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551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551B1
KR100483551B1 KR10-2002-0072966A KR20020072966A KR100483551B1 KR 100483551 B1 KR100483551 B1 KR 100483551B1 KR 20020072966 A KR20020072966 A KR 20020072966A KR 100483551 B1 KR100483551 B1 KR 10048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exhaust
air
vacuum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790A (ko
Inventor
주성태
진형종
박윤희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551B1/ko
Priority to RU2003103363/12A priority patent/RU2253344C2/ru
Publication of KR2004004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흡입공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집진실 및 집진실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구동실이 구비된 청소기 본체; 모터 구동실에서 발생되는 배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청소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며, 그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배기그릴; 및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공기 분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배기 그릴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공기 분사 장치의 커넥터 양측단으로 구비된 가이드 리브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분사 장치가 배기 그릴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공기 분사 장치와 배기 그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 Vacuum cleaner }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 공기를 분사시켜 청소면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을 불어낼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흡입구(미도시)를 구비하는 브러시(20)가 연장관(30) 및 플렉시블 호스(40)에 의해 청소기 본체(10)에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청소기 본체(10)에는 집진실(11) 및 모터 구동실(미도시)이 격벽(12)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집진실(11)에는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먼지봉투(50)가 설치되며, 모터 구동실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집진실(11)은 격벽(12)에 형성된 흡입 그릴(12a)을 통해 모터 구동실과 연결되며, 모터 구동실은 그 후부에 구비되는 배기 그릴(13)을 통해 청소기 본체(10)의 외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 모터가 구동되어 집진실(11)에 진공압이 발생되면 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브러시(20)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다.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흡입 공기는 연장관(30) 및 플렉시블 호스(40)를 통해 집진실(11)에 설치된 먼지봉투(50) 내로 유입된다. 이 때, 흡입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은 먼지봉투(50) 내에 집진되고, 정화된 공기는 먼지봉투(50)를 빠져나와 흡입 그릴(12a)을 통해 모터 구동실로 유입된 후, 배기 그릴(13)을 통해 청소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이 청소 작업 중 발생되는 배기 공기를 청소 작업에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가 개발되었다. 도 2에는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일 예로서, 한국특허공개 제 1992-0002048호에 개시되어 있는 진공청소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기 공기 분사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그 구성이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와 같으며, 다만, 청소기 본체(60) 일측에 구비된 공기 배출부(61)에 배기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스프레이어(7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레이어(70)는 어댑터(71)와 스프레이 호스(72)가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어댑터(71)에는 공기 배출부(61)에 형성된 결합홈(62)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71a)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어댑터(71)의 결합돌기(71a)를 공기 배출부(61)의 결합홈(62)에 삽입 시키면 공기 배출부(61)로 배기 되는 공기를 스프레이 호스(72)를 통해 분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스프레이어(70)의 어댑터(71) 일단부에 구비된 결합돌기(71a)가 청소기 본체(60)의 결합홈(62)에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청소기 본체(60)에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홈(62)의 내경과 결합돌기(71a)의 외경 사이에 마모에 의한 끼워맞춤 공차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부(61)와 스프레이어(7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기 쉽고, 사용자가 청소 작업 중 스프레이어(70)를 당길 경우 스프레이어(70)의 결합돌기(71a)가 결합홈(62)에서 이탈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청소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공기를 청소면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공기 분사장치가 청소기 본체에 틈새가 발생됨 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흡입공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집진실 및 상기 집진실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구동실이 구비된 청소기 본체; 상기 모터 구동실에서 발생되는 배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청소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며, 그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배기그릴;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공기 분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공기 분사 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돌기부가 구비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분사 호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배기 그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확장부; 및 상기 분사 호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의 선단부에 구비된 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부에는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 호스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그 단면이 대략 사각인 깔때기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요부인 공기 분사 장치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0)와, 배기 그릴(80) 및 공기 분사 장치(90)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도 1 에 도시된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먼지봉투(50)가 설치되는 집진실(11) 및 진공 모터(14)가 설치되는 모터 구동실(15)이 구비된다. 집진실(11)과 모터 구동실(15) 사이의 격벽(12)에는 집진실(11)과 모터 구동실(15)을 연통시키기 위한 흡입 그릴(12a)이 구비된다. 집진실(11)은 청소기 본체(10)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흡입공(16)에 의해 청소기 본체(10)의 외부와 연결되고, 모터 구동실(15)은 청소기 본체(10)의 후방 일측에 구비된 배기구부(17)를 통해 청소기 본체(10)의 외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흡입공(16)을 통해 집진실(11)로 흡입된 흡입 공기는 흡입 그릴(12a)을 통해 모터 구동실(15)로 유입된 후, 배기구부(17)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 배기 그릴(80)은 청소기 본체(10)의 배기구부(17)에 청소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배기 그릴(80)은 배기구부(17)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단이 청소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된다. 배기 그릴(80)의 외부 양측으로는 가이드 레일(81)이 구비된다.
한편, 배기구부(17)와 배기 그릴(80) 사이에는 필터(18)가 개재되어 먼지봉투(50)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공기 분사 장치(90)는, 커넥터(91)와 분사 호스(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넥터(91)는 배기 그릴(80)에 결합되는 확장부(93)와 분사 호스(92)가 결합되는 목부(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확장부(93)는 그 단면이 대략 사각이며, 배기 그릴(80)을 커버하여 배기 그릴(80)로 배기되는 배기 공기를 한 곳으로 집중시킬 수 있도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확장부(93)의 양측부에는 가이드 리브(93a)가 구비된다. 이 가이드 리브(93a)가 배기 그릴(80)의 가이드 레일(81)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됨으로써 커넥터(91)는 배기 그릴(80)을 커버함과 동시에 배기 그릴(8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목부(94)는 확장부(93)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분사 호스(92)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형으로 되어 있다. 목부(94)에는 분사 호스(92)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공(94a)이 형성된다.
상기 분사 호스(92)는 움직임이 자유로운 플렉시블한 호스로 그 일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결합공(94a)에 대응되는 결합돌기(92a)가 구비된다. 분사 호스(92)의 일단부가 목부(94)에 삽입되어 그 결합돌기(92a)가 결합공(94a)에 삽입됨으로써 커넥터(91)와 분사 호스(92)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분사 호스(92)의 타단부에는 공기 분사를 위한 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진공 모터(14)가 구동되어 집진실(11)에 진공압이 발생되면 흡입공(16)을 통해 외부 공기가 먼지봉투(50) 내부로 흡입된다. 이 때, 흡입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은 먼지봉투(50)에 걸러져 수거되고, 정화된 공기는 먼지봉투(50)를 통과하여 격벽(12)의 흡입 그릴(12a)을 통해 모터 구동실(15)로 배기된다. 그리고, 모터 구동실(15)의 배기 공기는 배기구부(17) 및 필터(18)를 거쳐 배기 그릴(80)로 배기된다. 배기 그릴(80)을 빠져 나온 배기 공기는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의 커넥터(91)를 통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분사 호스(92)로 원활하게 이동되면서 유속이 증가된다. 따라서, 분사 호스(92)의 선단부에서 분사되는 배기 공기의 유속 또한 증가되어 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질을 쉽게 불어낼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81)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는 가이드 리브(93a)는 가이드 레일(81)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이드 리브(93a)는 가이드 레일(81)과 커넥터(91)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배기 그릴(80)을 빠져 나온 배기 공기는 대부분이 외부로 누출됨 없이 분사 호스(92)로 이동된다. 또한, 사용자가 분사 호스(92)를 끌어당기더라도 커넥터(91)의 가이드 리브(93a)가 가이드 레일(81)에서 슬라이딩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 분사 장치(90)가 배기 그릴(80)에서 이탈되는 일은 좀처럼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공기 분사 장치(9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커넥터(91)를 배기 그릴(80)에서 분리하거나, 배기 그릴(80)에 결합되어 있는 커넥터(91)에서 분사 호스(92)만을 분리하여 청소기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 그릴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공기 분사 장치의 커넥터 양측단으로 구비된 가이드 리브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분사 장치가 배기 그릴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공기 분사 장치와 배기 그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더욱이, 가이드 리브는 공기 분사 장치와 배기 그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배기 그릴을 통과한 배기 공기는 대부분 외부로 누출됨 없이 공기 분사 장치의 분사 호스를 통해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분사 장치의 커넥터가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구동실에서 발생되는 배기 공기는 커넥터에 의해 그 유속이 증가되도록 가이드되어 분사 호스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이로 인해 분사 호스의 선단부에서 분사되는 배기 공기의 유속이 증가되어 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질을 용이하게 불어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공기 분사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결합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요부인 공기 분사 장치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청소기 본체 11;집진실
12a;흡입 그릴 14;흡입모터
15;모터 구동실 16;흡입공
17;배기구부 80;배기 그릴
81;가이드 레일 90;공기 분사 장치
91;커넥터 92;분사 호스
93a; 가이드 리브

Claims (6)

  1. 흡입공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집진실 및 상기 집진실에 진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구동실이 구비된 청소기 본체;
    상기 모터 구동실에서 발생되는 배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청소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며, 그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배기그릴;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공기 분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분사 장치는,
    상기 배기 그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확장부와, 상기 분사 호스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의 선단부에 구비된 목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돌기부가 구비된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분사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에는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 호스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그 단면이 대략 사각인 깔때기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2-0072966A 2002-11-22 2002-11-22 진공청소기 KR10048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66A KR100483551B1 (ko) 2002-11-22 2002-11-22 진공청소기
RU2003103363/12A RU2253344C2 (ru) 2002-11-22 2003-02-04 Пылесо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66A KR100483551B1 (ko) 2002-11-22 2002-11-22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90A KR20040044790A (ko) 2004-05-31
KR100483551B1 true KR100483551B1 (ko) 2005-04-15

Family

ID=3583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66A KR100483551B1 (ko) 2002-11-22 2002-11-22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3551B1 (ko)
RU (1) RU225334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0851C1 (ru) * 2018-05-14 2019-02-28 Александр Федорович Поп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гелия-3 и гелия-4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964U (ko) * 1973-06-22 1975-03-14
JPS5563955U (ko) * 1978-10-27 1980-05-01
JPS6315943U (ko) * 1986-07-15 1988-02-02
JPH0535047U (ja) * 1991-10-23 1993-05-14 テル 鈴木 電気掃除機の室外排気装置
KR19990040377U (ko) * 1998-04-30 1999-11-2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블로워장치
KR200299351Y1 (ko) * 2002-08-27 2003-01-03 연 태 최 다용도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964U (ko) * 1973-06-22 1975-03-14
JPS5563955U (ko) * 1978-10-27 1980-05-01
JPS6315943U (ko) * 1986-07-15 1988-02-02
JPH0535047U (ja) * 1991-10-23 1993-05-14 テル 鈴木 電気掃除機の室外排気装置
KR19990040377U (ko) * 1998-04-30 1999-11-2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블로워장치
KR200299351Y1 (ko) * 2002-08-27 2003-01-03 연 태 최 다용도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53344C2 (ru) 2005-06-10
KR20040044790A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059B2 (en) Fluid ejection gun and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6640383B2 (en) Steam/vacuum cleaning apparatus
US7024723B2 (en) Duster cleaning member for a vacuum cleaner
US6748622B2 (en) Water circulation cleaner
CN114401656A (zh) 用于真空清洁器具的附件
KR100483551B1 (ko) 진공청소기
KR100386259B1 (ko) 배기순환 진공청소기
JP4836856B2 (ja) ノズル装置
KR20200059797A (ko) 에어 배출관을 구비한 휴대용 진공청소기
JP5728198B2 (ja) 吸引機器の先端構造、および当該先端構造を具備する吸引用アダプター並びに吸引式洗浄ガン
KR20070113734A (ko) 공기 분사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KR20000036313A (ko) 분사호스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KR102528335B1 (ko) 미세먼지 제거 모듈
CN114468839A (zh) 用于表面清洁装置的抽吸管
KR0148991B1 (ko) 긴 흡음배기관을 갖는 흡음방
KR20230123140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휴대형 청소기
JP2707212B2 (ja) 壁面・タイル等の洗浄装置
KR20060100500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노즐어셈블리
KR200358816Y1 (ko)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흡입관
KR200299353Y1 (ko) 공기 분출식 청소기
KR940000793Y1 (ko) 에어건
KR200299351Y1 (ko) 다용도 진공 청소기
KR200144887Y1 (ko) 진공청소기
KR100612207B1 (ko) 압축공기탱크를 갖는 청소기
JP2000166821A (ja) 吸引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