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421B1 - 방사형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공정 - Google Patents

방사형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421B1
KR100483421B1 KR10-2002-0077287A KR20020077287A KR100483421B1 KR 100483421 B1 KR100483421 B1 KR 100483421B1 KR 20020077287 A KR20020077287 A KR 20020077287A KR 100483421 B1 KR100483421 B1 KR 10048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isc
nitrogen
denitrification
treatment method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493A (ko
Inventor
안대희
Original Assignee
안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대희 filed Critical 안대희
Priority to KR10-2002-007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4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2Rotating biological cont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원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막대형상의 발포형 담체를 삽입한 다수 개의 회전원판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위 모듈 부피당 미생물의 부착면적을 증대시켜 미생물의 부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원활한 운영 및 안정적인 수질의 확보를 통하여 공공수역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방사형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공정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radial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s}
본 발명은 방사형 회전원판 및 이를 이용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원판(RBC;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막대형상의 발포형 담체를 삽입한 다수 개의 회전원판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 및 도시의 집중화,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급속히 진행되어 수질환경의 훼손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하천, 호소 등으로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유입되어 부영양화를 유발시킴으로써 어폐류의 폐사로 인한 수중생태계의 파괴, 수자원 활용가치의 하락, 상수처리 비용의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폐수로 인한 공공수역의 오염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관련기술의 개발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오폐수처리를 위한 다양한 공정이 제시되고 있다.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고급산화법으로 대별되는 과산화수소와 자외선, 그리고 오존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처리를 위해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많은 관심을 두고 연구되고 있는데 특히 미생물막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미생물을 고정화시킴으로써 미생물량을 증가시키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미생물들을 고정화한 생물막 공법들과 연계하여 처리조건들을 조합한 새로운 연속공정, 예를 들면 혐기-호기 연속공정이나 무산소-호기 연속공정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는 유지, 관리가 용이하면서도 기존의 폐수처리장의 추가적인 건설이나 보수를 수반하지 않는 효율적인 대안으로서 고효율의 담체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 데 따른 것으로서, 미국, 일본, 프랑스 등은 생물막 공정 기술을 연구 개발하여 실용화하고 있다. 한편, 국내의 경우, 오폐수의 처리를 위한 생물학적 공정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고농도의 유기물 및 질소를 함유하고 있는 축산폐수나 질소의 함유량이 높은 침출수, 난분해성 산업폐수 등은 효율적인 처리가 미비한 실정이다.
회전원판법은 이러한 생물막 공법의 일종으로, 회전하는 원판에 미생물을 부착시켜서 수중과 대기를 번갈아 순환하게 하여 대기 중의 산소를 수중으로 전달함으로써, 질산화 및 탈질 반응을 통해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공법으로서, 운전관리가 쉽고 간편하며, 부착성장공정이므로 슬러지 발생량이 적고, 소요 동력비가 저렴하여 경제적인 오폐수처리 공법의 일종이다.
그러나, 회전원판법은 미생물을 여재(media)인 원판에 부착시켜서 처리하고, 종래의 송풍기(blower)에 의해서가 아닌 원판이 회전하면서 대기 중의 산소를 수중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회전운동을 하는 기계장치의 내구성, 방식성 및 내약품성 등의 특징이 어느 공법보다 중요시된다. 또한, 전원 등 일정한 동력원에 의해 미생물이 부착된 원판을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원판의 물리화학적 특성인 원판 재질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방식, 원판 제작, 원판 결합방식 및 원판 결합부의 복합적 구성 등이 오폐수의 고도처리 공법에서 중요한 설계인자가 된다. 이하, 종래의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의 특징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째, 종래 회전원판의 소재로는 폴리비닐알콜(PVC; polyvinyl cholr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발포 폴리스티렌(polystyrene foam)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둘째, 종래의 회전원판법은 부착되는 미생물이 두껍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단일 반응조에서 질산화, 유기물 제거, 탈질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된 다량의 미생물층의 일시적인 혐기성화로 인하여 미생물의 탈리가 발생할 수 있고, 원판 회전시 원심력에 의한 미생물의 원심 탈락현상도 진행되어 유출수에 고형물질이 다량 유발될 수 있다.
셋째, 종래 회전원판에 부착된 미생물층은 외부겉표면을 제외하면 두꺼운 비활성 미생물층으로 되어 있어 내부까지 산소가 충분히 확산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원판 회전시 대기 중의 산소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수중으로의 산소전달효율도 낮아지게 된다.
넷째, 종래 회전원판에서는 단위 원판 표면에 미생물을 과량으로 부착시키기 때문에 단위원판 면적당 무게가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원판을 결합할 경우에 단일 체적 내에 부착시킬 수 있는 원판의 수가 적어 질산화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원판의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결합 후 중심축에 과부하가 유발되며, 미생물이 과량 부착된 경우에는 회전축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회전원판을 이용하여 질소를 제거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 수중의 질소를 제거하는 원리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오폐수의 유입시 질소의 형태는 유기질소(organic N)와 암모니아성 질소(NH4 +-N)이며, 이들은 질산화와 탈질산화의 2단계 과정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에 의하여 처리된다. 즉, 질산화 단계에서는 호기성인 질산화균에 의해 유기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가 질산성 질소(NO3 --N)로 전환되며, 탈질단계에서는 무산소 조건하에서 산소 대신 질산성 질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탈질산화 세균이 유기물을 산화시키고 질산성 질소는 질소기체(N2)로 환원시켜 대기 중으로 방출시킨다. 탈질반응은 유기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유기물이 없는 경우를 내생 탈질반응(endogenous denitrification)이라고 하며, 탈질속도가 느려 긴 체류시간을 필요로 하는 반면, 유기물이 있는 경우는 탈질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체류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이 때의 탈질속도는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질산화 및 탈질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입원수 중의 유기물 농도와 질소의 농도비가 20:1의 수준이 유지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는 유입원수의 유기물 농도가 낮아 적절한 탈질효율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위 모듈 부피당 미생물의 부착표면을 증대시켜 미생물의 부착량을 극대화시킨 회전원판 및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원활한 운영 및 안정적인 수질의 확보 및 공공수역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병렬로 배치된 회전원판(RBC;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1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담체공(12)을 형성하고, 상기 담체공에 막대형상의 발포형 담체(13)를 삽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1)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을 이용하는 수처리방법으로서, 원수를 반응조Ⅰ(21)에 유입시켜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단계(1); 단계(1)의 탈질반응을 거친 처리수를 반응조Ⅱ(22)에 유입시켜 암모니아성 질소 및 유기질소를 질산화시키는 단계(2); 단계(2)를 거친 처리수의 일부를 반응조Ⅰ로 내부반송시키고, 나머지는 반응조Ⅲ(23)으로 유입시켜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단계(3); 단계(3)의 탈질반응을 거친 처리수를 질산화 회전원판 접촉조Ⅱ(24)에 유입시켜 질산화시키는 단계(4); 단계(4)를 거친 처리수를 침전조로 이송하여 고액분리한 후 상징수는 유출시키고 침전슬러지는 탈질 회전원판 반응조Ⅰ로 외부반송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원수'란 용어는 본 발명의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을 사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오폐수를 의미하는 것이고, '처리수'란 용어는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이 설치된 반응조를 어느 하나 이상 거친 오폐수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적용기술들의 실패는 주로 고농도 유기물이나 독성물질에 기인한 생물학적 처리시스템의 불안정, 폐수의 성상 및 유량의 잦은 변화에 의한 교란, 고도처리 기술의 미비로 인한 질소, 인 처리의 문제점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고부하 및 충격부하에 대한 저항력 및 독성물질에 대한 적응력이 우수한 생물막공법 중 회전원판법(RBC;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에 사용하는 회전원판을 방사형으로 제조, 사용하여 고농도의 유기물 및 질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이 반응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에 사용되는 담체공이 형성된 회전원판의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1)은 회전원판(11)에 담체를 삽입하기 위한 담체공(12)을 방사상으로 다수 개 형성하고, 여기에 막대형상의 발포형 담체(13)를 삽입한 후 이들 회전원판을 다수 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기존의 회전원판법을 구성하는 회전원판의 형태는 주로 구형의 원판을 지지체를 이용하여 여러 개 서로 연결하여 원판 자체에 미생물이 부착하게 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미생물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원판의 표면에 굴곡을 주거나, 원판의 표면을 개질하여 미생물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들 회전원판은 회전시에 발생하는 원심력 등으로 인한 미생물의 탈리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위 모듈 부피당 미생물의 부착표면을 증대시켜 미생물의 부착량을 극대화시키고, 담체로부터 미생물의 탈리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막대상의 발포형 담체를 이용하여 회전원판을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된 회전원판들 사이에서의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미생물의 활성화로 인하여 회전원판의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들끼리 접촉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두고 다수 개 연결시켜 구성한 회전원판 모듈을 이용한다.
막대상 담체는 부착생장하는 미생물에 유해한 물질이 용출되지 않도록 처리된 재질을 이용하여야 하며, 물과 공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환경에 놓이게 되므로, 내부식성, 내화학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의 조건 외에도 생물의 부착생장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므로, 발포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발포폴리우레탄,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염화비닐을 담체의 소재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에서, 회전원판이 갖는 미생물의 부착생장 장소로서의 역할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그 비중이 낮으므로, 모듈이 적용되는 원수의 성상에 따라 적절히 그 회전원판의 표면 형상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종래 일반적으로 회전원판의 제작에 사용되어 온 재질인 폴리비닐알콜(PVC; polyvinyl cholr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발포 폴리스티렌(polystyrene foam),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제작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은 회전원판 접촉조의 양단에 베어링(15),(16)으로 지지된 축(14)의 둘레를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원판 접촉조 내에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은 표면적의 40%는 처리수 속에 잠기고, 60%는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방법으로 몇 개에서 수십 개의 방사형 회전원판장치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장치된 회전원판 접촉조를 탈질조와 질산화조로 나누어 유입원수 중의 질소제거효율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원수를 탈질 회전원판 접촉조Ⅰ(21)에 유입시켜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단계(1); 단계(1)의 탈질반응을 거친 처리수를 질산화 회전원판 접촉조Ⅰ(22)에 유입시켜 암모니아성 질소 및 유기질소를 질산화시키는 단계(2); 단계(2)를 거친 처리수의 일부를 탈질 회전원판 접촉조Ⅰ로 내부반송시키고, 나머지는 탈질회전원판 접촉조Ⅱ(23)로 유입시켜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단계(3); 단계(3)의 탈질반응을 거친 처리수를 질산화 회전원판 접촉조Ⅱ(24)에 유입시켜 질산화시키는 단계(4); 단계(4)를 거친 처리수를 침전조로 이송하여 고액분리한 후 상징수는 유출시키고 침전슬러지는 탈질 회전원판 반응조Ⅰ로 외부반송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포함한다.
실시예: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을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
축산폐수 처리를 위한 실험장치는 아크릴로 제작하였으며, 도 3에 실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실험장치의 구성은 크게 탈질조와 폭기조, 침전조로 나누어졌으며, 탈질반응을 하는 반응조Ⅰ, Ⅲ에는 탈질반응에 필요한 탄소원을 공급하기 위한 메탄올 주입장치를 설치하였다.
운전기간 동안에는 항온기를 설치하여 온도를 20±2℃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질산화와 탈질반응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각 반응조 하단에는 불균일한 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면으로 45°의 경사를 두었다. 반응기의 총체적은 290L로 제작되었으며 운전체적은 71.5L이다. 질산화반응을 하는 반응조Ⅱ, Ⅳ 내의 용존산소농도(DO)는 운전기간 동안에 2.5mg/L 이상을 유지시켰으며, 반응조 내의 미생물은 Y하수처리장에서 채취한 반송슬러지를 축산폐수에 약 3주일 동안 수력학적 체류시간(HRT) 10일로 순응시켰다. 반응조Ⅰ로의 내부반송율은 유입원수량의 100%로, 외부반송율은 유입원수량의 300%로 유지하였고, 전체 처리 시스템의 수력학적 체류시간은 5, 10일로 변화시키며 운전하였다. 처리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회전원판 상에 부착되어 성장하는 고정상 미생물 뿐만 아니라 회전원판의 하단 반응조 내에 부유성장하는 미생물의 슬러지 체류시간(SRT)을 무한대로 운전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험조건 하에서 G시에 위치한 5천두 규모의 분뇨분리형의 스크래퍼형 돈사의 축산폐수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그 성상은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폐수의 성상은 채취시기에 따라 변동폭이 매우 컸으며, 특히 계적절인 영향이 가장 컸다. 여름철에는 전체적으로 농도가 낮아지면서, 특히 유기물과 질소성분의 비가 매우 낮아졌다. 분석결과 pH는 약알칼리성을 나타냈으며, 질소성분의 대부분은 암모니아성 질소(NH4 +-N)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축산폐수의 성상
항목 평균농도(mg/L, pH제외) 최소농도(mg/L, pH제외) 최대농도(mg/L, pH제외)
pH 8.36 7.83 8.57
알칼리도 5662 3390 8480
TCODcr 4479 1517 8184
SCODcr 3878 820 7812
TBOD 2567 706 4254
SBOD 1824 263 3600
TOC 1579 465 2915
TSS 963 200 5733
총질소 3248 2200 5100
암모니아성 질소 1502 885 1985
상기의 축산폐수를 도 3의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한 결과를 도 4에 암모니아성 질소(NH4 +-N)의 거동으로 나타내었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기온의 급강하로 인하여 운전효율이 저하되었던 50일에서 62일까지의 불안정했던 기간을 제외하고는, 전체 운전기간 동안 약 90%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알칼리도를 보충한 120일 이후에는 99%의 질산화를 이루었다. 이론적으로 암모니아성 질소가 1g 질산화되면 약 7.2~7.5g의 알칼리도가 소비되며, 이 때 4.57g의 산소가 소모된다. 본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탈질반응이 일어나는 반응조Ⅰ, Ⅲ에서 질산화에 의한 암모니아성 질소의 제거현상이 동시에 일어남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질산화균의 활성을 위해 요구되는 산소가 대기로부터 쉽게 공급될 수 있는 회전원판법의 특징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조Ⅱ, Ⅳ에서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의 감소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전체 시스템의 질소제거효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원판체의 미디어(media)에 미생물들이 입혀지는 기간을 단축하고 미생물막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입 축산폐수에 1g/L의 글루코오스(glucose)를 200mL/20L로 투입하여 운전하였다. 유입수 중의 질소는 유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및 질산성 질소(NO3 --N)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유입수에서는 아질산성 질소(NO2-N)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질산성질소는 평균 86mg/L,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평균 1713mg/L이었다. 유입수 중의 NOx --N는 질산성 질소의 형태(평균 86mg/L)로 소량 존재하며, 대부분의 질소성분은 암모니아성 질소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반응조Ⅰ에서는 낮은 DO농도로 인하여 질산화가 진행되지 않다가 반응조Ⅱ에서는 높은 DO농도로 인하여 질산화가 급격히 진행되었으며, 반응조Ⅱ 및 반응조Ⅳ에서의 질산화는 유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98% 이상 NOx --N로 전환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회전원판 상에 부착하여 성장하는 질산화균 뿐만 아니라, 회전원판의 하단 반응조에서 부유성장하는 질산화균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암모니아성 질소의 거동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반응조Ⅲ에서도 질산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나, 회전원판체 표면에 부착하여 성장하는 질산화균에 의한 질산화를 확인하였다.
도 5에는 실험 기간 동안의 유기물의 거동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의 유기물 거동은 HRT에 따른 CODcr, TOC의 처리효율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는데 사용된 축산폐수의 TSS는 평균 1747mg/L였고, TCODcr의 평균값은 4905mg/L였다. TCODcr 평균값과 SCODcr의 평균값의 차이를 고형물이 차지하는 CODcr 값으로 본다면 0.75mg(TCODcr-SCODcr)/mg TSS로서 폐수 내에 존재하는 고형물의 75% 가량이 유기물인 것을 알 수 있다.
운전초기부터 약 18일간까지는 각 단계의 CODcr 농도가 일정한 값을 나타내지 않은 이유는 운전초기 상태에서 회전원판체 표면 및 발포형 담체의 표면에 충분한 양의 미생물이 부착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유출수의 CODcr의 농도는 과량의 메탄올(methanol)이 투여되어 미처 처리되지 못한 기간을 제외하고는 150~500mg/L이었고, 평균농도는 489mg/L였다. 본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TOC농도와 암모니아성 질소가 산화된 NOx --N의 농도를 비교하고,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결과를 바탕으로 처리수의 CODcr 성분의 대부분이 난분해성 유기물로 판단, 반응조 3에서의 유기물 부족으로 인한 탈질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탈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반응조 1, 반응조 3에 외부탄소원으로 메탄올을 투여하여 95% 이상의 유기물 제거율을 얻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을 이용한 오폐수처리공정에 의하여 분뇨분리형 돈사에서 나오는 축산폐수의 유기물을 95% 이상 제거할 수 있었으며, 98% 이상의 질산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80% 이상의 총질소 제거율을 얻게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막대형상의 발포형 담체를 회전원판에 방사상으로 삽입하여 구성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위 모듈 부피당 미생물의 부착표면을 증대시켜 미생물의 부착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원활한 운영 및 안정적인 수질의 확보를 통하여 공공수역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환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이 반응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에 사용되는 담체공이 형성된 회전원판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을 이용하는 수처리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축산폐수를 처리한 경우의 암모니아성 질소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축산폐수를 처리한 경우의 유기물 농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 11. 회전원판
12. 담체공 13. 발포형 담체
21. 반응조Ⅰ 22. 반응조Ⅱ
23. 반응조Ⅲ 24. 반응조Ⅳ

Claims (4)

  1.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병렬로 배치된 회전원판(RBC;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11)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담체공(12)을 형성하고, 상기 담체공에 막대형상의 발포형 담체(13)를 삽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형 담체(13)는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콜, 폴리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방사형 회전원판 모듈(1)을 이용하는 오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원수를 반응조Ⅰ(21)에 유입시켜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단계(1);
    단계(1)의 탈질반응을 거친 처리수를 반응조Ⅱ(22)에 유입시켜 암모니아성 질소 및 유기질소를 질산화시키는 단계(2);
    단계(2)를 거친 처리수의 일부를 반응조Ⅰ로 내부반송시키고, 나머지는 반응조Ⅲ(23)으로 유입시켜 질산성 질소를 탈질시키는 단계(3);
    단계(3)의 탈질반응을 거친 처리수를 반응조Ⅳ(24)에 유입시켜 질산화시키는 단계(4);
    단계(4)를 거친 처리수를 침전조로 이송하여 고액분리한 후 상징수는 유출시키고 침전슬러지는 반응조Ⅰ로 외부반송시키는 단계(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Ⅰ, Ⅲ에 탈질반응을 위한 탄소원으로 메탄올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방법.
KR10-2002-0077287A 2002-12-06 2002-12-06 방사형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공정 KR10048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287A KR100483421B1 (ko) 2002-12-06 2002-12-06 방사형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287A KR100483421B1 (ko) 2002-12-06 2002-12-06 방사형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493A KR20040049493A (ko) 2004-06-12
KR100483421B1 true KR100483421B1 (ko) 2005-04-14

Family

ID=3734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287A KR100483421B1 (ko) 2002-12-06 2002-12-06 방사형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69B1 (ko) * 2007-11-26 2010-03-15 한국정화기술 주식회사 오ㆍ폐수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0712B (zh) * 2014-08-11 2018-08-21 安徽浩瀚环保科技有限公司 新农村用智能化分散式生活污水生态环保处理装置
CN104671398B (zh) * 2015-01-27 2017-01-18 宜兴市汇合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生物转盘污水处理装置
CN105540843B (zh) * 2015-12-16 2018-01-02 杭州师范大学 一种一体化自养型脱氮反应器
CN109264851A (zh) * 2018-11-05 2019-01-25 杭州师范大学 一种旋转生物脱氮反应器
CN110683633B (zh) * 2019-09-27 2022-02-11 德州迈科生物技术有限公司 转盘型动态污水发酵池
CN112960856A (zh) * 2021-02-08 2021-06-15 江苏汇龙水务集团有限公司 高原用生物转盘污水处理舱及其水处理方法
CN113880240A (zh) * 2021-11-19 2022-01-04 浙江海洋大学 一种多级污水处理装置
CN115043497B (zh) * 2022-07-27 2023-05-16 江西省科学院能源研究所 一种污水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790A (en) * 1979-10-09 1981-05-13 Tsutsunaka Plast Kogyo Kk Disposing method for sewage
JPS586293A (ja) * 1981-07-03 1983-01-13 Daido Steel Co Ltd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950008381A (ko) * 1993-09-15 1995-04-17 이양주 오, 폐수 정화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KR960041081A (ko) * 1996-06-13 1996-12-17 조현준 오, 폐수 정화용 회전식 접촉여상 장치
KR20000009389A (ko) * 1998-07-23 2000-02-15 조원태 회전식 담체충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하수의처리방법
KR20020062243A (ko) * 2002-06-11 2002-07-25 이해갑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장치 및 이를 응용한오폐수처리장치
KR20020083043A (ko) * 2001-04-25 2002-11-01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축산 폐수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790A (en) * 1979-10-09 1981-05-13 Tsutsunaka Plast Kogyo Kk Disposing method for sewage
JPS586293A (ja) * 1981-07-03 1983-01-13 Daido Steel Co Ltd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950008381A (ko) * 1993-09-15 1995-04-17 이양주 오, 폐수 정화 처리용 미생물 배양장치
KR960041081A (ko) * 1996-06-13 1996-12-17 조현준 오, 폐수 정화용 회전식 접촉여상 장치
KR20000009389A (ko) * 1998-07-23 2000-02-15 조원태 회전식 담체충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하수의처리방법
KR20020083043A (ko) * 2001-04-25 2002-11-01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축산 폐수처리시스템
KR20020062243A (ko) * 2002-06-11 2002-07-25 이해갑 부력을 이용한 동력 발생장치 및 이를 응용한오폐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69B1 (ko) * 2007-11-26 2010-03-15 한국정화기술 주식회사 오ㆍ폐수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493A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ttacharya et al. Simultaneou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moving bed bioreactor and other biological systems
Amor et al. Phenol biodegradation and its effect on the nitrification process
Ohashi et al. Influence of substrate C/N ratio on the structure of multi-species biofilms consisting of nitrifiers and heterotrophs
Qin et al. Aerobic granulation for organic carbon and nitrogen removal in alternating aerobic–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Pramanik et al. Biological aerated filters (BAFs) for carbon and nitrogen removal: a review
Yin et al. The r/K selection theory and its application i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US8216472B2 (en) Biological nitrogen removal
Gupta et al. Simultaneous carbon and nitrogen removal in a mixed culture aerobic RBC biofilm
US20140374344A1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containing ammonia nitrogen
JP3788601B2 (ja) 亜硝酸型硝化担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窒素除去方法及び装置
US3871999A (en) Removal of pollutants from waste-water
KR100483421B1 (ko) 방사형 회전원판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공정
KR100513352B1 (ko) 막이 침지된 생물학적 처리조 및 혐기성 그래률 슬러지가충진된 반응조가 결합된 오폐수처리장치
JP4915036B2 (ja) 脱窒方法及び脱窒装置
JP4923348B2 (ja) 生物脱窒方法
AU2018263286A1 (en) Water treatment method
JPH08224076A (ja) バイオリアクター
KR102057374B1 (ko) 그래뉼을 이용한 하수처리 시스템
KR101938484B1 (ko) 하이브리드 생물학적 영양염류 처리 시스템
Emori et al. PEGASUS: Innovative biological nitrogen removal process using entrapped nitrifiers
KR101932611B1 (ko) 수처리공정의 온도차에 따른 미생물 활성저하방지를 위한 열회수시스템을 이용한 고도 수처리시스템
Popa et al. Applications of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sin wastewater treatment
JP4945891B2 (ja) 嫌気性アンモニア酸化装置の運転方法
Li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nit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nitrifier immobilization methods
KR20160116647A (ko) 하이브리드 생물학적 영양염류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