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195B1 - 제판시트,제판시트군및그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제판시트,제판시트군및그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195B1
KR100485195B1 KR1019960067633A KR19960067633A KR100485195B1 KR 100485195 B1 KR100485195 B1 KR 100485195B1 KR 1019960067633 A KR1019960067633 A KR 1019960067633A KR 19960067633 A KR19960067633 A KR 19960067633A KR 100485195 B1 KR100485195 B1 KR 10048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sheet
plate making
making she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야나기사와
히로시 큐리야마
에이지 투카하라
켄이치 나카지마
히데키 오이카와
겐지 와타나베
다카노부 가메다
토모유키 심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6006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195B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양쪽 짧은 변과 양쪽 긴 변을 갖는 얇은 스트립 형상의 제판 시트는,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상에 적층한 점착 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점착 시트는 중앙부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라벨부를 갖는다. 상기 라벨부가 상기 점착 시트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라벨부가 서로 다른 다수종의 제판 시트로 구성된 제판 시트군은,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점착 시트 중의 적어도 한쪽의 색채는 상기 제판 시트 상호간에 다르다. 제판 시트의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는, 상기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를 인쇄 기구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의 인쇄 기구의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잉크 리본의 주행 경로에서 상기 인쇄 기구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의 중심 위치에 이르는 경로 길이는, 상기 제판 시트의 이송 방향 길이의 거의 반과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제판 시트, 제판 시트군 및 그 인쇄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인쇄면을 자외선 경화 수지로 형성한 인장 본체에, 인장 문자를 인자한 잉크 리본을 마스크로서 자외선을 노광하여, 원하는 인장을 작성하는 인장 작성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며, 특히, 작성한 인장의 배면에 점착되는 제판 시트, 제판 시트군 및 그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그와 같은 종류의 인장 작성 장치로서 일본국 특개평 6-27835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지고 있고, 상기 인장 작성 장치에는 노광용의 마스크가 되는 잉크 리본과 제판 시트에 상당하는 인쇄지 리본이 중첩된 상태로 공급 릴에 감겨지고 있다. 상기의 경우, 인장 작성 장치의 인자부에는 인쇄 문자 헤드 및 플라텐 롤러(platen roller)가 설치되어 있고, 잉크 리본 및 인쇄지 리본을 플라텐 롤러에 의해 공급 릴로부터 감긴 인쇄 문자 헤드로 안내하고, 여기에서 잉크 리본 및 인쇄리본의 인자가 동시에 행하여진다. 그 후, 잉크 리본은 또한 노광부로 이송되고, 인쇄지 리본은 장치 외부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지 리본으로부터 분리된 인장 문자 라벨이 노광 후 인장 본체의 배면에 점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인장 작성 장치에서는, 장치 외부로 이송된 인쇄지 리본을 인장 본체의 배면 크기에 맞춰서 절단할 필요가 있고, 커터가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번잡한 재단 작업을 강요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쇄지 리본과 잉크리본을 포개어 공급 릴에 권선하기 때문에, 공급 릴의 직경이 극단적으로 커져, 이것을 탑재한 리본 카트리지가 대형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대로, 공급 릴의 직경을 적절한 크기로 하면, 인쇄지 리본 및 잉크 리본의 길이가 부족하여, 리본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가 많아지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인자 후에 절단할 필요가 없는 제판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라벨부의 다른 제판 시트 상호간의 식별이 용이한 제판 시트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제판 시트의 인쇄를 양호한 위치 정밀도로 수행할 수 있는 제판 시트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상에 적층한 점착 시트로 구성되며, 양쪽 긴 변과 양쪽 짧은 변을 갖는 얇은 스트립 형상의 제판 시트로서, 상기 점착 시트는 중앙부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라벨부를 갖는 제판 시트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가 상기 점착 시트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판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른 제판 시트에 의하면,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한 후, 기재 시트로부터 절단선을 따라 라벨부만을 분리함으로써, 점착 대상물에 점착 가능한 라벨을 절단하지 않고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재 시트와 상기 점착 시트의 색채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기재 시트와 점착 시트를 간단히 식별할 수 있고, 앞뒤를 잘못 인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판 시트에는 검출 센서용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것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라벨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단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검출 센서 등에 의해 검출시킴으로써, 제판 시트를 이송하면서 인쇄를 하는 인쇄 장치 등에서, 상기 단부의 검출에 의해 인쇄를 하는 인쇄 장치 등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검출에 의해 제판 시트 자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계속되는 관통 구멍의 검출로 그 인쇄 개시 위치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즉, 라벨부의 길이가 다른 제판 시트에 대해서도, 그 각 라벨부에 정확하게 화상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제판 시트의 상기 양쪽 긴 변에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편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관통 구멍의 유무에 의해, 제판 시트의 앞뒤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제판 시트의 중심에 관하여 점대칭 위치에 한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인쇄를 위해 제판 시트를 이송하는 경우에, 그 이송하는 방향(선후)에 관계없고, 즉 이송을 위해서 제판 시트에 선후를 설치하지 않고 제판 시트의 앞뒤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라벨부가 서로 다른 다수종의 제판 시트를 포함하는 제판 시트군으로서, 상기 다수종의 각 제판 시트는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상에 적층한 점착 시트로 구성되고, 양쪽 긴 변과 양쪽 짧은 변을 갖는 얇은 스트립 형상의 제판 시트로서, 상기 점착 시트는, 중앙부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라벨부를 가지며, 상기 라벨부가 상기 점착 시트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판 시트이고, 상기 다수종의 제판 시트는,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점착 시트 중의 적어도 한쪽의 색채가 서로 다른 제판 시트군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형태에 따른 제판 시트군에 의하면, 라벨부가 다른 제판 시트의 종별을, 각각의 평면 형상을 바꾸지 않고 간단히 판별할 수 있다. 즉, 다수종의 제판 시트를 완전히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더라도, 각각의 라벨부의 차이를 색채에 의해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기재 시트와 상기 점착 시트의 색채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의 형태에 의하면, 제판 시트의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로서, 상기 제판 시트는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상에 적층한 점착 시트로 구성되어, 양쪽 긴 변과 양쪽 짧은 변을 갖는 얇은 스트립 형상의 제판 시트인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는, 상기 라벨부가 점착 시트의 중앙부에 상기 점착 시트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를 인쇄 기구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의 인쇄 기구로의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에 의하면, 검출 센서에서의 출력에 따라 이송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제판 시트의 원하는 위치, 즉 라벨부에 화상을 정확히 인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벨부는 인장의 배면에 점착되는 인장 문자 라벨이고, 상기 인쇄 기구는 상기 라벨부의 인쇄와 인장 작성용 마스크의 인쇄를 동시에 행한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인장으로 형성되는 인장 문자와, 인장의 배면에 점착되는 인장 문자 라벨의 인장 문자를 완전히 동일한 크기 및 글씨체로 인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판 시트는 검출 센서용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것으로 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하는 동시에 상기 라벨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검출 센서는 광 센서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 및 상기 제판 시트의 대응하는 양쪽 짧은 변에 대응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서 수광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것에 의해서 제판 시트의 이송을 검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긴 변에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편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광 센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빛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제판 시트가 정확하게 삽입되었다고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제판 시트의 대응하는 양쪽 짧은 변에 대응하는 단부를 검출 후 소정의 이송량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의 존재가 검출될 때,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한 제판 시트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상이한 형으로 삽입된 제판 시트가 인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판 시트의 이송을 검출 후, 인쇄되어야 할 화상의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인쇄 개시 위치까지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 상기 제판 시트가 이송되었을 때, 상기 인쇄 기구가 인쇄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인쇄되어야 할 화상에 따라 제판 시트를 적당한 위치에 정확하게 세트하여 인쇄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4의 형태에 의하면,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상에 적층된 점착 시트로 구성되고, 양쪽 긴 변과 양쪽 짧은 변을 갖는 얇은 스트립 형상의 제판 시트로서, 상기 라벨부가 상기 점착 시트의 중앙부에 상기 점착 시트에 형성된 절단선에 의해 구성되는 제판 시트와 잉크 리본을 중첩 상태로 이것에 인쇄 동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판 시트에 상기 잉크 리본의 잉크를 전사하여, 상기 제판 시트의 라벨부에 화상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잉크 리본에 네거티브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기구와 네거티브 화상을 형성한 상기 잉크 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에 노광을 행함으로써, 상기 인쇄면에 인장 화상을 형성하는 노광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 및 상기 잉크 리본을 이송하여 상기 인쇄 기구에 동시에 마주하고, 또한 인쇄완료 후, 상기 잉크 리본을 이송하여 상기 노광 기구에 마주하면 동시에 상기 제판 시트를 장치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잉크 리본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의 인쇄 기구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의 중심 위치에 이르는 경로 길이가, 각각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긴 변의 반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가 되도록 설정한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의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에 의하면, 인쇄 완료 후, 이송 기구에 의해 잉크 리본을 이송하여 노광 기구에 마주함과 동시에 제판 시트를 장치 외부로 이송하면, 제판 시트가 인쇄 기구를 벗어나 장치 외부로 완전히 이송하는 순간, 잉크 리본의 네거티브 화상의 중심이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의 중심 위치에 도달한다. 즉, 제판 시트가 장치 외부로 이송함과 동시에 노광 기구에 의한 노광 준비가 완료한다. 이것은, 인쇄 동작의 완료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킨 시점에서, 이미 노광 준비가 완료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광 준비가 완료하기 전에 노광 기구의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인쇄 기구로부터 노광 기구의 잉크 리본의 이송 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인쇄면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서 잉크 리본의 경로 길이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인장 작성 대상물에 의해 인장 화상의 길이가 가지각색이라도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이 적절한 위치에 인장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잉크 리본의 주행 경로의 인쇄 기구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의 중심 위치에 이르는 경로 길이는 각각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긴 변의 반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제판 시트의 이송 방향의 길이에 제조상의 격차가 있더라도, 잉크 리본의 네거티브 화상의 중심이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의 중심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제판 시트가 인쇄 기구를 벗어나 장치 외부로 완전히 이송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노광을 위해 잉크 리본의 주행이 정지하였을 때, 제판 시트의 이송이 완료하지 않는다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5의 형태에 의하면,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상에 적층한 점착 시트로 구성되고, 양쪽 긴 변과 양쪽 짧은 변을 갖는 얇은 스트립 형상의 제판 시트로서, 상기 점착 시트는 중앙부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라벨부를 갖는 제판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의 형태에 따른 제판 시트는, 검출 센서용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라벨부에서 벗어난 위치로서, 상기 제판 시트의 상기 양쪽 긴 변에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편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의 형태에 따른 제판 시트에 의하면, 상기 제판 시트의 대응하는 양쪽 짧은 변에 대응하는 단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검출 센서 등에 의해 검츨시킴으로써, 제판 시트를 이송하면서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 등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검출에 의해 제판 시트 자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계속되는 관통 구멍의 검출에서 그 인쇄 개시 위치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다. 즉, 라벨부의 길이가 다른 제판 시트에 대하여도, 그 각 라벨부에 정확하게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관통 구멍의 유무에 의해 제판 시트의 앞뒤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6의 형태에 의하면, 제판 시트의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로서, 상기 제판 시트는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상에 적층한 점착 시트로 구성되고, 양쪽 긴 변과 양쪽 짧은 변을 갖는 얇은 스트립 형상의 제판 시트인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의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는, 상기 제판 시트에는 검출 센서용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라벨부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긴 변에 평행한 중신선으로부터 편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를 인쇄 기구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판 시트의 인쇄 기구의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의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는,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관통 구멍의 유무에 의해 정확히 제판 시트가 삽입되었는가를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제판 시트의 앞뒤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센서로부터의 출력에 따라서 이송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제판 시트의 원하는 위치, 즉 라벨부에 화상을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에 근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더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제판 시트 및 제판 시트군을 취급하는 인쇄 장치를 적용한 인장을 작성하기 위한 인장 작성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인장 작성 장치는 인쇄면을 자외선 경화 수지로 형성한 인장 본체에 잉크 리본에 인자(인쇄)한 인장 문자(도안을 포함하는 인장 화상)를 마스크로서 자외선을 노광하여, 원하는 인장(스탬프)을 작성하는 것이며, 그 때, 잉크 리본의 인자와 동시에 제판 시트도 인자(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인자 후의 제판 시트는 인장 문자의 확인에 사용되는 동시에 그 라벨부(인장 문자 라벨)를 분리하여, 작성된 인장의 배면에 점착하는 것이다. 도 1A는 인장 작성 장치의 평면도, 도 1B는 인장 작성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인장 작성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양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 작성 장치(1)는 상하 2 분할의 장치 케이스(2)에 의해 그 외각이 형성되고, 앞부분에 전자 장치부(3)를, 뒷부분에 기계 장치(4)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계 장치부(4)의 중앙부에는, 장치 본체(5)에 인장 작성 대상물인 인장 본체(A)를 장착하기 위한 포켓(6)이 형성되고, 포켓(6)에는 창문의 개폐 덮개(7)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 장치부(4)의 시트부에는 인장 작성 장치(1)를 제판(인자) 동작이나 노광 동작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개폐 덮개(7)를 개방하는 기능 스위치(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 장치부(4)의 우측부에는 인장 작성 장치(1)에 후술하는 인장 문자 라벨 작성용의 제판 시트(B)를 위한 삽입구(9a) 및 인출구(9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 장치부(4)에는 포켓(6)의 외측에 위치하여, 보수 커버(maintenance cover; 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수 커버(10)의 내부에는 잉크 리본(C)을 탑재한 리본 카트리지(11)가 장착되어 있다.
전자 장치부(3)에는 상면에 조작부(21)가 형성되고, 내부에 정보 처리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조작부(21)에는 정보 처리 장치의 입력부를 구성하는 푸시 버튼군(22) 및 조작 다이얼(23)과 출력부를 구성하는 표시기(2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23)은 중심부에 원형으로 설치된 실행키(31)와 그 외측에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 4개의 할당 커서/변환키(32)와 또한 그 외측에 고리 형상으로 설치된 문자 입력키(33)로 3중 구조를 가지고, 문자 입력키(33)의 표면에는 50음의 히라가나가 인쇄되어 있다(도시 생략). 인장 문자의 입력은 우선 문자 입력키(33)를 삼각마크(25)에 맞추어 회전시키고, 실행키(31)를 눌러 히라가나 입력을 수행하고, 상기 히라가나 입력을 적당히, 커서/변환키(32)에 의해 한자 변환한다. 그리고, 원하는 인장 문자를 표시기(24)상에 작성한 바로, 푸시 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을 눌러 이것을 확정한다. 또, 조작 다이얼(23)은 문자 입력키(33)만이 정확히 역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인장을 작성하는 경우의 일련의 조작에 대하여, 도 1A 및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기능 스위치(8)를 조작하여 개폐 덮개(7)를 개방하고, 포켓(6)에 인장 본체(A)를 세트한다. 상기 인장 본체(A)의 세트에 따른 후술하는 검출 장치(66)에 의해 인장 본체(A)의 종별이 검출되고, 상기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정보 처리 장치가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어한다. 다음에, 기능 스위치(8)를 조작하여 제판 동작에 기능을 이행시키고, 푸시 버튼군(22) 및 조작 다이얼(23)을 조작하여 인장 문자를 입력한다. 인장 문자의 입력이 완료하면, 인장 문자 라벨이 작성된 제판 시트(B)를 삽입구(9a)에 삽입하여 세트한다.
다음에, 푸시 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을 조작하여, 제판 동작, 즉 인자를 행하게 한다. 상기 인자는 잉크 리본(C)과 제판 시트(B)에 동시에 행해진다. 인자가 완료하면, 잉크 리본(의 인자 부분)(C)은 노광을 위해 상대편으로 이송되고, 동시에 제판 시트(B)는 인출구(9b)에서 외부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이송된 제판 시트(B)에 의해, 인장 문자에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면, 다음에 기능 스위치(8)를 조작하여 노광 동작에 기능을 이행시키고, 노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상기의 경우, 기능 스위치(8) 조작 후, 푸시 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을 조작하는 것으로 노광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노광이 완료하면, 기능 스위치(8)를 조작하여 개폐 덮개(7)를 개방하고, 포켓(6)으로부터 인장 본체(A)를 꺼내어, 이것을 세정한다. 상기 세정에 의해 인장이 완성하지만, 인장이 완성한 바로, 상기 제판 시트(B)에서 인장 문자 라벨을 분리하여, 이것을 인장의 배면에 점착한다.
다음에, 인장 작성 장치(1)의 구성 장치에 대하여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기계 장치부(4)에 설치한 기능 스위치(8)는 대기 위치로 되는 「OFF」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OPEN」 위치까지 회전되는 동시에 「OPEN」 위치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입력/제판」 위치, 또한 「노광」 위치까지 회전된다(도 1A 참조). 「OPEN」 위치에서는 포켓(6)에 설치된 개폐 덮개(7)가 튀어, 개폐 덮개(7)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고, 「입력/제판」 위치 및 「노광」 위치에서는 후술하는 인자부 및 노광부에서의 기계적인 조작이 각각 행하여진다. 또한, 동시에 기능 스위치(8)는 전기적인 모드 변환의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 조작에 의해 기능 스위치(8) 옆에 설치한 램프( 「OFF」 위치에는 없다)(12)가 점등하여 변환 위치를 표시한다.
리본 카트리지(11)는 장치 본체(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잉크 리본(C)의 소모 때마다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 카트리지(11)에는 한쪽 끝에 테이크-업 릴(take-up reel; 13)이 타단에 공급 릴(14)이 각각 설치되며, 잉크 리본(C)은 공급 릴(14)로부터 감겨 일반적으로 「역 L」 글자를 회전시킨 형태로 굴곡하여 테이크-업 릴(13)에 감긴다. 상기 「역 L」 글자를 회전시킨 형태로 굴곡한 잉크 리본(C)의 주행 경로에는, 그 단변 부분에 인자부가 마주하고, 긴 변 부분에 노광부가 마주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인자부에는 상기 잉크 리본(C)과 상기의 제판 시트(B)가 동시에 마주하고, 노광부에는 인자후의 잉크 리본(C)이 마주한다.
잉크 리본(C)은, 투명한 리본 테이프와 이것에 도포한 잉크로써 이루어지고, 실시 형태에서는, 64㎛ 두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인자부에서 상기 잉크 리본(C)에 인자가 행하여지면, 잉크의 부분이 제판 시트(B)에 전사한다. 이것에 의해 잉크 리본(C)의 리본 테이프에는 잉크의 문자 부분이 분리한 네거티브 화상이 형성되고, 제판 시트(B)에는 잉크의 문자 부분이 부착한 포지티브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잉크 리본(C)은 이것을 마스크로서 이용할 상대편의 노광부로 이송되는 한편, 제판 시트(B)는 인장 문자의 확인을 위해 또한 이것을 작성한 인장에 점착할 장치 외부로 이송된다.
제판 시트(B)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로 분리 가능한 인장 문자 라벨(B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판 시트(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인장 본체(A)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나무(실시 형태는 수지제)(Aa)의 선단에 얇은 스펀지(발포 우레탄)(Ab)가 점착되는 동시에, 스펀지(Ab)에 자외선의 영향을 받지 않은 수지 베이스(Ac)가 점착되고, 또한 수지 베이스(Ac)에 인쇄면(Ad)을 구성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가 점착되어 있다. 상기 인장 본체(A)의 자외선 경화 수지{인쇄면(Ad)}의 부분에 잉크 리본(C)을 마스크로서 자외선을 노광함으로써, 인쇄면(Ad)의 인장 문자에 상당하는 부분이 경화한다. 상기 상태로 인장 본체(A)를 포켓(6)으로부터 인출하여 세정함으로써, 수용성의 미경화 부분이 선별되고 인장이 완성한다. 도면 중의 부호(Ae)는 수지제의 캡이다. 또, 상기의 자외선 경화 수지를 대신하여 자외선 연화 수지를 이용하여도 좋고, 이러한 경우에는 잉크 리본(C)과 제판 시트(B)의 포지티브· 네거티브를 반대로 하면 실시형태와 동일한 인장을 작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 작성 장치(1)에서는 공급 릴(14)에서 이것에 권선된 잉크 리본(C)이 제 1 경로핀(51)을 통해 인자부로 인도되고, 또한 제 2 경로핀(52) 및 제 1 가이드핀(53)을 거쳐 노광부로 인도되며, 노광부에서 제 2 가이드핀(54) 및 텐션핀(55)을 통해 테이크-업 릴(13)에 감긴다. 인자부에서는 잉크 리본(C)을 결합하도록 설치한 인쇄 문자 헤드(56)와 플라텐 롤러(57)에 의해, 잉크 리본(C)을 밀어내면서 이것에 인자가 행하여진다. 또한, 노광부에서는 누름판(58)에 의해 잉크 리본(C)을 인장 본체(A)의 사이에 결합하고, 인장 본체(A)의 자외선에 의한 노광이 행하여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장치부(4)에는 테이크-업 릴(13) 및 플라텐 롤러(57)를 회전시켜, 잉크 리본(C)을 주행시키는 리본 이송 장치(61)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장치부(4)에는 개폐 덮개(7)를 로크· 언로크하는 덮개 오픈 링크(62a)와 인자부의 인쇄 문자 헤드(56)를 플라텐 롤러(57)에 이접하는 헤드 이동 링크(62b)와 노광부의 누름판(58)을 진퇴시키는 리본 누름 링크(62c)와 덮개 오픈 링크(62a), 헤드 이동 링크(62b) 및 리본 누름 링크(62c)를 작동시키는 주 링크(62d)로써 이루어지는 기능 링크 기구(62)가 내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리본 이송 장치(6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리본 이송 장치(61)는 기능 스위치(8)의 하측에 내장된 구동 모터(101)를 동력원으로서 테이크-업 릴(13)에 결합하는 릴축(102)과, 플라텐 롤러(57)에 결합하는 롤러축(108)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동 모터(101)의 출력축(104)에는 출력 기어(105)가 고정되고, 출력 기어(105)에는 동력 전달 기어(106)가 결합되고, 동력 전달 기어(106)에는 주 기어(107)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주 기어(107)로 부터, 한쪽은 릴 감속 기어열(108)을 통해 릴축(102)에, 다른쪽은 롤러 감속 기어열(1090)을 통해 롤러축(108)에 동력이 전달된다.
구동 모터(101)의 출력축(104)에는 클러치 아암(1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아암(110)에 동력 전달 기어(106)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아암(110)은, 출력축(10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회전운동)하고, 동력 전달 기어(106)를 주기어(107)에 대해 이접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즉, 구동 모터(101)가 회전하면, 클러치 아암(110)이 회전하여, 동력 전달 기어(106)가 주기어(107)에 맞물리고, 구동 모터(101)의 동력이 테이크-업 릴(13) 및 플라텐 롤러(57)에 전달된다. 반대로, 구동 모터(101)가 정지하고 있을 때, 테이크-업 릴(13)이나 플라텐 롤러(57)로부터 회전 동력이 입력하면, 동력 전달 기어(106)는 주 기어(107)에 튀어 그 결합이 해제된다.
그에 따라, 예를 들면, 오 삽입된 제판 시트(B)를 뽑아내는 경우에, 플라텐 롤러(57)가 구동 모터(101)의 부하를 받지 않고 간단히 회전(역회전)하여, 잉크 리본(C)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판 시트(B)만을 간단히 뽑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클러치 아암(110)을 기능 스위치(8)의 전환으로 연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릴축(102)은 미끄러짐 축으로 되어 있고, 테이크-업 릴(13)에 잉크 리본(C)이 권선됨에 따라 증속하는 주속의 변화를, 미끄러짐이 발생함에 따라서 흡수되고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의 기능 링크 기구(6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능 링크 기구(62)는 프레임(121)과, 프레임(121)에 설치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덮개 오픈 링크(62a)와, 프레임(121)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형상 헤드 이동 링크(62b)와, 프레임(121)상에 진퇴 가능하게 지지된 판형상의 리본 누름 링크(62c)와, 프레임(121)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판형상의 주링크(62d)와, 주 링크(62d)와 리본 누름 링크(62c) 사이에 삽입된 리본 누름 캠(122)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리본 이송 장치(61)의 각종의 기어는, 프레임(121)과 리본 누름 링크(62C) 사이에 설치되고, 그를 따라 주 링크(62d)는 프레임(121)의 하측에 설치된다.
주 링크(62d)는 그의 입력측이 기능 스위치(8)의 편심핀(123)에 결합되고, 지축(124)을 중심으로 기능 스위치(8)의 정반대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주 링크(62d)의 출력측에는 선단에 설상편(舌片)(125)이 형성되어 전단에 제 1 핀(126)이 설치되고, 설상편(125)의 기초부에 제 2 핀(127)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설상편(125)이 덮개 오픈 링크(62a)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 1 핀(126)이 헤드 이동 링크(62b)에 결합되며, 또한, 제 2 핀(127)이 리본 누름 캠(122)을 거쳐 리본 누름 링크(62C)에 결합된다.
덮개 오픈 링크(62a)는, 오픈 링크 본체(128)와 오픈 링크 본체(128)의 긴쪽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돌출 설치한 한쌍의 지축(129, 129)과, 오픈 링크 본체(128)의 양단부에서 개폐 덮개(7)를 향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후크부(180, 130)와 상기의 주 링크(62d)의 설상편에 대응하도록 오픈 링크 본체(128)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는 레버부(131)와, 오픈 링크 본체(128)로부터 전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스위치 작동부(1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레버부(131)와 프레임(121) 사이에는 코일 용수철(133)이 가로지르고, 덮개 오픈 링크(62a)는 그 후크부(130)의 선단이 개폐 덮개(7)의 후크 받침부(7a)에 걸려 정지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압된다.
기능 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OPEN」위치로 회전시키면, 주 링크(62d)의 설상편(125)이 전방으로 하여, 덮개 오픈 링크(62a)의 레버부(131)를 코일 용수철(133)에 저항하여 누르고, 후크부(30)의 축 받침부(7a)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한편, 개폐 덮개(7)의 이면에는 포켓(6)에 수용된 인장 본체(A)를 안정되게 누르기 위한 판용수철(7b)이 설치되어 있고, 후크부(130)가 빠지면, 개폐 덮개(7)는 포켓(6)에 수용되어 있는 인장 본체(A)를 수용함으로써, 상방으로 튀어 오른다(도 5 및 도 8 참조). 또한, 포켓(6)에 인장 본체(A)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기능 스위치(8)의 「OPEN」에 의해, 후술하는 로크 기구(63)의 로크 부재(171)에 의해 개폐 덮개(7)는 튀어 오른다(도 10 참조).
또한, 상기 덮개 오픈 링크(62a)의 걸림 해제에 의해, 스위치 작동부(132)는 검출 장치(66)의 검출단을 포켓(6) 내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OPEN」위치로 회전한 기능 스위치(8)에서 손을 떼면, 코일 용수철(133)에 의해 덮개 오픈 링크(62a) 및 주 링크(62d)를 통해 기능 스위치(8)가 「OPEN」위치에서 「OFF」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한편, 개폐 덮개(7)를 닫을 때는 상기의 판용수철(7b)에 저항하여 개폐 덮개(7)를 포켓(6) 측으로 누름으로써, 덮개 오픈 링크(62a)의 후크부(130)가 개폐 덮개(7)의 후크 받침부(7a)를 추월하도록 하여 걸림이 행해진다.
헤드 이동 링크(62b)는 그 선단부에 인쇄 문자 헤드(56)를 탑재한 상태로, 인쇄 문자 헤드(56)의 유지부에 설치한 지축(13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헤드 이동 링크(62b)의 후단부에는 주 링크(62d)의 제 1 핀(126)이 접촉하는 맞물림면(136)이 형성되고, 또한 프레임(121)과의 사이로 코일 용수철(137)이 가로지르고 있다. 코일 용수철(137)은 지축(135)을 중심으로 헤드 이동 링크(62b)의 선단을 플라텐 롤러(57) 측에 회전 가압하는 동시에, 맞물리면(136)을 제 1 핀(126)에 누르도록 회전 가압하고 있다. 맞물림면(136)은 경사면(138)을 결합하고, 주링크(62d)의 지축(124)과 동심의 동근 괄호형으로 구성되는 선단측의 제 1 정지면(139) 및 후단측의 제 2 정지면(140)을 가지며, 주 링크(62d)가 회전하여 그 제 1 핀(126)이 제 2 정지면(14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인쇄 문자 헤드(56)가 플라텐 롤러(57)로부터 이격되고, 제 1 정지면(139)에 마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인쇄 문자 헤드(56)가 플라텐 롤러(57)에 접촉한다. 또한, 리본 카트리지(11)를 착탈하는 경우에는, 도면 외의 지그를 사용하여, 인쇄 문자 헤드(56)를 또한 플라텐 롤러(5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크게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스위치(8)를 「OFF」 위치에서 「입력/제판」 위치로 회전시키면 주 링크(62d)의 제 1 핀(126)이 제 2 정지면(140)으로부터 경사면(138)을 내려 제 1 정지면(139)으로 이동하여, 코일 용수철(137)에 의해 헤드 이동 링크(62b)가 회전하여, 인쇄 문자 헤드(56)가 플라텐 롤러(57)에 눌린다. 반대로, 기능 스위치(8)를 「입력/제판」위치에서 「OFF」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핀(126)이 제 1 정지면(139)으로부터 경사면(138)을 올라가 제 2 정지면(140)으로 이동하여, 코일 용수철(137)에 저항하고 헤드 이동 링크(62b)가 회전하여 인쇄 문자 헤드(56)가 플라텐 롤러(57)에서 떨어진다.
또한, 기능 스위치(8)를 「입력/제판」위치에서 또한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핀(126)이 제 1 정지면(139)의 상대편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인쇄 문자 헤드(56)의 플라텐 롤러(57)의 접촉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기능 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OPEN」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핀(126)이 제 2 정지면(140)의 앞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인쇄 문자 헤드(56)의 플라텐 롤러(57)의 이격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도 5 참조). 또한, 코일 용수철(137)에 의해 인쇄 문자 헤드(56)가 플라텐 롤러(57)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핀(126)이 제 1 정지면(139)으로부터 약간 떠 있게 되고, 인쇄 문자 헤드(56)의 플라텐 롤러(57)과의 접촉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리본 누름 링크(62C)는 전체가 거의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양단부와 전단부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홈(142)이 프레임(121)에 설치된 3개의 돌기(143)에 각각 맞물려, 프레임(121)상에 몇분간 뜬 상태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가이드 홈(142)은 열쇠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돌기(143)의 상단에는 원판 형상의 빠짐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고(도시생략), 리본 누름 링크(62c)는 가이드 홈(142)의 원형 부분을 상기 빠짐 방지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침입 가능하게 됨에 따라 프레임(121)에 장착되어, 가이드 홈(142)의 긴 구멍 부분에서 돌기(143)에 진퇴 가능하게 안내된다. 또한, 가이드 홈(142)을 이탈한 리본 누름 링크(62c)의 양단부에는 각각 2개의 지지핀(144, 14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핀(144, 144)에는 상기 누름판(58)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4, 54)이 설치되어 있다(도 13 참조).
리본 누름 링크(62C)의 중간 위치에는, 선단을 절곡한 용수철 장착편(145)이 후방에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수철 장착편(145)과 프레임(121) 사이에 코일 용수철(146)이 놓여 있다. 코일 용수철(146)은 리본 누름 링크(62C)를 전방, 즉 전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리본 누름 링크(62C)의 앞부분에 분기하도록 결합부(147)가 연장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147)에는 상기 리본 누름 캠(122)이 접촉하고 있다.
리본 누름 캠(122)은, 2개의 판 캠을 겹친 것처럼 상부 캠부(149)와 하부 캠부(1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지축(151)에 의해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부 캠부(150)는 일부가 부채 형상으로 절결된 원형 형상을 가지며, 상부 캠부(149)는 반달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부 캠부(149)의 주단 부분에 리본 누름 링크(62c)의 결합부(147)가 접촉하여, 하부 캠부(150)가 절결된 부분에 주 링크(62d)의 제 2 핀(127)이 맞물리고 있다(도 6 참조).
상기 도 6의 상태는 기능 스위치(8)가 「입력/제판」위치에 있는 상태이고, 상기 상태로부터 기능 스위치(8)를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면, 주 링크(62d)의 제2 핀(127)이 하부 캠부(150)의 절결부 한쪽 끝을 누르고, 리본 누름 캠(122)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에 의해 리본 누름 링크(62C)의 결합부(147)가 상부 캠부(149)의 주변 단부 부분에서 현 부분으로 매설되고, 리본 누름 링크(62c)가 코일 용수철(146)에 가압되어 전진한다. 그 때, 리본 누름 캠(122)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146)에 가압되고, 상부 캠부(149)의 현부분과 리본 누름 링크(62C)의 결합부(147)의 접촉면이 전면적으로 서로 대면하는 위치까지 순간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에 의해 하부 캠부(150) 노치의 다른쪽 끝이 제 2 핀(127)과 거의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가이드 홈(142)은 리본 누름 링크(62C)의 전진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겸하고 있고, 각 가이드 홈(142)의 긴 구멍 부분의 끝이 각 돌기(143)에 부딪침으로써, 리본 누름 링크(62C)가 전진 단부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상부 캠부(149)의 현 부분에 대하여, 리본 누름 링크(62C)의 결합부(147)가 전면적으로 서로 대면하고 있는 상태는 실제로는 상기 부분에 코일 용수철(146)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결합부(147)의 접촉면은 상부 캠부(149)의 현 부분에서 겨우 이격되고 있다.
한편, 기능 스위치(8)를 「노광」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를 거쳐 「OFF」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2 핀(127)이 하부 캠부(150) 노치의 다른쪽 끝을 눌러, 리본 누름 캠(12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에 의해 리본 누름 링크(62c)의 결합부(147)가 상부 캠부(149)의 현 부분에서 주 단부 부분에 상대적으로 복귀하고, 리본 누름 링크(62c)가 코일 용수철(146)에 저항하여 후퇴한다. 상기 상태에서는 코일 용수철(146)에 가압된 리본 누름 링크(62C)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리본 누름 캠(122)이 돌출되어 있고, 리본 누름 링크(62C)는 후퇴 위치에 유지된다(도 4 참조). 또한, 기능 스위치(8)를 상기 「OFF」위치에서 「OPEN」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2 핀(127)이 접촉하고 있는 하부 캠부(150) 노치의 다른쪽 끝이, 제 2 핀(127)의 이동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리본 누름 캠(122)이 시계 방향으로 겨우 회전할 뿐, 리본 누름 링크(62c)는 후퇴 위치에 그대로 유지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기능 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OPEN」위치로 회전시키면, 후크부(130)가 이탈하여 개폐 덮개(7)가 개방 가능한 상태로 되고, 「OFF」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에 회전시키면, 인쇄 문자 헤드(56)가 잉크 리본(C)을 플라텐 롤러(57)에 압축하여 인자 가능한 상태로 되고, 또한 「입력/제판」위치에서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면, 누름판(58)이 잉크 리본(C)을 인장 본체(A)에 압축하여 노광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노광 시, 실수로 개폐 덮개(7)를 열거나 개폐 덮개(7)를 연 채로 노광을 행하면, 자외선이 외부로 새어 나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인자 시, 개폐 덮개(7)를 열면, 잉크 리본(C) 고장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실시 형태에서는 인자 동작 및 노광 동작일 때에는 개폐 덮개(7)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는 동시에, 개폐 덮개(7)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인자 동작 및 노광 동작으로 이행할 수 없도록 하는 로크 기구(63)가 합체된다.
로크 기구(63)는 기능 스위치(8)의 일부에 설치되고, 여기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기능 스위치(8)의 구조로부터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스위치(8)는 상면에 설정 위치를 지시하는 마크(162)를 형성한 다이얼(161)과 다이얼(161)의 내측 공간에 설치한 클릭 부재(163)와 상기의 주 링크(62d)에 맞물리는 편심핀(123)을 구비하고 있다. 다이얼(161)의 축부(164)의 일부에서 장치 케이스(2)의 시트 플레이트(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클릭 부재(163)는 다이얼(161)의 직경 방향으로 만곡하여 연장하고, 점대칭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클릭 아암(165, 165)을 가지며, 각각의 클릭 아암(165)이 갖는 용수철 성질에 의해 그 선단의 원형부(165a)를 시트 플레이트(2a)에 형성한 각각의 클릭 결합부(166)에 누르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클릭 결합부(166)는 클릭 아암을 향하여 4개의 볼록부(166a)와 3개의 오목부(166b)를 연결한 형상을 가지며, 3개의 오목부(166b)에 각 클릭 아암(165)의 원형부(165a)가 (맞물렸다) 이격된 상태가 상기 「OFF」위치, 「입력/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에 대응한다(도 9A참조).
또한, 최외측 단부의 블록의 중간 위치가 「OPEN」위치에 대응하고, 「OPEN」위치에서는 클릭적 맞물림은 수행되지 않는다(도 9B 참조). 이것에 의해, 상기 「OPEN」위치에서 「OFF」위치로의 자동 복귀가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또, 「OFF」위치와 「OPEN」위치 사이는 15도의 회전 각도로 되어 있고, 「OFF」위치와 「인자」위치와 「노광」위치의 사이는 각각 30도의 회전 각도로 되어 있다.
한편, 로크 기구(63)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스위치(8)와 포켓(6)과의 경계 부분에 설치된 로크 부재(171)를 구비하고, 로크 부재(171)는 로크 용수철(172)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장치 케이스(2)의 시트 플레이트(2a)에 상하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171)는 시트 플레이트(2a)에 상하 작동 가능하게 안내된 부재 본체(173)와, 부재 본체(173)로부터 포켓(6)측으로 연장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푸시 아암부(174)와, 부재 본체(173)로부터 기능 스위치(8)측으로 연장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아암부(175)로 구성되어 있다.
푸시 아암부(174)는 포켓(6)의 덮개 장착 시트부(6a)에 하측에서 마주하고 있고, 개폐 덮개(7)를 개방하면 덮개 장착 시트부(6a)로부터 돌출하고, 닫으면 눌린 덮개 장착 시트부(6a)에 몰입한다. 즉, 개폐 덮개(7)를 개방하면 로크 용수철(172)에 의해 로크 부재(171)가 상향 이동하고, 폐쇄하면 로크 용수철(172)에 저항하여 로크 부재(171)가 햐향 이동한다. 한편, 로크 부재(171)가 상향 이동하면, 로크 아암부(175)가 기능 스위치(8)의 측부 두께부로 형성된 결합 홈(176)으로 들어가고, 기능 스위치(8)의 회전을 저지한다. 반대로, 로크 부재(171)가 하향 이동하면, 로크 아암부(175)가 기능 스위치(8)의 결합 홈(176)으로부터 이탈하여 기능스위치(8)의 회전 저지를 해제한다.
상기의 경우, 결합 홈(176)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홈으로 구성되고, 기능 스위치(8)를 「OFF」위치와 「OPEN」위치 사이로 회전시키는 경우(통상, 상기 조작은 행하여지지 않지만)에는 그 회전이 허용된다. 반대로, 기능 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나 혹은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그 회전이 저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개폐 덮개(7)가 개방하고 있을 때는, 기능 스위치(8)의 회전이 저지되어 인자 동작 및 노광 동작의 이행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인자 동작 및 노광 동작 때에 개폐 덮개(7)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는 기구는 상기의 주 링크(62d) 및 덮개 오픈 링크(62a)에 의해 달성된다. 즉, 기능 스위치(8)가 「입력/제판」위치나 혹은 「노광」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덮개 오픈 링크(62a)에 의해 개폐 덮개(7)가 폐쇄 상태로 로크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덮개(7)가 열려있는 상태로 노광이 행하여지지 않고, 또한 노광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 덮개(7)가 열리지 않는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여 인자부에 구비된 인자 장치(인쇄 기구)(6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자 장치(64)는 잉크 리본(C)에 인장 문자를 인자하는 인쇄 문자 헤드(인쇄 기구)(56)와, 인쇄 문자 헤드(56)의 인자 동작에 대응하여 잉크 리본(C)을 이송하는 플라텐 롤러(이송 기구)(5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쇄 문자 헤드(56)와 플라텐 롤러(57)의 접점 부분을 향한 장치 케이스(2)에는 상기의 제판 시트(B)가 이송되는 이송 통로(181)와, 제판 시트(B)가 이송하는 송출 통로(182)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 통로(181)의 상류 단부에는 외부로 개방된 삽입구(9a)가 형성되고, 송출 통로(182)의 하류 단부에는 외부로 개방된 인출구(9b)가 형성되어 있다.
플라텐 롤러(5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롤러이고, 잉크 리본(C)을 공급릴(14)로부터 감아내는 동시에, 인쇄 문자 헤드(56) 사이에 제판 시트(B)를 끌어들여, 잉크 리본(C)과 제판 시트(B)를 중첩 상태로 인쇄 문자 헤드(56)에 마주시킨다. 인쇄 문자 헤드(56)는 서멀 헤드이며, 열 전사에 의해 잉크 리본(C)의 리본 테이프에 도포된 잉크를 제판 시트(B)에 전사한다. 상기 전사에 의해 잉크 리본(C)에서 인장 문자에 상당하는 부분이 벗겨져, 그 부분에 투명한 리본 테이프의 면이 나타나는 한편, 제판 시트(B)에는 벗겨진 잉크가 인장 문자로서 부착한다.
이송 통로(181)에는, 제판 시트(B)의 삽입 및 이송 기준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83)가 마주하고, 이송 통로(181)에 삽입된 제판 시트(B)는 상기 센서(183)의 검출 결과에 의해 플라텐 롤러(57)에 의해 이송되며, 그 인장 문자 라벨(Bd)의 선단부 위치에서 인자가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송출 통로(182)를 구성하는 좌측 벽에는, 그 선단(상류단)으로 분리 클릭부(184)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 클릭부(184)에 의해, 중첩 상태로 이송되어온 잉크 리본(C)과 제판 시트(B)가 분리된다. 그리고, 잉크 리본(C)은 상대편의 노광부로 이송되고, 제판 시트(B)는 송출 통로(182)를 통해 장치 외부로 송출된다.
여기에서, 제판 시트(B)의 구조를 설명하는 동시에, 제판 시트(B)와 상기의 인자 장치(64)의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판 시트(B)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Ba)와 점착 시트(Bb)를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전체가 양쪽 긴 변과 양쪽 짧은 변을 갖는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 시트(Bb)의 중앙부에는 사각형으로 절단선(Bc)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Bc)에 의해 인장 문자 라벨(라벨부)(Bd)이 구성된다. 즉, 상기 절단선(Bc)을 따라서 베이스 시트(Ba)에서 박리된 점착 시트(Bb)의 사각형 부분이 상기의 인장 배면에 점착하는 인장 문자 라벨(Bd)로 된다. 또한, 인장 문자 라벨(Bd)의 양측에는 인장 문자 라벨(Bd)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위치에 한쌍의 관통 구멍(Be)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관통 구멍(Be)은 각각 제판 시트(B)의 긴 변과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긴 변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되고, 또한, 각각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Ba)는 이른바 점착 시트(Bb)에 대한 박리 시트이다.
긴 변에 따른 방향이 제판 시트(B)의 이송 방향으로 되고, 제판 시트(B)를 상기의 이송 통로(181)에 삽입하면, 센서(183)가 우선 제판 시트(B)의 긴 변 방향의 선단(짧은 변에 대응하는 단부)을 검출하고, 계속해서 상기 관통 구멍(Be)을 검출한다. 센서(183)는 포토 인터럽터(photo-interrupter) 등의 광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센서(183)의 광로에 제판 시트(B)의 긴 변 방향의 선단(짧은 변에 대응하는 단부)이 마주하여 빛이 차단되었을(전압의 입하) 때, 제판 시트(B)의 존재가 검출되고, 계속해서 센서(183)의 광로에 제판 시트(B)의 관통 구멍(Be)이 마주하여 빛이 투과되었을(전압의 입상) 때, 관통 구멍(Be)의 존재가 검출된다 또한, 관통 구멍(Be)의 존재는 관통 구멍(Be)을 통과할 때의 전압 입하가 검출되어도 좋으며, 상기 입상 및 입하의 양자로 검출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판 시트(B)의 존재가 검출되면, 플라텐 롤러(57)가 회전을 개시하여, 삽입한 제판 시트(B)의 이송이 개시된다. 다음에, 시트가 소정 범위의 스텝수(시간)만큼 공급될 때 관통 구멍(Be)의 존재가 검출되면, 제판 시트(B)의 앞뒤의 정확함이 판별되고, 또한, 상기 시트가 몇 스텝만큼 공급되면, 인쇄 문자 헤드(56)에 의한 인자가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판 시트(B)에서는 점착 시트(Bb)의 인장 문자 라벨(Bd)에 인자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제판 시트(B)를 삽입할 때, 이것에 앞뒤에 존재하여 이것을 잘못 삽입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판 시트(B)에는 인장 문자 라벨(Bd)의 크기가 다른 다수종의 것이 있다.
이 때문에, 우선 제판 시트(B)의 선단을 검출하여 삽입된 제판 시트(B)에 대하여 자동 이송을 개시하고, 계속해서, 그 관통 구멍(Be)에 의해 앞뒤를 판별한다. 상기 자동이송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범위의 스텝수(시간)를 공급하여 관통 구멍(Be)의 존재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앞뒤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여 플라텐 롤러(57)의 회전을 정지하고 어떠한 경보를 발생한다. 한편, 인장 문자 라벨(Bd)의 크기에 의해서 인자 개시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문자 입력시의 데이터로부터 인자 개시 위치를 연산하고, 관통 구멍(Be)의 검출 위치에서 연산 결과의 스텝수를 제공하여 인자를 개시한다.
이와 같이, 제판 시트(B)에 관통 구멍(Be)을 형성함으로써, 제판 시트(B)의 앞뒤를 판별할 수 있는 동시에, 인장 문자 라벨(Bd) 부분에 정확하게 인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Be)을 한쌍으로 함으로써, 제판 시트(B) 이송시의 선후를 규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인장 문자 라벨(Bd)이 제판 시트(B)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한쌍의 관통 구멍(Be, Be)이 점대칭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 변 방향의 어느 쪽 끝(짧은 변에 대응하는 단부)을 앞에서 삽입하여도 좋다. 또한, 도면으로는 나타낼 수 없지만, 실시 형태의 제판 시트(B)에서는 베이스 시트(Ba)를 무채색으로 하고, 점착 시트(Bb)를 유채색으로 하여, 그 색채 차이에 의해 그 앞뒤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인장 본체(A)는 인장으로서의 용도에 맞춰서, 형상{인쇄면(Ad)의 형상}이 다른 수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고 (도 31A~ 도 31C 및 도 32 참조), 이것에 대응하여 제판 시트(B)도, 그 인장 문자 라벨(Bd)의 형상 {절단선(Bc)의 형상}이 다른 수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도 33의 실선으로 도시된 제판 시트(B)는 인장 문자 라벨(Bd)이 비교적 큰, 도 31F에 도시된 주소 인쇄용의 것이며, 또한 인장 문자 라벨(Bd)을 가상선으로 도시한 다른 2예는, 각각 큰 쪽이 비즈니스 인쇄(대)용의 것, 작은 쪽이 씨명 인쇄용의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체의 인장 작성 장치(1)에서는 수종의 제판 시트(B)가 준비되어 있고, 이들 제판 시트군은 그 점착 시트(Bb)의 색채가 서로 다른 것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시트(Bb)는 유채색으로 되어 있고, 점착 시트(Bb)는 상기 유채색으로부터 선택한 색채로서 제판 시트(B) 상호간이 다르다. 따라서, 제판 시트(B) 자체의 외관 형상은 완전히 동일하지만, 그 색채의 상이함에 의해 제판 시트(B)의 종별을 식별할 수 있고, 또한 개개의 제판 시트(B)에서는 무채색과 유채색의 상이함에 의해, 그 앞뒤를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Ba)를 유채색으로 하고, 점착 시트(Bb)를 무채색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인자가 완료한 제판 시트(B)는 플라텐 롤러(57)에 의해 네거티브 화상이 형성된 잉크 리본(C)과 동시에 상대편에 이송되고, 제판 시트(B)는 인출구(9b)에서 장치 외부로 이송되고, 잉크 리본(C)은 인장 본체(A)의 전방(노광부)까지 이송된다. 상기의 경우, 사용자는 제판 시트(B)가 장치 외부로 완전히 송출되었을 때 인자가 완료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노광의 조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판 시트(B)가 장치 외부로 완전히 이송되었을 때, 잉크 리본(C)이 노광부에 도달하여 정지하고 있지 않으면, 잉크 리본(C)의 주행 중에 노광이 행해져 버릴 가능성이 생긴다. 또한, 반대로, 잉크 리본(C)이 노광부에 도달하여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판 시트(B)가 장치 외부로 완전히 이송되어 없으면, 사용자가 제판 시트(B)를 뽑아내게 되고, 이것에 따라 잉크 리본(C)이 소실될 가능성이 생긴다.
그리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리본(C)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의 인쇄 문자 헤드(56)와 플라텐 롤러(57)의 접촉 위치에서 포켓(6)에 설정된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 중심 위치에 이르는 경로 길이가 제판 시트(B)의 1/2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판 시트(B)의 길이 L = 128mm 로 되며, L/2 = 64mm 이므로, 2mm의 공 이송을 예상하여, 상기의 경로 길이 1 = 66mm 가 되도록 인쇄 문자 헤드(56)에 대한 인장 본체(A)의 세트 위치가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잉크 리본(C)은 제판 시트(B)가 장치 외부로 완전히 이송되었을 때, 즉 제판 시트(B)가 인쇄 문자 헤드(56) 및 플라텐 롤러(57)로부터 이탈하였을 때부터 2mm 공 이송되어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한 상태에서는 잉크 리본(C)에 형성된 네거티브 화상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는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에 합치한다. 또한, 2mm의 공 이송은, 상기의 센서(183)에 의한 제판 시트(B) 후단의 검출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판 시트(B)가 장치 외부로 송출되는 타이밍과, 잉크 리본(C)이 노광부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거의 합치하기 때문에, 잉크 리본(C)의 주행 중에 노광이 행해지지 않고, 또한 제판 시트(B)의 송출이 불완전해지는 등의 지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잉크 리본(C)의 이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잉크 리본(C)의 불필요한 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길이를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 길이방향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제판 시트{인장 본체(A)}(B)의 종별에 불구하고, 잉크 리본(C)의 이송 거리(경로 길이 l)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2mm의 공 이송을 설정함으로써, 제판 시트(B)의 길이 L에 제조상의 격차가 있어도 제판 시트(B)를 확실하게 장치 외부로 이송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8 및 도 14를 참조하여, 노광부에 구비된 노광 장치(65)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광 장치(65)는 포켓(6)에 설정된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대치하도록 설치한 자외선 광원(191)과, 자외선 광원(191)과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 사이에 설치한 누름판(58)을 구비하고 있다.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과 누름판(58)과 자외선 광원(191)과는 각각 사이를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쇄면(Ad)과 누름판(58) 사이에 잉크 리본(C)이 설치된다. 누름판(58)은 투명한 수지 등으로 구성되며, 전진하여 잉크 리본(C)을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노광 때는 누름판(58)에 의해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잉크 리본(C)을 눌러 접촉한 후, 자외선 광원(191)을 점등하여 누름판(58)을 넘어 잉크 리본(C)을 마스크로 한 노광이 수행된다(도 13참조).
자외선 광원(191)은 세미-핫 관(semi-hot tube)이라고 블리는 자기 가열형 열 음극관이여, 도 15A(정면도)와 도 15B(측면도) 및 도 16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92)상에 설치한 형광관 홀더(193)에 지지되어 있다. 자외선 광원(191)의 좌우 단부에는 자외선 광원(191)의 수명 및 고장을 검출하는 한쌍의 온도 퓨즈(194, 194)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온도 퓨즈(194)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자외선 광원(191)의 긴쪽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것에 하측에서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각각의 온도 퓨즈(194)는 형광관 홀더(193)로부터 연장되는 유지 아암(195)에 의해 하측에서 유지되는 동시에 용수철 성질을 갖는 유지 아암(195)에 의해 자외선 광원(191)에 접촉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외선 광원(191)의 후방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자외선을 앞쪽으로 집중하여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퓨즈(194)를 자외선 광원(191)으로부터 이격 설치하여, 자외선 광원(191)의 열이 온도 퓨즈(194)로 열전도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자외선 광원(391)의 광량의 시작이 양호하게 된다.
누름판(58)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투명한 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긴쪽 방향의 양단부에서 좌우의 누름판 홀더(20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누름판 홀더(201)는 상기 리본 누름 링크(62c)의 각 단부에 설치한 2개의 지지핀(144)에 삽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14 참조). 누름판(58)은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접착되는 누름판 본체(202)와 누름판 본체(202)의 각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한 상하 한쌍의 가이드 클릭(203)과, 상하 한쌍의 가이드 클릭(203) 사이에 누름판 본체(202)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플레이트부(204)로 구성되고, 플레이트부(204)에는 누름판(58)의 상하 중간에 위치시켜 누름판(58)의 전후 방향의 요동을 안내하는 축 돌기(205)가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지만, 누름판 본체(202)는 긴쪽 방향에 있어서, 인장 본체(A)와는 역측으로, 즉 자외선 광원측으로 약간 휘어지고 있고, 누름판(58)에 의해 잉크 리본(C)이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접착되었을 때, 인쇄면(Ad)에 대하여 잉크 리본(C)이 눌러 넓혀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름판 본체(202)의 양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 설치한 가이드편(206)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가이드편(206)은 경사 후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에 따라, 리본 카트리지(11)의 장착 때, 잉크 리본(C)이 누름판(58)과 인장 본체(A) 사이로 적절히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름판 본체(202) 양단은 원호 형상으로 모떼기되어 있고, 노광 때 상기 모떼기 부분(207)에 잉크 리본(C)의 구김이 생기지 않도록 구부려진다(도 13참조). 또, 도 17 및 도 13 중의 부호(208, 208)는, 누름판 본체(202)의 강성을 높이도록 설치한 상하 한쌍의 리브이다.
한편, 각각의 누름판 홀더(201)에는 누름판(59)의 상하 한쌍의 가이드 클릭(203, 203)을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하 한쌍의 V홈(210, 210)이 형성되고, 또한 축돌기(205)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는 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누름판(58)은 그 양단부에서 가이드 클릭(203)을 V홈(210)에, 축돌기(205)를 오목 홈(211)에 각각 맞물림하도록 하고, 좌우의 누름판 홀더(201, 201)에 미소 거리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또한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태로 누름판(58)의 각 외측 단부에는 각 누름판 홀더(201)로부터 연장 설치된 상하 한쌍의 용수철편(212)이 후방에서 접착되어 있고, 누름판(58)은 상기 용수철편(212)에 의해 상기 가이드 클릭(203)의 클릭 부분이 V홈(210)의 저부에 접촉하는 전진 단부 위치를 향해 가압된다.
도 14(도 2)의 상태에서, 리본 누름 링크(62C)가 전진하면, 이것에 따라 양 누름판 홀더(20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누름판(58)이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을 향하여 평행 이동된다. 리본 누름 링크(62C)의 이동 스트로크는 누름판(58)과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되고, 리본 누름 링크(62c)가 전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이미 누름판(58)과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이 충돌하고, 누름판(58)은 인쇄면(Ad)에서의 반력을 받아 각 누름판 홀더(201)에 대해 상대적으로 약간 후퇴한다. 상기 누름판(58)의 후퇴는 인쇄면(Ad)에서의 반력에 의하기 때문에, 반력과 누름판(58)의 각 부분의 압착력이 저항하여, 누름판(58)은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모방하여 접촉한다 (도 18참조). 즉, 누름판(58)은 잉크 리본(C)을 결합하고, 이것을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틈 없게 밀착시킨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누름판 홀더(201)에는 또한 한쪽의 지지핀(144)이 통과하는 가이드핀 유지부(2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핀 유지부(214)에는 미끄럼 부재(215)가 설치되어 있다. 리본 미끄럼 부재(215)는 횡단면 반달형으로 형성되고, 그 반원면이 누름판(58)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리본 미끄럼 부재(215) 상하의 중간부에는 각각 둥근 구멍을 갖는 좌우 한쌍의 지지편(21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16)의 둥근 구멍이 가이드핀 유지부(214)로 형성한 한쌍의 축돌기(217)에 외측으로 각각 결합함에 따라, 리본 미끄럼 부재(215)가 가이드핀 유지부(214) 축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핀 유지부(214) 및 리본 미끄럼 부재(215)는 누름판(58) 및 인장 본체(A)의 외측에 설치되고 (도 14 및 도 17참조), 우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핀 유지부(214) 및 리본 미끄럼 부재(215)가 상기 제 1 가이드핀(53)을, 좌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핀 유지부(214) 및 리본 미끄럼 부재(215)가 상기의 제 2 가이드핀(54)을 각각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제 1 가이드핀(53)과 제 2 가이드핀(54)에 의해, 누름판(58)과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 사이를 주행하는 잉크 리본(C)이 이들에 간섭하지 않고 이들과 평행하게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지만, 가이드핀 유지부(214)가 누름판 홀더(20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판(리본 누름링크 62c)(58)의 전진에 따라,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 가이드핀(54)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은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 54) 사이로 연장된 잉크 리본(C)의 당김을 느슨하게 하여, 상기 잉크 리본(C)은 그 장력이 감소된 상태로, 즉 세로 구김이 생기지 않은 상태로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접착된다.
상기 상태를, 도 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또한 상술면, 도 2에 있어서 주행하는 잉크 리본(C)에는 테이크-업 릴(13)에 의해 강한 장력이 작용하고, 상술한 바와 갈이 잉크 리본(C)은 아주 얇은 테이프이므로 세로 구김이 생긴다. 따라서, 이대로 잉크 리본(C)을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에 누르면 잉크 리본(C)은 세로 구김이 생긴 채 인쇄면(Ad)에 눌려, 인장 문자가 비뚤어져 노광되어버린다. 한편, 잉크 리본(C)이 이완되면, 인장 문자가 위치를 벗어나 노광되어 버린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58)의 전진에 따라,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가이드핀(54)도 전진시켜, 잉크 리본(C)이 당김을 느슨하게 하는 동시에, 그 때에 텐션핀(55)에 의해, 잉크 리본(C)에 세로 구김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약한 힘으로 당기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3의 노광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C)은 텐션핀(55) 및 제 2 경로핀(52)에 의해 누름판(58) 양단의 후방으로 절곡되고, 누름판(58)의 양단에 형성한 모떼기 부분(207)의 작용에 의해, 잉크 리본(C)에 필요없는 구김이 발생하지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9를 참조하여, 잉크 리본(C)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급 릴(14)로부터 감겨진 잉크 리본(C)은 제 1 경로핀(51)에 의해 인자 장치(64)에 적절히 인도되고, 또한 인자 장치(64)로부터 제 2 경로핀(52)에 의해 크게 휘어져, 계속되는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 가이드핀(54)에 의해 노광 장치(65)에 적절히 인도되고, 마지막으로 텐션핀(55)을 통해 테이크-업 릴(13)에 감긴다. 상기 경로는 잉크 리본(C)의 주행시 및 주행 대기시에 관한 것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노광시의 경로는 이것과는 다른 것으로 되고, 또한 리본 카트리지(11)로서 운반하는 경우에도 다른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리본 카트리지(11)를 운반할 때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각 릴이나 각 핀을 포함하는 리본 카트리지(11) 자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A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본 카트리지(11)는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22)와, 베이스 플레이트(222)로부터 연장되는 다수 라인의 각부(223)로 구성된 카트리지 케이스(221)에 각 릴이나 각 핀을 한쪽 끝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리본 카트리지(11)는 베이스 플레이트(222)를 위로 하고, 장치 본체(5)의 수용부(5a)에 그 각부(228)를 결합시킴으로써 장치 본체(5)에 장착된다. 또한, 각부(223)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221)의 각부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짧은 변측의 단부에는 공급 릴(14)이 회전 가능하게 늘어뜨려 설치되는 동시에, 긴 변 측의 단부에는 테이크-업 릴(13)이 회전 가능하게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급 릴(14)의 상대편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22)로부터 늘어진 보강 리브가 부착된 제 1 경로핀(51)이 설치되고, 또한 그 앞쪽에는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 경로 변경 부재(224)가 구비되어 있다. 테이크-업 릴(13)의 앞에는 텐션핀(55)이 코일 용수철(225)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222)에 진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5)의 수용부(5a)에는 테이크-업 및 공급 릴(13, 14)의 릴 축(102, 226), 인쇄 문자 헤드(56), 플라텐 롤러(57), 이송 및 송출 통로(181, 182), 제 2 경로핀(52),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 54) 누름판(58), 자외선 광원(191)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릴{테이크-업 릴(13)도 완전히 같음}(14)은, 잉크 리본(C)이 감겨지는 원통형의 축부(228)와, 축부(228)의 상단에 연장 설치된 상부 결합부(229)와, 축부(228)의 하단에 연장 설치된 하부 결합부(230)를 가지며, 상부 결합부(229)에 베이스 플레이트(222)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하부 결합부(230)에 장치 본체(5)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 결합부(229)는 원통형부(231)와, 원통형부(231)의 상측에 연속해 위치된 플랜지상의 관부(232)로 이루어지며, 이것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22)에는 원통형부(231)가 회전 가능하게 미끄럼 접촉하는 베어링부(233)와, 관부(232)의 하면이 장착하는 단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관부(232)의 하면 및 단부(234)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부(232)가 단부(234)에 접촉(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공급 릴(14)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경우, 리본 카트리지(11)를 장치 본체(5)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공급릴(14)이 겨우 밀어 올려지고, 관부(232)와 단부(234)의 결합이 해제되고, 공급 릴(14)은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리본 카트리지(11)가 장치 본체(5)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급 릴(14)이 그 자체 중량으로 밀어 내려지고, 관부(232)와 단부(234)가 맞물려 공급 릴(14)에 역회전 멈춤이 작용한다. 상기 역회전 멈춤은 잉크 리본(C)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테이크-업 릴(13)에서는 잉크 리본(C)의 주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공급 릴(14)에서는 잉크 리본(C)의 주행 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된다. 물론, 테이크-업 릴(13)과 공급 릴(14) 모두는 잉크 리본(C)을 당기는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다. 또한, 교환을 위해 제공되는 리본 카트리지(1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상면에 관부(232)를 단부(284)로 가압하는 눌림판(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상기 상태로 포장되어 제공된다.
경로 변경 부재(224)는 도 20A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코너 부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236)와 슬라이더(236)에 일체로 형성된 경로 변경핀(2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36)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상면과 하면으로 구성된다. 경로 변경핀(237)은 슬라이더(236)의 슬라이드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는 테이크-업 릴(13)과 공급 릴(14) 사이로 가로지른 잉크 리본(C)을 거의 직각으로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리본 카트리지(11)를 장치 본체(5)에 장착할 때까지는 잉크 리본(C)을 직각으로 연장한 상태로 하고, 장치 본체(5)에 장착하면 경로 변경핀(237)을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시키도록 한다(도 22 참조).
이것에 의해, 리본 카트리지(11)를 장착할 때는, 경로 변경핀(237)과 텐션핀(55)이 협동하여 잉크 리본(C)의 경로를 누름핀(58)이나 인장 본체(A), 제 2 경로핀(52) 등과 간섭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또한 경로 변경핀(237)과 제 1 경로핀(51)이 협동하여 잉크 리본(C)의 경로를 인쇄 문자 헤드(56)나 플라텐 롤러(57) 등과 간섭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그리고, 리본 카트리지(11)를 장착한 후, 경로 변경핀(237)을 이동시킴으로써, 잉크 리본(C)의 경로가 상기의 주행시 및 주행대기시의 상태가 된다.
텐션핀(55)은 단면 반원형의 미끄럼 접촉부(239)와 상기 미끄럼 접촉부(239)를 지지하는지지 플레이트부(240)로써 이루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222) 사이에 삽입한 코일 용수철(225)에 의해, 잉크 리본(C)을 연장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가한다. 코일 용수철(225)의 스프링 힘은, 뻗은 잉크 리본(C)에 세로 구김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약한 것이며, 텐션핀(55)은 잉크 리본(C)에 이완이 생기지 않도록 기능한다. 즉, 교환을 위한 리본 카트리지(11)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테이크-업 릴(18) 및 공급 릴(14)이 역회전 멈춤 상태에 있어서 양쪽 릴(13, 14) 사이에 잉크 리본(C)이 가로지르며, 상기 잉크 리본(C)과 충돌하는 텐션핀(55)은 진동 등에 의한 잉크 리본(C)의 이완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노광 동작에 있어서, 누름판(58)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8, 54)이 인장 본체(A)측 전방으로 동시에 이동할 때, 텐션핀(55)은 잉크 리본(C)에 이완이 생기지 않도록, 또한 세로 구김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이것을 당긴다. 또한, 텐션핀(55)에 전자의 기능을 요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텐션핀(55)을 장치 본체(5)측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텐션핀(55)의 텐션 기능이 보다 안정된다.
또한,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경로핀(52)의 미끄럼 접촉부(242) 및 텐션핀(55)의 미끄럼 접촉부(239)는 일반 프리 등과 같이 중고 형상으로 형성되고, 테이프 폭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주행하는 잉크 리본(C)이 각각의 미끄럼 접촉부(239, 242)로부터 하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미끄럼 접촉부(239, 242)와 잉크 리본(C)이 정확히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잉크 리본(C)이 경사져 주행하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것들의 미끄럼 접촉부(239, 242)에 접촉하는 잉크 리본(C)은 그의 폭 방향의 중간부가 약간 팽창하도록 주행한다. 그에 따라, 제 2 경로핀(52) 및 텐션핀(55)의 각 미끄럼 접촉부(242, 289)와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 54)의 각 리본 미끄럼 부재(215)에 의해서, 잉크 리본(C)은 항상 일정한 높이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노광 장치(65)와 평행하게 마주하게 된다.
다음에, 개폐 덮개(7)의 개폐와 연동하는 검출 장치(66)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검출 장치(66)는 포켓(6)에 인장 본체(A)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인장 본체(A)의 종별을 판별한다. 인장 본체(A)에는 각형 인용, 씨명 인용, 비즈니스 인용, 주소 인용 등의 다양한 각종 형상이 준비되고, 이들 각종 인장 본체(A)는 길이는 동일하지만 폭 및 두께가 다르다. 또한, 「길이」는 인쇄편(Ad)과 반대측면 사이의 인장 본체(A)의 치수를 의미하며, 「폭」은 포켓(6)에 장착된 위치에서의 양측면 간의 치수를 의미하고, 「두께」는 포켓(6)에 장착된 위치에서의 인장 본체의 상면과 저면 간의 치수를 의미한다. 이러한 폭 및 두께가 다른 각종의 인장 본체(A)를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에 있어서 포켓(6) 내의 일정한 위치에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4 및 도 25A 내지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6)의 저면(6b)에 길고 짧은 4개의 보스(251)가 설치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인장 본체(A)에는 보스(251)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Af)이 형성된다.
4개의 보스(251, 251, 251, 251)는 「T」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각형 인으로서는 2개의 결합 구멍(Af)이 (도 25A 및 25B), 비즈니스 인으로서는 4개의 결합 구멍(Af)이 (도 25C 및 25D)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인장 본체(A)의 결합 구멍(Ag)의 수 및 깊이는 인장 본체(A)의 종별에 의해 다양하며, 상기 결합 구멍(Af)과 보스(251)의 조합에 의해, 포켓(6)에 장착된 각종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 중심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위치결정된다.
또한, 인장 본체(A)의 인쇄면(Ad)과 반대의 배면(Ag)에는, 중심부 위치에, 즉 두께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좌우 대칭으로 횡 및 다수개의 작은 구멍(종별검출 구멍)(Ah)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검출 장치(66)의 스위치 어레이(262)와의 협동에 의해, 인장 본체(A)의 종별이 판별된다(도 31A 내지 31G 참조). 또한, 인장 본체(A)의 배면(Ag)에는 인자 후에 잉크 리본(C)에서 분리하여 장치 외부로 이송된 제판 시트(B)의 인장 문자 라벨(Bd)이 점착되고, 이것에 의해 작은 구멍(Ah)이 가려지도록 되어 있다.
검출 장치(66)는, 도 26,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본체(A)의 배면(Ag)과 마주하도록 설치한 스위치 홀더{포켓(6)의 벽면을 겸하고 있다}(261)와, 스위치 홀더(261)에 지지된 6개의 검출 스위치(263)로 구성된 스위치 어레이(262)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검출 스위치(263)는 푸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스위치 본체(264)와 선단이 포켓(6) 내애서 마주하는 스위치 톱(2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톱(265)은 평판부(266)와 평판부(266)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검출 돌기부(267)로 이루어지고, 평판부(266)의 하부에서 스위치 홀더(261)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268)에, 또한 검출 돌기부(267)에서 스위치 홀더(261)로 형성한 가이드 구멍(269)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위치 본체(264)는 기판(270)의 이면에 고정되어, 그 플런저(271)를 스위치 톱(265)의 평판부(266)와 충돌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플런저(271)는 그 스프링 힘으로 스위치 톱(265)을 포켓(6)측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가압에 의해 검출 돌기부(267)의 선단이 스위치 홀더(261)의 가이드 구멍(269)으로부터 포켓(6)내로 돌출하는 상태와, 상기 가압에 저항하여 가이드 구멍(269)에 몰입하는 상태가 검출 스위치(263)의 ON-OFF에 대응한다.
한편, 스위치홀더(261)의 평판부(266)에는 덮개 개방 링크(62a)의 스위치 작동부(132)가 플런저(271)의 스프링 힘에 저항하도록 충돌하고, 덮개 개방 링크(62a)의 회전에 따라 모든 스위치 톱(265)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작동부(132)와 스위치 톱(265)을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으며, 또한 스위치 톱(265)과 검출 스위치(263)를 일체로서 형성하여, 스위치 작동부(132)에 의해 기판(270)을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덮개 개방 링크(62a)가 도시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 덮개(7)가 개방하고 있을 때는, 스위치 톱(265)은 전방{기판(270)측}으로 이동하고, 그 검출 돌기부(267)가 포켓(6) 내에서 퇴피한다(도 26참조). 그에 따라, 검출 장치(66)의 검출 모드가 해제되며, 또한 검출 돌기부(267)에 간섭하지 않도록 인장 본체(A)를 착탈할 수 있다. 한편, 덮개 개방 링크(62a)가 도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개폐 덮개(7)가 폐쇄되어 있을 때, 스위치 톱(265)은 후방{포켓(6)측}으로 이동하고, 그 검출 돌기부(267)가 포켓(6) 내로 돌출한다. 그에 따라, 검출 장치(66)가 검출 모드로 되지만, 이 때 포켓(6) 내에 인장 본체(A)가 장착되어 있으면, 스위치 톱(265)이 이것에 충돌한 상태로 되어, 검출 스위치(268)가 OFF되어 안장 본체(A)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다(도 29 참조). 반대로, 인장 본체(A)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스위치 톱(265)이 최대한 밀어 낸 상태로 되어, 검출 스위치(268)가 ON 되어 인장 본체(A)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다.
실제로는, 스위치 어레이(262) 중의 어느 1개의 검출 스위치(263)가 OFF 상태로 되었을 때, 인장 본체(A)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모든 검출 스위치(263)가 ON 상태가 되었을 때, 인장 본체(A)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다. 또한, 검출 모드의 모드 변환을 대신하여 도 26에 도시한다. 스위치 톱(265)의 검출 돌기부(267)가 포켓(6) 내에서 퇴피함으로써, 개폐 덮개(7)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이것을 노광 저지의 우선 검출 신호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스위치 어레이(262)의 각 검출 스위치(268)는 대응하는 인장 본체(A)의 소구멍(Ah)의 유무에 의해, 도 29 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 또는 OFF 중의 어느 상태가 된다. 따라서, 6개의 검출 스위치(263)의 ON-OFF 패턴에 의해 인장 본체(A)의 종별이 판별된다.
도 31A 내지 도 31G는 인장 본체(A)의 소구멍(Ah)과, 6개의 검출 스위치(검출 돌기부)(268)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6개의 검출 스위치(263)와 소구멍(Ah)의 유무 관계로부터, 2n-1 종류, 즉 68 종의 판별 패턴이 가능하다. 상기의 경우, 각형 인 등의 폭이 좁은 인장 본체(A)에 대하여는, 양쪽 외측단 2개의 검출 스위치(263, 263)에 대한 소구멍(Ah)이 없고, 상기 2개의 검출 스위치(268, 263)는 인장 본체(A) 양측의 공간을 향하여 돌출한다. 즉, 각형 인 등의 폭이 좁은 인장 본체(A)에서는 인장 본체(A)의 최고 외측단에 가공의 소구멍(Ah)이 있는 판별 패턴으로서 인식된다.
다시 말하면, 63종의 판별 패턴 내의 최고 외측단에 소구멍(Ah)이 있는 판별 패턴을 각형 인 등의 폭이 좁은 인장 본체(A)에 배당함으로써 판별 패턴의 수를 감소하지 않고, 모든 검출 스위치(263)가 대응할 수 없는 폭의 인장 본체(A)를 판별 할 수 있다. 또한, 6개의 검출 스위치(263)는 예비를 포함하는 것이며, 실제로는 4개의 검출 스위치(263)로 충분하다.
이상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이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는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를 구비한 인장 작성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는 상기 인장 작성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인장 작성 장치의 기계 장치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기계 장치부에 구비된 리본 이송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기계 장치부에 구비한 기능 링크 기구의 「OFF」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기계 장치부에 구비하는 기능 링크 기구의 「OPEN」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기계 장치부에 구비하는 기능 링크 기구의 「입력/제판」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기계 장치부에 구비하는 기능 링크 기구의 「노광」 위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기능 링크 기구의 덮개 오픈 링크 주위의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기능 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을 나타내는 내부 구조도.
도 10은 기능 스위치의 다이얼을 제거한 로크 기구 주위의 평면도.
도 11은 기능 스위치 및 로크 기구 주위의 단면도.
도 12는 기계 장치부의 인자 장치 주위의 확대 평면도.
도 13은 기계 장치부의 노광 장치 주위의 평면도.
도 14는 기계 장치부의 노광 장치 주위의 확대 평면도.
도 15A는 노광 장치의 자외선 광원 주위의 정면도.
도 15B는 노광 장치의 자외선 광원 주위의 측면도.
도 16는 노광 장치의 자외선 광원 주위의 평면도.
도 17은 노광 장치의 누름판 주위의 평면도.
도 18은 노광 장치의 누름판 및 누름판 홀더 주위의 확대 측면도.
도 19는 잉크 리본의 경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경로도.
도 20A는 리본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20B는 도 20A 리본 카트리지를 꺼낸 상태의 장치 본체의 평면도.
도 21은 장치 본체에 장착하기도 하는 리본 카트리지의 확대 측면도.
도 22는 리본 카트리지를 장착한 직후의 기능 스위치를 제외하는 기계 장치의 평면도.
도 23A는 제 2 경로핀의 부분 사시도.
도 23B는 텐션핀의 부분사시도.
도 24는 개폐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포켓 주위의 평면도.
도 25A 및 도 25B는 각형인의 인장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5A는 포켓에 장착한 상태의 각형인의 인장 본체를 도시하고, 도 25B는 각형인의 인장 본체의 밑바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C 및 도 25D는 비지니스인의 인장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5C는 포켓에 장착한 상태의 비지니스인의 인장 본체를 도시하고, 도 25D는 비지니스인의 인장 본체의 밑바닥부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포켓 및 검출 장치 주위의 단면도.
도 27은 포켓 및 검출 장치 주위의 정면도.
도 28은 포켓 및 검출 장치 주위의 부분 평면도.
도 29는 검출 장치의 2 종류의 검출 동작의 한쪽을 나타낸 단면도.
도 30은 검출 장치의 상기 2 종류의 검출 동작이 다른쪽을 나타낸 단면도.
도 31A는 작은 각형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1B은 큰 각형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1C은 씨명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1E은 큰 비지니스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1F은 주소인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1G은 가장 큰 인장 본체의 판별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2은 인장 본체의 구조도.
도 33은 제판 시트의 구조도.
도 34A 및 도 34B는 제판 시트의 길이와 인장 본체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Claims (19)

  1. 중첩 인쇄에 의해, 인쇄면 작성용 마스크로 이루어지는 네거티브 화상이 형성되는 잉크 리본에 대해, 인장의 배면에 점착하는 인장 문자가 포지티브 화상으로서 인쇄되는 스트립(strip) 형상의 제판 시트(plate-making sheet)로서, 중앙부에 상기 인장 문자가 인쇄되어 인장 문자 라벨로서 사용되는 라벨부를 갖는 제판 시트에 있어서,
    기재 시트(base sheet) 및 상기 기재 시트 상에 적층된 점착 시트(adhesive sheet)로 구성되며, 상기 점착 시트에 형성된 절단선(cutting line)에 의해 상기 라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와 점착 시트의 색채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단부로부터 격리됨과 동시에 상기 라벨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검출 센서용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짧은 변 방향의 한쪽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라벨부를 중심으로 하는 점대칭 위치에 한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
  6. 라벨부의 형상만이 다른, 제 1 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종의 제판 시트로 구성된 제판 시트군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 및 점착 시트 중 적어도 한쪽 색채는 상기 제판 시트 상호간에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판 시트의 기재 시트와 상기 점착 시트의 색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군.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판 시트의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를 인쇄 기구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의 인쇄 기구로의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부는 인장(印章)의 배면에 점착되는 인장 문자 라벨이고, 상기 인쇄 기구는 라벨부로의 인쇄와 인장 작성용의 마스크로의 인쇄를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판 시트는 검출 센서용의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은 상기 양쪽 짧은 변에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격리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라벨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검출 센서는 광 센서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 및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것에 대응하는 단부의 적어도 한쪽에 의해서 수광 상태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제판 시트의 이송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은 제판 시트의 양쪽 긴 변에 평행한 중심선으로 부터 편이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광 센서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빛이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제판 시트가 정확하게 삽입되었다고 판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것의 단부를 검출한 후, 소정의 이송량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의 존재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한 제판 시트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판 시트의 이송을 검출한 후 인쇄되어야 할 화상의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인쇄 개시 위치까지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서 상기 제판 시트가 이송되었을 때, 상기 인쇄 기구가 인쇄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판 시트의 이송을 검출한 후, 인쇄할 화상의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인쇄개시 위치까지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판 시트가 이송되었을 때, 인쇄 기구가 인쇄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판 시트의 이송을 검출한 후, 인쇄할 화상의 길이에 따라서 설정되는 인쇄 개시 위치까지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해서 상기 제판 시트가 이송되었을 때, 상기 인쇄 기구가 인쇄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판 시트와 잉크리본을 중첩한 상태에서 이것에 인쇄 동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판 시트에 상기 잉크 리본의 잉크를 전사하여, 상기 제판 시트의 라벨부에 포지티브 화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잉크 리본에 네거티브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기구와,
    네거티브 화상을 형성한 잉크 리본을 마스크로 하여,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에 노광을 행함으로써, 상기 인쇄면에 인장 화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와,
    상기 제판 시트 및 잉크 리본을 이송하여 상기 인쇄 기구에 동시에 마주시키고, 또한 인쇄 완료 후, 상기 잉크 리본을 이송하여 상기 노광 기구에 마주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판 시트를 장치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를 구비한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리본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 상기 인쇄 기구를 벗어난 위치로부터 상기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의 중심 위치에 이르는 경로 길이는 상기 제판 시트의 이송 방향의 반(1/2) 길이와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리본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 상기 인쇄 기구를 벗어난 위치로부터 상기 인장 작성 대상물의 인쇄면의 중심 위치에 이르는 경로 길이는 상기 제판 시트의 이송 방향의 반 길이보다 약간 길어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의 인쇄 장치.
  18. 중첩 인쇄에 의해, 인쇄면 작성용 마스크로 이루어지는 네거티브 화상이 형성되는 잉크 리본에 대해, 인장의 배면에 점착하는 인장 문자가 포지티브 화상으로서 인쇄되는 스트립(strip) 형상의 제판 시트(plate-making sheet)로서, 중앙부에 상기 인장 문자가 인쇄되어 인장 문자 라벨로서 사용되는 라벨부를 갖는 제판 시트에 있어서,
    검출 센서용의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은, 상기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격리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라벨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긴 변에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편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판 시트.
  19. 제판 시트의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로서, 상기 제판 시트는 기재 시트와 상기 기재 시트상에 적층한 점착 시트로 구성되고, 양쪽 긴 변과 양쪽 짧은 변을 갖는 스트립 형상의 제판 시트인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판 시트는 검출 센서용의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은 상기 양쪽 짧은 변의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격리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라벨부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제판 시트의 양쪽 긴 변과 평행한 중심선으로부터 편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라벨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장 기구와,
    상기 제판 시트를 인쇄 기구로 이송하는 이송 기구와,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제판 시트의 인쇄 기구로의 이송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KR1019960067633A 1995-12-18 1996-12-19 제판시트,제판시트군및그인쇄장치 KR10048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633A KR100485195B1 (ko) 1995-12-18 1996-12-19 제판시트,제판시트군및그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29345 1995-12-18
JP96-253949 1996-09-04
KR1019960067633A KR100485195B1 (ko) 1995-12-18 1996-12-19 제판시트,제판시트군및그인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195B1 true KR100485195B1 (ko) 2005-09-02

Family

ID=4366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633A KR100485195B1 (ko) 1995-12-18 1996-12-19 제판시트,제판시트군및그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1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661A (ja) * 1985-12-20 1987-06-30 Tokyo Electric Co Ltd ラベルプリンタ
JPH07261665A (ja) * 1994-03-23 1995-10-13 Toppan Moore Co Ltd ラベルシート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661A (ja) * 1985-12-20 1987-06-30 Tokyo Electric Co Ltd ラベルプリンタ
JPH07261665A (ja) * 1994-03-23 1995-10-13 Toppan Moore Co Ltd ラベルシート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2455B1 (en) Label tape, label tape cartridge, and label producing apparatus
JP4998103B2 (ja) レタリングテープ及びテープカセット
KR100421325B1 (ko) 인장제작장치와 그의 기능전환기구, 노광장치및 인장제작 대상 물
KR100441812B1 (ko) 인장제조방법및장치
CN109414942B (zh) 打印机
JP3335152B2 (ja) リボンカートリッジ
KR100485195B1 (ko) 제판시트,제판시트군및그인쇄장치
EP0826507B1 (en) Stamp material, stamp material-setting jig and stamp assembly
KR100438227B1 (ko) 다이얼입력장치
KR100441811B1 (ko) 인장작성장치
JP3296699B2 (ja) 印章作成装置における印章本体検出装置
JP3416004B2 (ja) 製版シートおよび製版シート群並びにその印刷装置
JP3310642B2 (ja) 印章作成装置
JP3255564B2 (ja) リボンカートリッジ
JP3477003B2 (ja) 露光装置
JP3313095B2 (ja) ダイヤル入力装置
JP3313094B2 (ja) ダイヤル入力装置
JP3569443B2 (ja) 製版シートおよび製版シートの印刷装置
JP3083240B2 (ja) インクリボンマガジン
KR100279218B1 (ko) 전자기기의리본카트리지장치
JPH09164751A (ja) 電子機器のアクセス対象物装着装置
JP3651101B2 (ja) テープ状ラベル作成装置
JPH0976613A (ja) 印章作成装置の機能切替機構
JP3416000B2 (ja) 自己加熱型熱陰極管の異常検出装置
JPH09164752A (ja) 電子機器のアクセス対象物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