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756B1 -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756B1
KR100482756B1 KR10-2002-0084330A KR20020084330A KR100482756B1 KR 100482756 B1 KR100482756 B1 KR 100482756B1 KR 20020084330 A KR20020084330 A KR 20020084330A KR 100482756 B1 KR100482756 B1 KR 10048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oxide film
spacer
floating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569A (ko
Inventor
이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8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75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24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passivation or protection of the electrode, e.g. using re-oxid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multiple spacer layers, e.g. multiple sidewall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및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에 유전체막, 컨트롤 게이트 및 하드 마스크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컨트롤 게이트 및 상기 유전체막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d)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컨트롤 게이트 및 상기 유전체막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e) 상기 하드 마스크막 및 상기 제1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식각하는 단계와, (f) 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g) 소오스/드레인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플로팅 게이트 측벽에 제2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 크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셀 게이트의 유효 채널 길이가 매우 작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셀 펀치(cell punch) 및 누설 특성 마진(margin)이 부족하고, 또한 게이트 형성 후에 후속 열처리 공정으로 ONO(oxide/nitride/oxide)막, 즉 유전체막의 측벽 들림 현상이 발생한다. 플래시 메모리 셀에서 신뢰성 항목인 리텐션(retention) 방지를 위해서 게이트 형성 후에 재산화(re-oxidation)로 플로팅 게이트를 일부분 산화시키는데, 이때 ONO막 측벽도 노출이 되어 있으므로 ONO막 측벽의 들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낸드(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 ONO막의 들림 현상이 발생한 모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이러한 ONO막 들림 현상은 셀의 커플링 비(coupling ratio)를 감소시켜 셀 특성에 아주 나쁜 영향을 미친다. 한편, ONO막 두께는 셀의 커플링 비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유효 ONO막 두께가 낮을수록 커플링 비는 증가하며, 셀의 특성 및 효율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항목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으로 낸드(NNAD)형 플래시 메모리 셀의 집적화에 많은 제약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ONO막, 즉 유전체막의 들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및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에 유전체막, 컨트롤 게이트 및 하드 마스크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컨트롤 게이트 및 상기 유전체막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d)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컨트롤 게이트 및 상기 유전체막의 양 측벽에 크기가 같은 단일의 제1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e) 상기 하드 마스크막 및 상기 제1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및 상기 터널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와, (f) 리텐션 강화를 위해 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g) 소오스/드레인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플로팅 게이트 측벽에 제2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층이 다른 층의 위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층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게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도(layout)로서, 도 2에서 'A'는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막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며, 'B'는 컨트롤 게이트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2의 I-I' 단면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들이고, 도 11 내지 도 16은 도 2의 Ⅱ-Ⅱ' 단면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희생 산화막(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희생 산화막은 건식 또는 습식 산화 방식으로 형성하며, 750℃∼800℃의 온도범위에서 70Å∼1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희생 산화막을 버퍼층으로 이용하여 웰(미도시) 형성과 채널(미도시)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상기 웰은 N웰 내에 P웰이 형성되는 이중 웰 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N웰은 1.0∼2.0MeV 정도의 에너지 사용하여 1.0E13∼3.0E13atoms/cc 정도의 도우즈(dose)로 인(P)을 이온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P웰은 3단계의 이온주입을 통해 형성할 수 있는데, 500∼600KeV 정도의 에너지 사용하여 1.0E13∼3.0E13atoms/cc 정도의 도우즈(dose)와, 200∼300KeV 정도의 에너지 사용하여 1.0E13∼3.0E12atoms/cc 정도의 도우즈(dose)와, 50∼200KeV 정도의 에너지 사용하여 2.0E13∼7.0E12atoms/cc 정도의 도우즈(dose)로 붕소(B)을 이온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웰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시에 틸트(tilt)는 O°∼45°로 하고, 트위스트(twist)는 O°∼270°정도로 한다. 상기 채널은 2중 이온주입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30∼70KeV 정도의 에너지 사용하여 5.0E11∼8.0E12atoms/cc 정도의 도우즈(dose)로 붕소(B)을 이온주입하고, 10∼30KeV 정도의 에너지 사용하여 5.0E12∼8.0E14atoms/cc 정도의 도우즈(dose)로 붕소(B)을 이온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시에 틸트(tilt)는 O°∼45°로 하고, 트위스트(twist)는 O°∼270°정도로 한다.
상기 희생 산화막을 제거한다. 상기 희생 산화막은 (Diluted HF; H20가 소정 비율로 희석된 HF용액)와 SC-1(standard cleaning-1; NH4OH/H2O2/H2 O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용액)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희생 산화막이 제거된 결과물 상에 터널 산화막(104)을 형성한다. 터널 산화막(104)은 습식 산화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750℃∼800℃ 정도의 온도에서 습식 산화를 진행하고 900℃∼910℃ 정도의 온도에서 질소(N2) 분위기에서 20∼30분간 어닐링을 진행하여 형성한다. 터널 산화막(104)은 50∼15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터널 산화막(104) 상에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될 제1 폴리실리콘막(106)을 증착한다. 제1 폴리실리콘막(106)은 SiH4 또는 Si2H6 가스를 이용하여 저압-화학기상증착(Low Pressure-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법으로 형성한다. 제1 폴리실리콘막(106)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폴리실리콘막(106)은 480 내지 550℃ 정도의 온도와 0.1 내지 3Torr 정도의 낮은 압력에서 100 내지 8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폴리실리콘막(106) 상에 패드 질화막(108)을 형성한다. 패드 질화막(108)은 트렌치 산화막(도 5의 '114' 참조)과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한다. 패드 질화막(108)은 LP-CVD 방법으로 증착하며, 후속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트렌치 산화막(114)의 돌출부가 충분히 높이 돌출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 예컨대 500 내지 35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막 형성을 위한 패터닝을 통해 반도체 기판(100) 내에 트렌치(110)를 형성하여 소자분리 영역과 액티브 영역을 정의한다. 즉, 소자분리영역을 정의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패드 질화막(108), 제1 폴리실리콘막(106), 터널 산화막(104) 및 반도체 기판(100)을 식각하여 트렌치(110)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렌치(110) 측벽 및 바닥의 식각 손상을 보상하고, 트렌치(110) 상부 및 바닥 코너를 라운딩(rounding) 처리하고, 액티브 영역의 임계 치수(critical dimension; CD)를 줄이기 위하여 트렌치(110) 내벽에 측벽 산화막(112)을 형성한다. 상기 측벽 산화막(112)은 건식 또는 습식 산화 방식으로 형성하며, 750℃∼1150℃ 정도의 온도 범위에서 50Å∼15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렌치 산화막(114)을 증착하여 상기 트렌치(110)내를 매립한다. 이때, 트렌치 산화막(114)은 트렌치(110)내를 매립하면서 패드 질화막(108)의 상부 표면 위까지 충분히 증착되는 정도의 두께, 예컨대 5000Å∼10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한다. 트렌치 산화막(114)은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트렌치(110) 내에 보이드(void) 등이 형성되지 않도록 매립한다.
이어서, 트렌치 산화막(114)을 화학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하여 평탄화한다. 상기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은 패드 질화막(108)이 노출될 때까지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패드 질화막(108)을 제거한다. 패드 질화막(108)은 스트립(strip)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인산(H3PO4) 용액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폴리실리콘막(도 8의 '116' 참조)을 증착하기 전에 DHF와 SC-1을 이용한 세정 공정을 제1 폴리실리콘막(106) 상부에 형성되는 자연산화막을 제거한다. 상기 세정 공정에 의하여 트렌치 산화막(114)도 어느 정도 리세스(recess)되게 되며, 상기 세정 공정에 의하여 플로팅 게이트간의 원하는 스페이스(space)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세정 공정은 제1 폴리실리콘막(106) 측벽의 최하부가 드러나지 않도록 조절하여 모우트(moat)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될 제2 폴리실리콘막(116)을 증착한다. 제2 폴리실리콘막(116)은 SiH4 또는 Si2H6 가스와 PH3 가스를 이용하여 LP-CVD(Low Pressure-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형성한다. 제2 폴리실리콘막(116)은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핑되는 불순물은 인(P) 등일 수 있으며, 2.0E20∼5.0E20 atoms/cc 정도의 도우즈로 도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폴리실리콘막(116)은 500 내지 550℃ 정도의 온도와 0.1 내지 3Torr 정도의 낮은 압력에서 800 내지 30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렌치 산화막(114)이 노출될 때까지 제2 폴리실리콘막(116)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평탄화한다. 상기 평탄화 공정에 의하여 제2 폴리실리콘막(116)은 트렌치 산화막(114)에 의하여 고립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세정 공정을 실시하여 제2 폴리실리콘막(116) 사이에 돌출된 트렌치 산화막(114)을 원하는 타겟(target)만큼 식각한다. 상기 세정 공정은 DHF 또는 BOE(Buffer Oxide Etchant; HF/NH4F/H2O 용액이 소정 비율로 혼합된 용액)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트렌치 산화막(114)의 돌출부와 접하던 제2 폴리실리콘막(116)의 측벽이 노출되면서 제2 폴리실리콘막(116)의 노출 면적이 증가하여 커플링 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1 폴리실리콘막(106) 및 제2 폴리실리콘막(116)은 플로팅 게이트(118)를 이루게 된다.
이하에서,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1 내지 도 16은 도 2의 도 2의 Ⅱ-Ⅱ' 단면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로팅 게이트(118)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상에 유전체막(120)을 형성한다. 유전체막(120)은 산화막/질화막/산화막 형태의 구조, 즉 ONO(SiO2/Si3N4/SiO2)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막(120)의 산화막(SiO2)은 SiH2Cl2(dichlorosilane; DCS)와 H2O 가스를 소스 가스로 이용하여 고온산화막(High Temperature Oxide; HTO)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유전체막(120)의 산화막은 반응가스로서 H2O와 SiH2Cl2(dichlorosilane; DCS) 가스를 이용하고, 0.1 내지 3Torr 정도의 낮은 압력과 800 내지 850℃ 정도의 온도범위에서 LP-CVD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막(120)의 질화막은 반응가스로서 NH3와 SiH2Cl2(dichlorosilane; DCS) 가스를 이용하고, 0.1 내지 3Torr 정도의 낮은 압력과 600 내지 700℃ 정도의 온도범위에서 LP-CVD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산화막은 40 내지 6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고, 질화막은 40 내지 8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며, 제2 산화막은 40 내지 6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막(120)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컨트롤 게이트로 사용될 제3 폴리실리콘막(122)을 형성한다. 제3 폴리실리콘막(122)은 500 내지 550℃ 정도의 온도와 0.1 내지 3Torr 정도의 낮은 압력에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은 SiH4 또는 Si2H6와 같은 Si 소스 가스와 PH3 가스를 이용하여 LP-CVD(Low Pressure-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핑되는 불순물은 인(P) 등일 수 있으며, 0.5E20∼5.0E20 atoms/cc 정도의 도우즈로 도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폴리실리콘막(122)은 500 내지 20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제3 폴리실리콘막(122) 상에 실리사이드막(124)을 형성한다. 실리사이드막(124)은 텅스텐 실리콘(WSi)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사이드막(124)인 SiH4(momosilane; MS) 또는 SiH2Cl2(dichlorosilane; DCS)와 WF6의 반응을 이용하여 400℃∼500℃ 사이의 온도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사이드막(124)은 500∼15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다음에, 실리사이드막(124) 상에 하드 마스크막(126)을 형성한다. 상기 하드 마스크막(126)은 PE-TEOS(Plasma Enhanced-Tetra Ethyl Ortho Silicate Glass)막과 SiOxNy막의 2중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E-TEOS막은 800∼20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SiOxNy막은 300∼15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트롤 게이트 패턴(도 2의 'B' 참조)을 정의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128)을 형성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패턴(128)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하드 마스크막(126)을 패터닝한다. 이어서, 포토레지스트 패턴(128)을 제거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패터닝된 하드 마스크막(126)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실리사이드막(124), 제3 폴리실리콘막(122) 및 유전체막(120)을 패터닝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스페이서(130) 형성을 위한 절연막을 증착한 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하드 마스크막(126), 실리사이드막(124), 제3 폴리실리콘막(122) 및 유전체막(120) 측벽에 제1 스페이서(130)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스페이서(130) 형성을 위한 절연막은 실리콘 질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스페이서(130) 형성을 위한 절연막은 600∼800℃ 정도의 온도에서 100∼5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패터닝된 하드 마스크막(126) 및 제1 스페이서(130)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한 자기정렬 식각 공정으로 플로팅 게이트(118)을 패터닝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리텐션 강화를 위해 재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노출된 플로팅 게이트(118) 및 반도체 기판(100) 표면에 산화막(132)을 형성한다. 상기 산화막(132)은 800∼950℃ 정도의 온도에서 건식 산화를 진행하고, 800℃∼950℃ 정도의 온도에서 질소(N2) 분위기에서 5∼100분간 어닐링을 진행하여 형성한다.
소오스/드레인(134)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한다. 소오스/드레인(134)은 5.0∼30KeV 정도의 에너지 사용하여 5.0E12∼8.0E14atoms/cc 정도의 도우즈(dose)로 인(P)을 이온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소오스/드레인(134)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시에 틸트(tilt)는 O°∼45°로 하고, 트위스트(twist)는 O°∼270°정도로 한다.
제2 스페이서(136) 형성을 위한 절연막을 증착한 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제2 스페이서(136)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스페이서(136) 형성을 위한 절연막은 TEOS(Tetra Ethtyl Ortho Silicate)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스페이서(136) 형성을 위한 절연막은 600∼800℃ 정도의 온도에서 300∼1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컨트롤 게이트(122) 및 유전체막(120)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130)를 형성함으로서 플로팅 게이트(118) 형성 후에 리텐션 방지를 위한 재산화 공정으로 인한 ONO 들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커플링 비 증가로 셀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컨트롤 게이트(122) 및 유전체막(120)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130)를 형성함으로서 소오스/드레인(134)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주입으로 인한 게이트와 소오스/드레인 오버랩(overlap)을 최소화함으로써 유효 채널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셀 집적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낸드(NAND)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 ONO막의 들림 현상이 발생한 모습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도(layout)이다.
도 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18: 플로팅 게이트 120: 유전체막
122: 제3 폴리실리콘막 124: 실리사이드막
126: 하드 마스크막 130: 제1 스페이서
132: 재산화막 134: 소오스/드레인
136: 제2 스페이서

Claims (10)

  1. (a)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및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에 유전체막, 컨트롤 게이트 및 하드 마스크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컨트롤 게이트 및 상기 유전체막을 패터닝하는 단계;
    (d) 상기 하드 마스크, 상기 컨트롤 게이트 및 상기 유전체막의 양 측벽에 크기가 같은 단일의 제1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하드 마스크막 및 상기 제1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및 상기 터널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
    (f) 리텐션 강화를 위해 산화 공정을 실시하여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g) 소오스/드레인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플로팅 게이트 측벽에 제2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는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한 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질화막은 600∼800℃ 정도의 온도에서 100∼5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는 TEOS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한 후, 이방성 건식 식각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EOS막 또는 상기 실리콘 질화막은 600∼800℃ 정도의 온도에서 300∼1000Å 정도의 두께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산화 공정은 800∼950℃의 온도에서 건식 산화 방식으로 진행하고, 800℃∼950℃의 온도에서 질소(N2) 분위기에서 5∼100분간 어닐링을 진행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막은 PE-TEOS막과 SiOxNy막의 2중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PE-TEOS막은 800∼2000Å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SiOxNy막은 300∼150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산화막 및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될 제1 폴리실리콘막 및 패드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패터닝 공정을 통해 상기 패드 질화막,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상기 터널 산화막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일부를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산화막을 증착하여 상기 트렌치를 매립하고, 상기 패드 질화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산화막을 화학 기계적 연마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패드 질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실리콘막의 측벽 하부가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산화막의 돌출부가 리세스되도록 세정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막의 돌출부가 리세스된 결과물 상에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될 제2 폴리실리콘막을 증착한 다음, 상기 산화막의 돌출부가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희생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 산화막을 버퍼층으로 하여 웰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 및 문턱전압 조절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을 평탄화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과 상기 유전체막의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폴리실리콘막 사이의 상기 산화막을 소정 깊이 만큼 리세스하는 세정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2-0084330A 2002-12-26 2002-12-26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8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330A KR100482756B1 (ko) 2002-12-26 2002-12-26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330A KR100482756B1 (ko) 2002-12-26 2002-12-26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569A KR20040057569A (ko) 2004-07-02
KR100482756B1 true KR100482756B1 (ko) 2005-04-14

Family

ID=3735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330A KR100482756B1 (ko) 2002-12-26 2002-12-26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96B1 (ko) * 2006-02-27 2007-07-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800675B1 (ko) * 2006-12-21 2008-02-0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82784B1 (ko) * 2006-12-27 2007-12-05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플래쉬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7130A (ko) 2012-04-17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구조물
KR102018792B1 (ko) * 2018-03-13 2019-09-05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링 전계효과 시냅스 소자와 그의 동작방법
US11031543B2 (en) 2018-10-23 2021-06-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Via landing enhancement for memo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569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996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7157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25142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674971B1 (ko) U자형 부유 게이트를 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JP506844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56038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20008689A (ko) 자기정렬된 셸로우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US20050190598A1 (en) Non-volatile memory technology compatible with 1T-RAM process
KR100648194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539275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58767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100502602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8275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704923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070118348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507699B1 (ko)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KR100466819B1 (ko)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JP2004172567A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20060135221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셀 제조방법
KR100427537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20020095690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2000A (ko)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32786B1 (ko) 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20030043498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6984566B2 (en) Damascene gate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