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752B1 - 진동흡수용 장갑 - Google Patents

진동흡수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752B1
KR100487752B1 KR10-2003-0034149A KR20030034149A KR100487752B1 KR 100487752 B1 KR100487752 B1 KR 100487752B1 KR 20030034149 A KR20030034149 A KR 20030034149A KR 100487752 B1 KR100487752 B1 KR 10048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layer
fabric layer
palm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627A (ko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to KR10-2003-003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752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3Protective gloves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흡수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공구 등을 이용한 작업시 전달되는 충격이 효과적으로 흡수 내지는 분산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손바닥을 통해 충격에너지가 신체 각 부위에 미침으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토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피(1)와 외피(2)로 이루어지며 손바닥부(3)와 함께 다수의 손가락부(4)가 형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 손바닥부(3)의 내피(1)와 외피(2) 사이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수지필름층(10)과; 상기 수지필름층(10)과 면접착되어진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에 다수개가 엠보싱 형상으로 구비되어지는 연성재질의 수지엠보싱(30); 및 고강도 섬유가 단방향으로 직조되어져 있으며, 직조된 섬유 양면에는 불투수성의 수지필름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원단(41)이 10겹 이상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구비되어진 방탄원단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흡수용 장갑{A GLOVE FOR VIBRATION ABSORB}
본 발명은 작업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공구를 이용한 굴착 등의 진동을 유발하는 작업시 공구로 부터 발생된 충격력이 작업자의 손바닥에 전달되는것을 흡수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위한 진동흡수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갑은 섬유재로 이루어진 목장갑과, 특수한 작업환경에 따라 그에 적합한 용도로 제작되어진 기능성 장갑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파쇄작업이나 굴착작업, 그라인딩작업 또는 햄머작업을 할 때 발생되는 심한 충격과 진동은 작업용 장갑을 끼고있다 하더라도 손바닥을 거쳐 작업자의 손목과 팔꿈치 및 어깨까지 그리고 심한 경우에는 뇌에까지 전달되어 좋지 않은 악영향을 끼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누적될수록 관절염이나 연골노쇠증, 근육무기력증 또는 뇌세포의 손상으로 인한 뇌질병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과 충격이 심하게 발생되는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장갑의 안쪽(손바닥쪽)에 한두겹의 포지나 가죽을 덧대어 재봉하거나 한 번에 두켤레의 장갑을 끼는 방법으로서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자구책으로 삼고 있는 실정인 바, 이는 그 효과가 매우 미미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불량하여 작업시 불편하고 감각이 무디어지며 외관상 좋지 못한 등의 문제가 있어 보다 근원적인 해결책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전달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는 기능의 방진구조가 수용된 장갑을 제공함으로서 외부충격이 신체에 전달되어짐으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내피와 외피로 이루어지며 손바닥부와 함께 다수의 손가락부가 형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 손바닥부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수지필름층과; 상기 수지필름층과 면접착되어진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에 다수개가 엠보싱 형상으로 구비되어지는 연성재질의 실리콘; 및 고강도 섬유가 단방향으로 직조되어져 있으며, 직조된 섬유 양면에는 불투수성의 수지필름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원단이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구비되어진 방탄원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용 장갑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용 장갑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방수성의 멤브레인으로 라미네이팅 처리가 이루어진 내피(1)와 외피(2)로 제작되어져 손바닥부(3)와 함께선단측에는 다수의 손가락부(4)를 형성하고 있으며, 손바닥부(3)에는 재봉부(5)가 손금형상으로 형성되어져 구획이 이루어져 있다.
특히, 손바닥부(3) 및 손가락부(4)에는 내피(1)와 외피(2) 사이에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층이 구성되어져 있는데,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격흡수를 위한 AIR LOCK층과, 흡수된 충격에너지의 분산을 위한 UD(Uni-Direction) SHIELD층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AIR LOCK층은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플론계(系) 수지(樹脂)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한 작은 구멍을 뚫은 아주 엷은 막을 지칭하는 것으로, 수지필름층(10)과 부직포층(20)이 면접착되어진 가운데, 상기 부직포층(20)에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의 수지엠보싱(30)이 다수개로 구비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UD SHIELD는 고강도 섬유(High-Density Polyethylene 또는 Para-Aramid Filament Yarn 등)가 단방향으로 직조되어진 것으로서, 직조된 섬유 양면에는 불투수성의 수지필름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원단(41)이다. 이러한 원단은 방탄용 원단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통상 12겹 정도는 공기총의 총알을 방어할 수 있고, 24겹 이상에서는 일반 권총의 총알을 방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서 목적인 충격 분산을 위해서는 10겹 이상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방탄원단층(40)을 적층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 원단(41)의 단방향 섬유의 방향(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이 교번하도록 적층 구비하게 된다.
이와같이 적층이 이루어지면 도 3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돌출된 수지엠보싱(30)에 의해 중간에 공기층(35)이 확보되어지게 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적층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지필름층(10)과 부직포층(20) 그리고 수지엠보싱(3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GORE-TEX를 방탄원단층(40,40')의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서 효과적인 진동흡수작용을 얻을 수도 있게된다.
한편, 층상구조를 이루고 있는 방진층은 재봉부(5)에 의해 구획되어지게 되고, 재봉부(5)를 따라서는 방진층이 구비되지 않게 됨으로서 장갑을 낀 상태에서 손을 오므리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은 손목부위를 조여주기 위한 조임끈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 장갑에 충격이 전달되어짐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갑을 손에 착용하고 파쇄작업이나 굴착작업, 그라인딩작업 또는 햄머작업을 하게될 경우, 작업시 작업공구로 부터 발생되는 심한 충격과 진동은 공구와 직접 접촉되어져 있는 장갑의 손바닥부(3) 및 손가락부(4)를 통해 전달되어진다.
이때, 전달된 충격에너지는 장갑의 손바닥부(3) 및 손가락부(4)에서는 외피(2)내부에 구비되어져 있는 수지필름층(10)과 부직포층(20) 및 연성 수지엠보싱(30)에 의해 형성되어져 있는 공기층(35)에서 1차적인 흡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여기서 일부 흡수되어진 충격에너지는 계속적으로 고강도의 섬유가 단방향으로 직조되어져 있는 방탄원단층(40)으로 전달되어 각 적층 원단(41)에서 분산되어 소멸되게 된다.
즉, 외부로 부터 전달된 충격력은 수지필름층(10)과 부직포층(20)을 통해 전달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전달된 충격 에너지는 소정 이격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공기층(35)에 의해 부직포층(20)과 방탄원단층(40)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게 않게 됨으로서 방탄원단층(40)으로 진동의 직접적인 전달이 방지되어진다.
이에따라, 이때에 공기층(35) 및 연성재질의 수지엠보싱(3)에서 충격의 흡수가 이루어지게 되며, 엠보 돌출이 이루어진 수지엠보싱(30)을 통해 전달되어지는 일부 충격력은 적층 구비된 각 방탄원단(41)을 이루는 고강도 섬유의 각 층 배열방향을 따라 각기 분산되어지게 됨으로서 전달되어진 충격에너지가 소멸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작업자의 손에는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됨으로서, 종래 충격력 전달로 인한 손목과 팔꿈치 및 어깨에 미치는 악영향이 방지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충격성 기능과 함께 장갑의 손바닥부(3)에는 재봉부(5)가 일반적인 손금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손을 오므리거나 피는 동작이 무리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에따라 공구 등을 파지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진동흡수 장갑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손가락이 일부 노출되어지는 반손가락 장갑을 예를들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진동흡수 구조는 일반 손가락 장갑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흡수장갑을 착용하기에 앞서 내측에 별도의 내충격성 장갑을 착용할 경우 진동에 따라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의 저감력을 한층 극대화시킬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진동흡수 장갑은, 다수의 층상구조를 이루는 방진층을 장갑의 손바닥부 및 손가락부에 적용한 것으로서, 작업공구 등을 이용한 작업시 전달되는 충격이 흡수 내지는 분산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서 손바닥을 통해 충격에너지가 신체 각 부위에 미침으로 인한 악영향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방탄의 용도로 이용되는 방탄원단을 이용하여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서 한층 효과적인 충격전달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진동흡수용 장갑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부를 절개한 층상 구조도.
도 3은 도 2의 B-B'부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장갑에서의 충격에너지 흡수단계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피 2 : 외피
3 : 손바닥부 4 : 손가락부
5 : 제봉부 10 : 수지필름층
20 : 부직포층 30 : 수지엠보싱
35 : 공기층 40 : 방탄원단층
41 : 방탄원단

Claims (3)

  1. 내피(1)와 외피(2)로 이루어지며 손바닥부(3)와 함께 다수의 손가락부(4)가 형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 손바닥부(3) 및 손가락부(4)의 내피(1)와 외피(2) 사이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수지필름층(10)과;
    상기 수지필름층(10)과 면접착되어진 부직포층(20);
    상기 부직포층(20)에 다수개가 엠보싱 형상으로 구비되어지는 연성재질의 수지엠보싱(30); 및
    고강도 섬유가 단방향으로 직조되어져 있으며, 직조된 섬유 양면에는 불투수성의 수지필름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원단(41)이 10겹 이상 다수의 층을 이루도록 구비되어진 방탄원단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용 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20)과 방탄원단층(40) 사이에는 수지엠보싱(30)의 돌출형상으로 인한 공기층(35)이 확보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용 장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부(3)에는 재봉부(5)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재봉부(5)는 인체의 손금의 형상을 따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흡수용 장갑.
KR10-2003-0034149A 2003-05-28 2003-05-28 진동흡수용 장갑 KR100487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149A KR100487752B1 (ko) 2003-05-28 2003-05-28 진동흡수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149A KR100487752B1 (ko) 2003-05-28 2003-05-28 진동흡수용 장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807U Division KR200323439Y1 (ko) 2003-05-29 2003-05-29 진동흡수용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627A KR20040102627A (ko) 2004-12-08
KR100487752B1 true KR100487752B1 (ko) 2005-05-11

Family

ID=3737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149A KR100487752B1 (ko) 2003-05-28 2003-05-28 진동흡수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923A3 (en) * 2009-09-10 2011-08-18 Dassler Alfred K Cycling glove support area
US10104924B2 (en) 2009-09-10 2018-10-23 Alfred K. Dassler Cycling glove and support area pad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1923A3 (en) * 2009-09-10 2011-08-18 Dassler Alfred K Cycling glove support area
US8065750B2 (en) 2009-09-10 2011-11-29 Dassler Alfred K Cycling glove support area
EP2475273A2 (en) * 2009-09-10 2012-07-18 Dassler, Alfred K. Cycling glove support area
EP2475273A4 (en) * 2009-09-10 2013-08-28 Dassler Alfred K GLOVE WITH HANDWARE SUPPORT AREA
US10104924B2 (en) 2009-09-10 2018-10-23 Alfred K. Dassler Cycling glove and support area p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627A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3880A1 (en) Protective Garments
US20160135520A1 (en) Glove
TW201418538A (zh) 衝擊消散織物系統及其製備方法
KR200396231Y1 (ko) 안전장갑
KR101014877B1 (ko) 다중 내열 방수 장갑
US20160037839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cbrn or other protection19381np
CA3055599C (en) Impact mitigating membrane
KR101891123B1 (ko) 손가락 및 손등 보호 기능과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작업용 안전장갑
KR100908071B1 (ko) 내열 방수 장갑
KR100487752B1 (ko) 진동흡수용 장갑
KR20200009032A (ko) 보호용 의복
KR200323439Y1 (ko) 진동흡수용 장갑
CN208354690U (zh) 一种防护手套
KR20160109928A (ko) 방검복
KR200435596Y1 (ko) 방검 및 내화용 안전장갑
JP2019137930A (ja) 防護服及び保護体
KR101030399B1 (ko) 통풍성이 우수한 용접복
JP2005194677A (ja) 防刃チョッキ
KR101368415B1 (ko)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CN217658303U (zh) 一种防护手套
KR101821614B1 (ko) 용접 작업용 기능성 장갑
KR200386505Y1 (ko) 면장갑
JP3202983U (ja) 作業用手袋
JP2004244741A (ja) チェーンソー用耐切創衣服
CN212139498U (zh) 一种防刺防砍的医用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