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555B1 -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555B1
KR100486555B1 KR10-2003-0042220A KR20030042220A KR100486555B1 KR 100486555 B1 KR100486555 B1 KR 100486555B1 KR 20030042220 A KR20030042220 A KR 20030042220A KR 100486555 B1 KR100486555 B1 KR 100486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ound wave
speaker
wave transmissio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1872A (ko
Inventor
이충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5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싱 내부에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원활한 음파 전달을 위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에까지 음파 전달 경로를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음파 전달공과; 상기 음파 전달공 주위의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싱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주머니에 넣거나 가방에 휴대하는 경우에 음파 전달공이 옷, 가방, 책 등의 장애물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 음파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SPEAKER APPARATUS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 음파를 전달하는 경우에 주위의 장애물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음파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보다 개선된 높은 음질을 갖는 벨소리를 찾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고,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른 멀티미디어 등의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음질을 개선한 스피커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높은 음질을 효과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수화부에 장착된 음성 통신 기능용 스피커와 높은 음질을 갖는 음악용 스피커로 나뉘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음악용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수신 벨소리로 활용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바(bar)형,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하에서는 최근 가장 널리 보급된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와, 그 일측에 힌지 기구(30)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더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그 상면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11)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싱(12)과, 본체 케이싱(12)의 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13)와, 통화시 음성을 송신하는 송화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폴더부(20)는 키패드(11)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시지 수신 내용이 숫자나 문자 등으로 표시되는 액정 화면(21)과, 액정 화면(21)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부 케이싱(22)과, 장식을 위하여 폴더부 케이싱(22)의 상면에 형성된 데코부(25)와, 통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부터 변환하여 음성용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수신하는 수화부(23)와, 전기적 신호를 높은 음질을 갖는 음파로 전환시켜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 스피커(30)를 구비한다.
여기서, 폴더부(20)의 폴더부 케이싱(22) 내에 내장된 상기 외부 스피커(30)로부터의 음파가 외부로 원활히 전달되기 위하여 외부 스피커(30)로부터 외부에 이르는 음파 전달 경로상에 위치한 폴더부 케이싱(22)과 데코부(25)에는 각각 음파 전달공(31,32)이 형성되어, 외부 스피커(30)로부터의 음파가 외부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커 장치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부 케이싱(22)과 데코부(25)에 음파 전달공(31,32)을 구비하여 폴더부 케이싱(22)에 내장된 외부 스피커(3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에까지 원활히 음파가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만 그 음파의 전달 효과가 확보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주머니나 가방에 휴대용 단말기를 가지고 다니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음파 전달공(31,32)이 헝겁이나 책 등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외부 스피커(30)로부터의 음파가 사용자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의 음파 전달이 방해되는 것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싱 내부에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원활한 음파 전달을 위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에까지 음파 전달 경로를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음파 전달공과; 상기 음파 전달공 주위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주머니에 넣거나 가방에 휴대시 상기 관통공이 옷, 가방, 책 등의 장애물에 의해 가려져 상기 스피커로부터 외부로의 음파 전달이 방해되어 사용자가 음파를 감지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그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하의 굴곡면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그 돌출부의 측면에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점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 도5는 도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6은 도4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는 폴더부 케이싱(122)에 내장되어 전기적 신호를 높은 음질을 갖는 음파로 변환하는 외부 스피커(130)와, 외부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에까지의 음파 전달 경로를 관통하도록 폴더부 케이싱(122)에 형성된 음파전달공(131)과, 마찬가지로 음파 전달 경로를 관통하도록 폴더부 케이싱의 전면을 장식용으로 덮은 데코부(125)에 형성된 음파전달공(132)과, 데코부 상면에 상기 음파 전달공(131,132)의 주위에 돌출된 돌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33)는 음파 전달공(131,132)의 주변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데코부(125)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별개의 기구물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33)는, 그 돌출부의 형상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돌출부의 상면은 산의 능선과 같이 상하로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상면에 장애물이 위치하여 음파 전달 경로가 가려진 경우에, 외부 스피커(130)로부터의 음파는 폴더부 케이싱(122)과 데코부(125)에 형성된 음파 전달공을 거쳐, 돌출부(133)의 상면과 장애물 사이에 형성된 공간(133a)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 외부로 음파가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그 음파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돌출부(133)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점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낙하하여 파손될 가능성을 줄이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쥘 때 안락감이 들도록 할 수도 있고, 그 돌출부에 별도의 장식을 함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시각적 미감을 향상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4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요부 단면도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의 구성 및 작용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는 데코부 상면에 음파 전달 경로를 관통하도록 폴더부 케이싱(122)과 데코부(125)의 상면에 돌출부(23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33)는 그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관통 구멍인 음파 전달공(23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도중 휴대용 단말기의 상면에 책이나 헝겁 등의 장애물이 위치하여도 특히 헝겁에 의하여 그 상면이 완전히 가려진 경우에도 돌출부(233)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233a)을 통하여 외부 스피커(130)로부터의 음파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 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피커로부터의 음파가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스피커로부터의 음파 전달 경로의 주변의 폴더부 케이싱 상면에 음파 전달공을 형성하고, 그 주변에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주머니에 넣거나 가방에 휴대하는 경우에 음파 전달공이 옷, 가방, 책 등의 장애물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로 음파를 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도1 내지 도3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
도5는 도4의 절단선 Ⅴ-Ⅴ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6은 도4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4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2: 폴더부 케이싱 125: 데코 커버
130: 외부 스피커 131,132: 음파 전달공
133,233: 돌출부 233a: 관통공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싱 내부에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원활한 음파 전달을 위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에까지 음파 전달 경로를 따라 관통하여 형성된 음파 전달공과;
    상기 음파 전달공 주위의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싱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하의 굴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돌출부의 측면에는 1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점탄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2003-0042220A 2003-06-26 2003-06-26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486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220A KR100486555B1 (ko) 2003-06-26 2003-06-26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220A KR100486555B1 (ko) 2003-06-26 2003-06-26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872A KR20050001872A (ko) 2005-01-07
KR100486555B1 true KR100486555B1 (ko) 2005-05-03

Family

ID=3721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220A KR100486555B1 (ko) 2003-06-26 2003-06-26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12B1 (ko) * 2005-06-3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내장 입력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872A (ko) 200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091B1 (en)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US7331516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movable keypad
KR970014076A (ko) 전화기 겸용 무선 마우스
JPH07312631A (ja) 携帯無線機
KR19990000037A (ko)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EP0651546B1 (en) Cellular radio telephone set
KR10048655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EP0658030B1 (en) Foldable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20014143A (ko) 외장 액세서리가 착탈가능한 휴대폰
JPH07221823A (ja) 携帯無線機
KR20020061249A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KR20040042477A (ko) 스테레오 사운드 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0184591Y1 (ko) 헤드폰형 휴대폰
KR100383616B1 (ko) 가변성 및 착탈성 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31707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40493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5642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198699Y1 (ko) 디스플레이부와 신호입력버튼이 외부로 노출된 폴더형휴대폰
CN201509294U (zh) 双功能麦克风耳机
KR200205526Y1 (ko)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폴더형 휴대폰
JP2002237763A (ja) 携帯無線機
KR20010025887A (ko) 마이크 겸용 안테나를 가진 셀룰라폰
KR100442659B1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3273989A (ja) 携帯電話機
KR10055716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