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824B1 - 단일일체형부재로형성된뚜껑 - Google Patents

단일일체형부재로형성된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824B1
KR100488824B1 KR10-1998-0708560A KR19980708560A KR100488824B1 KR 100488824 B1 KR100488824 B1 KR 100488824B1 KR 19980708560 A KR19980708560 A KR 19980708560A KR 100488824 B1 KR100488824 B1 KR 10048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lange
container
link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638A (ko
Inventor
젠스 모가드
Original Assignee
테트라 라벨 홀딩스 앤드 파이넨스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트라 라벨 홀딩스 앤드 파이넨스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테트라 라벨 홀딩스 앤드 파이넨스 에스. 에이.
Priority to KR10-1998-070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82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8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6Spou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25), 캡부(35) 및 링크(135)를 갖는 주둥이부(15)를 포함하는 용기용 뚜껑(10)에 관한 것이다. 링크(135)는 주둥이부(15)를 제1 조인트(155) 및 제2 조인트(50)에서 캡부(35)에 연결한다. 링크(135)는 제1 조인트(155)에 대해 절첩되어 링크(135)의 일부분(150)이 플랜지(25)에 중첩되고 그에 한정되게 한다. 플랜지(25)는 링크(135)의 일부분(150)을 수용하는 절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인트(50)는 링크(135)의 일부분(150)이 플랜지(25)에 중첩하는 동안 주둥이부(15)로부터 캡(35)의 고정 및 제거를 허용한다. 링크(135)의 일부분(150)은 플랜지(25)를 용기의 열가소성면에 동시에 한정시키는 에너지 방출 과정에서 플랜지(25)에 한정된다. 개봉 흔적 표시 구조(275)가 캡(35)을 플랜지(25)에 연결한다.

Description

단일 일체형 부재로 형성된 뚜껑{CLOSURE FORMED AS A SINGLE, INTEGRAL PART}
본 발명은 단일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된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단일 사출 성형 공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일체로 형성된 뚜껑에 관한 것이다.
수년 동안 용기용 재밀봉 뚜껑이 보편화되었다. 현재 이와 같은 뚜껑은 일례로 박공 상부(gable-top) 용기 및 이와 유사한 1회용 용기에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뚜껑은 스냅형 캡 및 스크류형 캡의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들 각각은 대응하는 주둥이(spout)의 개구 위에서 재밀봉 가능하다.
종래의 뚜껑에는 제약 사항이 있다. 용기에 대한 종래 뚜껑의 적용은 어렵고 비싸다. 뚜껑을 용기에 적용하는 기존의 시스템은 주둥이 적용 단계를 위해 고가의 공구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비용이 아주 고가일 수가 있다. 또한, 뚜껑 자체는 제조에 아주 비용이 많이 드는데, 보편적으로 2가지 개별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는 2가지 개별 몰드에서 형성되는 2개의 개별 부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경험하고 있는 단점들 및 상술한 단점들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는 개선된 단부 캡에 대한 요구가 당해 산업 분야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에 이르렀다.
도1은 개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폐쇄 상태에 있는 도1의 뚜껑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개방 위치에 있고 용기의 개구를 통해 고정되는 도1의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폐쇄 위치에 있고 용기의 개구를 통해 고정되는 도1의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5는 완전 전개된 상태에 있는 도1의 캡의 측단면도이다.
도6은 개방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부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뚜껑의 플랜지의 리세스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6의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개방 위치에 있는 도6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11은 부분 폐쇄 위치에 있는 도6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11a는 도11의 원A의 확대도이다.
도12는 부분 개방 위치에 있는 도6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12a는 도12의 원A의 확대도이다.
도13은 폐쇄 위치에 있는 도6의 뚜껑의 단면도이다.
플랜지를 갖는 주둥이부와, 캡부와, 링크를 포함하는 용기용 뚜껑이 개시된다. 링크는 주둥이부를 캡부에 연결시키고 제1 조인트에서 주둥이의 플랜지에, 제2 조인트에서 캡부에 연결된다. 제2 조인트는 힌지 조인트일 수 있거나 또는 링크의 긴 가요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는 링크의 적어도 일 부분이 그에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를 향해 절첩될 수 있도록 제1 조인트를 중심으로 절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랜지는 링크가 제1 조인트를 따라 절첩될 때 링크의 일부가 그 내부로 절첩될 수 있는 절결부를 포함한다. 절결부는 완전할 수 있거나 또는 리세스 형태일 수 있다. 제2 조인트는 링크의 적어도 일부가 플랜지 위에 놓이거나 또는 절결부를 통해 배치될 때 주둥이부에 대한 캡부의 고정 및 제거를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제2 조인트는 바람직하게 뚜껑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조차도 캡을 주둥이부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온전한 상태(intact)를 유지한다.
용기에 뚜껑을 고정시키는 방법도 개시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링크의 적어도 일부는 뚜껑이 에너지 방출 공정을 사용하여 용기의 열가소성 표면에 대해 접합됨과 동시에 최종 위치에 접합된다. 따라서, 뚜껑은 동일한 에너지 방출 공정을 사용하여 용기에 고정됨과 동시에 최종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정은 초음파 밀봉 호온(horn)이 플랜지를 용기에 결합시키고 동시에 적어도 일 부분을 최종 접합 위치에 결합시키는 초음파 밀봉 공정이다.
또한, 종래 뚜껑과 같은 뚜껑에 사용되는 개봉 흔적 표시 구조(tamper evident structure)도 개시된다. 개봉 흔적 표시 구조는 절취 조인트에서 뚜껑의 캡에 연결되는 제1 부재와, 제1 부재에 연결되고 뚜껑의 주둥이부의 플랜지의 절결부 내부에 고정되도록 치수 설정된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완전 절결부가 이용되는 경우에 제2 부재는 용기의 열가소성 표면에 접합되는 반면에, 절결부가 리세스 형태인 경우에는 플랜지에 접합된다. 제2 부재가 용기 또는 플랜지에 접합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캡으로부터 제1 부재를 절취 이음부를 따라 절취함으로써 용기가 개방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까지 뚜껑의 캡이 주둥이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도면과 연계하여 취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분명해질 것이다.
도1 내지 도5에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중합체 재료로 된 외부층들 사이에 배치된 판지 기반(paperboard-based) 기판으로 형성되는 본체를 갖는 용기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 외부층을 갖는 비판지 기반 용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재밀봉 뚜껑(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뚜껑(10)은 단일 일체형 부품으로 형성되며, 대체로 관형인 스템(20)을 구비하는 주둥이부(15)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템(20)은 그 하단부의 주연부 주위로 연장하는 환형 기부 플랜지(2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이 주둥이부(15)는 힌지부(30)에 의해 캡(35)과 결합된다.
유리하게는 캡(35)이 주둥이부(15)의 스템(20)과 재밀봉 가능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된다. 본원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서, 캡(35)은 하방 돌출 스커트(45)에 의해 둘러싸인 상부 덮개(lid)(40)를 포함한다. 스커트(45)와 덮개(40)는, 캡(35)이 스템(20) 주위에 고정되어 뚜껑(10)을 폐쇄 상태로 위치시킬 때 스템(20)의 상부를 수납하는 내부 공동부(55)를 형성하도록 협동한다. 환형 리세스(60)가 스커트(45)와 덮개(40)의 교차부에 근접해서 캡(35)의 내부 주위에 형성된다. 스커트(45)의 내부면은 그 내부 주위로 연장된 내부 리브(rib)(65)를 포함한다. 덮개(40)는 그 내부면(70) 상에 언형 리지(75; ridge)를 포함한다. 리지(75)와 리브(65)는 이들 사이에 리세스(60)를 형성하도록 협동한다. 스템(20)은 스템(20)의 외주부 주위로 연장된 외향 플래어형 립(flared lip)(80)을 구비한 상단부를 포함한다. 립(80)은 뚜껑(1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캡(35)의 리세스(60)와 결합한다. 스커트(45)는 캡(35)이 립(80) 위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표면(90)을 그 기부에 포함한다. 립(80) 및 리브(65)는 캡(35)과 스템(20) 사이의 밀봉 관계를 유지하도록 서로 밀봉 가능하게 결합한다.
스템(20)은 또한 캡(35)이 제거될 때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부어질 수 있도록 그 중심을 관통하는 구멍(100)을 포함한다. 주둥이부(15) 내에는 구멍(100) 위에 임의의 멤브레인(102)이 배치될 수 있다. 임의의 멤브레인(102)은 스템(20)과 동심으로 형성된 내부링부(105)를 포함한다. 링(105)은 링(105)의 한 측면을 따라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부 연결부(110)에 의해 멤브레인 커버(107)에 고정된다.
다양한 형상중의 하나인 돌출부(120; ledge)가 덮개(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뚜껑(10)의 수동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힌지(30)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재료로 사출 성형 등을 통해 단일 일체형 구조로서 형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은 그의 전개 상태로 단일 사출 성형 공구 내에서 유리하게 성형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성형 공구는 구성하기에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그와 같은 공구는 유지 보수하기도 용이하다. 전체적으로, 본원에 도시된 단일의 일체형 구조는 개별 캡 및 주둥이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뚜껑보다 제조하기에 경제적인 뚜껑을 제공한다.
도5를 참조하면, 힌지부(30)는 개별 부분의 고유의 협동 작업으로 형성된다. 이들 부분은 힌지 조인트부(155)에서 플랜지(25)에 연결된 제1 부분(150)과, 힌지 조인트부(50)에서 캡(35)에 부착된 더 짧은 제2 부분(160)을 갖는 L-형의 링크(135)를 포함한다. 제1 부분(150)은 양호하게는 힌지부(30)의 영역 내의 플랜지(25)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2 부분(160)은 양호하게는 힌지부(30)의 영역 내의 스템(20)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사용시에, 뚜껑(10)은 힌지 조인트(50, 155)를 따라 폐쇄 위치로 절첩된다. 이 위치에서, 힌지부(30)는, 링크(135)의 제1 부분(150)이 플랜지(25)의 위에 놓이고 제2 부분(160)이 스템(20)에 인접하고 양호하게는 접할 때까지 화살표(170)의 방향으로 L-형의 링크(135)를 절첩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다음 뚜껑(10)은 용기의 개구(112) 내에 삽입된다. 양호하게는, 뚜껑(10)은 플랜지(25)가 용기의 내부 열가소성 재료 표면과 결합하도록 도4에 도시된 위치로 삽입된다. 대안적으로, 뚜껑(10)은 용기의 외부에서 개구(112)의 주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뚜껑(10)은 양호하게는 초음파 밀봉, 가열 밀봉 등을 통하여 용기에 고정된다. 이러한 형태의 밀봉을 사용하여, 용기의 내부 열가소성 층은 플랜지(25)를 용융하여 고정하도록 가소화(plasticized) 상태로 된다. 이러한 밀봉 작업과 동시에, 초음파 에너지와 같은 소정량의 밀봉 에너지가 링크(135)의 제1 부분(150)으로 지향되어 제1 부분(150)이 플랜지(25)에 밀봉된다. 초음파 밀봉 호온은 캡(45)과 스템(20)을 둘러싸도록 쉽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 둘레의 용기의 외부 영역과 결합한다. 선택적으로, 뚜껑이 패키지 상에 밀봉되기 때문에 외부 확인 가능 개봉 흔적 표시가 부가될 수 있다.
제2 부분 또는 아암(160)은 예를 들어 긴 루프 형상일 수 있어서 제2 조인트(50)가 힌지 조인트로서 작동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캡(35)은 스템으로부터 자유롭게 제거되어 제2 조인트(50)의 힌지 작용 없이도 그 위에 교체될 수 있다.
표준 패키징 기계가 뚜껑(10)을 형성하고 최소의 부가 공구 작업량으로 뚜껑을 용기에 밀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단지 하나의 밀봉 공구, 예를 들어 초음파 밀봉 공구만이 밀봉을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공구 작업에 대한 전체 비용은 저감되면서도, 성형 공정에서 단일 부품의 유지 보수가 적은 사출 성형 공구를 사용함으로써 부품 제조 비용 및 제조 유지 보수 비용이 저감된다.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의 뚜껑 디자인은 성형 공구가 단일 운동축을 따라서만 이동되는 공정을 통해서 양호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비록 일반적으로 덜 효과적이지만, 뚜껑(10)을 용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공정도 고려된다. 예를 들어, 플랜지에 링크(135)의 제1 부분(150)을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 후 최종 뚜껑은 플랜지(25)를 용기에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또는 용기에 플랜지를 접합시키는 초음파 밀봉 공정과 같은 에너지 밀봉 공정에 의해 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링크(135)의 제1 부분(150)은 에너지 밀봉 공정을 이용하여 플랜지(25)에 접합될 수 있고, 최종 뚜껑은 접착제에 의해 용기에 접합될 수 있다.
도6 내지 도8은 뚜껑(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25)는 본 실시예에서는 리세스로 도시된 절결부(200)를 포함한다. 링크(135)는 리세스(200)에 인접한 제1 조인트(155)에서 플랜지(25)에 고정된다. 아암(150)은 링크(135)가 제1 조인트(155) 주위로 절첩될 때 아암(150)이 리세스(200) 내로 끼워지도록 리세스(200)의 깊이와 거의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아암(150)이 리세스(200) 내에 배치될 때 아암(150)의 상부는 플랜지(25)의 상부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하게는 리세스(200)의 측벽(205)은 예를 들어 대략 10°의 각도로 배치된다. 이러한 각형성 측벽은 예를 들어 초음파, 열 또는 접착제 접합 방법에 의해 뚜껑(10)이 용기에 접합될 때까지 아암(150)을 리세스(200) 내에 고정 유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도6 내지 도8의 실시예는 양호하게는 초음파 밀봉 공정과 같은 에너지 접합 공정을 이용하여 용기의 개구(112)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아암(150)은 뚜껑(10)을 용기에 초음파 접합시킴과 동시에 리세스 내에 접합된다. 선택적으로, 비록 덜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도6 내지 도8의 뚜껑을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공정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가 링크(135)의 제1 아암(150)을 리세스(200) 내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최종 뚜껑은 플랜지(25)를 용기에 접합시키는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또는 플랜지를 용기에 접합시키는 초음파 밀봉 공정과 같은 에너지 밀봉 공정에 의해 용기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링크(135)의 제1 아암(150)은 에너지 밀봉 공정을 이용하여 리세스 내에 접합될 수 있고, 최종 뚜껑은 접착제에 의해 용기에 접합된다.
도9를 참조하면, 뚜껑(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절결부(200)는 조인트(155)를 형성하는 재료의 부분(220)을 제외하고는 플랜지(25)의 깊이 전체를 통해 연장되어 개방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부분(220)에 대응하는 재료의 부분(225)은 아암(150)으로부터 제거된다. 아암(150)의 나머지 부분은 절결부(200)의 깊이와 대략 동등하거나 양호하게는 완전히 동일한 깊이를 갖는다. 이 구조에서, 아암(150)은 아암(150)의 상부가 플랜지(25)의 상부와 일반적으로 동일 높이로 되는 한편 아암(150)의 하부는 플랜지(25)의 하부와 일반적으로 동일 높이로 되도록 절결부(200)에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200)의 측벽은 경사질 수도 있다. 상술한 각각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9의 실시예는 초음파 밀봉 공정 등의 에너지 접합 공정을 이용하여 용기의 개구(112)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공정에서, 아암(150)은 개구(112)의 주위의 영역에서 열 가소성 표면에 뚜껑을 접합함과 동시에 용기의 열가소성 표면에 고정된다. 대안적으로, 일반적으로 덜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도9의 뚜껑(10)을 용기에 고정하는 공정도 고려될 수 있다. 뚜껑은 플랜지(25)와 아암(150)을 용기에 접합하는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뚜껑(10)을 가진 용기를 비우게 되면 뚜껑(10)의 캡(35)은 스템(20)으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의 진로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10)은 캡(35)이 용기로부터 나온 내용물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보조하는 힌지부(30)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협동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세트의 협동 구조는 도6 내지 도12와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 개구(250)는 제2 조인트(50)에 인접한 링크(135)에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255)는 캡(35)으로부터 노치 개구(250) 내로 연장된다. 스템(20)은 그 외부에 리세스 영역(260)을 포함한다.
상기 요소의 협동은 도10 내지 도12와 관련하여 가장 양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5)이 개구(100)를 밀봉하기 위해 스템(20) 위에 결합되는 폐쇄 위치에 뚜껑(10)이 배치된 경우 리세스(260)는 돌출부(255)를 수납한다. 뚜껑(10)이 용기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방 상태로 전이되면 캡(35)은 조인트(50) 둘레로 회전되고 돌출부(255)의 단부는 도11 및 도11a에 도시된 방식으로 리세스(260)와 결합한다. 도11 및 도11a에 도시된 전이 상태를 초과하는 부가의 이동은 돌출부(255)와 리세스(260)의 표면 사이의 캠 결합을 초래한다. 캠 작용은 캡(35)과 돌출부(255)를 스템(20)으로부터 이격하여 탄성적으로 압박한다. 상기 전이의 소정 시점에서, 돌출부(255)와 캡(35)은, 수동 폐쇄력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어 캡(35)과 돌출부(255)를 도13의 폐쇄 위치로 복귀시킬 때까지 도12 및 도12에 도시된 위치로 스냅 고정되어 캡(35)을 개방 위치에 일시적으로 고정한다.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용기의 내용물은 캡(35)에 의한 방해 없이 스템(20)으로부터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개봉 흔적 표시 구조(275)는 도6 내지 도9의 실시예들의 각각에 도시되어 있다. 개봉 흔적 표시 구조(275)는 제1 및 제2 아암(285, 290)을 구비하는 L-형 부분(280)을 포함한다. 제1 아암(28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노치를 포함하는 절취 조인트(296)에서 캡(35)에 고정된다. 파지 아암(300)은 제1 아암(285)으로부터 연장하고,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스커트(45)의 원호에 합치하는 아치형 스트립의 형태일 수 있다. 플랜지(25)는 내부에 제2 아암(290)을 수납하도록 치수 설정된 절결부(310)를 포함한다. 절결부(200)와 마찬가지로, 절결부(310)는 단순히 리세스일 수 있거나 플랜지를 통해 완전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관련된 개봉 흔적 표시 구조(275)를 가지는 뚜껑(10)이 완전히 형성되어 용기에 밀봉될 때, 제2 아암(290)은 채용된 절결부의 형태에 따라 플랜지(25) 또는 용기의 열가소성 표면 중 어느 한 쪽에 접합된다. 따라서, 캡(35)은 주둥이부(15)의 플랜지 부분(25)과 캡(35) 사이로 연장하는 제1 아암(285)에 의해 주둥이부(15)에 고정된다. 뚜껑(10)을 개봉하기 위해, 사용자는 파지 아암(300)을 파지하고 절취 조인트(295)의 영역의 캡(35)으로부터 제1 아암(285)을 절취한다. 절취 조인트(295)에서의 노치들은 이러한 절취에 필요한 힘의 양을 감소하는데 도움을 준다. 노치 등이 제1 및 제2 아암(285, 295)의 사이의 결합의 영역에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에 대한 참조로 기재되었지만, 본 기술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일탈됨이 없이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열가소성 표면을 구비한 용기에 뚜껑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플랜지와 스템을 구비한 주둥이부와, 스커트와 덮개를 구비한 캡부와, 플랜지를 캡부에 연결하는 링크를 갖는 뚜껑을 제공하는 단계와,
    입구 구역에서 용기 주위에 뚜껑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플랜지를 열가소성 표면 및 링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동시에 에너지 방출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용기의 접근 중에 캡부를 유지하기 위해 제1 힌지 조인트에서 플랜지에 연결되고 제2 힌지 조인트에서 스커트에 연결되며, 링크의 적어도 한 부분은 플랜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방출은 초음파 에너지 방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방출은 열에너지 방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구역은 용기를 통한 개구이고, 상기 뚜껑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개구를 통해 뚜껑을 배치하는 단계와 플랜지의 일부를 용기의 내부 표면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구역은 용기를 통한 개구이고, 상기 뚜껑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개구 위에 뚜껑을 배치하는 단계와 플랜지의 일부를 용기의 외부 표면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뚜껑을 주위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갖는 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관통 구멍을 갖는 스템 및 상기 스템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플랜지를 갖는 주둥이부와,
    덮개 및 상기 덮개로부터 돌출하는 스커트를 갖는 캡부와,
    플랜지를 스커트에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용기의 접근 중에 캡부를 보유하기 위해 제1 힌지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플랜지의 외부 모서리에서 플랜지에 연결되고 제2 힌지 조인트에서 스커트에 연결되며, 링크의 플랜지부가 플랜지를 덮고 그와 접촉하도록 제1 조인트를 따라 절첩되며,
    제1 힌지 조인트는 링크와 그에 따른 캡부가 플랜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제2 힌지 조인트는 캡부가 링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링크의 플랜지부를 수용하는 크기인 절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8. 제6항에 있어서, 스커트에 배치된 개봉 흔적 표시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9. 제6항에 있어서, 스템의 개구를 덮는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멤브레인은 그 제거를 위해 부착된 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와 스커트는 리브 부분에 의해 경계지워진 환형 리세스를 형성하고, 상기 스템은 그 주연부 주위로 배치된 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립은 캡부가 주둥이부 상에 배치될 때 상기 환형 리세스와 결합하고 상기 리브 부분에 의해 그 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KR10-1998-0708560A 1996-04-25 1997-04-22 단일일체형부재로형성된뚜껑 KR10048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8560A KR100488824B1 (ko) 1996-04-25 1997-04-22 단일일체형부재로형성된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48,806 1996-04-25
KR10-1998-0708560A KR100488824B1 (ko) 1996-04-25 1997-04-22 단일일체형부재로형성된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38A KR20000010638A (ko) 2000-02-25
KR100488824B1 true KR100488824B1 (ko) 2005-08-04

Family

ID=43669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560A KR100488824B1 (ko) 1996-04-25 1997-04-22 단일일체형부재로형성된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4254C2 (en) * 2019-10-24 2022-03-15 Petro Pack Ab A package closu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e 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38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1833C (en) Closure formed as a single, integral part
US5755360A (en) Multi-material, multi-shot, injection molded dispensing closure having a removable seal
RU2191724C2 (ru) Затвор для тары,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твора и тара
CN111746930B (zh) 用于可倾倒产品的包装料的打开装置和含打开装置的包装
WO1993013998A1 (en) One-piece fitment and tethered plug with tamper-evident means
US5855288A (en) Resealable closure
JPH0669819B2 (ja) スナツプ蝶番付の合成樹脂製閉鎖装置
JP2004509817A (ja) 容器の閉塞構造
KR100488824B1 (ko) 단일일체형부재로형성된뚜껑
RU21263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моформования
JP4218429B2 (ja) 液体紙容器用口栓
JPH0331710Y2 (ko)
JPH0333633Y2 (ko)
US20230146015A1 (en) Insert mouldable and ultrasonically weldable closure assembly for plastic packaging
JPH0219247A (ja) 紙容器用注出具
JPH0333626Y2 (ko)
JPH0333631Y2 (ko)
JPS6145007Y2 (ko)
EP1812228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ur spout devices
JPH0333628Y2 (ko)
JP2001213467A (ja) 樹脂製密封容器
JPH07232751A (ja) 注出口
JPH0333625Y2 (ko)
JPH0920355A (ja) シール口栓
MX2008008173A (en) Drinking fi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