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668B1 - 산모용 침대 - Google Patents

산모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668B1
KR100484668B1 KR10-2003-0003675A KR20030003675A KR100484668B1 KR 100484668 B1 KR100484668 B1 KR 100484668B1 KR 20030003675 A KR20030003675 A KR 20030003675A KR 100484668 B1 KR100484668 B1 KR 100484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wheel
bed
lower fram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571A (ko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에스엠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6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2Wom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산모용 침대는 다양한 체형의 산모에게 적절히 사용될 수 있고, 산모에게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침대를 지지하는 부분을 바퀴(1) 또는 다리(13)가 될 수 있도록 바퀴 승강 수단(A)을 구비하고, 보조 손잡이(51)를 구비한 보조 손잡이 장착부(49)를 더 구비하며, 손잡이 장착부(15)를 면접촉 상태로 장착하고, 하부 프레임(3)의 후방에 수평 상태로 제공되는 레버(21), 이 레버에 팔 구조로 연결되어 수평 상태로 바퀴의 수직축(19)에 관통 설치되는 후방 수평축(23), 전방 바퀴의 수직축에 관통 설치되는 전방 수평축(25), 이 전, 후방 수평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바퀴 또는 다리를 바닥에 닿게 하는 캠(27)과 링크(29), 이 링크의 중 전, 후방 수평축의 링크를 좌우에서 각각 상호 연결하는 좌, 우 로드(31, 33)로 바퀴 승강 수단(A)을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산모용 침대 {Bed for women in children}
본 발명은 산모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만에서 회복까지 일련의 과정에 사용되어 산모와 신생아를 편안하게 하면서 의료진과 간병인을 편리하게 하는 산모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출산은 산모의 배속에 있던 태아가 세상으로 나오는 신성한 과정으로서, 이 출산에 사용되는 침대는 출산의 당사자인 산모와 신생아를 편안하게 함은 물론이고 출산을 돕는 의료진의 의료활동을 편리하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분만에서 회복 과정에 이르는 일련의 출산 과정이 한 곳에서 진행될 수 있고, 분만 및 회복 시 산모의 다양한 자세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의료진의 의료과정별 의료활동에 적절히 대응될 수 있는 산모용 침대가 요구되고 있다.
이 요구에 부응하는 산모용 침대가 알려져 있다. 이 산모용 침대는 바닥에 놓여지는 바퀴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 이 하부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 이 상부 프레임에 수평 상태로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 이 수평 고정부의 후방에서 가변 경사 구조로 연결되는 가변 경사부, 수평 고정부의 전방에서 슬라이드 구조로 연결되는 슬라이드부, 분만 시 산모가 잡고 힘을 줄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손잡이, 그리고 수평 고정부와 가변 경사부 및 슬라이드부에 안장되어 산모를 지지하는 메트리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평 고정부와 가변 경사부에 위치하는 메트리스 부분은 굽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슬라이드부에 위치하는 메트리스 부분은 수평 고정부에 위치하는 메트리스와 분리 가능하게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산모용 침대는 바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산모를 분만실에서 회복실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상부 프레임을 하부 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으므로 침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분만 시 의료진을 편리하게 하며, 상부 프레임에 가변 경사부 및 슬라이드부를 구비하여 분만 및 회복 과정에서 산모의 자세를 편안하게 하고, 슬라이드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드부에 메트리스를 제거하여 분만 과정에 사용되며, 슬라이드부에 메트리스를 구비하여 회복 과정에도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 산모용 침대는 분만 시 힘을 주기 위한 손잡이를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체형의 산모에 적절하지 못하고, 손잡이를 큰 유격으로 상부 프레임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의 큰 유동으로 산모를 불안하게 하며, 바퀴로 침대의 전 하중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메트리스 상에서의 작은 움직임에도 흔들리거나 이동하여 산모를 불안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다양한 체형의 산모에게 적절히 사용될 수 있고, 산모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산모용 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산모용 침대는 바퀴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에 상부 프레임을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상부 프레임에 수평 고정부와 가변 경사부를 구비하여 경사지게 하며, 수평 고정부의 전방에 슬라이드부를 구비하여 이 슬라이드부에 안장되는 메트리스를 수평 고정부와 가변 경사부에 안장되는 메트리스와 분리되게 하고,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분만 시 산모가 잡고 힘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 및 이 다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퀴를 바닥에 선택적으로 닿게 하도록 각 바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축과 이 수직축에 대응하는 하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링크 구조로 형성되는 바퀴 승강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바퀴 승강 수단은 바퀴와 다리를 선택하는 조작력을 제공하도록 하부 프레임의 후방에 수평 상태로 제공되는 레버,
이 레버에 팔 구조로 연결되고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후방 바퀴를 지지하는 수직축에 관통 설치되어 하부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방 수평축,
이 후방 수평축의 대향 측인 전방 바퀴를 지지는 수직축에 관통 설치되어 하부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 수평축,
이 전, 후방 수평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 전, 후방 수평축의 회전에 따라 하부 프레임의 하측에 밀착 또는 해제되면서 바퀴 또는 다리를 바닥에 닿게 하는 캠,
이 캠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수평축의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링크,
이 전방 수평축의 링크와 후방 수평축의 링크를 좌우에서 각각 상호 연결하는 좌, 우 로드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은 바퀴 수직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그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와, 이 가이드에 의한 수직축의 승강이 자유롭도록 전, 후방 수평축 양단의 대향 측에 슬롯홀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손잡이 장착부는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원기둥의 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보스를 상부 프레임의 브래킷에 선회 가능하게 면접촉 상태로 장착하여 보스와 브래킷과의 유격을 줄이도록 체결부재의 머리에 걸리는 리테이너를 보스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은 수평 고정부의 상측에 ∩ 형상의 보조 손잡이 장착부를 구비하고, 이 보조 손잡이 장착부의 내측에 보조 손잡이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모용 침대는 바퀴를 지지하는 수직축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바퀴 승강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이동을 편리하게 하면서 정지 사용 시 산모에게 안정감을 주고, 손잡이 장착부의 유격을 줄임으로서 산모에게 또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보조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서 손잡이를 잡기에 적절하지 않은 작은 체형의 산모에게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모용 침대의 사시도로서, 바퀴(1)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3), 이 하부 프레임(3)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5), 이 상부 프레임(5)에 구비되는 수평 고정부(7)와 가변 경사부(9) 및 슬라이드부(11),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퀴 승강 수단(A)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프레임(3)은 침대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그 하측에 복수의 바퀴(1)와 이 바퀴(1)에 대응하는 다리(13)를 복수로 구비하고 있다. 바퀴(1)는 침대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다리(13)는 사용 시 하부 프레임(3)을 바닥에 고정시켜 사용자, 즉 산모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 하부 프레임(3)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프레임(5)의 승강 구조는 종래의 산모용 침대에 사용되었던 구조 및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는 상부 프레임(5)의 승강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되어 있다. 이 상부 프레임(5)의 승강 구조는 결국 침대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어 분만 시 의료진의 의료활동 및 간병인을 편리하게 하면서, 분만 후 회복 시에는 산모가 그대로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상부 프레임(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 고정부(7)와 가변 경사부(9) 그리고 슬라이드부(11)를 구비하고 있다.
가변 경사부(9)는 그 기울기의 변화에 따라 수평 고정부(7)와 함께 분만 시 및 회복 시에 산모의 자세를 편안하게 한다. 이 가변 경사부(9)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구조는 종래의 산모용 침대에 사용되었던 구조 및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부(11)는 수평 고정부(7)의 하측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부(11)는 인입되어 본 실시 예의 침대를 분만 시에 사용하고, 인출되어 회복 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수평 고정부(7)와 가변 경사부(9) 및 슬라이드부(11)에는 메트리스(미도시)가 안장되어 회복 시에 침대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 메트리스는 수평 고정부(7) 와 가변 경사부(9)에 안장되는 부분과 슬라이드부(11)에 안장되는 부분으로 분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프레임(5)은 양측에 손잡이 장착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잡이 장착부(15)에는 손잡이(1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손잡이(17)는 분만 시 산모가 손으로 잡고 힘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바퀴 승강 수단(A)은 하부 프레임(3)의 하단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13) 또는 이 다리(13)에 대응하게 제공되는 복수의 바퀴(1)를 선택적으로 바닥에 닿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바퀴 승강 수단(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바퀴(11)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축(19)과 이 수직축(19)에 대응하는 하부 프레임(3) 사이에 개재되는 링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바퀴 승강 수단(A)의 일부를 도시하고, 도 2는 바퀴 승강 수단(A)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바퀴 승강 수단(A)은 레버(21), 후방 수평축(23), 전방 수평축(25), 캠(27), 링크(29) 그리고 좌, 우 로드(31, 33)에 의한 링크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21)는 침대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부 프레임(3)에 구비되는 바퀴(1)와 다리(13)를 선택하는 조작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하부 프레임(3)의 후방에 수평 상태로 제공되어 있다. 이 레버(21)는 후방 수평축(2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후방 수평축(23)에 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이 후방 수평축(23)은 침대의 후방 하측에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후방의 바퀴(1)를 지지하는 수직축(19)에 그 양단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방 수평축(23)은 레버(21)의 조작력에 따라 회전하면서 수직축(19)과 함께 승강할 수 있는 구조로 하부 프레임(3)에 장착되어 있다.
즉, 하부 프레임(3)은 가이드(35)와 슬롯홀(37)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35)는 하부 프레임(3)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바퀴(1) 수직축(19)의 승강을 안내하게 된다. 슬롯홀(37)은 전, 후방 수평축(25, 23) 양단의 대향 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축(19)이 승강할 때 수직축(19)에 설치된 전, 후방 수평축(25, 23) 양단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후방 수평축(23)의 대향 측인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수평축(25)은 후방 수평축(23)과 같은 구조로 전방에 위치하는 바퀴(1)를 지지하는 수직축(19)에 관통 설치되고, 하부 프레임(3)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전방 수평축(25)은 후방 수평축(23)과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는 좌, 우측이 분리된 전방 수평축(25)이 예시되어 있다.
캠(27)은 전, 후방 수평축(25, 23)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 후방 수평축(25, 23)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하부 프레임(3)의 하측에 밀착 또는 해제된다.
즉, 이 캠(27)이 하부 프레임(3)의 하측에 밀착됨에 따라 바퀴(1)가 상대적으로 하강하면서 하부 프레임(3)에 구비된 다리(13)가 바퀴(1)보다 상승하게 된다. 바퀴(1)가 바닥에 닿아서 침대를 지지하게 되어, 침대의 이동을 편리하게 한다. 이에 반하여, 밀착 상태에서 캠(27)이 해제에 따라 바퀴(1)가 상대적으로 상승하면서 하부 프레임(3)에 구비된 다리(13)가 바퀴(1)보다 하강하게 된다. 다리(13)가 바닥에 닿아서 침대를 지지하게 되어, 사용 시 침대의 흔들림 또는 이동을 방지한다. 이는 산모에게 안정감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전, 후방측 바퀴(1)가 함께 승강 작용하도록 상기 링크(29)와 좌, 우 로드(31, 33)가 구비되어 있다.
링크(29)는 캠(27)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전, 후방 수평축(25, 23)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좌 로드(31)는 좌측 전방 수평축(25)과 후방 수평축(23)의 좌측을 상호 연결하고, 우 로드(33)는 우측 전방 수평축(25)과 후방 수평축(23)의 우측을 상호 연결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장착부(15)는 원기둥 형상의 보스(39)와 리테이너(41)를 구비하여 상부 프레임(5)의 양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보스(39)는 상부 프레임(5)에 구비된 브래킷(43)에 면접촉 상태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육각 랜치 볼트(45)와 너트(47)로 구성된 체결부재에 의하여 브래킷(43)의 일측에 보스(39)와 리테이너(41)가 체결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41)는 보스(39)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스(39)의 양측은 브래킷(43)과 리테이너(41)에 의하여 면접촉 지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면접촉 지지 상태는 손잡이 장착부(15)의 원활한 선회를 가능하게 하면서 침대 폭 방향으로의 유격을 저감시키게 되어 산모에게 안정감을 주게 된다.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의 수평 고정부(7) 상측에는 보조 손잡이 장착부(49)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보조 손잡이 장착부(49)는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보조 손잡이 장착부(49)는 침대에서 산모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분만 시 산모가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보조 손잡이(51)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보조 손잡이(51)가 손잡이 장착부(49)의 내측에 대향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이 보조 손잡이(51)는 손잡이(17)만 구비된 침대에 비하여 작은 체형의 산모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모용 침대는 바퀴를 지지하는 수직축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바퀴 승강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침대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정지 사용 시 침대가 안정적으로 바닥에 놓에게 되어 산모에게 안정감을 주며, 손잡이 장착부의 유격을 줄여 불필요한 흔들림을 제거함으로서 산모에게 또한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손잡이만 구비된 종래기술에 비하여, 보조 손잡이를 더 구비함으로서 손잡이를 잡기에 적절하지 않은 작은 체형의 산모에게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모용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바퀴 승강 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바퀴 수직축과 하부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손잡이 장착부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퀴 3 : 하부 프레임
5 : 상부 프레임 7 : 수평 고정부
9 : 가변 경사부 11 : 슬라이드부
13 : 다리 15 : 손잡이 장착부
17 : 손잡이 19 : 수직축
21 : 레버 23, 25 : 후, 전방 수평축
27 : 캠 29 : 링크
31, 33 : 좌, 우 로드 35 : 가이드
37 : 슬롯홀 39 : 보스
41 : 리테이너 43 : 브래킷
45 : 육각 랜치 볼트 47 : 너트
49 : 보조 손잡이 장착부 51 : 보조 손잡이

Claims (5)

  1. 바퀴를 구비한 하부 프레임에 상부 프레임을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상부 프레임에 수평 고정부와 가변 경사부를 구비하여 경사지게 하며, 수평 고정부의 전방에 슬라이드부를 구비하여 이 슬라이드부에 안장되는 메트리스를 수평 고정부와 가변 경사부에 안장되는 메트리스와 분리되게 하고,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분만 시 산모가 잡고 힘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산모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된 복수의 다리 및 이 다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퀴를 바닥에 선택적으로 닿게 하도록 각 바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축과 이 수직축에 대응하는 하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링크 구조로 형성되는 바퀴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산모용 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 승강 수단은 바퀴와 다리를 선택하는 조작력을 제공하도록 하부 프레임의 후방에 수평 상태로 제공되는 레버,
    상기 레버에 팔 구조로 연결되고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후방 바퀴를 지지하는 수직축에 관통 설치되어 하부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방 수평축,
    상기 후방 수평축의 대향 측인 전방 바퀴를 지지는 수직축에 관통 설치되어 하부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방 수평축,
    상기 전, 후방 수평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 전, 후방 수평축의 회전에 따라 하부 프레임의 하측에 밀착 또는 해제되면서 바퀴 또는 다리를 바닥에 닿게 하는 캠,
    상기 캠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수평축의 다른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링크,
    상기 전방 수평축의 링크와 후방 수평축의 링크를 좌우에서 각각 상호 연결하는 좌, 우 로드를 포함하는 산모용 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퀴 수직축의 승강을 안내하는 그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에 의한 수직축의 승강이 자유롭도록 전, 후방 수평축 양단의 대향 측에 슬롯홀을 구비하는 산모용 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구비되는 손잡이 장착부는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보스,
    상기 보스를 상부 프레임의 브래킷에 선회 가능하게 면접촉 상태로 장착하도록 그 일측에 체결부재의 머리가 걸리고 다른 일측으로 보스를 지지하는 상기 보스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산모용 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수평 고정부의 상측에 ∩ 형상으로 구비되는 보조 손잡이 장착부,
    상기 보조 손잡이 장착부의 내측에 대향 구비되는 보조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산모용 침대.
KR10-2003-0003675A 2003-01-20 2003-01-20 산모용 침대 KR10048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675A KR100484668B1 (ko) 2003-01-20 2003-01-20 산모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675A KR100484668B1 (ko) 2003-01-20 2003-01-20 산모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571A KR20040066571A (ko) 2004-07-27
KR100484668B1 true KR100484668B1 (ko) 2005-04-20

Family

ID=3735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675A KR100484668B1 (ko) 2003-01-20 2003-01-20 산모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1895A (zh) * 2020-06-04 2020-09-08 南通市妇幼保健院 一种便于调节高度和角度的妇科临床检查用腿部支撑架
CN114869656B (zh) * 2022-01-25 2024-04-19 南京垠坤众创空间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妇产科用分娩辅助器械
CN114392094A (zh) * 2022-02-15 2022-04-26 廖紫琼 一种妇产科产妇分娩时助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571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6878A (en) Maternity bed
US7021407B2 (en) Motorized propulsion system for a bed
US4432359A (en) Equipment for handling invalids and the disabled
US4717169A (en) Convertible bed and wheelchair unit
US5774914A (en) Maternity bed
US5862549A (en) Maternity bed
US20060191073A1 (en) Nursing care bed with wheel chair facility
WO2021228041A1 (zh) 床面板组件、护理床及其一键变椅的控制方法
US4232412A (en) Patient transfer device
CN211356357U (zh) 一种妇产科用产后辅助康复护理床
KR100484668B1 (ko) 산모용 침대
CN108283551A (zh) 无线终端控制的智能化医用病床
JP2019507611A (ja) 可動フレーム付きベッド
CN116350440A (zh) 一种多功能电动翻身床
CN115813699A (zh) 一种儿科治疗用限位装置
CN211485361U (zh) 一种小儿重症检查护理辅助装置
JPH0426856B2 (ko)
JPH11309024A (ja) 移動テーブル付きベッド
CN216021718U (zh) 一种轻便型转运车
US4461047A (en) Ledge bed overlay
CN210130861U (zh) 自动升降式骨密度测定辅助装置
CN214231749U (zh) 医疗隔离舱上车担架
CN217245408U (zh) 一种儿童康复站立架
CN218607142U (zh) 一种病床用床中床
CN219963322U (zh) 一种医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