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818B1 -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818B1
KR100478818B1 KR10-2002-0070498A KR20020070498A KR100478818B1 KR 100478818 B1 KR100478818 B1 KR 100478818B1 KR 20020070498 A KR20020070498 A KR 20020070498A KR 100478818 B1 KR100478818 B1 KR 10047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ry
molding
upper mold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2285A (ko
Inventor
이득영
정국진
Original Assignee
이득영
정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득영, 정국진 filed Critical 이득영
Priority to KR10-2002-007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81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2Containers made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2Trays made of pressed material, e.g. paper pul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4Containers with compartments made of press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4Kneading or mixing; Pul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고지를 원료로 갈아 만든 펄프를 금형으로써 성형하고, 성형된 제품을 탈수 건조하여 완성하되, 하나의 혼합조 및 제품성형틀에 대하여 좌, 우 양쪽에 대칭적으로 건조성형수단 및 이송수단을 구비한 후, 이들이 시차를 두고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생산성을 배가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펄프와 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중앙의 혼합조(100); 상기 혼합조(10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임의의 높이로 수직 승강 가능한 중앙 하부성형틀(210)과, 상기 중앙 하부성형틀(210)의 직상부에서 수직 승강하여 상기 중앙 하부성형틀(210)에 밀착할 수 있는 중앙 상부성형틀(220)로 이루어진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의 좌측에 구비하되,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좌측에서 수직 승강할 수 있는 좌측 상부성형틀(310)과, 상기 좌측 상부성형틀(310)의 수직 하방위치 및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수직 하방위치를 왕복할 수 있도록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상에 구비된 좌측 하부성형틀(320)로 이루어진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의 우측에 구비하되,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우측에서 수직 승강할 수 있는 우측 상부성형틀(410)과, 상기 우측 상부성형틀(410)의 수직 하방위치 및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수직 하방위치를 왕복할 수 있도록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상에 구비된 우측 하부성형틀(420)로 이루어진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 상기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공급받는 좌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 및 상기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공급받는 우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600);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PRODUCTION SYSTEM FOR PULP MOLDING PRODUCT}
본 발명은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지(신문지, 골판지 또는 재생지 등)를 물과 혼합한 후, 갈아서 만든 펄프를 주재료로 하여 계란 포장판이나 손상되기 쉬운 과일 포장판, 그리고 전자제품 등을 완충 고정할 수 있는 상품 포장재를 만들기 위한 생산 시스템이다.
이 것은 고지를 물과 혼합한 후, 이를 갈아 만든 고지펄프를 물과 2차 혼합하여 희석하고, 혼합조에 넣어 제품에 맞게 설계된 성형틀을 사용하여 제품을 성형하고 탈수 및 1차 건조, 2차건조, 3차 건조를 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성형공정의 성형 주기 즉, 생산사이클을 단축하기 위하여 좌, 우로 각각 제2차 건조성형수단과 제3차 건조로를 설치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도면상의 방향임-이하 같음)의 혼합조(a)에서 펄프몰드금형에 의해 성형된 제품이 우측의 1차 탈수건조(b), 2차건조(c), 3차 건조(d) 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되, 일방향 직선형장치에서 가장 끝단에 성형조를 위치하여 순차적으로 건조 제품을 완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혼합조에 있는 제품성형틀은 1차 건조를 하는 동안 제품을 준비하고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불필요하게 이송 대기하는 시간이 길게 남아 있다.
이로 인해 성형시간, 이송시간, 각부의 건조시간, 가동부의 이송시간의 한계로 생산량은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량은 매출과 직결되어 있으며 이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펄프몰드시스템의 설비대수를 늘릴 수 밖에 없어 투자비가 상승하며 설비증가에 따른 인력, 동력비, 금형비, 공간적 활용 등의 면에서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운송간에 쉽게 파손될 수 모든 상품을 포장하도록 고지를 원료로 갈아 만든 펄프를 주재료로 금형으로 제품을 성형하고 성형된 제품을 탈수 건조 공정을 통해 건조함에 있어서 혼합조 및 제품성형틀을 장치의 중앙에 설치하고 하부의 가동슬라이더를 좌, 우 교대로 이송케 함으로써 펄프몰드시스템 1대에 2개소의 분할된 건조 및 이송장치를 통해 생산성을 2배로 최대화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수단은 펄프와 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중앙의 혼합조; 상기 혼합조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임의의 높이로 수직 승강 가능한 중앙 하부성형틀과, 상기 중앙 하부성형틀의 직상부에서 수직 승강하여 상기 중앙 하부성형틀에 밀착할 수 있는 중앙 상부성형틀로 이루어진 제1차 건조성형수단;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의 좌측에 구비하되,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의 좌측에서 수직 승강할 수 있는 좌측 상부성형틀과, 상기 좌측 상부성형틀의 수직 하방위치 및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의 수직 하방위치를 왕복할 수 있도록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 상에 구비된 좌측 하부성형틀로 이루어진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의 우측에 구비하되,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의 우측에서 수직 승강할 수 있는 우측 상부성형틀과, 상기 우측 상부성형틀의 수직 하방위치 및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의 수직 하방위치를 왕복할 수 있도록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상에 구비된 우측 하부성형틀로 이루어진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 그리고 상기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공급받는 좌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 및 상기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공급받는 우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으로 구성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면 구성도이고, 도 3은 그 평면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펄프와 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중앙의 혼합조(100)와, 하나의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과, 2개의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400)과, 2개의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600)으로 구성된다.
먼저, 하나의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은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혼합조(10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임의의 높이로 수직 승강 가능한 중앙 하부성형틀(210)과, 상기 중앙 하부성형틀(210)의 직상부에서 수직 승강하여 상기 중앙 하부성형틀(210)에 밀착할 수 있는 중앙 상부성형틀(220)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2개의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400)은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즉,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은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좌측에서 수직 승강할 수 있는 좌측 상부성형틀(310)과, 상기 좌측 상부성형틀(310)의 수직 하방위치 및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수직 하방위치를 왕복할 수 있도록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상에 구비된 좌측 하부성형틀(320)로 이루어 지며,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은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우측에서 수직 승강할 수 있는 우측 상부성형틀(410)과, 상기 우측 상부성형틀(410)의 수직 하방 위치 및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수직 하방 위치를 왕복할 수 있도록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상에 구비된 우측 하부성형틀(420)로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의 좌측 하부성형틀(320)과, 상기한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의 우측 하부성형틀(420)은 각각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의 중앙 상부성형틀(220) 밑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되,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이 구비한 상, 하부성형틀(210)(220)의 작동주기를 단축하기 위하여 상호 교대로 작동하도록 배려하는 것이 중요한 점이다.
그리고, 상기한 중앙 하부성형틀(210)과, 중앙 상부성형틀(220)과, 좌측 하부성형틀(320)과, 좌측 상부성형틀(310)과, 우측 하부성형틀(420)과, 우측 상부성형틀(410)은 각각의 발열판(700)들을 구비하며, 상기한 중앙 하부성형틀(210)과, 중앙 상부성형틀(220)과, 좌측 상부성형틀(310)과, 우측 상부성형틀(410)은 각각의 승강작동을 위해 유압실린더(800)를 구비한다.
아울러 좌, 우 양측의 슬라이더 유니트(330)(340)는 제품을 다음의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각각의 좌측 컨베이어(331) 및 우측 컨베이어(431)를 갖는다.
또, 2개의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60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2차 건조성형수단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배치하되, 좌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은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의 좌측 컨베이어(331)에 인접시키고, 우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600)은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의 우측 컨베이어(431)에 인접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한 각각의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600)은 건조로(爐)로 되어 있으며, 도 3에서 보듯이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 및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400)들과 직교하면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하는 방법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교하지 않고 일직선 형태로 나란히 펼쳐 배치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가로 세로가 비슷한 장방형의 공간에서 유리하고, 후자의 경우는 좁고 긴 직선형의 공간에서 유리하다.
또한, 좌측의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은 건조로(爐)를 사용하지 않고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과 같은 구조를 하나 이상 반복설치하여 대체하고, 상기한 우측의 제3차 건조성형수단(600)은 역시 건조로(爐)를 사용하지 않고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500)과 같은 구조를 하나 이상 반복설치하여 대체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에 의한 제1차 건조성형과정이다.
혼합조(100)내의 중앙 하부성형틀(210)의 실린더(800)가 작동하므로써 펄프가 얹힌 채 정해진 상부위치로 상승하면, 그 직상방의 제1차 건조용 중앙 상부성형틀(220)이 하강하여 가압하고, 약 몇초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품(P)이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저면에 흡착된 상태로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400)에 의한 제2차 건조성형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는 어느쪽이 먼저 시작하던지 좌측과 우측이 번갈아 작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저면에 제품(P)이 흡착된 상태로 상승하면,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의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가 내측으로 전진하고, 좌측 하부성형틀(320)이 상기한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밑에 위치하게 되면, 이 상태에서 중앙 상부성형틀(220)이 하강하여 누른 상태로 제1차 건조성형과정을 시작한다.
제1차 건조성형과정은 약간의 시간(약 5초)동안이며, 다시 중앙 상부성형틀(220)이 상승하면,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가 후퇴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가 후퇴하는 순간부터 중앙 하부성형틀(210)은 혼합조(100) 내에서 펄프를 얹은 채 다시 상승하여 다음의 우측 제2차 건조성형과정을 시작하는 바, 이는 다음의 우측 제2차 건조성형과정에서 설명한다.)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가 후퇴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의 좌측 상부성형틀(310)이 하강하여 제2차 건조성형과정을 수행한다.
제2차 건조성형과정은 약 18초간의 시간을 가압 가열하며, 그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좌측 상부성형틀(310)이 제품(P)을 포함한 채 상승한 후,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가 중앙으로 진행하였을 때 좌측 상부성형틀(310)이 하강하여 인접한 좌측 컨베이어(331)에 올려 놓는다.
좌측 컨베이어(331)에서는 다음 차례의 좌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으로 보내어 건조한다.
여기까지가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 및 좌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의 작동이다.
한편, 우측 제2차 건조성형과정과 제3차 건조성형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가 후퇴하는 순간부터 이어진다.
즉, 중앙 하부성형틀(210)이 혼합조(100) 내에서 펄프를 얹은 채 다시 상승하면, 중앙 상부성형틀(220)이 하강하여 가압하고, 약 몇초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품(P)이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저면에 흡착된 상태로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저면에 제품(P)이 흡착된 상태로 상승하면, 이번에는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의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가 내측으로 전진하고, 우측 하부성형틀(420)이 상기한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밑에 위치하게 되면, 그 상태에서 중앙 상부성형틀(220)이 하강하여 누른 상태로 우측에서의 제1차 건조성형과정을 시작한다.
우측에서의 제1차 건조성형과정도 약 5초의 시간이며, 이후, 다시 중앙 상부성형틀(220)이 상승하면,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가 후퇴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좌측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가 후퇴하는 순간부터 중앙 하부성형틀(210)은 혼합조(100) 내에서 펄프를 얹은 채 다시 상승하여 다음 차례의 좌측 제2차 건조성형과정을 시작하는 것이다.
이 같이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가 후퇴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의 우측 상부성형틀(410)이 하강하여 우측에서의 제2차 건조성형과정을 수행한다.
우측에서의 제2차 건조성형과정도 약 18초간의 시간을 가압 가열하며, 그 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우측 상부성형틀(410)이 제품(P)을 포함한 채 상승한 후,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가 중앙으로 진행하였을 때 우측 상부성형틀(410)이 하강하여 인접한 우측 컨베이어(431)에 올려 놓는다.
우측 컨베이어(431)에서는 다음의 우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600)으로 보내어 건조한다.
여기까지가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 및 우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600)의 작동이다.
앞에서 각각의 좌, 우 건조성형과정을 살펴 본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은 서로의 시차가 다를 뿐 동일하게 같이 진행된다.
즉, 최초 중앙 하부성형틀(210)이 제공하는 펄프를 중앙 상부성형틀(220)로부터 받는 시간에 차이가 있을 뿐이고, 좌측에서 실시되는 제1차, 제2차, 제3차 건조성형과정은 우측에서 실시되는 제1차, 제2차, 제3차 건조성형과정과 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혼합조(100) 속에서 작동하는 중앙 하부성형틀(210)이 종래와 달리 대기하는 시간이 없이 계속 작동할 수 있고, 그 만큼 생산성이 배로 향상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펄프몰드제품을 성형하고 이를 발열판이 부착된 건조용 상, 하부성형틀에 의하여 건조시켜 제품을 완성하도록 함에 있어서, 제품성형틀 및 성형건조부를 중앙에 위치시키고 건조방법 및 건조 수단을 좌, 우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1대의 혼합조를 갖는 본체 시스템에 2대의 건조성형수단을 가지기 때문에 2배의 생산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투자비 및 전력, 인건비, 금형비 등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활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혼합조 200 : 제1차 건조성형수단
210 : 중앙 하부성형틀 220 : 중앙 상부성형틀
300 :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 310 : 좌측 상부성형틀
320 : 좌측 하부성형틀 330 :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
331 : 좌측 컨베이어 400 :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
410 : 우측 상부성형틀 420 : 우측 하부성형틀
430 :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 431 : 우측 컨베이어
500 : 좌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 600 : 우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
700 : 발열판 800 : 실린더

Claims (5)

  1. 펄프와 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중앙의 혼합조;
    상기 혼합조의 내부로부터 상, 하 승강하는 중앙 하부성형틀과 이에 대응하면서 상, 하 승강가능한 중앙 상부성형틀을 포함하는 제1차 건조성형수단;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으로부터 제품을 제공받아 제2차 건조성형하되, 그 좌, 우 양측에 각각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과,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을 설치한 후, 이들 좌, 우 양측의 제2차 건조성형수단이 상호 교대로 제품을 제공받아 각각의 제2차 건조성형과정을 진행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2. 펄프와 물을 혼합하여 저장하는 중앙의 혼합조(100);
    상기 혼합조(10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임의의 높이로 수직 승강 가능한 중앙 하부성형틀(210)과, 상기 중앙 하부성형틀(210)의 직상부에서 수직 승강하여 상기 중앙 하부성형틀(210)에 밀착할 수 있는 중앙 상부성형틀(220)로 이루어진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의 좌측에 구비하되,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좌측에서 수직 승강할 수 있는 좌측 상부성형틀(310)과, 상기 좌측 상부성형틀(310)의 수직 하방위치 및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수직 하방위치를 왕복할 수 있도록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상에 구비된 좌측 하부성형틀(320)로 이루어진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의 우측에 구비하되,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우측에서 수직 승강할 수 있는 우측 상부성형틀(410)과, 상기 우측 상부성형틀(410)의 수직 하방위치 및 상기 중앙 상부성형틀(220)의 수직 하방위치를 왕복할 수 있도록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상에 구비된 우측 하부성형틀(420)로 이루어진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
    상기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공급받는 좌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 및
    상기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공급받는 우측 제3차 건조성형수단(600);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측 슬라이더 유니트(330)의 좌측 하부성형틀(320)과, 상기한 우측 슬라이더 유니트(430)의 우측 하부성형틀(420)은 각각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의 중앙 상부성형틀(220) 밑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되,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이 구비한 상, 하부성형틀(210)(220)의 작동주기를 단축하기 위하여 상호 교대로 작동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 우 양측의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600)은 상기 제1차 건조성형수단(200) 및 제2차 건조성형수단(300)(400)들과 직교하지 않고 일직선 형태로 펼쳐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측의 제3차 건조성형수단(500)은 좌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400)을 하나 이상 반복설치하여 대체하고, 상기한 우측의 제3차 건조성형수단(600)은 우측 제2차 건조성형수단(500)을 하나 이상 반복설치하여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KR10-2002-0070498A 2002-11-13 2002-11-13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KR10047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498A KR100478818B1 (ko) 2002-11-13 2002-11-13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498A KR100478818B1 (ko) 2002-11-13 2002-11-13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945U Division KR200306105Y1 (ko) 2002-11-13 2002-11-13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285A KR20040042285A (ko) 2004-05-20
KR100478818B1 true KR100478818B1 (ko) 2005-03-25

Family

ID=3733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498A KR100478818B1 (ko) 2002-11-13 2002-11-13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8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00A (ja) * 1998-07-14 2000-02-02 Oji Paper Co Ltd 抄造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0238509Y1 (ko) * 2001-04-16 2001-10-11 김석진 펄프몰드 성형장치
KR200242096Y1 (ko) * 2001-04-26 2001-10-12 정국진 펄프몰드의 건조장치
KR20020084317A (ko) * 2001-04-26 2002-11-07 정국진 펄프몰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00A (ja) * 1998-07-14 2000-02-02 Oji Paper Co Ltd 抄造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0238509Y1 (ko) * 2001-04-16 2001-10-11 김석진 펄프몰드 성형장치
KR200242096Y1 (ko) * 2001-04-26 2001-10-12 정국진 펄프몰드의 건조장치
KR20020084317A (ko) * 2001-04-26 2002-11-07 정국진 펄프몰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285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60B1 (ko)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KR20020022710A (ko) 주형 조형기 및 패턴 캐리어
CN102465477A (zh) 一种纸浆模塑制品生产装置及应用其制备模塑制品的方法
US9790430B2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a coal cake suitable for coking
JP2000034700A (ja) 抄造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0478818B1 (ko)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US7179077B2 (en) Concrete block press
KR200306105Y1 (ko) 펄프몰드제품의 생산시스템
CN211467543U (zh) 一种石英合成石板材的制备生产线
KR101078418B1 (ko) 펄프몰드 성형장치
KR100856509B1 (ko) 일방향 성형물 공급구조의 펄프 성형장치
CN107243982A (zh) 一种陶瓷印花烘干一体机械
CN104652178B (zh) 大型厚体纸浆模压设备
KR101343439B1 (ko) 유리섬유를 이용한 대형탱크 보온 단열재 커버의 수직 가압형 고주파 건조장치
CN201942956U (zh) 一种纸浆模塑制品生产装置
KR100856503B1 (ko) 양방향 성형물 공급구조의 펄프 성형장치
KR200378718Y1 (ko) 펄프몰드 성형 장치
CN103862716B (zh) 茶砖自动脱模机
CN113152156A (zh) 一种三工位纸浆模塑成型装置
JP4392196B2 (ja) パルプモールド成形品の製造装置
CN214725174U (zh) 免托板自动叠层砌块生产线
KR200378720Y1 (ko) 건습식 몰드 성형장치
RU2150377C1 (ru) Агрегат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CN218255732U (zh) 匣钵成型设备
KR200274388Y1 (ko) 펄프용기 자동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