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905B1 -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905B1
KR100479905B1 KR10-2002-0060095A KR20020060095A KR100479905B1 KR 100479905 B1 KR100479905 B1 KR 100479905B1 KR 20020060095 A KR20020060095 A KR 20020060095A KR 100479905 B1 KR100479905 B1 KR 100479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identification
license plate
ident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711A (ko
Inventor
백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9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2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이 개시된다.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는,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차량 검출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량 검출부; 상기 차량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 영상 촬영부; 상기 차량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결과를 차량 번호 식별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량 번호 식별부; 상기 차량 번호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된 영상에 대해서는 제1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영상에 대해서는 제2그룹으로 분류하여 상기 분류 결과를 출력하는 차량 분류부; 및 상기 분류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된 차량 번호 식별 신호 및 상기 차량 영상를 포함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 식별 기기에 의한 1차적인 차량 식별을 수행하고 이것이 실패하였을 경우에 중앙 서버에서 개별적으로 2차적인 차량 식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무인 톨게이트 시스템 등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Car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car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식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번호판 식별 알고리즘을 내장한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는 종래의 기술에는 촬영수단, 신호 처리 장치 및 중앙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무인 톨게이트 시스템이 있다. 종래의 무인 톨게이트 시스템은 촬영수단에 의하여 차량의 번호판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의 번호판 데이터를 신호 처리 장치에서 산출하고, 산출된 차량의 번호판 데이터를 중앙 컴퓨터로 전송하여 고속도로 통행료를 산출하여 차량 소유주에게 통보한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 톨게이트 시스템은 차량의 번호판이 제대로 식별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술된 일련의 과정들이 수행됨으로써,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았거나 잘못 식별된 경우에는 시스템이 차량 소유주에게 정상적인 고속도로 통행료 부과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식별 기기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번호판을 차량 식별 기기에 내장된 번호판 식별 알고리즘에 의하여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상기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식별하지 못한 경우에는 차량 식별을 위한 별도의 과정에 의해 차량 식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식별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차량 식별 기기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는,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차량 검출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량 검출부; 상기 차량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 영상 촬영부; 상기 차량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결과를 차량 번호 식별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량 번호 식별부; 상기 차량 번호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된 영상에 대해서는 제1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영상에 대해서는 제2그룹으로 분류하여 상기 분류 결과를 출력하는 차량 분류부; 및 상기 분류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된 차량 번호 식별 신호 및 상기 차량 영상를 포함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시스템은,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된 경우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를 분류하여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며, 각각의 고유 번호를 갖는 복수의 차량 식별 기기; 상기 복수개의 차량 식별 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및 차량 정보들 및 차량 소유주들의 정보들을 보유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마련되어, 상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행위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시스템은 상기 차량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된 차량 영상을 소정 압축률로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압축 수단은, 상기 차량 분류부로부터 입력된 분류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그룹으로 분류된 차량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고압축률로 압축하는 손실성 고압축수단; 및 상기 차량 분류부로부터 입력된 분류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2그룹으로 분류된 차량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저압축률로 압축하는 무손실성 저압축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 및 차량 식별 기기를 이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시스템은 차량 식별 기기(100),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00) 및 중앙 서버(300)를 구비하여, 식별 기기(100)를 통과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획득한 차량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중앙서버(300)로 전송하여 처리함으로써, 식별된 차량의 행위에 대하여 차량 소유주에게 범칙금의 부과를 통지한다거나 통행 요금의 부과를 통지하는 등 소정의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시스템은, 차량 식별 기기(100)에 의하여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된 경우와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를 분류하여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는 별도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또한 번호판이 식별되었더라도 잘못 식별된 것으로 판명된 차량에 대한 차후의 처리에 대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차량 식별 기기(100)는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고, 차량 식별 정보(161)를 출력한다. 복수개 마련되는 차량 식별 기기(100)에는 각각의 고유의 기기 번호를 갖고 있어서, 차량 식별 정보(161)를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중앙 서버(300)로 전송할 때 고유 번호를 함께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200)은 복수개의 차량 식별 기기들(100) 및 중앙 서버(300)에 연결되어 차량 식별 기기들(100)로부터 중앙 서버(300)로 차량 식별 정보(161)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중앙 서버(300)는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들(161)을 이용하여 차량이 촬영될 당시의 차량 식별 기기(100)에서의 차량의 행위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중앙 서버(300)는 차량 정보들 및 차량 소유주들의 정보들을 보유하는 데이터 베이스(310) 및 소정 기간 동안 차량 식별 정보(161)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320)을 포함한다. 차량 식별 정보(161)는 잘못 식별된 차량 번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판단은 중앙 서버(300)에서 식별된 차량 번호로서 차량 소유주를 조회하는 과정에서 밝혀질 수 있거나, 차후에 요금 통지 과정에서 잘못된 요금 통지에 이의를 제기하는 민원에 의해 확인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앙 서버(300)는 저장 수단(320)을 포함함으로써 차후에 잘못 식별된 정보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육안 검색 등 재차 식별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시스템은 특히, 중앙 서버(300)로 하여금 복수의 차량 식별 기기들(100)로부터 입력된 차량 식별 정보들(161)을 취합하고, 이들을 비교하고, 동일 차량으로 식별된 차량 식별 정보들을 분류하고, 고속도로 진입 톨게이트의 차량 식별 기기 및 진출 톨게이트의 차량 식별 기기 사이에 해당하는 소정 요금을 산정하고, 이를 차량 소유주에게 통지함으로써 무인 톨게이트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식별 기기(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차량 식별 기기(100)는 차량 검출부(110), 차량 영상 촬영부(120), 차량 번호 식별부(130), 차량 분류부(140) 및 차량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전송부(160)를 포함하며, 데이터 압축수단(150)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 식별 기기(100)는 차량 식별 시스템에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판매될 수도 있다.
차량 검출부(110)는 차량 식별 기기(100)가 설치된 위치를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차량 검출 신호(111)로서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100)는 무인 톨게이트 시스템이나 과속 단속기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검출부(110)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등에 의해 광을 출사하는 송광부(送光部, 미도시)와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송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구현되거나, 도로에 설치된 감지선을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거나,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송광부와 입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송광부로부터 발사된 레이저광이 차량에 반사되어 수광부로 입사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구현되거나, 도로에 설치된 두 줄의 감지선 사이를 통과하는 차량의 시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영상 촬영부(120)는 차량 검출 신호(111)에 응답하여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 영상(121)으로서 출력한다. 차량 영상 촬영부(120)는 번호판 식별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는 웹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번호 식별부(130)는 차량 영상 촬영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한다. 번호판의 식별은 차량 번호 식별부(130)에 내장된 번호판 식별 알고리즘에 의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번호판 식별 알고리즘은, 상기 차량 영상(121)으로부터 번호판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문자 패턴으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와, 문자 패턴 검색에 의해 상기 변환된 문자 패턴으로부터 번호판에 포함된 문자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문자 패턴에 대한 구조적인 해석을 통하여 번호판에 포함된 숫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번호 식별부(130)는 번호판 식별 알고리즘에 의해 식별된 결과를 차량 번호 식별 신호(131)로서 출력한다.
그런데, 차량 번호 식별부(130)에 내장된 번호판 식별 알고리즘에 의한 번호판 식별은 항상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 알고리즘이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지 못하거나 잘못 식별하는 상황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번호판 식별이 실패한 상황에서 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는 촬영된 영상을 육안으로 식별하거나 보다 고도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번호판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알고리즘에 의한 번호판 식별이 실패한 경우에 대비하여 식별된 차량 번호 뿐만이 아니라 촬영된 차량 영상도 함께 중앙 서버(300)측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분류부(140)는 차량 번호 식별 신호(131)를 입력받아 차량을 두 그룹으로 분류한다. 즉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된 영상에 대해서는 제1그룹으로 분류하고,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영상에 대해서는 제2그룹으로 분류하여 분류 결과를 출력한다.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류하여 처리 과정을 달리 함으로써, 차량 식별 기기(100)에 의해 식별되지 않은 차량에 대해서는 중앙 서버(300)에서 개별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데이터 전송부(160)가 전송하는 차량 식별 정보(161)에는 식별된 차량 번호 식별 신호(131), 차량 영상(121) 및 상기 차량 식별 기기(100)의 고유 번호가 포함된다. 여기서, 차량이 식별된 제1그룹은 차량 식별 정보(161)로서 식별된 차량 번호 식별 신호(131) 및 차량 식별 기기(100)의 고유 번호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그룹이라 하더라도, 차량 식별은 되었으나 차후에 잘못 식별된 것으로 판명될 경우를 대비하여 촬영된 차량 영상(121)을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100)는 차량 영상 촬영부(120)로부터 입력된 차량 영상(121)을 소정 압축률로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 수단(15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차량 식별 기기(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중앙 서버(300)로의 정보 전송에 따른 전송 트래픽(traffic)을 줄이기 위하여서는, 번호판 식별 알고리즘에 의한 차량 번호판의 식별 등급을 분류하여 중앙 서버(300)로 전송되는 영상의 질(quality)을 달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 번호 식별부(130)에 내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번호판이 식별된 경우에 대해서는 저해상도의 고압축된 영상을 전송하고, 차량 번호 식별부(130)에 내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는 중앙 서버(300)에서 개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고해상도의 저압축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압축 수단(150)은 손실성 고압축 수단(151) 및 무손실성 저압축 수단(152)을 포함한다.
손실성 고압축 수단(151)은 차량 분류부(140)로부터 입력된 분류결과에 응답하여 제1그룹으로 분류된 차량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고압축률로 압축한다. 압축률이 높을 수록 압축 수단(151)으로 입력된 데이터는 많이 손실된다.
무손실성 저압축 수단(152)은 차량 분류부(140)로부터 입력된 분류결과에 응답하여 제2그룹으로 분류된 차량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저압축률로 압축한다. 원래의 영상을 완벽하게 재구성하기 위하여는 압축률을 낮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미식별의 경우에는 촬영된 본래의 고화질의 영상에 의하여 확인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하여, 번호판이 정상적으로 식별되었거나, 식별되기는 하였지만 잘못 식별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확인 절차로서 촬영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상대적으로 쉽다.
데이터 압축 수단(150)이 구비된 경우에 데이터 전송부(160)가 전송하는 차량 식별 정보(161)에는, 식별된 차량 번호 식별 신호(131), 데이터 압축 수단(150)에 의하여 압축된 차량 영상 및 차량 식별 기기(100)의 고유 번호를 포함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 및 차량 식별 시스템은 무인 카메라에 의해 차량을 촬영 및 식별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행위에 대한 확인 또는 요금 부과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식별 기기를 복수개 마련하고, 이들 차량 식별 기기들로부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161)를 취합하여 처리하는 중앙 서버를 둠으로써 무인 톨게이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를 이용한 차량 식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차량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 단계), 영상 촬영 단계(S20 단계), 차량 번호 식별을 판단하는 단계(S30 단계), 차량을 분류하는 단계(S40 단계), 차량 영상을 압축하는 단계(S50 단계), 정보 전송 단계(S60 단계), 조회 및 요금 산정 단계(S70 단계) 및 요금 통지 단계(S80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S10 단계에서는 촬영할 차량이 검출되었는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 만일 차량이 검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영상을 촬영한다(S20 단계). S30 단계에서는, 촬영된 차량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가 식별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번호판이 식별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 영상을 제1그룹으로 분류하고 촬영된 차량 영상을 소정 고압축률로 손실성 압축을 수행한다(S40 단계). 그러나 만일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 영상을 제2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차량 영상을 소정 저압축률로 무손실성 압축을 수행하여 출력한다(S50 단계). S60 단계에서는, 압축된 차량 영상 및 차량 번호 식별 신호를 포함하는 차량 식별 정보(161)를 중앙 서버(300)로 전송한다.
S70 단계 및 S80 단계는 중앙 서버(30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다. 중앙 서버(300)는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310)에 저장된 차량 소유주의 정보들을 비교하여 차적을 조회하고 요금을 산정한다(S70 단계). 중앙 서버(300)는 산정된 요금을 조회된 차량 소유주에게 소정 기간내에 통지한다(S80 단계). 통지는 전자 우편 또는 일반 우편등에 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식별 기기에 의한 1차적인 차량 식별을 수행하고 이것이 실패하였을 경우에 중앙 서버에서 개별적으로 2차적인 차량 식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무인 톨게이트 시스템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 및 차량 식별 기기를 이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식별 기기를 이용한 차량 식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7)

  1.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는 차량 식별 기기에 있어서,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차량 검출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량 검출부;
    상기 차량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차량 영상 촬영부;
    상기 차량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결과를 차량 번호 식별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량 번호 식별부;
    상기 차량 번호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된 영상에 대해서는 제1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영상에 대해서는 제2그룹으로 분류하여 상기 분류 결과를 출력하는 차량 분류부; 및
    상기 분류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된 차량 번호 식별 신호 및 상기 차량 영상를 포함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식별 기기.
  2.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된 경우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경우를 분류하여 상기 차량의 식별 정보를 출력하며, 각각의 고유 번호를 갖는 복수의 차량 식별 기기;
    상기 복수개의 차량 식별 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및
    차량 정보들 및 차량 소유주들의 정보들을 보유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마련되어, 상기 전송된 차량 식별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행위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식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식별 기기는,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차량 검출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량 검출부;
    상기 차량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 영상으로서 출력하는 차량 영상 촬영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결과를 차량 번호 식별 신호로서 출력하는 차량 번호 식별부;
    상기 차량 번호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된 영상에 대해서는 제1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식별되지 않은 영상에 대해서는 제2그룹으로 분류하여 상기 분류 결과를 출력하는 차량 분류부; 및
    상기 분류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된 차량 번호 식별 신호 및 상기 차량 영상 및 상기 차량 식별 기기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식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영상 촬영부로부터 입력된 차량 영상을 소정 압축률로 압축하는 데이터 압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부가 전송하는 상기 차량 식별 정보는, 상기 식별된 차량 번호 식별 신호, 상기 데이터 압축 수단에 의하여 압축된 차량 영상 및 상기 차량 식별 기기의 고유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식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압축 수단은,
    상기 차량 분류부로부터 입력된 분류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그룹으로 분류된 차량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고압축률로 압축하는 손실성 고압축수단; 및
    상기 차량 분류부로부터 입력된 분류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2그룹으로 분류된 차량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저압축률로 압축하는 무손실성 저압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식별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차량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차량 식별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식별 기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차량 식별 정보들을 취합하여 비교하고, 동일 차량으로 식별된 차량 식별 정보들을 분류하여 진입구 차량 식별 기기 및 진출구 차량 식별 기기 사이에 해당하는 소정 요금을 상기 차량 소유주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식별 시스템.
KR10-2002-0060095A 2002-10-02 2002-10-02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 KR10047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095A KR100479905B1 (ko) 2002-10-02 2002-10-02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095A KR100479905B1 (ko) 2002-10-02 2002-10-02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11A KR20040029711A (ko) 2004-04-08
KR100479905B1 true KR100479905B1 (ko) 2005-03-31

Family

ID=3733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095A KR100479905B1 (ko) 2002-10-02 2002-10-02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144B1 (ko) * 2009-10-08 2011-03-14 렉스젠(주) 차량 정보 판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보 판독 방법
CN106128112B (zh) * 2016-07-26 2018-09-18 海南怡盟电子科技有限公司 夜间卡口车辆识别抓拍方法
KR102304802B1 (ko) * 2019-07-31 2021-09-24 주식회사 크래비스 고속도로 요금 과금을 위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711A (ko)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78B1 (ko) 다차로 환경에서의 딥러닝 기반 차량번호인식 기술을 활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263B1 (ko) 융복합형 검지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 단속시스템
KR102163208B1 (ko) 하이브리드 무인교통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0874B1 (ko) 하이패스 다차로의 위반차량 매칭 시스템
CN111629181B (zh) 消防生命通道监控系统及方法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US7081814B2 (en) Chang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method or apparatus
KR101974105B1 (ko) 차량번호 인식률을 높인 차량 촬영시스템 및 방법
KR102414876B1 (ko) 라이다 기반 좌회전 감응신호를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시스템
KR100948382B1 (ko) 방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311805B1 (ko) 딥러닝 기반 차량 및 인체 자동 감지용 영상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124027B1 (ko) 빅데이터 기반의 멀티 채널 감시 및 객체 분석이 가능한 클라우딩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03697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감시장치
CN112419686A (zh) 一种桥梁撞击探测的多级判断报警与事件记录系统
US10922826B1 (en) Digital twin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KR100562008B1 (ko) 무인 과속 감지 카메라 시스템
KR20190136515A (ko) 차량 인식 장치
KR100479905B1 (ko) 차량 식별 기기 및 이를 채용한 차량 식별 시스템
KR102222109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이미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839815B1 (ko) 차량번호 인식 및 검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번호인식 및 검색방법
WO20120819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violation detection
KR101071715B1 (ko) 아이피 기반의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JPH0238997B2 (ko)
KR20040071479A (ko) 차량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CN101540102A (zh) 检测车辆违法占道的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