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556B1 -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556B1
KR100486556B1 KR10-1999-0039390A KR19990039390A KR100486556B1 KR 100486556 B1 KR100486556 B1 KR 100486556B1 KR 19990039390 A KR19990039390 A KR 19990039390A KR 100486556 B1 KR100486556 B1 KR 100486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coupl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589A (ko
Inventor
권길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5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의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반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힌지지지부를 구비하여 박형의 영상표시기기의 후면에 고정결합되는 힌지브래킷과; 양 단이 상기 힌지지지부에 고정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마찰접촉되어 상대회전되게 결합되는 회동저항부재를 구비한 힌지어셈블리와; 일측이 상기 회동축의 양 단이 돌출되게 상기 힌지어셈블리가 수용결합되는 힌지수용공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지지부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대와; 일측에 상기 제1지지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탁상면, 벽면 및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박형의 영상표시기기를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격에 기인하여 영상표시기기가 불시에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PANEL TYP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형의 영상표시기기를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격에 기인하여 영상표시기기가 불시에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에는 주로 음극선관 등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음극선관은 화상이 투사되는 패널과, 패널의 배후에 결합되는 펀넬과, 펀넬의 후단에 결합되는 전자총 등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영상표시면으로부터의 두께 치수가 크게 될 뿐만 아니라, 음극선관을 둘러싸는 케이싱의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음극선관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소위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라고 하는 액정표시기기 및 소위 피디피(Plasma Display Panel)라고 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박형의 영상표시기기가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는, 주로 테이블 또는 책상 등과 같은 구조물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접촉지지부(105)와, 접촉지지부(105)의 일측에 기립배치되는 기립부(107)와, 기립부(107)와 영상표시기기(101)사이에 개재되어 기립부(107)에 대해 영상표시기기(101)를 회동지지하는 힌지부재(109)를 가진다.
힌지부재(109)의 일단에는 기립부(107)에 스크류(11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스크류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축심을 따라 힌지핀(115)을 수용할 수 있도록 힌지핀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다. 영상표시기기(101)의 후면에는 설치면에 대해 힌지핀(115)을 평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힌지핀지지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영상표시기기(101)에 대해 힌지결합된 힌지부재(109)를 기립부(107)의 상부영역에 스크류(111)로 일체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설치하기위해서는 기립부(107)로부터 영상표시기기(101)를 분리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설치장소에 적합한 별도의 고정구가 소요되는 등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사용기간이 경과될 경우 힌지부재(109)의 마모에 기인하여 영상표시기기(101)가 불시에 회동되어 시야각이 변하게 되어 사용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의 영상표시기기를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유격에 기인하여 영상표시기기가 불시에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반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힌지지지부를 구비하여 박형의 영상표시기기의 후면에 고정결합되는 힌지브래킷과; 양 단이 상기 힌지지지부에 고정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마찰접촉되어 상대회전되게 결합되는 회동저항부재를 구비한 힌지어셈블리와; 일측이 상기 회동축의 양 단이 돌출되게 상기 힌지어셈블리가 수용결합되는 힌지수용공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지지부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대와; 일측에 상기 제1지지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탁상면, 벽면 및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저항부재는, 상기 회동축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마찰접촉되는 제1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스프링부재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마찰접촉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에 대해 상기 지지대와 일체로 회동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를 구비한 제2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하단에 하향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설치면으로부터 상기 영상표시기기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제1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홀더와, 탁상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와, 일측에는 상기 지지홀더가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구비한 탁상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제1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홀더와, 일면은 상기 지지홀더가 결합되고 다른 일면은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을 구비한 벽걸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지지대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와,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대수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지지바를 구비한 플로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시디모듈과 같은 박형의 영상표시유니트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1)의 후면에는 영상표시기기(1)를 설치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장치(10)가 결합되어 있다. 본 지지장치(10)는, 영상표시기기(1)의 후면에 고정결합되는 힌지브래킷(11)과, 힌지브래킷(11)에 고정지지되는 힌지어셈블리(18)와, 일단이 힌지어셈블리(18)에 결합되고 타단은 설치면에 접촉되어 영상표시기기(1)를 설치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하는 제1지지대(29)와, 영상표시기기(1)의 하단 양측에 하향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영상표시기기(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부재(32)를 가진다.
힌지브래킷(11)은 거의 원반형상을 가지고 영상표시기기(1)의 배면에 스크류체결되는 고정부(13)와, 고정부(13)로부터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힌지어셈블리(18)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힌지지지부(15)를 가진다. 고정부(13)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스크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힌지지지부(15)에는 힌지어셈블리(18)의 양단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공(17)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어셈블리(18)는 양단에 수나사부(20)가 형성된 회동축(19)과, 회동축(19)의 둘레영역에 마찰접촉되도록 결합되어 회동축(19)에 대해 상대회동하는 회동저항부재(23)와, 각 수나사부(20)에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27)를 가진다. 회동축(19)의 양단에는 힌지지지부(15)의 힌지결합공(17)내 면취영역내에 수용결합되어 힌지지지부(15)에 대해 회동억제될 수 있도록 면취부(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회동저항부재(23)는 절취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회동축(19)의 둘레영역에 마찰접촉되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스프링부재(24)와, 제1스프링부재(24)의 둘레영역에 제1스프링부재(24)에 대해 마찰접촉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스프링부재(25)를 가진다. 각 제2스프링부재(25)의 축선방향을 따라 절취된 일단에는 회동축(19)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걸림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지지대(29)는 힌지어셈블리(18)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단에 형성된 힌지수용공(31)을 가지고 회동축(19)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동부(30)와, 가동부(30)의 타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나사결합되는 레그부(37)를 가진다.
가동부(30)의 자유단부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되어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수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나사부(34)의 일측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되어 후술할 지지홀더의 상대회동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회동억제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30)의 힌지수용공(31)에는 내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힌지어셈블리(18)의 걸림돌기(26)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수용홈(33)이 형성되어 있다.
레그부(37)는 일단에 설치면에 접촉되는 첨부(38)가 형성되고 타단에 가동부(30)에 대응하여 암나사부(39)가 형성된 거의 콘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힌지브래킷(11)을 영상표시기기(1)의 후면에 스크류로 체결하고, 가동부(30)와 레그부(37)가 상호 결합된 제1지지대(29)의 힌지수용공(31)이 힌지지지부(15)의 힌지결합공(17)과 상호 연통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 힌지어셈블리(18)의 걸림돌기(26)가 제1지지대(29)의 걸림돌기수용홈(33)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힌지어셈블리(18)를 축선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상호 연통된 힌지결합공(17) 및 힌지수용공(31)의 내부에 각각 수용결합되도록 한다. 힌지어셈블리(18)가 수용결합되면 힌지어셈블리(18)가 힌지지지부(1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힌지지지부(15)의 양 측으로 각각 돌출된 수나사부(20)에 고정너트(27)를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탁상지지대의 확대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지지장치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지지장치(40)는, 테이블 또는 책상 등과 같은 구조물의 상부면에 영상표시기기(1)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 탁상지지대(41)의 형태로 구현된 제2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탁상지지대(41)는, 테이블 등과 같은 구조물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43)와, 베이스부(43)의 일측으로부터 기립되도록 형성된 스탠드부(45)와, 스탠드부(45)의 상부영역에 상향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제1지지대(29)를 수용지지하는 지지홀더(47)를 가진다.
베이스부(43)는 사각판상의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스탠드부(45)를 지지하는 저판부재(48)와, 저판부재(48)의 상부 및 측연부를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부재(49)를 가지며, 저판부재(48)에는 다수의 지지핀(51)이 하향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게 판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돌기결합공(50)이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부(45)의 상부영역에는 지지홀더(47)가 스크류(58)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크류공(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홀더(47)의 일측에는 스탠드부(45)와 접촉결합될 수 있도록 스탠드결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결합부(53)내에는 스크류(58)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보스부(54)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형성되어 있다. 지지홀더(47)는 축심을 따라 제1지지대(29)를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공(55)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수용공(55)의 상부영역에는 제1지지대(29)에 형성된 회동억제돌기(35)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벽면으로부터 함몰된 돌기수용홈(5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지지핀(51)을 저판부재(48)에 결합하고 커버부재(49)를 베이스부(43)의 상측으로부터 덮어 씌우도록 결합한다음, 지지홀더(47)의 스탠드결합부(53)를 스탠드부(45)의 상부영역에 스크류(58)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책상 또는 테이블 등과 같은 구조물의 상부면에 영상표시기기(1)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베이스부(43)를 구조물의 상부면의 적당한 영역에 설치하고, 영상표시기기(1)의 후면에 결합된 제1지지대(29)의 회동억제돌기(35)가 지지홀더(47)에 형성된 돌기수용홈(57)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지지대(29)가 지지홀더(47)의 수용공(55)내에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벽걸이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60)는, 벽과 같이 기립된 설치면(62)에 영상표시기기(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벽걸이지지대(61)의 형태로 구현된 제2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벽걸이지지대(61)는, 거의 “U”단면형상을 가지고 기립설치면(62)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63)과, 축심을 따라 형성된 수용공(65)을 가지고 고정브래킷(63)에 고정되어 제1지지대(29)를 수용지지하는 지지홀더(64)를 가진다.
고정브래킷(63)은 지지홀더(64)를 기립설치면(62)으로부터 소정 이격되게 지지하는 홀더지지부(67)와, 홀더지지부(67)의 양 측으로부터 절곡형성되어 기립설치면(62)에 접촉되는 고정부(69)를 가진다. 홀더지지부(67) 및 고정부(69)에는 스크류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68,7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홀더(64)의 내부에는 제1지지대(29)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영역에는 회동억제돌기(35)와 결합되어 제1지지대(29)를 회동억제시킬 수 있도록 돌기수용홈(66)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홀더(64)의 외부일측에는 홀더지지부(67)와 면접촉되어 스크류(73)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브래킷체결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래킷체결부(71)에는 스크류(7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보스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를 기립설치면(62)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지지홀더(64)와 고정브래킷(63)을 스크류(64)로 상호 체결되도록하고, 고정브래킷(63)을 못 또는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기립설치면(62)의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시킨다. 다음, 영상표시기기(1)의 후면에 결합된 제1지지대(29)를 지지홀더(64)의 수용공(65)내에 수용되도록 결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80)는, 설치바닥면으로부터 영상표시기기(1)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플로어지지대(81)의 형태로 구현된 제2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로어지지대(81)는, 설치바닥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83)와, 베이스부(83)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어 기립배치되며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픽바아 형상의 상부지지바(85) 및 하부지지바(86)를 가진다.
베이스부(83)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부중앙영역에는 하부지지아바아(86)의 일단이 수용결합되어 있다. 하부지지바(86)의 상부영역에는 상부지지바(85)가 수용결합되어 있으며, 하부지지바(86)의 상부영역에는 하부지지바(86)에 대해 상부지지바(85)를 신축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링부재(87)가 결합되어 있다.
상부지지바(85)의 상부영역에는 제1지지대(29)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지대수용부(88)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수용부(88)에는 제1지지대(29)에 형성된 회동억제돌기(35)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기수용홈(89)이 함몰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를 거실 또는 실외의 바닥면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대수용부(88)에 형성된 돌기수용홈(89)에 제1지지대(29)에 형성된 회동억제돌기(35)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지지대(29)를 삽입결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탁상면, 벽면 및 바닥면 등 다양한 설치장소에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축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마찰접촉되어 상대회전하는 회동저항부재를 구비한 힌지어셈블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기간이 경과되어도 박형 영상표시기기가 불시에 회동되어 시야각이 변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아니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탁상지지대의 확대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벽걸이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영상표시기기 11 : 힌지브래킷
18 : 힌지어셈블리 19 : 회동축
20 : 수나사부 27 : 고정너트
29 : 제1지지대 32 : 지지돌기부재
41 : 탁상지지대 43 : 베이스부
45 : 스탠드부 47,64 : 지지홀더
61 : 벽걸이지지대 63 : 고정브래킷
81 : 플로어지지대 83 : 베이스부85 : 상부지지바 86 : 하부지지바
삭제

Claims (7)

  1. 원반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배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힌지지지부를 구비하여 박형의 영상표시기기의 후면에 고정결합되는 힌지브래킷과;
    양 단이 상기 힌지지지부에 고정결합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마찰접촉되어 상대회전되게 결합되는 회동저항부재를 구비한 힌지어셈블리와;
    일측이 상기 회동축의 양 단이 돌출되게 상기 힌지어셈블리가 수용결합되는 힌지수용공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지지부에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대와;
    일측에 상기 제1지지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탁상면, 벽면 및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상기 제1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저항부재는, 상기 회동축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마찰접촉되는 제1스프링부재와, 상기 제1스프링부재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마찰접촉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축에 대해 상기 지지대와 일체로 회동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를 구비한 제2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하단에 하향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설치면으로부터 상기 영상표시기기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돌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제1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홀더와, 탁상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와, 일측에는 상기 지지홀더가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스탠드부를 구비한 탁상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제1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홀더와, 일면은 상기 지지홀더가 결합되고 다른 일면은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브래킷을 구비한 벽걸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는, 바닥면에 접촉되는 베이스부와,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대가 삽입되는 지지대수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지지바를 구비한 플로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7. 삭제
KR10-1999-0039390A 1999-09-14 1999-09-14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KR100486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390A KR100486556B1 (ko) 1999-09-14 1999-09-14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390A KR100486556B1 (ko) 1999-09-14 1999-09-14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589A KR20010027589A (ko) 2001-04-06
KR100486556B1 true KR100486556B1 (ko) 2005-05-03

Family

ID=1961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390A KR100486556B1 (ko) 1999-09-14 1999-09-14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088B1 (ko) * 2000-09-26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KR100463524B1 (ko) * 2002-05-29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KR101603568B1 (ko) * 2014-10-10 2016-03-15 박주효 충격 흡수겸용 지주 및 그것을 구비한 난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032U (ko) * 1994-09-14 1996-04-17 평판표시소자의 지지장치
US5638579A (en) * 1996-09-05 1997-06-17 Tenney; Kenneth B. Friction tilt mechanism
KR19990018422U (ko) * 1997-11-11 1999-06-05 윤종용 다각도 회전이 가능한 평판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03924U (ko) * 1998-07-30 2000-02-25 구자홍 평판 영상 표시 기기의 받침 장치
KR200180209Y1 (ko) * 1997-09-11 2000-05-01 구자홍 평판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032U (ko) * 1994-09-14 1996-04-17 평판표시소자의 지지장치
US5638579A (en) * 1996-09-05 1997-06-17 Tenney; Kenneth B. Friction tilt mechanism
KR200180209Y1 (ko) * 1997-09-11 2000-05-01 구자홍 평판 영상표시기기의 경사 조절장치
KR19990018422U (ko) * 1997-11-11 1999-06-05 윤종용 다각도 회전이 가능한 평판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03924U (ko) * 1998-07-30 2000-02-25 구자홍 평판 영상 표시 기기의 받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589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735A (en) Device for tiltably supporting a LCD
US6499704B2 (en) Polestand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s
US8066245B2 (en) Stability support TV anti-tip device
KR950005926Y1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US6532628B2 (en) Hinge assembly for LCD monitor
JP2004522920A (ja) 平面型液晶表示画面用の支持装置
US20080011927A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US3559942A (en) Article mounting means
KR2003006408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전자기기용 결합장치
US20070295878A1 (en) Secure link bracket assembly
KR100486556B1 (ko)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지지장치
KR102103869B1 (ko) 높이 가변형 tv 스탠드
JP2006209043A (ja) 薄型テレビ装置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JP2007123347A (ja) 電子機器の支持具
KR200319602Y1 (ko) 피디피 티브이용 거치대
JP2002215053A (ja) 平面型表示装置の据付装置
KR20020031760A (ko) 영상표시기기의 위치조정장치
CN216408667U (zh) 一种落地灯
KR20000014401U (ko) 벽걸이 겸용형 피디피 티브이 거치대
KR200488020Y1 (ko) 낚시용 다용도 받침대
KR100686766B1 (ko) 월 마운트 장치
JP2012100112A (ja) 表示装置の支持構造
KR200359098Y1 (ko) 모니터 거치대
JP2560555Y2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