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507B1 - 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 Google Patents

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507B1
KR100488507B1 KR10-2003-0061123A KR20030061123A KR100488507B1 KR 100488507 B1 KR100488507 B1 KR 100488507B1 KR 20030061123 A KR20030061123 A KR 20030061123A KR 100488507 B1 KR100488507 B1 KR 10048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de impact
motor
door lock
impact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3734A (en
Inventor
민관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507B1/en
Publication of KR2005002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5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8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to effect movement of a bolt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외측 판넬 내부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상하부로 설치되는 두쌍의 가이드와; 상기 각쌍의 가이드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의 측면 충돌 강화기능과 감금장치의 록킹 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과; 앞,중간,뒷 기둥에 각각 형성되어 사이드 임펙트 비임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걸림공과; 모터의 정역회전에 부응하여 사이드 임펙트 비임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와; 도어의 락상태를 검출하는 수개의 체크스위치와; 도어락 및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와;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와; 도어의 쇄/해정 제어용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제어부와; 축 단부가 상기 링크의 중심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되는 모터로 구성하여, 도어 락 신호가 입력되거나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일 경우에 두 사이드 임팩트 비임의 단부가 양측 기둥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측면 충돌시의 안전성과 도난방지 성능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using a side impact beam, and in particular, two pairs of guides installed up an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outer panel of the door; Two side impact beam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air of guides to perform side collision reinforcement of the door and locking function of the cage; A plurality of catching holes formed at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to selectively open the side impact beam so that the door does not open; A link for transmitting power such that the side impact beams slide left or right in response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Several check switches for detecting a locked state of the door; A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oor lock and an unlock signal; A traveling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e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door lock / release control motor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shaft end is fixed to the center point of the link and is composed of a motor which is oper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so that when the door lock signal is input or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more than a certain speed, The end of the side impact beams are fitted in the fixing grooves formed in the pillars on both sides,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afety and theft preventing performance during side impact.

Description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본 발명은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사고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찌그러지기 쉬운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두개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도어 락 신호가 입력되거나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일 경우에 두 사이드 임팩트 비임의 단부가 양측 기둥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측면 충돌시의 안전성과 도난방지 성능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ing device using a side impact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the two side impact beams to be slidably moved from side to side inside the door which is easily crushed to protect passengers in case of accident. In the case of input or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car is higher than a certain speed, the end of the two side impact beams ar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s formed in the pillars on both sides, so that the safety and theft prevention performance at the time of side collision can be greatly improved. will b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도어와 중간 기둥의 강성이 운전자나 승객의 안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게 되는 요소인데, 특히 인체 상해치는 도어의 강도에 많이 영향을 받음에 따라, 대부분의 자동차에서는 도어 내부에 어러 가지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설계 사양으로 되어 있다.In general, the stiffness of the door and the middle pillar affects the safety of the driver or passenger most during the side collision of the car. In particular, the injury to the human body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strength of the door. The provision of air reinforcement members is a general design specification.

종래 대부분의 자동차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중간,뒷 기둥(1)-(3)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4)의 내측 판넬과 외측 판넬 사이에 단면이 원통 형상을 같이 소정 길이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을 고정 설치하여 도어의 강도를 높여주는 구성을 갖고 있고, 또한 이들과 별개로 잠금장치(14)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in a conventional vehicle, a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uch that a cross section is formed between an inner panel and an outer panel of a door 4 installed between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 3, and 3 as shown in FIG. The side impact beam 5 is fixed and install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door, and the locking device 14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se.

그런데, 자동차의 측면 충돌 에너지는 도어와 중간 기둥에만 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차체 전체로 충격이 분산되지 못하고 도어와 중간 기둥의 변형이 가장 심하게 하므로, 종래와 같이 도어 내부에 하나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내장시킨 경우에는 도어에만 충격이 가해졌을 때 승객실쪽으로 변형이 심하게 일어나 측면 충돌시 인체에 큰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ide impact energy of the car mainly affects only the door and the middle column, so that the impact is not distributed to the entire body and the deformation of the door and the middle column is the most severe. Therefore, a single side impact beam is built into the door as in the prior art. In this case, when the impact is applied only to the door, the deformation is severely directed toward the passenger compartment, which causes a serious injury to the human body when the side collision occurs.

뿐만 아니라, 종래 자동차의 잠금장치는 상기한 사이드 임펙트 비임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 불필요하게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고 있음은 물론 각종 도난 방지장치를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와 유리 사리를 통해 각종 기구물을 삽입하여 강제로 해정시키기 쉬워 신뢰성에도 조금은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ehicl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above side impact beam, so as to increase the production cost unnecessarily, even though it is equipped with various anti-theft devices, it inserts various kinds of mechanisms through doors and glass saris. It is easy to force the release, and there is a slight weakness in reliability.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의 안전성과 잠금장치의 성능향승을 통한 도난 방지효과를 대폭 증진실 수 있는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door lock device using a side impact beam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anti-theft effect through the safety of the side impact of the car and the performance of the locking device is greatly improved.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중간,뒷 기둥사이에 설치되는 도어의 외측 판넬 내부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상하부로 설치되어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이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두쌍의 가이드와; 상기 각쌍의 가이드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의 측면 충돌 강화기능과 감금장치의 록킹 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과; 앞,중간,뒷 기둥에 각각 형성되어 사이드 임펙트 비임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수개의 걸림공과; 상기 사이드 임펙트 비임들이 교차하는 부위에서 그 중간 위치에 축지되어 모터의 정역회전에 부응하여 사이드 임펙트 비임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와; 상기 사이드 임펙트 비임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의 락상태를 검출하는 수개의 체크스위치와; 도어락 및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와;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와; 상기 체크스위치와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 및 주행속도 검출부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도어의 쇄/해정 제어용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제어부와; 축 단부가 상기 링크의 중심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사이드 임펙트 비임이 도어의 쇄정 또는 해정기능을 수행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wo pairs of guides which are installed in the outer panel of the door installed between the front, middle, rear pillars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allow the two side impact beams to slid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 Two side impact beam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air of guides to perform side collision reinforcement of the door and locking function of the cage; A plurality of catching holes formed at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to selectively open the side impact beam so that the door does not open; A link which is axially positioned at an intersection of the side impact beams and transmits power so that the side impact beams slide left or right in response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A plurality of check switche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ide impact beam to detect a locked state of the door; A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door lock and an unlock signal; A traveling speed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pee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output signals of the check switch, the door lock / release signal generator and the traveling speed detection unit, respectively and drives the door lock / release control motor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hieved by a motor having a shaft end fixed to the center point of the link and oper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so as to generate a power for the side impact beam to perform a door locking or unlocking function. can do.

따라서, 통상시에는 각각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들이 도어의 측면 충돌강도를 증강시켜 주므로 측면 충돌시의 안전성을 증대시켜 주고, 또한 자동차가 소정속도 이상(예를들어 40 km/h)으로 주행하거나 운전자 등에 의해 도어락 신호가 발생되었을시에는 이들 사이드 임펙트 비임들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그의 단부들이 각각의 기둥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워져 도어를 잠근상태를 유지시켜 주므로 별도의 도어 잠금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부에서의 잠금기능 해제가 불가능하여 도난방지 기능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general, two side impact beams installed inside each door enhance the side impact strength of the door, thereby increasing the safety in the side collision, and also the vehicl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peed (for example, 40 km). / h) or when the door lock signal is generated by the driver or the like, these side impact beams are slid left and right so that their ends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formed in each column to keep the door locked.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device and reduces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release the lock function from the outside, which greatly improves the anti-theft fun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도어가 열렸을때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긴 상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state diagram when the door is implemented,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door locked state b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이에 따르면, 앞,중간,뒷 기둥(1)-(3)사이에 설치되는 도어(4)의 외측 판넬 내부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상하부로 설치되어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이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두쌍의 가이드(6)와; According to this, inside the outer panel of the door 4 installed between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3) is install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two side impact beams (5) slide to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wo pairs of guides 6 which are movable;

상기 각쌍의 가이드(6)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4)의 측면 충돌 강화기능과 감금장치의 록킹 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과; Two side impact beams 5 installed on the pair of guides 6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to perform side collision reinforcement of the door 4 and locking function of the cage;

앞,중간,뒷 기둥(1)-(3)에 각각 형성되어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도어의 쇄정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수개의 걸림공(7)과;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7 formed at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 3, respectively, and end portions of the side impact beams 5 are selectively fitted to maintain the door lock state;

상기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이 교차하는 부위에서 그 중간 위치에 축지되어 모터(13)의 정역회전에 부응하여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모터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8)와; A link 8 which is axially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ide impact beams 5 and transfers motor power so that the side impact beams 5 are slidably moved left or right in response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3. )Wow;

상기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4)의 락상태를 검출하는 수개의 체크스위치(9)와; A plurality of check switches 9 provided at one end of the side impact beam 5 to detect a locked state of the door 4;

사용자의 조작에 부응하는 도어락 및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10)와; A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10 generating a door lock and an unlock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operation;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11)와; A traveling speed detector 11 which detects whether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상기 체크스위치(9)와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10) 및 주행속도 검출부(11)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도어(4)의 쇄/해정 제어용 모터(1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제어부(12)와; Drives the check / unlock control motor 13 of the door 4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receiv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check switch 9, the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10, and the traveling speed detector 11, respectively. A control unit 12 for making it;

축(13a) 단부가 상기 링크(8)의 중심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이 도어의 쇄정 또는 해정기능을 수행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 of the shaft 13a is fixed to the center point of the link 8 so as to be oper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 so that the side impact beam 5 can lock or unlock the doo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motor 13 for generating power to perform.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서는 앞,중간,뒷 기둥(1)-(3)사이에 설치되는 도어(4)의 외측 판넬 내부에 종래와 달리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을 2개 설치하기 위해 두쌍의 가이드(6)를 가로방향에 대해 상하부로 각각 설치하여 이들 가이드(6)상에서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이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wo pairs of side impact beams 5 are installed inside the outer panel of the door 4 installed between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 and 3, respectively. 6) are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two side impact beams 5 are slidably moved from side to side on these guides 6, respectively.

따라서, 도어(4) 자체가 두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에 의해 지지되므로 하나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이 설치된 종래 보다 측면 휨강도가 강화되어 도어의 측면에서 충돌이 일어날 경우 그 충돌 에너지가 두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으로 분산되어 측면 충돌에 따른 안전성을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door 4 itself is supported by two side impact beams 5, the side bending strength is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in which one side impact beam is installed, and the collision energy is two side impacts when a collision occurs at the side of the door. Dispersed in the beam (5) can greatly improve the safety according to the side impact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상기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이 교차하는 부위에서 그 중간 위치에는 모터(13)의 정역회전에 부응하여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사이드 임펙트 비임들을 연결시켜 주는 링크(8)를 축지 설치한다.In addition, the side impact beams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s at the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side impact beams 5 so that the side impact beams 5 may be slid left or right in response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3. The main shaft is provided with a link (8).

뿐만 아니라, 상기한 앞,중간,뒷 기둥(1)-(3)에는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의 사우 이동시 그들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도어가 쇄정상태를 유지도록 하기 위한 수개의 걸림공(7)을 각각 천공시켜 주고, 각각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 자유단부에는 도어(4)가 쇄정상태인지 해정상태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기 위한 수개의 체크스위치(9)를 각각 설치한다.In addition,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3) has several locking holes (7) for the end of the side impact beam (5) to move their ends selectively fitted so as to keep the door locked Each of the side impact beams (5) free e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eck switches (9)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4) is in the locked state or unlocked state by an electrical signal.

물론, 제어부(1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이 도어의 쇄정 또는 해정기능을 수행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의 축(13a) 단부는 상기 링크(8)의 중심점에 고정시킨 상태로 도어 내측에 설치한다.Of course, the end of the shaft 13a of the motor 13 that is oper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 to generate power to perform the door locking or unlocking function of the door It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center point of the link (8).

또한,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10)와 주행속도 검출부(11) 및 제어부(12)는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고 기존의 자동차들에 설치되어 있는 것들은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제어부(12)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새로이 업그레이드 해야만 된다.In addition, the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10, the traveling speed detector 11, and the controller 12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r may be used in existing vehicles, but may be stored in the controller 12. The control program being upgraded must be upgraded.

한편, 운전자등이 자동차의 키 또는 원격시동 제어기와 같은 무선제어기 등을 이용하여 도어의 쇄정 또는 해정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면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10)에서 이를 입력받아 제어부(12)에 전달하게 돤다.On the other hand, when a driver or the like generates a signal for locking or unlocking a door using a key of a car or a wireless controller such as a remote start controller, the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10 receives the input to the control unit 12. I've got to deliver.

따라서, 상기 제어부(12)에서는 통상시 체크스위치(9)와 쇄/해정신호 발생부(10) 및 주행속도 검출부(11)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도어(4)의 쇄/해정 제어용 모터(1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줄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2 receives the output signals of the check switch 9, the lock / release signal generator 10, and the traveling speed detector 11, respectively, and normally, the lock / release control motor of the door 4 ( It is decided whether to drive 13)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상기 제어부(12)에서 검출한 결과 체크스위치(9)가 "오프"인 상태에서 운전자로부터 쇄정신호가 입력되었거나, 자동차의 주행중 주행속도 검출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정해진 속도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13)에 정방향신호를 출력시켜 링크(8)를 도 2 및 도 4의 실선과 같이 우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므로 상하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이 각각 가이드(6)상에서 좌우측으로 이동하여 그의 단부들이 각각 앞,중간,뒷 기둥(1)-(3)에 천공된 걸림공(7)들에 끼워져 걸려지게 된다.As a result of the detection by the control unit 12, the determin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driver while the check switch 9 is "off", or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nput through the driving speed detecting unit 11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this case, the forward signal is output to the motor 13 so that the link 8 is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as shown in the solid lines of FIGS. 2 and 4,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 impact beams 5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guide 6 from side to side. It is moved so that its ends are fitted into the engaging holes 7 perforated in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3), respectively.

따라서, 자동차의 도어들은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이도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에 의해 잠겨지게 되므로 외부에서 강제로 도어를 열수 없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도구를 이용해서도 열 수 없어 도난 방지기능이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Therefore, since the doors of the car are locked by the side impact beams 5 without a separate locking device, not only can the door be forcibly opened from the outside but can also be opened using any tool,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nti-theft function. will be.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도어(4)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의 단부가 앞,중간,뒷 기둥(1)-(3)에 형성된 걸림공(7)에 끼워져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의 측면에 충돌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충돌 에너지가 상기한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은 물론이거니와 이들을 통해 차체 전체에 분산되므로 도어와 기둥들의 변형이 적게 일어나게 되어 인체 상해치를 그 만큼 대폭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도가 그 만큼 증대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nds of the side impact beams 5 installed in the door 4 as described above are fitted into the engaging holes 7 formed in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 3,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side of the door, the collision energy is distributed not only to the side impact beams (5) described above, but also throughout the vehicle body, so that deformation of the doors and pillars is less likely to significantly reduce the human injury. Therefore, the safety is increased by that much.

물론, 전술에서 체크스위치(9)의 상태를 검출한 결과 "온"상태에 있으면 이미 도어(4)가 사이드 임펙트 비임(5)에 의해 쇄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어부(12)에서 이를 인식하고 운전자로부터 쇄정신호가 입력되었거나,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정해진 속도이상인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모터(13)를 정방향으로 다시 구동시키지는 않는다.Of course, when the state of the check switch 9 is detected as described above, the door 4 is already locked by the side impact beam 5 and the controller 12 recognizes this from the driver. Even if the lock signal is input or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the motor 13 is not driven again in the forward direction.

한편, 상기 제어부(12)에서 체크스위치(9)를 검출한 결과 "온"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운전자로부터 해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13)에 역방향신호를 출력시켜 링크(8)를 도 3 및 도 4의 가상선과 같이 좌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므로 상하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이 각각 가이드(6)상에서 우좌측으로 이동하여 그의 단부들이 각각 앞,중간,뒷 기둥(1)-(3)에 천공된 걸림공(7)으로 부터 이격되어 도어는 자유롭게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lease signal is input from the driver while the control switch 12 detects the check switch 9 and maintains the " on " state, a reverse signal is output to the motor 13 to drive the link 8. 3 and 4, the upper and lower side impact beams 5 are mov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guide 6, respectively, so that their ends are moved forward, middle, and rear pillars 1, -3. The door is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hole 7 perforated).

물론, 이 역시에도 상기 제어부(12)에서 체크스위치(9)의 상태를 검출한 결과 "오프"상태에 있으면 이미 도어(4)가 사이드 임펙트 비임(5)로부터 해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제어부(12)에서 이를 인식하고 운전자로부터 쇄정신호가 입력되어도 상기 모터(13)를 역방향으로 다시 구동시키지는 않는다.Of course, if the control unit 12 also detects the state of the check switch 9 and is in the " off " state, the door 12 is already in the unlocked state from the side impact beam 5, so that the control unit 12 Recognizing this and receiving a locking signal from the driver does not drive the motor 13 again in the reverse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내부에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도어 잠금장치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도어의 측면 충돌강도가 증대되므로 측면 충돌시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인체의 상해정도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자동차가 소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거나 운전자 등에 의해 도어락 신호가 발생되었을시에는 이들 사이드 임펙트 비임들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그의 단부들이 각각의 기둥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워져 도어를 쇄정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 별도의 도어 잠금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부에서의 잠금기능 해제가 불가능하여 도난방지 기능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side impact beams are slidably installed in the door so that the door locking device can be parallel, thereby increasing the side impact strength of the door, thereby increasing safety during side impac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injury of the human body, and also, when the car is traveling at a predetermined speed or when a door lock signal is generated by the driver, these side impact beams are slid left and right, and the end portions of each pillar are jammed. As it is inserted into the ball and keeps the door in the locked stat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oor lock device, which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and it is impossible to release the lock function from the outside,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anti-theft function. It is a very useful design.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3기둥과 사이드 임펙트 비임 및 도어 잠금 상태를 보인 도어의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or showing a three-pillar and a side impact beam and a door locking state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장치가 실시된 도어가 열렸을때의 상태도.Figure 3 is a state diagram when the door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is implemented.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긴 상태의 구성도.Figure 4 is a configuration of the door lock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3 : 기둥 4 : 도어1-3: pillar 4: door

5 : 사이드 임펙트 비임 6 : 가이드5: side impact beam 6: guide

7 : 걸림공 8 : 링크7: hook hole 8: link

9 : 체크스위치 10 :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9: check switch 10: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11 : 주행속도 검출부 12 : 제어부11: traveling speed detection unit 12: control unit

13 : 모터13: motor

Claims (1)

앞,중간,뒷 기둥(1)-(3)사이에 설치되는 도어(4)의 외측 판넬 내부에서 가로방향에 대해 상하부로 설치되어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이 각각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두쌍의 가이드(6)와; Inside the outer panel of the door 4,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3), it is installed up an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two side impact beams (5) can be slid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wo pairs of guides 6; 상기 각쌍의 가이드(6)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4)의 측면 충돌 강화기능과 감금장치의 록킹 기능을 수행하는 2개의 사이드 임펙트 비임(5)과; Two side impact beams 5 installed on the pair of guides 6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to perform side collision reinforcement of the door 4 and locking function of the cage; 앞,중간,뒷 기둥(1)-(3)에 각각 형성되어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도어의 쇄정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수개의 걸림공(7)과;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7 formed at the front, middle, and rear pillars 1, 3, respectively, and end portions of the side impact beams 5 are selectively fitted to maintain the door lock state; 상기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이 교차하는 부위에서 그 중간 위치에 축지되어 모터(13)의 정역회전에 부응하여 사이드 임펙트 비임(5)들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모터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8)와; A link 8 which is axially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ide impact beams 5 and transfers motor power so that the side impact beams 5 are slidably moved left or right in response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13. )Wow; 상기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4)의 락상태를 검출하는 수개의 체크스위치(9)와; A plurality of check switches 9 provided at one end of the side impact beam 5 to detect a locked state of the door 4; 사용자의 조작에 부응하는 도어락 및 언락신호를 발생시키는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10)와; A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10 generating a door lock and an unlock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operation;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주행속도 검출부(11)와; A traveling speed detector 11 which detects whether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상기 체크스위치(9)와 도어 쇄/해정신호 발생부(10) 및 주행속도 검출부(11)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도어(4)의 쇄/해정 제어용 모터(1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는 제어부(12)와; Drives the check / unlock control motor 13 of the door 4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receiv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check switch 9, the door lock / unlock signal generator 10, and the traveling speed detector 11, respectively. A control unit 12 for making it; 축(13a) 단부가 상기 링크(8)의 중심점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2)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사이드 임펙트 비임(5)이 도어의 쇄정 또는 해정기능을 수행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임펙트 비임을 이용한 도어 잠금장치.The end of the shaft 13a is fixed to the center point of the link 8 so as to be oper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 unit 12 so that the side impact beam 5 can lock or unlock the door. Door locking device using a side impact bea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otor (13) for generating power to perform.
KR10-2003-0061123A 2003-09-02 2003-09-02 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KR1004885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123A KR100488507B1 (en) 2003-09-02 2003-09-02 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123A KR100488507B1 (en) 2003-09-02 2003-09-02 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734A KR20050023734A (en) 2005-03-10
KR100488507B1 true KR100488507B1 (en) 2005-05-11

Family

ID=3723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123A KR100488507B1 (en) 2003-09-02 2003-09-02 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50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734A (en)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617B1 (en) Collision sensing apparatus
US20070228748A1 (en) Supplemental side impact protec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00264153A (en) Side part structure of automobile
CN105966468B (en) A kind of sill strip and the automobile including the sill strip
EP1398438B1 (en) Door unlock control system
JP2007315069A (en) Vehicular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KR100488507B1 (en) Device for Locking a Door Using a Side Impact Beam
US20070095595A1 (en) Anti-squeeze method utilizing airbag information
GB2266075A (en)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JP4694293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sliding door
JP4957610B2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H05345555A (en) Air bag device for automobile
CN217602374U (en) Door locking system and vehicle
KR100828804B1 (en) Hook structure for preventing door being pushed in vehicle
KR20220153334A (en) External air bag for vehicle
KR100270884B1 (en) Engine and Door Control System in Vehicle Crash
KR100315360B1 (en) Stopper of a seat for coping with side impact in a motor vehicle
KR100226976B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an automobile's door
KR100494787B1 (en) Apparatus for descending window glass on occuring automobile crash
KR100962226B1 (en) A door of buses
KR100208817B1 (en) Door impact beam
KR19980045838A (en) Device for controlling unlock of vehicle door and its method
KR19980058558U (en) Seat shifter in vehicle impact
CN115234105A (en) Door system for a vehicle, correspond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KR0165784B1 (en) Unlock device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