C)를 밀착하는 힘을 조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22)이 외측 정렬축(20) 외주에 끼워지고, 압축 스프링(22)력을 조정하는 조정 스크류(24)가 정렬축(20)의 타측에 체결된다.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의 구성은 상기된 바와 같고,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와 직교하게 배치된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10')는 전술된 바대로 구동원인 모터가 없고, 그 대신에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의 모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즉, 각 유니트의 각 가이드 레일(24)에서 더 연장된 각 볼 스크류(14,14')의 단부가 직교를 이루는 한 쌍의 베벨 기어(23,23')로 연결되므로써, 하나의 모터(11) 구동에 의해, 각 유니트(10,10')가 동시에 작동된다.
그리고, 액정 셀 정렬 유니트도 액정 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유니트(30,30') 2개로 구성되고,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에만 구동원이 구비되어서, 카세트 정렬 유니트와 마찬가지로 구동원의 동력이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30')의 상세한 구조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에만 구비되는 구동원인 모터(31)가 본체 프레임(1)의 밑면에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42)이 본체 프레임(1)의 저면상에 설치되고, 볼 스크류(35)가 가이드 레일(42)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볼 스크류(35)의 일단과 모터(31)축에 각각 풀리(32,33)가 장착되고, 각 풀리(32,33)는 타이밍 벨트(34)로 연결된다. 정렬 몸체(36)가 볼 스크류(35)에 나사결합되어, 볼 스크류(35)의 자전 운동에 의해 전후진된다. 정렬 몸체(36)의 양측 밑면은 가이드 레일(42)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정렬판(37)이 정렬 몸체(36)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2개의 가이드 레일(38,39)이 정렬판(37)의 내측면에 상하 소정 간격으로 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각 가이드 레일(38,39)을 종으로 연결하는 2개의 슬라이더(43,44)가 가이드 레일(38,39)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카세트(C)에 종으로 형성된 2개의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액정 셀을 밀어서 정중앙에 정렬시키는 2개의 정렬바(40,41)가 각 슬라이더(43,44)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카세트(C)의 개구부 위치로 이동된 슬라이더(43,44)를 정렬판(37)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각 슬라이더(43,44)의 상단에 고정단부(43a,44a)가 형성되고, 이 고정단부(43a,44a)가 정렬판(37)의 상단에 맞대어져 클램프 노브(46)에 의해 체결된다.
여기서, 카세트(C)에 적층식으로 수납된 복수개의 액정 셀을 동시에 밀게 되는 정렬바(40,41)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각 액정 셀이 정렬바(40,41)로부터 받는 힘에 차이가 나게 되므로, 액정 셀이 정렬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한 액정 셀은 정렬바(40,41)로부터 과다한 힘을 받게 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렬바(40,41)가 카세트(C)의 측면과 평행을 이루어야 되고, 이를 조정하는 수단이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30')에 구비된다.
즉, 스프링에 의해 간극이 조정되는 스프링 플런저(45)가 정렬판(37)과 슬라이더(43,44) 사이에 설치되어서, 스프링 플런저(45)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정렬바(40,41)의 평행도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모터(31)의 고장과 같은 오동작에 의해, 정렬바(40,41)가 계속 액정 셀을 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3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이 구비된다.
정렬판(37)은 정렬 몸체(36)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힌지핀(4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정렬판(37)을 향하는 정렬 몸체(36)의 내측면 상부에 홈부(36a)가 형성되어, 정렬판(37)과 정렬 몸체(36)에는 틈새가 형성된다. 이 홈부(36a)에 의해 정렬판(37)은 소정 각도로 젖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가 있다. 정렬판(37)의 회전시 접촉되는 센서 도그(48)가 정렬 몸체(36)의 내측면 상부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홈부(36a)를 통해 정렬판(37)에 접촉된다. 센서 도그(48)가 정렬판(37)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는 오동작 감지 센서(49)가 정렬 몸체(36)에 부착되고, 이 오동작 감지 센서(49)는 모터(31)로 감지 신호를 보내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에서 모터만이 없는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는 그 볼 스크류(35')가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의 볼 스크류(35)와 반대의 나사선을 갖는다. 즉, 제 1 액정 셀 유니트(30)의 볼 스크류(35)가 오른나사이면, 제 2 액정 셀 유니트(30')의 볼 스크류(35')는 왼나사이고, 각 볼 스크류(35,35')의 단부에는 커플링(50,50')을 매개로 연결축(5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31) 구동에 의해 오른나사의 볼 스크류(35)가 우회전하게 되면,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의 왼나사 볼 스크류(35')는 좌회전을 하게 되므로써, 각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30')의 정렬바(40,40'41,41')가 오므려지거나 또는 벌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카세트(C)가 테이블(2)상에 안치되면,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의 모터(11)가 구동되어, 그 회전력이 한 쌍의 기어(12,13)를 통해 볼 스크류(14)로 전달된다. 볼 스크류(14)는 정위치에서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한 쌍의 베벨 기어(23,23')를 통해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10')의 볼 스크류(14')에도 전달된다.
슬라이더(15)가 볼 스크류(14)의 자전 운동에 의해 전진하는 것에 의해, 정렬 몸체(18)가 카세트(C)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각 카세트 정렬 유니트(10,10')의 정렬 블럭(20,20')이 직교를 이루면서 전진하여, 카세트(C)의 일측 모서리 부분의 양측면을 동시에 밀착하게 된다.
한편, 카세트(C)의 타측 모서리 부분의 양측면도 동시에 밀착되어지므로써, 카세트(C)는 테이블(2)상에 정렬된다.
여기서, 조정 스크류(24)를 조이거나 푸는 것에 의해, 압축 스프링(22)력을 조정할 수가 있으므로, 정렬 블럭(20,20')이 카세트(C)를 미는 힘을 조정, 즉 강화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카세트 정렬 방식은, 카세트(C)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정렬 유니트가 전진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카세트(C)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여러 종류의 크기를 갖는 카세트(C)를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의 모터(31)가 구동된다. 그 회전력은 타이밍 벨트(34)를 통해 볼 스크류(35)로 전달되어서, 정렬 몸체(36)가 카세트(C)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또한,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의 볼 스크류(35) 회전력은 연결축(51)을 통해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의 볼 스크류(35')로 전달되므로써,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각 볼 스크류(35.35')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각 정렬바(40,40'41,41')은 같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정렬판(37)이 정렬 몸체(36)와 같이 이동되어서, 각 액정 셀 정렬 유니트(30,30')의 각 정렬바(40,40'41,41')가 카세트(C)의 개구부를 통해 진입되어 액정 셀의 양측면을 밀게 되므로써, 액정 셀이 정중앙에 정렬되어진다.
한편, 카세트(C)의 모델 변경에 따라 카세트(C)의 개구부 위치가 변경되면, 각 슬라이더(43,44)를 가이드 레일(38,39)를 따라 적절히 이동시켜서, 각 정렬바(40,41)를 개구부 위치와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모터(31)의 오동작에 의해 각 정렬바(40,41)가 액정 셀을 계속 밀게 되는 경우, 그 즉시 정렬판(37)은 힌지(47)를 중심으로 홈부(36a)내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정렬판(37)은 센서 도그(48)를 밀게 되고, 이를 오동작 감지 센서(49)가 감지하여, 모터(31)로 신호를 보내게 되므로써, 모터(31)는 역으로 구동되어 정렬바(40,4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된 후, 정지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셀이나 카세트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액정 셀과 카세트를 정렬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렬 장치는 액정 셀과 카세트의 모델 변경에 따라 구성 요소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재세팅 작업을 전혀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오동작에 의해 정렬바가 액정 셀을 계속 밀게 되면, 그 즉시 전체 유니트가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되게 되므로써, 액정 셀이 정렬바로부터 가해지는 과도한 힘에 의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우측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카세트 정렬 유니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평면도
도 5는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액정 셀 정렬 유니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은 정면도
도 7은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프레임 2 - 테이블
10,10' - 카세트 정렬 유니트 11,31 - 모터
14,14',35,35' - 볼 스크류 18,36 - 정렬 몸체
19,20 - 정렬축 21,21' - 정렬 블럭
23,23' - 베벨 기어 30,30' - 액정 셀 정렬 유니트
37 - 정렬판 38,39 - 가이드 레일
40,40'41,41' - 정렬바 43,44 - 슬라이더
48 - 센서 도그 49 - 오동작 감지 센서
51 - 연결축

Claims (7)

  1. 복수개의 액정 셀이 적층식으로 수납된 카세트를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각 액정 셀을 정중앙에 정렬시키는 장치로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가 안치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대각선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 1 및 제 2 유니트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카세트의 하부 모서리를 밀착하여 정렬시키는 카세트 정렬 유니트; 및 상기 카세트의 양측면에 각기 배치된 동일한 구성의 한 쌍으로서, 상기 카세트에 종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각 액정 셀을 밀어서 정렬시키는 제 1 및 제 2 정렬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는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면서,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에만 구동원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원 하나에 의해 각 카세트 정렬 유니트가 동시에 작동되며,
    상기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는 축방향이 카세트의 측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구동원인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위치에 회전되는 볼 스크류; 상기 볼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정렬 몸체; 상기 카세트를 향하는 정렬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를 밀착하는 정렬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세트 정렬 유니트의 볼 스크류는 제 2 카세트 정렬 유니트의 볼 스크류에 직교를 이루는 한 쌍의 베벨 기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중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에만 구동원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원 하나에 의해 각 액정 셀 정렬 유니트가 동시에 작동되며,
    상기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는 구동원인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위치에서 회전되는 볼 스크류; 상기 볼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정렬 몸체; 액정 셀을 향하는 상기 정렬 몸체의 내측면에 설치된 정렬판; 및 상기 정렬판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의 개구부를 통해 진입되어, 각 액정 셀을 밀착하는 정렬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액정 셀 정렬 유니트의 볼 스크류는 연결축에 의해 상기 제 2 액정 셀 정렬 유니트의 볼 스크류에 연결되고, 각 볼 스크류는 서로 반대의 나사선 방향을 가짐으로써, 각 액정 셀 정렬 유니트의 정렬바가 동시에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블럭은 정렬 몸체에 나사결합된 정렬축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정렬축의 외주에는 정렬 블럭이 카세트를 미는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압축 스프링이 끼워지며, 상기 정렬축의 타단에는 압축 스프링력을 조정하는 조정 스크류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정렬 유니트의 모터축과 볼 스크류는 한 쌍의 기어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판의 내측면에 가이드 레일이 횡으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더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정렬바가 설치되어, 카세트의 개구부 위치에 따라 정렬바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 변경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정렬판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고정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가 정렬판의 상단에 맞대어져 클램프 노브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하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바가 모터의 오동작에 의해 계속 액정 셀을 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정렬판은 힌지에 의해 정렬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정렬판을 향하는 정렬 몸체의 내측면 상부에 소정의 폭으로 홈부가 형성되어, 이 홈부내로 상기 정렬판이 회전가능하며, 상기 홈부내로 회전되는 정렬판과 접촉되는 센서 도그가 정렬 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 도그가 정렬판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오동작 감지 센서가 정렬 몸체가 부착되며, 상기 오동작 감지 센서는 모터로 감지 신호를 보내, 상기 각 액정 셀 정렬 유니트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 정렬 유니트의 모터축과 볼 스크류는 한 쌍의 풀리와 타이밍 벨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KR1019970067780A 1997-12-11 1997-12-11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KR10048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780A KR100488928B1 (ko) 1997-12-11 1997-12-11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780A KR100488928B1 (ko) 1997-12-11 1997-12-11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952A KR19990048952A (ko) 1999-07-05
KR100488928B1 true KR100488928B1 (ko) 2005-10-26

Family

ID=3730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780A KR100488928B1 (ko) 1997-12-11 1997-12-11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57B1 (ko) * 2012-03-27 2014-04-21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카세트 정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20B1 (ko) * 2005-12-29 2008-01-2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세트 정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32A (ja) * 1993-07-20 1995-02-03 Daihen Corp 液晶用基板の位置決め装置
JPH07101481A (ja) * 1993-09-30 1995-04-18 Nec Corp パネル収納用カセットおよび複合パネル収納用カセ ット
JPH08244909A (ja) * 1995-03-14 1996-09-24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カセット内のガラス基板整列方法
KR960039106A (ko) * 1995-04-14 1996-11-21 이노우에 아키라 기판정렬장치 및 기판정렬방법
KR19980023273A (ko) * 1996-09-25 1998-07-06 구자홍 글래스 자동이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232A (ja) * 1993-07-20 1995-02-03 Daihen Corp 液晶用基板の位置決め装置
JPH07101481A (ja) * 1993-09-30 1995-04-18 Nec Corp パネル収納用カセットおよび複合パネル収納用カセ ット
JPH08244909A (ja) * 1995-03-14 1996-09-24 Hitachi Electron Eng Co Ltd カセット内のガラス基板整列方法
KR960039106A (ko) * 1995-04-14 1996-11-21 이노우에 아키라 기판정렬장치 및 기판정렬방법
KR19980023273A (ko) * 1996-09-25 1998-07-06 구자홍 글래스 자동이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57B1 (ko) * 2012-03-27 2014-04-21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카세트 정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952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534B2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inted circuit board
US648692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test system
KR20050026852A (ko) 기판 표면 청소 장치
ES2101141T3 (es) Dispositivo para colocar tiras de ensayo correctamente orientadas en un analizador.
EP1659443A3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244688B1 (ko) 웨이퍼 반송장치
KR100488928B1 (ko) 액정 셀 및 카세트 정렬 장치
US20090318051A1 (en) Device for supporting substrate and examiner for seal pattern of lcd cell using the same
EP0426868B1 (en) Positioning table
KR20050123453A (ko) 갠트리장치
KR101398104B1 (ko) 패널 부착장치
US6626223B2 (en) Pressure sealer for nested documents
KR102067984B1 (ko) 기판 절단 장치
US20020149767A1 (en) Variable slit width device for spectroscope
KR20030078650A (ko) 피검사기판의 검사장치
ATE127240T1 (de) Ferroelektrische flüssigkristallvorrichtung.
KR19990024147U (ko) 육안 검사용 액정 셀 반입/반출 장치
CN116381972B (zh) 一种显示模组组装治具
CN221026093U (zh) 一种光伏接线盒翻面输送装置
CN215895167U (zh) 一种lcm检测治具
JPS63119297A (ja) プリント基板収納用ラツクにおける基板収納部の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062517A (ja) 液晶パネル又は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検査装置
KR100314267B1 (ko) 액정셀의단자부연마장치
KR100527090B1 (ko) 액정 셀의 단자부 연마 장치
KR20060062798A (ko)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실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