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815B1 - 액체 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815B1
KR100481815B1 KR10-2003-0006568A KR20030006568A KR100481815B1 KR 100481815 B1 KR100481815 B1 KR 100481815B1 KR 20030006568 A KR20030006568 A KR 20030006568A KR 100481815 B1 KR100481815 B1 KR 100481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detergent composition
weight
liquid detergent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387A (ko
Inventor
차경온
노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8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2Sulfobetaines ; Sulfitobeta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47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pH reg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킬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수성 액체 용매를 포함하여 적은 물리적 힘으로도 세제 효과가 우수하여 수동 식기 세척 작업에 유용하며, 담근에 의한 오염 세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범위한 온도 범위 하에서도 제형이 안정하며, 현존하는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 제형보다 개선된 점도, 안정도, 및 효소 안정성을 갖는 무색 무취의 액체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세제 조성물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체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물리적 힘으로도 세제 효과가 우수하여 수동 식기 세척 작업에 유용하며, 담근에 의한 오염 세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범위한 온도 범위 하에서도 제형이 안정하며, 현존하는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 제형보다 개선된 점도, 안정도, 및 효소 안정성을 갖는 무색 무취의 액체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동 식기 세척에 유용한 액체 또는 겔 세제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품은 다수의 다양한 성능 및 미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형화된다.
우선, 액체 또는 겔 식기세척 제품은 세척되어질 식기류로부터 식품 오염, 특히 기름기 오염의 만족할 만한 용해 및 제거를 하도록 특정한 종류와 함량의 계면활성제 및 기타 세척보조제와 함께 제형되거나 상기 제품으로부터 형성된 수용액 형태로 제형된다. 따라서 제조업자들은 액체 세제에 추가의 성분을 혼입시켜 개선된 성능을 갖는 액체 식기세척 조성물을 소비자에게 조공하고자 계속된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액체식기세척 제품은 물리적으로 안정하며, 바람직하지 않은 불균질성을 갖지 않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상기 물리적 안정성의 의미는 하나 이상의 성분이 침전(불연속상이 고체인 경우) 되거나 액체와 분리(불연속상이 액체의 경우) 되기보다는 균일한 용액으로 존재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용한 세제 조성물은 균일하며 다양하고 상이한 작용조건 및 저장온도 하에 안정하여야 한다. 선행제형자들은 특히 세제조성물의 냉온 안정성을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물리적 안정성은 외관성을 강화시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세척 수행력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이다.
액체 식기 세척 제품은 제품을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점도를 갖추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액체 식기세척 조성물은 저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따를 수 없을 정도로 점성이 너무 높아서는 안되며 동시에 스폰지 또는 주방제품의 표면에 부착되기 곤란할 정도로 너무 묽어서도 안된다. 또한 액체 식기 세척조성물은 적합한 희석 농도를 가져야 하며, 이는 액체식기세척 제품을 물을 사용하여 추가로 희석하면 조성물의 점도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많은 전형적인 액체 식기세척 조성물이 첫 번째 희석 액상에서 조성물이 더욱 점성이 되게 하여 사용하기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의 용해를 저해하도록 한다는 면에서 대조적이다. 용해는 액체 식기세척 제품의 또 다른 중요한 속성이다. 용해는 액체 식기세척 제품이 물과 혼합되는 속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세제 제품은 소비자가 세탁을 위하여 소비해야 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물과 신속하게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주의할 점은 액체 식기세척 제품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기타 세척성분과 상호작용하여 변질되거나 분해되지 않는 효소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효소는 단백질-기재 오염에서 개선된 세척이점을 제공하며 효소를 함유하지 않는 기타 유사한 세척 조성물보다는 부드러움 또는 피부 감촉을 좋게 하는 효과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며, 식기세척 조성물의 중요한 성분이다.
그러나 효소가 다량의 표준 세제 성분(예 구연산)의 존재 하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효소를 액체식기세척 조성물 중에 혼합시키는 것은 어렵다. 또한 효소는 물의 존재 하에 활성화되며 대부분의 액체 식기세척 조성물이 액상이기 때문에 효소는 저장중에 활성화 되지 않으며 따라서 세제 조성물이 사용될 때까지 천천히 소비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만 한다.
따라서 담금에 의해서도 탁월한 세척 이점을 제공하며,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안정한 제형을 가지고 수동 식기세척 작업에 유용하고 편리한 점도 및 안정도를 갖는 수동 식기 세척액을 제형화 하기 위한 계속적인 요구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적은 물리적 힘으로도 세제 효과가 우수하여 수동 식기 세척 작업에 유용하며, 담금에 의한 오염 세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범위한 온도 범위 하에서도 제형이 안정하며, 현존하는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 제형보다 개선된 점도, 안정도, 및 효소 안정성을 갖는 무색 무취의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체 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알킬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0.001 내지 10 중량%;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2 내지 60 중량%;
c)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및
e) 잔량의 수성 액체 용매
를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알킬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액체 세제 조성물에 적용하면 전형적인 액체 식기 세정 조성물보다 탁월한 세척력, 기름기 제거능, 물리적 안정성, 용해성, 및 유동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은 알킬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0.001 내지 10 중량%,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2 내지 60 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수성 액체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알킬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액체 세제 조성물의 물리적 및 구조학적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높은 pH(10.0 이상)와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 세제 조성물의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시키며, 종래의 세정제와 달리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혼합 사용시 투명상의 액상을 유지하면서 효소학적 안정성을 개선시키며, 점도의 상승 및 제형안정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알킬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세제 조성물에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형내에서의 역할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의 양이온성으로 상의 투명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R1은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기이고,
M은 양이온성 염이며,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알칸올 암모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이고,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정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알킬에테르 설페이트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알킬 사슬 길이 및 다양한 에톡실화 정도를 포함하는 유형으로 사용된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문헌 Surface Active Agents and Detergents Vol.Ⅰ and Ⅱ by Schwartz, Perry and Berch"에 개시되어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다양성은 미국특허 제3,929,678호 및 문헌 Laughlin et al at Column 23, line 58~Column 29, line 2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를 가지며 0 내지 6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알킬 폴리 글리코시드,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또는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설페이트 등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제 조성물에 2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세정력 및 기포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자극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문헌 Surface Active Agents and Detergents Vol.Ⅰ and Ⅱ by Schwartz, Perry and Berch"에 개시되어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딘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탄소수 8 내지 14의 아미노 프로필 베타인, 탄소수 8 내지 14의 디소디움 코코 암포 디 아세테이트, 또는 탄소수 8 내지 14의 설포 베타인이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세제 조성물에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첨가물의 성능이 미미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의 상승으로 제조상의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 폴리 글리코시드,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알코올 에톡시레이트,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이소 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또는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민 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중합도가 1 내지 1.6인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 폴리 글리코시드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기재한 물질 이외에 다른 유형의 비이온성 보조 계면활성제와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보조 계면활성제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기를 가지고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에톡실화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의 식에서,
R2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9 내지 15의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이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2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이다.
상기 비이온성 보조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 내지 10의 알킬기를 가지고 12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에톡실화 알코올 계면활성제(총 에틸렌 옥사이드 함유량 중 12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가 50 % 이상으로 부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함량은 세제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성 액체 용매는 상기 성분들을 용해하거나 분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성 액체 용매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 액체상이거나 또는 실온에서 액체용매에 용해되어 단순한 충전제의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갖는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가용화제, 용매, 또는 상안정성을 위한 전해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액체 용매는 세제 조성물에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용액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인 조성물들의 함량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알칸올, 카르복실산 설페이트, 카르복실산 설포네이트염, 우레아, 하이드로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카르복실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로는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 크실렌 설포네이트;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 톨루엔 설포네이트;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 쿠멘설포네이트; 및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나프탈렌 설포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세제 조성물에 0.5 내지 7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르복실산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염으로는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에 의해 치환되고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산 그룹을 갖는 탄소수 1 내지 8의 수용성 염 또는 유기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치환된 유기화합물로는 사이클릭, 어사이클릭(acyclic), 또는 방향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벤젠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용화제는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에 의해 치환된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개의 카르복실산 그룹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하이드로트로프의 예로는 설포석시네이트염, 설포프탈산 염, 설포아세트산염, m-설포벤조산 염 및 디에스테르 설포석시네이트,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은 200 내지 15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000인 것이다.
상기 전해질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구연산 나트륨, 나트륨 아세테이트, 또는 황산나트륨 등의 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세제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은 상기의 성분 이외에 세제 보조제 또는 안정화제, 효소, 및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세제 보조제 또는 안정화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극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의 식에서,
R3는 탄소수 12 내지 16을 가지며 0 내지 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알킬기, 탄소수 12 내지 16을 가지며 0 내지 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알케닐기, 2-하이드록시 알킬(이때 알킬은 탄소수 8 내지 18), 3-알콕시-2-하이드록시 프로필 라디칼(이때 알콕시는 탄소수 8 내지 18)이고,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2-하이드록시 프로필, 또는 3-하이드록시 프로필이고,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상기 반극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소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또는 탄소수 12의 알킬 아민 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R3가 이소알킬기이고, 상기 이소알킬기가 탄소 4 내지 6 번째 위치의 아민기에 결합되어 있는 이소알킬 아민 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세제 보조제 또는 안정화제는 세제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세제보조역할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상승을 유발하면서 조성물의 원가를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효소는 세제 조성물의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효소는 지방 분해 효소 또는 단백 분해 효소로, 구체적으로는 퍼옥시다아제, 프로테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또는 말라나아제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및 아밀라아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단백 분해 효소는 NOVO사, Genencor사, Amicogen사에서 제조된 효소를 사용하며, 국제특허 제9,402,597호에 개시된 효소를 사용한다.
상기 효소는 세제 조성물에 0.0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오염분해력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단가가 상승되고, 효소 특유의 냄새가 잔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효소의 안정성 저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 중에 과산화수소, 구연산, 구연산 소다 등을 최대 50 ppm으로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ppm으로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pH 조절제는 식기류, 특히 상당히 얼룩진 식기류로부터 유지얼룩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상기 알킬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의 콤플렉스 혼합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약 알칼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pH 조절제는 본 발명의 10% 세제 수용액의 pH를 6 내지 9의 범위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H가 6.5 내지 8의 범위로 중성이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pH 조절제는 본 발명의 3% 세제 수용액의 pH를 6.5 내지 7.8로 유지하기에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2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로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pH 조절제는 중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저분자량의 유기 또는 임의의 유기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사과산, 살리실산, 주석산, 젖산, 아세틱산, 소르빅산, 또는 벤조인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또는 벤조인산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pH 조절제는 세제 조성물에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통상적인 함량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의 성능, 유동학적 특성, 및 미적 특성을 보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제 조성물에 약 5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타 첨가제로는 항산화제, 금속이온 봉쇄제, 살균제, 염료, 향료, 또는 세정력 증진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력 증진제는 세제 조성물에 최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겔 식기세척용 세제 조성물에는 세정력 증진제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정상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은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 공급원이 배제된다 하더라도 특정 조성물은 미량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 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최대 10 중량%의 킬레이트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균질한 액체 또는 겔형의 식기세척용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합한 교반을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필수 임의의 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러한 조성물의 다양한 성분을 제조하는 방법은 미국특허 제5,474,710호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0.05 중량%,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12~14의 소듐 알킬 설페이트 20 중량% 및 탄소수 14~16의 소듐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5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8~14의 알킬폴리 글리코시드 0.5 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8~12의 알킬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1 중량%, 세정 보조제 또는 안정화제로 이소 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2 중량%, 가용화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3 중량% 및 소듐 크실렌 설포네이트 2 중량%, 효소로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1 중량%, 황산마그네슘 0.5 중량%, 향료 0.2 중량%, 에탄올 5 중량%, 구연산 0.5 중량%, 및 잔량의 물 및 기타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pH를 8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1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1 2 3 4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0.05 0.5 1 3
C12~14 소듐 알킬 설페이트 20 20 20 20
C14~16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5 5 5 5
C8~14 알킬폴리 글리코시드 0.5 1 2 5
C8~12 알킬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1 2 3 5
이소 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2 2 2 2
폴리 에틸렌 글리콜 1000 3 3 3 3
소듐 크실렌 설포네이트 2 2 2 2
효소(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1 1 1 1
황산마그네슘 0.5 0.5 0.5 0.5
향료 0.2 0.2 0.2 0.2
에탄올 5 5 5 5
구연산 0.5 0.5 0.5 0.5
물 및 기타성분 100 중량% 까지
실시예 3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 중량%,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12~14이고 1~3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소듐 알킬 설페이트 10 중량% 및 탄소수 14~16의 소듐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10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8~12이고 12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2 중량%,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탄소수 8~12의 알킬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1 중량% 및 디 소디움 코코 암포 디 아세테이트 1 중량%, 세정 보조제 또는 안정화제로 이소 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2 중량%, 가용화제로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1 중량%, 효소로 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1 중량%, 황산마그네슘 0.5 중량%, 향료 0.2 중량%, 벤조인산 1 중량%, 및 잔량의 물 및 기타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pH를 8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6~8
상기 실시예 5에서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액체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2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1 2 3 4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 2 3 5
C12~14 에틸렌 옥사이드 1~3 몰의 소듐 알킬 설페이트 10 10 10 10
C14~16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10 10 10 10
C8~12 에틸렌 옥사이드 12 몰의 알킬폴리 글리코시드 2 1 0.5 0.5
C8~12 알킬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1 2 3 5
디 소디움 코코 암모 디 아세테이트 1 1 1 1
이소 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2 2 1 1
폴리 에틸렌 글리콜 1000 1 1 1 1
효소(아밀라아제 및 리파아제) 1 1 1 1
황산마그네슘 0.5 0.5 0.5 0.5
향료 0.2 0.2 0.2 0.2
베조인산 1 1 1 1
물 및 기타성분 100 중량% 까지
실험예 1
(식기 세척법 및 행굼법)
KS M 2716 방법과 오염된 식기를 세척 및 헹굼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한 액체 세제 조성물 3 g을 스폰지에 묻혀 오염된 식기류와 접촉시켰다. 이때, 사용되는 액체 세제 조성물의 실제량은 사용자의 판단에 기초하며, 통상 조성물 중 활성 성분의 농도, 세척할 오염된 식기의 개수, 식기에 대한 오염된 정도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특정 제품 제형과 같은 요인에 따라 좌우된다. 세제 조성물(계면활성제의 농도가 17~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5 %)) 적용시 싱크대의 물 1000 g(보다 통상적으로 2000 g)과 혼합하였다. 천, 스폰지, 또는 유사한 제품은 식기류 표면과 접하기 전에 세제 조성물 및 물의 혼합물 내로 침지시킬 수 있고, 통상 실제 세척시간이 각각의 적용 및 사용자의 따라 다양할 수 있지만 약 1~10 초 동안 식기류 표면과 접촉시켰다. 이때, 식기류 표면을 동시에 문지르는 과정을 수반하였다.
거품을 내고 직접 식기류 표면을 문지른 후 일정량의 헹굼수를 사용하여 헹굼에 대한 횟수측정 및 세척 후, 바로 이루어지는 헹굼에 대한 헹굼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이때 헹굼시간 및 헹굼수는 거품을 육안 인디케이터에 의해 거품이 소멸되는 종말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담금 세정력)
상기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한 세제 조성물(계면활성제의 농도가 17~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5 %)) 10 g을 싱크대의 물 1000 g(보다 통상적으로 2000 g)과 혼합하였다. 상기 세제 용액에 오염된 식기류를 약 10 내지 30 분 동안 침지시키고, 물리적인 힘은 가하지 않았다. 이때, 사용되는 액체 세제 조성물의 실제량은 사용자의 판단에 기초하며, 통상 조성물 중 활성 성분의 농도, 세척할 오염된 식기의 개수, 식기에 대한 오염된 정도 등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특정 제품 제형과 같은 요인에 따라 좌우된다. 10 내지 30 분 동안 침지시킨 후, 세제 용액으로부터 식기류를 꺼내어 일정량의 헹굼수를 사용하여 헹군 후 오염의 제거 정도를 육안 인디케이터로 측정하여 0 내지 100 점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헹굼력 (분) 25 20 15 10 15 10 10 5
담금세정력 (점) 99 95 90 85 90 90 85 80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세제 조성물은 적은 물리적 힘으로도 세제 효과가 우수하여 수동 식기 세척 작업에 유용하며, 담근에 의한 오염 세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광범위한 온도 범위 하에서도 제형이 안정하며, 현존하는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 제형보다 개선된 점도, 안정도, 및 효소 안정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액체 세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알킬그룹의 탄소수가 8 내지 16인 알킬 디메틸 하이드록시 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0.001 내지 10 중량%;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2 내지 60 중량%;
    c)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0 중량%; 및
    e) 잔량의 수성 액체 용매
    를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에테르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액체 세제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R1은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이고,
    M은 양이온성 염이고,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를 가지며 0 내지 6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알킬 폴리 글리코시드,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파 올레핀 설포네이트, 및 탄소수 8 내지 16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8 내지 14의 아미노 프로필 베타인, 탄소수 8 내지 14의 디소디움 코코 암포 디 아세테이트, 및 탄소수 8 내지 14의 설포 베타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액체 세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 폴리 글리코시드,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알코올 에톡시레이트,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이소 도데실 아민 옥사이드, 및 탄소수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민 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액체 세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중합도가 1 내지 1.6인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 폴리 글리코시드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성 보조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의 식에서,
    R2는 탄소수 8 내지 18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15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의 수성 액체 용매가 가용화제, 용매,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세제 조성물이 세제 보조제 또는 안정화제, 효소,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KR10-2003-0006568A 2003-02-03 2003-02-03 액체 세제 조성물 KR100481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568A KR100481815B1 (ko) 2003-02-03 2003-02-03 액체 세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6568A KR100481815B1 (ko) 2003-02-03 2003-02-03 액체 세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387A KR20040070387A (ko) 2004-08-09
KR100481815B1 true KR100481815B1 (ko) 2005-04-11

Family

ID=3735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568A KR100481815B1 (ko) 2003-02-03 2003-02-03 액체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89921A1 (en) * 2022-06-09 2023-12-13 Unilever IP Holdings B.V. A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WO2023237300A1 (en) * 2022-06-09 2023-12-14 Unilever Ip Holdings B.V. A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WO2023237291A1 (en) * 2022-06-09 2023-12-14 Unilever Ip Holdings B.V. A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89921A1 (en) * 2022-06-09 2023-12-13 Unilever IP Holdings B.V. A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WO2023237300A1 (en) * 2022-06-09 2023-12-14 Unilever Ip Holdings B.V. A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WO2023237291A1 (en) * 2022-06-09 2023-12-14 Unilever Ip Holdings B.V. A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387A (ko) 2004-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8420A (en) Solid laundry pre-spott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4576738A (en)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s containing pianane
JP2002507239A (ja) 望ましい食物汚れ除去性、流動学的性質、及び起泡性をもつ、pHの調節された液状もしくはゲル状軽質食器洗浄用洗剤組成物
JPH0350299A (ja) 中性液体洗浄剤組成物
US5965503A (en) Cleaning gel for hard surfaces containing one or more surfactants, an electrolyte, and an enzyme
JP7149838B2 (ja) 食器用液体洗浄剤組成物及び食器の洗浄方法
US6420332B1 (en) Blood and organic stain remover
CN1242035C (zh) 婴幼儿衣物洗涤剂
EP1095125B1 (en) Cleaning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cleaning stains from garments and textiles
CA2098761C (en) Solid laundry pre-spotter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bicarbonate and method of use
KR100481815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JP3255637B1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0494626B1 (ko) 헹굼성이 우수한 주방용 세제 조성물
AU2007256249B2 (en) Liquid hard surface cleaning composition
JP200216760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EP3545062B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H0699710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035570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631427B2 (ja) 酵素含有液体洗浄剤組成物
US6165958A (en) High foaming, grease cutting light duty liquid detergent comprising vinylidene olefin sulfonate
JP200118790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2264144B1 (ko) 손설거지용 액체 세제 조성물
JP2002194388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RU2241741C1 (ru) Жидкое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JP3522950B2 (ja) 衣料用液体洗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