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317B1 -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317B1
KR100484317B1 KR10-2002-0044624A KR20020044624A KR100484317B1 KR 100484317 B1 KR100484317 B1 KR 100484317B1 KR 20020044624 A KR20020044624 A KR 20020044624A KR 100484317 B1 KR100484317 B1 KR 10048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njugated polymer
group
porous material
nano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178A (ko
Inventor
주진수
박강태
김보현
이상윤
박동혁
김지연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Priority to KR10-2002-004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3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량체, 용매 및 도펀트의 혼합용액을 만들고 나노미터 크기의 나노구조 다공성 물질 한쪽 면 위에 금, 은, 백금 등으로 금속 전극을 만든 후 상기 용액 안에서 전기적 중합을 시킴으로써 고분자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를 제조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는 중합용액 내의 단량체 또는 도펀트의 종류와 양의 조절, 도핑(doping), 디도핑(dedoping) 정도를 조절하여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그리고 기계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소자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π-conjugated polymer nano-tube, nano-wi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π-공액 구조의 유기 단량체와 양성자 산의 도펀트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전기화학 중합법으로 제조된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π-공액 고분자는 고분자의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화학적 도핑을 통해 절연체에서 반도체 또는 도체로 전이하기 때문에 전기, 전자, 광학 소자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최근 전도성 고분자들은 2차 전지, 정전기 방지, 스위칭 소자, 비선형 소자, 축전기, 광기록 재료, 전자기파 차폐재료 등 실생활 및 첨단산업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π-공액 고분자가 전도성을 갖기 위해서는 도핑 과정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과정은 상기 고분자를 비전도성 분말형태 또는 필름형태로 제작한 후, 이들을 화학적으로 도핑(doping)하거나 상기 고분자의 비전도성 분말과 도펀트(dopant)를 혼합하여 유기용매에 녹여서 전도성을 가지게 만드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전도성 π-공액 고분자의 합성 방법으로는 화학 중합방법과 전기 화학적 중합방법, 그리고 화학 증기 증착 방법(CVD)이 있다. 이 가운데 화학적 중합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고분자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 화학적 방법으로 중합된 고분자는 다시 용매에 녹여 박막이나 스핀 캐스팅(spin casting)방법 등으로 시료를 제작하고 화학적 도핑 방법을 통해 전기적인 성질을 조절할 수 있다. 전기화학 중합방법은 전해질 용액 속에 있는 단량체들이 전기장 내에서 래디컬(radical)을 형성하여 한쪽 전극으로 이동하면서 중합되는 방법으로 시료의 표면에 비교적 얇은 박막을 형성하는데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화학 중합시료와의 비교 대상으로 많이 연구되어 왔다. CVD 방법은 최근에 등장한 것으로 고진공에서 단량체가 기본 시료 위에 증착 되면서 고분자화 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방법으로 중합된 π-공액 고분자들은 사용된 용매나 도펀트의 종류에 따라서 그 전기적인 성질이 매우 달라지며(전기전도도: 10-12 ~ 102 S/cm) 대기 중에서의 안정성 역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일반적인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는 덩어리(bulk)형태이기 때문에 점점 미세화 되어 가는 전기, 전자 나노소자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도성 고분자를 나노크기의 튜브 또는 와이어로 제조할 필요성이 생겨났다.
현재, 나노소재로서 최근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는 분야중의 하나는 탄소나노튜브 (CNT)이다. 탄소나노튜브는 기계적, 전기적, 화학적 특성 등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어떤 소재보다 뛰어난 성질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크기 면에서도 전기, 전자소자 특성에 잘 맞는다. 그래서 메모리 소자,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에 대한 이용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는 제작과정에서 고온을 유지해야 하며 나노튜브의 성장 및 정제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나노튜브가 단일벽(single-wall) 튜브인가 다중벽(multi-wall) 튜브인가에 따라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차이가 있으며, 나노튜브의 직경 및 전기적 성질을 조절하기가 매우 곤란하고 가공성이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나노크기를 가짐으로써 미세한 전자소자에 응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존의 탄소나노튜브와는 달리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전기적 특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가공성이 뛰어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아닐린, 피롤 및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EDO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전기적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분자 나노튜브가 캄포설폰산, 벤젠설폰산, p-도데실벤젠설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나프탈렌설폰산, 폴리 (4-스티렌설포네이트), HCl, HPF6 및 p-톨루엔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펀트에 의해 도핑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아닐린, 피롤 및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전기적 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분자 나노와이어가 캄포설폰산, 벤젠설폰산, p-도데실벤젠설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나프탈렌설폰산, 폴리 (4-스티렌설포네이트), HCl, HPF6 및 p-톨루엔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펀트에 의해 도핑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a) 극성 용매에 단량체와 도펀트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전기화학 중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나노 크기의 다공성 물질의 한쪽 면에 금속을 부착시킨 후 스테인레스 전극에 부착시키는 단계;
(c) 스테인레스 전극과 상기 중합용액이 접촉되지 않도록 실리콘 테이프로 상기 다공성 물질 주위를 둘러 싸는 단계;
(d) 상기 전극과 또 다른 스테인레스 전극을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중합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e) 전극 양단간에 전류를 인가하여 중합용액내의 단량체를 전기적 중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가 삽입되어 있는 나노구조의 다공성 물질만을 제거하여 도핑 또는 디도핑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를 얻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극성 용매는 H2O, 아세토니트릴 및 N-메틸 피롤리디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량체는 아닐린, 피롤 및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펀트는 캄포설폰산, 벤젠설폰산, p-도데실벤젠설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나프탈렌설폰산, 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 HCl, HPF6 및 p-톨루엔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금속은 금, 은, 백금, 스테인레스, ITO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노구조의 다공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물질을 NaOH 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디도핑된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노구조의 다공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물질을 에탄올: 물: HF의 혼합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도핑된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를 얻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제조에 사용되는 단량체를 하기 화학식 1에, 도펀트는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극성 용매(H2O, 아세토니트릴, N-메틸-2-피롤리디논 등)에 π-공액 구조의 유기 단량체를 이에 적합한 도펀트와 혼합하여 잘 분산된 용액을 만들고, 나노미터 크기의 다공성 물질의 한쪽 면에 금속 전극(금, 은, 백금, ITO 등)을 증착 혹은 부착시킨 다음, 준비한 중합용액 속에서 전극과 전극 사이의 거리를 적당히 유지하면서 전기 화학적 중합방법으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 형태의 π-공액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및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이다.
상기 중합용액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합용액의 상태(온도, 압력, 단량체 및 단량체에 따른 도펀트의 종류와 몰비율) 등이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의 중합용액의 상태 및 전기중합시 합성조건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를 합성할 수 있는데 그 가해진 전압에서 중합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나노튜브가 생성되고 중합시간을 길게하는 경우에는 나노와이어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량체를 2 또는 3가지를 혼합하여 중합시킴으로써 공중합체 또는 3원중합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물질의 나노 크기의 조절에 의해 나노 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직경이 작을 수록 전도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전도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펀트의 사용에 의한 도핑과 추후의 디도핑에 의해 상기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전기적 특성을 절연체, 반도체, 도체로 조절할 수 있어 응용분야가 광범위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는 다공성 물질 내부에 합성되어 있으므로 순수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 시료를 얻기 위해서는 다공성 물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먼저 NaOH용액에 녹여 제거함으로서 디도핑(dedoping)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 시료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핑(doping)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 시료를 얻기 위해서는 에탄올 : 물 : HF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 다공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도핑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 시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및 PEDOT 나노튜브와 나노와이어에 대한 SEM사진을 도 1∼도 6에 나타내었으며, 나노크기의 튜브 또는 와이어가 생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폴리피롤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TEM사진으로서 다공성 물질을 제거한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를 메탄올에 분산시킨 후 카본 코팅된 구리 그리드(grid)에 올린 다음 폴리아닐린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 한 가닥을 선택해 TEM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1
극성용매에 단량체와 도펀트를 용해시킨 다음 30분 동안 교반하여 균질한 전기화학 중합용액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물질로는 Whatman에서 구입한 Anodisc Membrane(지름:25㎜, pore size 0.2㎛)을 사용하여 한쪽 면에 금(Au)을 증착 한 다음 스테인레스(가로=3㎝, 세로=15㎝, 두께=0.5㎜)전극 한쪽 면에 부착시키고 용액주입방지 및 시료 쪽의 집중적인 중합을 위해서 절연체인 실리콘 테이프로 다공성 물질 주변을 실링하였다. 다공성물질을 부착시킨 전극과 부착시키지 않은 전극을 상기에서 제조된 중합용액 내에서 3cm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전극 양단간에 전류을 인가하여 전압인 1.2∼3V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중합시간을 적절히 유지시킨 다음 중합에 사용되어진 다공성 물질을 NaOH용액에 녹여서 디도핑(dedoping)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를 얻었으며, NaOH 대신 에탄올 : 물 : HF를 2:1:1(부피비)로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여 도핑(doping)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를 얻었다. 실시예 1∼11에 사용된 단량체, 도펀트, 인가한 전류 및 시간을 표 1에 나타내었다.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나노튜브 및 나노와이어의 직경은 200nm였으며, 그 각각의 길이와 형태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극성용매(100ml) 단량체 도펀트 인가전류(mA) 중합시간(분)
실시예 1 증류수 피롤(0.5M) CSA(0.1M) 10 1
실시예 2 아세토니트릴 피롤(0.5M) TBAPF6(0.1M) 5 10
실시예 3 N-메틸피롤리돈 피롤(0.5M) DBSA(0.1M) 1 10
실시예 4 증류수 피롤(0.5M) CSA(0.1M) 10 20
실시예 5 아세토니트릴 피롤(0.5M) TBAPF6(0.1M) 5 20
실시예 6 N-메틸피롤리돈 피롤(0.5M) DBSA(0.1M) 1 20
실시예 7 증류수 피롤(0.5M) HPF6(0.2M) 10 20
실시예 8 증류수 아닐린(0.5M) CSA(0.1M) 5 3
실시예 9 증류수 아닐린(0.5M) CSA(0.1M) 5 7
실시예 10 증류수 EDOT(0.05M) DBSA(0.1M) 10 10
실시예 11 증류수 EDOT(0.05M) DBSA(0.1M) 10 60
길이(㎛) 형태
실시예 1 7 나노튜브
실시예 2 20 나노와이어
실시예 3 20 나노튜브
실시예 4 40 나노와이어
실시예 5 30 나노튜브
실시예 6 40 나노와이어
실시예 7 50 나노와이어
실시예 8 10 나노튜브
실시예 9 20 나노와이어
실시예 10 10 나노튜브
실시예 11 40 나노와이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공성이 뛰어나고 경제적으로 저렴한 π-공액 고분자 시료를 기존의 분말형태로 얻는 것이 아니라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 형태로 만들 수 있으므로 미세화되어 가는 전기 및 전자 나노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카본 나노튜브가 갖는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가지면서도 제조가 용이하고 저가이며 전기적 특성의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축전기, 2차 전지의 전극 물질, 나노복합체, 발광 다이오드, FED의 전자 팁, 나노와이어, 나노캡슐, 이온 및 원소 저장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닐린 나노튜브에 대한 SEM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9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닐린 나노와이어에 대한 SEM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폴리피롤 나노튜브에 대한 SEM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폴리피롤 나노와이어에 대한 SEM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PEDOT 나노튜브에 대한 SEM사진이다.
도 6는 실시예 11에 따라 제조된 PEDOT 나노와이어에 대한 SEM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폴리피롤 나노튜브에 대한 TEM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폴리피롤 나노와이어에 대한 TEM사진이다.

Claims (11)

  1. 아닐린, 피롤 및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전기적 중합하여 얻어지며, 직경이 200nm이고 길이가 7∼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튜브가 캄포설폰산, 벤젠설폰산, p-도데실벤젠설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나프탈렌설폰산, 폴리 (4-스티렌설포네이트), HCl, HPF6 및 p-톨루엔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펀트에 의해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3. 아닐린, 피롤 및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전기적 중합하여 얻어지며, 직경이 200nm이고 길이가 20∼50㎛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와이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와이어가 캄포설폰산, 벤젠설폰산, p-도데실벤젠설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나프탈렌설폰산, 폴리 (4-스티렌설포네이트), HCl, HPF6 및 p-톨루엔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도펀트에 의해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와이어.
  5. (a) 극성 용매에 단량체와 도펀트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전기화학 중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나노 크기의 다공성 물질의 한쪽 면에 금속을 부착시킨 후 스테인레스 전극에 부착시키는 단계;
    (c) 스테인레스 전극과 상기 중합용액이 접촉되지 않도록 실리콘 테이프로 상기 다공성 물질 주위를 둘러 싸는 단계;
    (d) 상기 전극과 또 다른 스테인레스 전극을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중합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e) 전극 양단간에 전류를 인가하여 중합용액내의 단량체를 전기적 중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가 삽입되어 있는 나노구조의 다공성 물질만을 제거하여 도핑 또는 디도핑된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를 얻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는 H2O, 아세토니트릴 및, N-메틸 피롤리디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아닐린, 피롤 및 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펀트는 캄포설폰산, 벤젠설폰산, p-도데실벤젠설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나프탈렌설폰산, 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 HCl, HPF6 및 p-톨루엔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금, 은, 백금, 스테인레스, ITO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의 다공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물질을 NaOH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디도핑된 나노튜브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의 다공성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다공성 물질을 에탄올: 물: HF의 혼합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도핑된 나노튜브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KR10-2002-0044624A 2002-07-29 2002-07-29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48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624A KR100484317B1 (ko) 2002-07-29 2002-07-29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624A KR100484317B1 (ko) 2002-07-29 2002-07-29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178A KR20040011178A (ko) 2004-02-05
KR100484317B1 true KR100484317B1 (ko) 2005-04-20

Family

ID=3731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624A KR100484317B1 (ko) 2002-07-29 2002-07-29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968B1 (ko) 2009-02-05 2011-10-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고분자 하이브리드 나노물질, 상기 나노물질의 광학특성 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KR101254893B1 (ko) 2010-12-10 2013-04-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방사법 및 기상 증착 중합법을 이용한 정렬된 폴리피롤 나노튜브의 제조방법과 고감응성 암모니아 진단용 화학센서로서의 응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81B1 (ko) * 2007-09-13 2010-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벽 나노튜브의 발광특성 조절방법
WO2011090226A1 (ko) * 2010-01-22 2011-07-2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전도성 고분자 극미세 와이어의 제조와 전 방향성 배선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극미세 와이어와 배선
KR101420792B1 (ko) * 2012-06-07 2014-07-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내열 1-d 인트린직 컨덕팅 고분자 나노 물질의 제조 방법
CN112635680B (zh) * 2021-03-09 2021-05-25 江西省科学院能源研究所 一种温度诱导空穴掺杂剂在低浓度下深度掺杂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6257A2 (en) * 2000-08-24 2002-02-28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Polymer-wrapped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KR20030086443A (ko) * 2002-05-02 2003-11-10 지벡스 코포레이션 폴리머 및 나노튜브를 비공유적으로 관능화시키기 위한 이폴리머의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6257A2 (en) * 2000-08-24 2002-02-28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Polymer-wrapped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KR20030086443A (ko) * 2002-05-02 2003-11-10 지벡스 코포레이션 폴리머 및 나노튜브를 비공유적으로 관능화시키기 위한 이폴리머의 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968B1 (ko) 2009-02-05 2011-10-3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고분자 하이브리드 나노물질, 상기 나노물질의 광학특성 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KR101254893B1 (ko) 2010-12-10 2013-04-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방사법 및 기상 증착 중합법을 이용한 정렬된 폴리피롤 나노튜브의 제조방법과 고감응성 암모니아 진단용 화학센서로서의 응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178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881B1 (ko) 이중벽 나노튜브의 발광특성 조절방법
Tao Handbook of smart textiles
Kim et al. Characteristics and field emission of conducting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nanowires
US7442284B2 (en) Coated carbon nanotube array electrodes
US8038907B2 (en) Aligned nanostructured polymers
KR100858931B1 (ko) 이중벽 나노튜브 및 이중벽 나노와이어
Reddy et al. Organic conjugated polymer-based functional nanohybrids: synthesis methods, mechanisms and its applications i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upercapacitors and solar cells
Deepshikha et al. A review on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tructured conducting polymers (NSCP) and application in biosensors
Bagherzadeh et al. Electrospun conductive nanofibers for electronics
KR20060097019A (ko) 폴리아닐린 및 탄소 나노튜브 함유 절연 중합체
Alcaraz-Espinoza et al. Supramolecular assembly of nanostructured conducting polymer hydrogels by hydrotropic agents for outstanding supercapacitive energy storage
Deb et al. Coupled polaron-electron charge transport in graphite functionalized polyaniline on cellulose: metal free flexible p-type semiconductor
KR100918472B1 (ko) 슈퍼캐패시터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1147221B1 (ko) 폴리티오펜계 고분자 나노소재 및 이들의 광학특성 조절방법
KR100484317B1 (ko) π-공액 고분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974667A (zh) 多壁纳米碳管/聚苯胺导电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077968B1 (ko) 금속-고분자 하이브리드 나노물질, 상기 나노물질의 광학특성 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KR101740849B1 (ko) 백금이 부착된 탄소 나노입자 함유 폴리아닐린/캄포술폰산 하이브리드 페이스트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광대역 다이폴 태그 안테나 제조 방법
KR20090085788A (ko) 유기 광전소자용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나노선과 이의광학특성 조절방법
CN1598971A (zh) 一种导电高分子-碳纳米管纳米电缆及其制备方法
Jadhav et al. Conducting polymers and their composites
Nath et al. Conjugated polymer-based fiber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Bhattacharya Conducting-polymer-based supercapacitors
US7288871B1 (en) Solid-in-hollow polymer fiber electrochemical devices
Araźna et al. Modification of conductive polymer PEDOT: PSS layer by SWC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