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558B1 - 에러띠를이용한윤곽선부호화방법 - Google Patents

에러띠를이용한윤곽선부호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558B1
KR100478558B1 KR1019970032374A KR19970032374A KR100478558B1 KR 100478558 B1 KR100478558 B1 KR 100478558B1 KR 1019970032374 A KR1019970032374 A KR 1019970032374A KR 19970032374 A KR19970032374 A KR 19970032374A KR 100478558 B1 KR100478558 B1 KR 100478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ontour
segments
image
lm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우
조성호
김인철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20Contour coding, e.g. using detection of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27Global motion vector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7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 H04N19/543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세그먼트기반 윤곽선 부호화방법은, 기준영상에 대한 현재 영상내 객체의 움직임보상을 수행하여, 움직임보상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a), 단계 (a)에서 움직임보상된 영상에 들어있는 객체의 윤곽선과 현재 양상내 객체의 윤곽선을 비교하여, 현재 영상내 객체의 전체 윤곽선을 광역움직임보상(GMC) 세그먼트들과 광역움직임보상실패(GMF) 세그먼트들로 구분하는 단계(b), 단계 (b)의 각 GMF세그먼트를 국소움직임보상(LMC) 세그먼트 및 국소움직임보상실패(LMF) 세그먼트로 구분하는 단계(c), 및 GMC세그먼트들 및 LMC세그먼트들을 움직임보상부호화하며 LMF세그먼트들을 각 LMF세그먼트들을 구성하는 화소정보만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단계(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러띠를 이용한 윤곽선 부호화방법
본 발명은 객체지향(object-oriented) 비데오부호화를 위한 윤곽선(contour) 부호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윤곽선 움직임정보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낮은 비트율의 데이터전송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은 동영상을 이용하기 위해 영상정보를 높은 비율로 압축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블록기반(block-based) 영상부호화기법 대신에 영상을 영역들로 분할하여 영역별로 움직임추정동작과 부호화동작을 수행하는 영역기반(region-based) 동영상부호화기법들이 제안되었다. 영역기반 동영상부호화기는 영역분할정보를 부호화하는 알고리듬에 의해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그러므로, 효율적으로 윤곽선(contour)을 부호화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영역기반 움직임보상을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하면, 이전프레임내의 객체(object)를 이용하여 움직임보상을 수행하는 경우, 객체에 대한 움직임추정의 부정확함 또는 변형(deformation)에 의해 움직임궤적(motion trajectory)을 따라 객체 주변에 움직임보상에러들이 발생한다. 커다란 움직임보상에러들을 지닌 영역을 움직임보상실패(motion compensation failure)영역(이하 "MF영역"이라 함)이라 정의하면, MF영역은 현재 객체와 움직임보상된 객체간에 불일치된 영역이 된다. 도 1에서, MF영역들은 현재 객체 주변의 검게된 부분들로 표시되며, 현재객체 주변의 윤곽선은 굵은 선으로 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영역기반 동영상부호화에 관련된 부호기 및 복호기는 이전 프레임내 객체의 윤곽선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프레임내의 윤곽선들은 움직임보상을 사용함에 의해 효과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움직임보상을 사용하는 경우, 현재 프레임내 객체의 윤곽선에 들어있는 윤곽화소들중에서 MF영역에 해당하는 윤곽화소들만이 전송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그 밖의 윤곽선들은 움직임보상된 이전 프레임내 객체의 윤곽선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Special Issue of Signal Processing: Image Communication on Coding Techniques for Very Low Bit-rate Video, Vol. 7, No. 4-6, pp279-296, Nov. 1995에 실려있는 C. Gu 및 M. Kunt에 의한 "Contour simplipication and motion compensated coding"란 표제의 참조 [1]은 시간상관성(temporal correlation)을 활용하는 비데오부호화를 위한 예측 윤곽선부호화기법을 개시한다. 이 참조 [1]의 개시에 따르면, 각 객체에 대한 움직임보상 이후에, 움직임실패(MF)영역들내의 윤곽선들은 종래의 체인(chain)부호화기법에 의하여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그러나, MF영역들은 일반적으로 드문드문(sparse) 고립된(isolated) 방식으로 분포되므로, 각각의 고립된 윤곽선들을 체인부호들로 표현하는데는 많은 오버헤드들이 요구된다. 더욱이, 움직임보상이 객체기반하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객체내에서 작은 국소움직임이 있는 영역들 조차도 MF영역들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윤곽선들의 프레임간 상관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그먼트기반(segment basis)의 움직임보상을 이용하므로써 윤곽선들을 효과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윤곽선부호화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윤곽선 움직임정보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그먼트기반 윤곽선 부호화방법은, (a) 기준영상에 대한 현재 영상내 객체의 움직임보상을 수행하여, 움직임보상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움직임보상된 영상에 들어있는 객체의 윤곽선과 현재 양상내 객체의 윤곽선을 비교하여, 현재 영상내 객체의 전체 윤곽선을 광역움직임보상(GMC) 세그먼트들과 광역움직임보상실패(GMF) 세그먼트들로 구분하는 단계; (c) 단계 (b)의 각 GMF세그먼트를 국소움직임보상(LMC) 세그먼트 및 국소움직임보상실패(LMF) 세그먼트로 구분하는 단계; 및 (d) GMC세그먼트들 및 LMC세그먼트들을 움직임보상부호화하며, LMF세그먼트들을 각 LMF세그먼트들을 구성하는 화소정보만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윤곽선 움직임정보 전송방법은, (a) 현재 영상내의 객체를 움직임보상을 이용하여 윤곽선부호화하는 단계; 및 (b) 단계 (a)에서 윤곽선 부호화된 현재 객체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영상내의 객체를 움직임보상을 이용하여 윤곽선부호화하는 단계(a), 및 단계 (a)에서 윤곽선 부호화된 현재 객체를 현재 객체의 절대위치와 상대위치중의 하나로 표현되는 위치정보로 전송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윤곽선 움직임정보 전송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객체지향 비데오부호화를 위해 움직임정보를 이용하는 세그먼트기반의 새로운 윤곽선부호화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윤곽선부호화방법은 현재 영상프레임내에 들어있는 객체의 윤곽선을 2단계(two-stage)의 움직임보상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첫 번째 단계 움직임보상은, 전술의 참조 [1]과 비슷하게, 객체기반하에서 수행된다. 광역움직임벡터(global motion vector; GMV)는 현재 영상프레임내의 객체와 기준영상프레임내의 대응하는 객체간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현재 영상프레임내의 객체에 관련한 움직임보상을 위해 사용된다. GMV는 객체기반 움직임보상에 이용되는 다양한 알고리듬들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광역움직임벡터(GMV)를 찾아내기 위해 기존의 블록매칭알고리듬을 사용한다. 그 결과, 현재 영상프레임내에 들어있는 객체의 윤곽선은 광역움직임보상(global motion compensated; GMC) 세그먼트들 및 광역움직임보상실패(global motion failure; GMF)세그먼트들로 분리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GMF세그먼트가 있는 예가 보여진다.
GMF세그먼트의 경우, 움직임보상의 두 번째 단계가 수행된다. 두 번째 단계 움직임보상은, GMF세그먼트의 현재위치 주변을 국소 검색하므로써, 움직임보상된 윤곽선들중에서 GMF세그먼트에 속한 윤곽선화소들과 국소적으로 일치하는 윤곽선화소들을 찾아낸다. 국소움직임벡터(local motion vector; LMV)를 찾아내기 위하여, 움직임보상된 프레임에 들어있는 검색범위내의 모든 세그먼트들에 대한 검색이 수행된다. 검색범위는 장면의 변화정도 즉, 객체의 움직임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윤곽선은 통상 두 그레이(gray)레벨만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세그먼트에 대해 움직임추정을 하는 경우, 단순한 해밍거리(simple Hamming distance)가 왜곡계량(distortion measure)을 위해 사용된다. 최소 해밍거리에 대응하는 GMV 및 LMV가 결정되면, 이 GMV 및 LMV를 이용하므로써 현재 프레임에서의 윤곽선들에 대하여 움직임보상된 윤곽선들이 얻어진다. 그 결과, GMF세그먼트는 국소움직임보상(local motion compensated; LMC) 세그먼트와 국소움직임보상실패(LMF)세그먼트로 분리된다.
GMC세그먼트 및 LMC세그먼트는 GMV 및 LMV를 이용하는 복호기에 의해 각각 재구성될 수 있는 반면, LMF세그먼트들은 그렇지 못하다. 이 LMF세그먼트들은 프레임내(intra-frame) 윤곽선부호화기법에 의해 부호화되며, 많은 량의 비트들이 LMF세그먼트들을 부호화하는데 소모된다. 그러므로, 윤곽선들의 부호화를 위한 비트량은 LMF세그먼트가 되는 세그먼트들의 갯수를 감소시킴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MF세그먼트가 되는 세그먼트들의 갯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에러띠(error band)의 개념을 제안한다. 폭 2 의 에러띠(EBN)는 각 윤곽선화소들의 이웃들의 합집합에 의해 정의되며, 다음의 수학식 1로 주어진다.
EBN=∪
여기서, C는 LMF세그먼트내의 윤곽선화소들의 집합이며, p번째 윤곽선화소의 이웃인 B(p)은 다음의 수학식 2로 묘사된다.
B(p)=
여기서 d(x,p)는 유클리드거리(Euclidean distance)이다.
도 3a는 에러가 '0'인 원래의 윤곽선화소 및 에러가 있는 이웃들을 보여주며, 도 3b는 폭이 2 인 에러띠의 예를 보여준다. 시작점으로부터 끝점까지의 LMF세그먼트가 도 3b에 보여진 것처럼 주어졌을 때, 국소움직임보상된 윤곽선이 주어진 LMF세그먼트에 관련된 폭 2 의 에러띠내에 존재한다면, 그 LMF세그먼트는 국소움직임보상된 윤곽선에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시 말하면, LMF세그먼트의 에러띠가 움직임보상된 윤곽선을 포함하고 있다면, 그 세그먼트는 LMC세그먼트로 간주된다. 따라서, 윤곽선들의 프레임간 상관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LMF세그먼트가 되는 세그먼트들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윤곽선부호화에 드는 비트량은 에러띠의 폭 N을 가변시키므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GMC세그먼트와 GMF세그먼트로 분리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광역움직임보상실패로 간주될 수 있는 구간도, 만일 광역움직임보상된 윤곽선이 현재 프레임내 윤곽선을 중심으로 정해진 폭의 에러띠내에 존재하면, GMC세그먼트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GMC세그먼트의 수를 증가시켜 소요비트량을 줄일 수 있다.
완전히 8-연결된(perfectly 8-connected) 윤곽선들이 주어진 경우, 현재프레임의 윤곽선들은 전술의 2단계 움직임보상에 따라 3 종류의 세그먼트들, 즉, GMC세그먼트, LMC세그먼트 및 LMF세그먼트로 분리된다. 그런 이후에, 각 세그먼트들은 윤곽선들에 관련한 기설정된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호화된다. 그러나, 각 세그먼트들을 부호화하는 방법들은 세그먼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GMC세그먼트 및 LMC세그먼트는 움직임보상(MC)세그먼트부호들로 부호화된다. 여기서, GMC세그먼트는 LMV가 제로벡터인 LMC세그먼트들의 한 종류로 취급될 수 있다. LMF세그먼트들은 가장 효율적인 프레임내(intra-frame)부호화기법들중의 하나인 이웃방향세그먼트부호화(neighbouring direction segment coding; NDSC)기법에 의해 MF세그먼트부호들로 부호화된다. NDSC기법은 IEEE Trans. on Commun., Vol. COM-33, pp. 697-707, July 1985 에 실려있는 T. Kaneko 및 Okudaira에 의한 "Encoding of arbitrary curves based on chain code representation," 란 표제의 참조[2]에서 개시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선부호화기법을 위한 비트스트림구문법(bit stream syntax)을 보여준다. 도 4에 보여진 비트스트림은, 헤더부호(header code)로 시작하며, 세그먼트부호들이 뒤따른다. 마지막에는, 종료부호(termination code)가 그 부호들의 끝을 표시하기 위해 덧붙여진다. 각 세그먼트는 그 세그먼트의 유형에 따라 MC세그먼트부호 또는 MF세그먼트부호로 부호화된다. GMC세그먼트 및 LMC세그먼트는 MC세그먼트부호로 부호화되며, LMF세그먼트는 MF세그먼트부호로 부호화된다.
세그먼트들의 유형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세그먼트부호는 이전 세그먼트의 유형에 의해 결정되는 MC플래그(flag)로 시작한다. MC플래그는 도 5에 보여진 것같은 세그먼트천이도에 의해 설명된다. 도 5에서, 각 가지들에서의 값들은 다음 세그먼트들을 위한 MC플래그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세그먼트에 관련한 MC플래그는 그 세그먼트가 MC세그먼트부호로 부호화된다면 '00'이 되며, MF세그먼트부호로 부호화된다면 '01'이 된다. 각 부호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더부호
윤곽선들을 위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은 헤더부호로 시작한다. 헤더부호는 GMV 및 시작점부호를 포함하며, GMV는 전술의 첫 번째 단계 움직임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움직임벡터를 의미한다. GMV를 사용하면, 움직임보상된 윤곽선들이 이전프레임에서의 윤곽선들 및 현재 프레임에서의 윤곽선들로부터 얻어진다. 전술한 첫 번째 단계 움직임보상에 의해, 현재프레임에서의 윤곽선들의 시작점은 움직임보상된 윤곽선의 시작점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프레임에서의 시작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시작점부호가 전송된다.
QCIF포맷(176×144) 영상을 예를 들면, 시작점은 16비트로 부호화할 수 있다. 그러나, 움직임보상된 윤곽선들이 현재프레임의 윤곽선들과 유사하므로, 현재프레임에서의 윤곽선의 시작점은 움직임보상된 윤곽선의 시작점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로 부호화될 수 있다. 현재프레임에서의 윤곽선의 시작점은 두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할 수 있으며, 두 방법들의 부호화효율을 고려하여 하나의 방법이 선택된다. 어떤 방법이 이용되는 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추가 1비트 위치플래그가 사용된다. 상대적인 위치가 [-4,3]×[-4,3]내에 있다면, 위치플래그는 "1"로 설정되며, 현재프레임에서의 윤곽선의 시작점이 갖는 상대적인 위치는 6비트의 시작부호로 부호화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위치플래그는 "0"으로 설정되며 현재프레임에서의 윤곽선의 시작점이 갖는 절대위치가 16비트의 시작부호로 부호화된다.
상대 위치를 부호화할 때는 기준객체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식별자(ID)를 추가로 부호화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각 객체는 부여된 ID를 가지므로 객체식별자(object ID)를 부호화하면 된다.
상대위치를 부호화하는 방법과 절대위치를 부호화하는 방법은 주기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일정시간마다 절대 위치값을 부호화하도록 선택하는 것이다. 이것은 에러의 전파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시작점정보와 함께 GMC세그먼트의 길이가 부호화된다. 여기서, GMC세그먼트의 길이는 그 GMC세그먼트를 구성하는 윤곽선화소들의 갯수이다. 움직임보상의 대상 영역으로는 기준프레임과 현재프레임에 있는 윤곽선영상만을 이용할 수 도 있고, 통상적인 질감묘사(texture)까지 포함하는 즉, 윤곽선 내부 화소값들도 포함하는 객체영상을 이용할 수 도 있다.
움직임보상세그먼트부호
GMC세그먼트와 LMC세그먼트간의 유일한 차이는 LMV가 영인 지 아닌 지이므로, GMC세그먼트 및 LMC세그먼트는 MC세그먼트부호로 부호화된다. MC세그먼트부호는 적절한 MC플래그로 시작하며, LMV 및 세그먼트의 길이가 그 뒤를 잇는다. 여기서, LMV 및 세그먼트의 길이는 가변장부호화된 것이다. 짧은 세그먼트가 MC세그먼트부호로 부호화된다면, MF세그먼트부호에 비해 보다 많은 비트들이 요구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GMC세그먼트와 LMC세그먼트중에서 그 길이가 미리명기된(pre-specified) 문턱보다 큰 세그먼트들만이 MC세그먼트부호들로 부호화된다. LMV의 각 성분들은 그 길이가 1비트부터 5비트까지의 범위를 갖는 가변장부호들에 의해 부호화된다. 특히, GMC세그먼트를 위한 LMV는 2비트의 가변장부호를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LMV에 대한 허프만부호집합은 다음의 표 1에서 보여졌다.
LMV 부호 LMV 부호
-4 -3 -2 -1 10110 10111 1111 110 0 1 2 3 0 100 1110 1010
MC세그먼트의 길이는 표 2에서 보여진 것같은 허프만(Huffman)부호집합을 이용하여 부호화된다.
길이 부호 길이 부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16 00 010 0110 0111 1000 1001 1010 1011 11000 11001 11010 11011 111000 : 111011 17 : 28 29 : 40 41 : 52 52 : 64≥65 11110000 : 11111011 1111110000 : 1111111011 11111110000 : 111111111011 11111111110000 : 11111111111011 111111111111+CO(l)
표 2에서, CO(l)은 MC세그먼트의 길이(l)를 위한 고정길이부호(fixed length code)이다. 문턱보다 아래인 길이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MC세그먼트의 길이(l)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MCL(l)로 부호화된다.
MCL(l)=SL(l-문턱)
여기서, SL(p)는 표 2에서의 임의의 길이 p를 위한 부호를 나타낸다.
MF세그먼트부호
LMF세그먼트는 MF세그먼트부호로 부호화된다. NDSC기법이 LMF세그먼트들의 부호화를 위해 사용된다. 보다 명확하게는, LMF세그먼트는 작은 세그먼트들로 분리되며, 각각의 작은 세그먼트내의 윤곽선화소들의 각각은 두 개의 이웃하는 방향들만을 갖게된다. 이때, 각각의 작은 세그먼트는 표 1을 사용하여 가변장부호들로 부호화되며 개별 화소들의 방향은 1비트로 부호화된다.
LMF세그먼트에서의 각각의 작은 세그먼트들은 도 5에 보여진 MC플래그 및 그 세그먼트에서의 화소들의 방향을 제한하는 초기 8진부호 시작한다. NDSC기법과 비슷하게, 8진부호(octal code)는 이웃하는 방향의 쌍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이전 방향을 고려하므로써 부호화된다.
● MF세그먼트가 첫 번째 세그먼트이면, 8진부호는 3비트로써 부호화된다.
● MF세그먼트가 첫 번째 세그먼트가 아니며 그 윤곽선의 이전 방향이 대각선방향이면, 8진부호는 1비트로써 부호화된다.
● 그 외의 경우, 8진부호는 2비트로써 부호화된다.
여기서, 완전히 8-연결된 윤곽선은 대각선방향 이동 이후에 3개의 이동 경우들을 가지며, 수직/수평방향 이동 후에는 5개의 이동 경우들을 가진다.
료부호
모든 남아있는 윤곽선들이 GMC세그먼트들로 분류되거나, 부호화할 세그먼트가 남아있지 않으면, 종료부호들이 현재 윤곽선들을 위한 비트스트림이 종료됨을 표시하기 위하여 덧붙여진다. 종료부호는, 도 5에 보인 것처럼, 모든 윤곽선들이 GMC세그먼트로 분류될 때에는 "1"이며 그 외에는 "11"이 되는 MC플래그만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윤곽선 부호화방법은 GMF세그먼트들을 LMC세그먼트들과 LMF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부호화할 수 있으며, 또한 LMF세그먼트들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에 더하여, 윤곽선부호화에 요구되는 비트량에 따라 LMF세그먼트들중에서 LMC세그먼트로 허용되는 정도를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보상부호화를 위한 효율적인 부호화를 이룰 수 있게 한다.
도 1은 영역기반 움직임보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윤곽선부호화방법을 위한 세그먼트분할체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는 원래의 윤곽선화소 및 그것의 이웃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폭 2 인 에러띠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윤곽선부호화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비트스트림구문법(bit stream syntax)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MC플래그에 관련한 세그먼트천이도.

Claims (12)

  1. 세그먼트기반 윤곽선(contour) 부호화방법에 있어서,
    (a) 기준영상에 대한 현재 영상내 객체의 움직임보상을 수행하여, 움직임보상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움직임보상된 영상에 들어있는 객체의 윤곽선과 현재 영상내 객체의 윤곽선을 비교하여, 현재 영상내 객체의 전체 윤곽선을 광역움직임보상(GMC) 세그먼트들과 광역움직임보상실패(GMF) 세그먼트들로 구분하는 단계;
    (c) 단계 (b)의 각 GMF세그먼트를 국소움직임보상(LMC) 세그먼트 및 국소움직임보상실패(LMF) 세그먼트로 구분하는 단계; 및
    (d) GMC세그먼트들 및 LMC세그먼트들을 움직임보상부호화하며, LMF세그먼트들을 각 LMF세그먼트들을 구성하는 화소정보만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기준프레임내의 윤곽선영상을 기준영상으로, 그리고 현재프레임내의 윤곽선영상을 현재영상으로 각각 이용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기준프레임내의 질감묘사(texture)까지 포함하는 객체영상을 기준영상으로, 그리고 현재 프레임내의 질감묘사까지 포함하는 객체영상을 현재영상으로 각각 이용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움직임보상된 영상에 들어있는 객체의 윤곽선이 각 GMF세그먼트를 중심으로 정해진 폭을 갖는 에러띠내에 들어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2) 단계 (b1)의 판단결과에 따라 현재영상내에 들어있는 GMF세그먼트들의 갯수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띠의 폭은 윤곽선부호화에 요구되는 비트량에 따라 가변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폭
    Figure pat00007
    인 에러띠(EBN)는 대응하는 GMF세그먼트에서의 각 윤곽선화소들의
    Figure pat00008
    이웃들에 관련한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며,
    Figure pat00009
    여기서, C는 GMF세그먼트내의 윤곽선화소들의 집합이며, p번째 윤곽선화소의
    Figure pat00010
    이웃인
    Figure pat00011
    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고,
    Figure pat00012
    여기서 d(x,p)는 유클리드거리(Euclidean distance)인, 윤곽선부호화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움직임보상된 영상에 들어있는 객체의 윤곽선이 각 LMF를 중심으로 정해진 폭을 갖는 에러띠내에 들어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단계 (c1)의 판단결과에 따라 현재 영상내에 들어있는 LMF세그먼트들의 갯수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띠의 폭은 윤곽선부호화에 요구되는 비트량에 따라 가변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폭
    Figure pat00013
    인 에러띠(EBN)는 대응하는 LMF세그먼트에서의 각 윤곽선화소들의
    Figure pat00014
    이웃들에 관련한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며,
    Figure pat00015
    여기서, C는 LMF세그먼트내의 윤곽선화소들의 집합이며, p번째 윤곽선화소의
    Figure pat00016
    이웃인
    Figure pat00017
    은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고,
    Figure pat00018
    여기서 d(x,p)는 유클리드거리(Euclidean distance)인, 윤곽선부호화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단계 (c)는 GMF세그먼트의 현재 위치 주변을 국소검색하여, 움직임보상된 윤곽선들중에서 GMF세그먼트에 속한 윤곽선과 국소적으로 일치하는 윤곽선을 찾아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을 찾아내는 단계는,
    움직임보상된 프레임에 들어있는 검색범위내에서 형성가능한 모든 세그먼트들에 대하여 해밍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해밍거리중에서 최소해밍거리에 대응하는 윤곽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단계 (d)는 각 LMF세그먼트를 체인부호화기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윤곽선부호화방법.
KR1019970032374A 1997-02-07 1997-07-11 에러띠를이용한윤곽선부호화방법 KR100478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72097P 1997-02-07 1997-02-07
US60/037,720 1997-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558B1 true KR100478558B1 (ko) 2005-07-07

Family

ID=2189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374A KR100478558B1 (ko) 1997-02-07 1997-07-11 에러띠를이용한윤곽선부호화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12991A (ko)
JP (1) JP2883321B2 (ko)
KR (1) KR100478558B1 (ko)
CN (1) CN1123846C (ko)
GB (1) GB23222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05505T2 (de) 1997-02-14 2003-01-09 At & T Corp Mit schlüsselregionen kodierte videoobjekte
KR100463004B1 (ko) 1997-03-20 2005-06-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peg-4vop부호화방법
US7206346B2 (en) * 1997-06-25 2007-04-17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otion vector predictive encoding method, motion vector decoding method, predictive en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a storing motion vector predictive encoding and decoding programs
KR19990008977A (ko) * 1997-07-05 1999-02-05 배순훈 윤곽선 부호화 방법
US6639593B1 (en) * 1998-07-31 2003-10-28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verting bitmap objects to polygons
US6711278B1 (en) * 1998-09-10 2004-03-23 Microsoft Corporation Tracking semantic objects in vector image sequences
DE19944300C2 (de) * 1999-09-15 2002-08-29 Siemens Ag Verfahren, Anordnung und Computerprogrammerzeugnis zur Bewegungsschätzung bei der Codierung von einem Bildobjekt in einem Bild
US7085424B2 (en) * 2000-06-06 2006-08-01 Kobushiki Kaisha Office Noa Method and system for compressing motion image information
TW515192B (en) * 2000-06-06 2002-12-21 Noa Kk Off Compression method of motion picture image data and system there for
KR100443678B1 (ko) * 2001-09-29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내의 오브젝트 영역 추출방법
US7085420B2 (en) * 2002-06-28 2006-08-01 Microsoft Corporation Text detection in continuous tone image segments
US7224731B2 (en) * 2002-06-28 2007-05-29 Microsoft Corporation Motion estimation/compensation for screen capture video
US7072512B2 (en) * 2002-07-23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Segmentation of digital video and images into continuous tone and palettized regions
US6930776B2 (en) * 2002-07-25 2005-08-16 Exfo Electro-Optical Engineering Inc. High optical rejection optical spectrum analyzer/monochromator
US7639741B1 (en) * 2002-12-06 2009-12-29 Altera Corporation Temporal filtering using object motion estimation
US7889792B2 (en) 2003-12-24 2011-02-15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video encoding using a variable number of B frames
US7453938B2 (en) * 2004-02-06 2008-11-18 Apple Inc. Target bitrate estimator, picture activity and buffer management in rate control for video coder
US7869503B2 (en) 2004-02-06 2011-01-11 Apple Inc. Rate and quality controller for H.264/AVC video coder and scene analyzer therefor
US7986731B2 (en) * 2004-02-06 2011-07-26 Apple Inc. H.264/AVC coder incorporating rate and quality controller
US7492820B2 (en) * 2004-02-06 2009-02-17 Apple Inc. Rate control for video coder employing adaptive linear regression bits modeling
US20060233258A1 (en) * 2005-04-15 2006-10-19 Microsoft Corporation Scalable motion estimation
US8494052B2 (en) * 2006-04-07 2013-07-23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selection of motion estimation search ranges and extended motion vector ranges
US8155195B2 (en) * 2006-04-07 2012-04-10 Microsoft Corporation Switching distortion metrics during motion estimation
US20070268964A1 (en) * 2006-05-22 2007-11-22 Microsoft Corporation Unit co-location-based motion esti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523A (ja) * 1993-03-04 1995-07-04 Toshiba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と動画像復号化装置
KR960028487A (ko) * 1994-12-29 1996-07-22 김주용 움직임 추정 방식을 사용한 모양 정보 감축 방법
US5598215A (en) * 1993-05-21 1997-01-2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oving image encoder and decoder using contour extrac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2228A (en) * 1993-03-04 1997-01-07 Kabushiki Kaisha Toshiba Video encoder using global motion estimation and polygonal patch motion estimation
US5512956A (en) * 1994-02-04 1996-04-30 At&T Corp. Adaptive spatial-temporal postprocessing for low bit-rate coded image sequences
EP1271957B1 (en) * 1994-12-20 2006-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based digital image predictive coding and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KR0170932B1 (ko) * 1994-12-29 1999-03-20 배순훈 영상의 시각적,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고속 움직임 추정장치
JP3038143B2 (ja) * 1994-12-29 2000-05-08 現代電子産業株式会社 映像機器の物体別形状情報の減縮装置及びその減縮方法並びに多角近似化方法
KR100242880B1 (ko) * 1994-12-29 2000-02-01 전주범 분할된 영역의 윤곽추적장치
KR100235345B1 (ko) * 1994-12-29 1999-12-15 전주범 분할영역에서의 움직임 추정방법 및 장치
JP2738325B2 (ja) * 1995-01-24 1998-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動き補償フレーム間予測装置
KR0181059B1 (ko) * 1995-03-18 1999-05-01 배순훈 물체의 윤곽을 나타내기 위한 윤곽 근사장치
KR0171151B1 (ko) * 1995-03-20 1999-03-20 배순훈 곡률 계산 기법을 이용한 이미지 윤곽 근사화 장치
KR100249028B1 (ko) * 1995-03-20 2000-03-15 전주범 정지영상을 가진 영상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하기 위한 부호화/복호화시스템
KR0181030B1 (ko) * 1995-03-28 1999-05-01 배순훈 이진화상을 이용한 비트플랜 압축전송장치
US5691769A (en) * 1995-09-07 1997-11-25 Daewoo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encoding a contour of an object
KR100212559B1 (ko) * 1996-03-22 1999-08-02 전주범 물체의 윤곽 부호화 시스템 및 그의 움직임 추정방법
KR100203656B1 (ko) * 1996-04-09 1999-06-15 전주범 윤곽 영상신호 부호화 장치
KR0181075B1 (ko) * 1996-05-08 1999-04-01 배순훈 적응 윤곽선 부호화 방법
KR100235347B1 (ko) * 1996-09-19 1999-12-15 전주범 윤곽선 영상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US5754703A (en) * 1996-12-16 1998-05-19 Daewoo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ncoding a contour of an object in a video sig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0523A (ja) * 1993-03-04 1995-07-04 Toshiba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と動画像復号化装置
US5598215A (en) * 1993-05-21 1997-01-2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oving image encoder and decoder using contour extraction
KR960028487A (ko) * 1994-12-29 1996-07-22 김주용 움직임 추정 방식을 사용한 모양 정보 감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12991A (en) 1999-06-15
JPH10234046A (ja) 1998-09-02
GB2322251A (en) 1998-08-19
GB2322251B (en) 2000-02-16
JP2883321B2 (ja) 1999-04-19
CN1190223A (zh) 1998-08-12
CN1123846C (zh) 2003-10-08
GB9715116D0 (en) 1997-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558B1 (ko) 에러띠를이용한윤곽선부호화방법
US5594504A (en) Predictive video coding using a motion vector updating routine
US6462791B1 (en) Constrained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for packet loss resiliency in standard based codec
JPH08242458A (ja)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
US59697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our motion estimating a binary image by using a weighted block match algorithm
GB2328337A (en) Encoding motion vectors
KR19990074806A (ko) 격행 부호화에서의 움직임 추정을 위한 텍스쳐 패딩 장치 및그 패딩 방법
GB2333412A (en) A context based 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8205165A (ja) 映像処理システム
US6996175B1 (en) Motion vector estimation
JPH1093975A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における動き補償フレーム間予測方法
AU6890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motion compensation
KR100212559B1 (ko) 물체의 윤곽 부호화 시스템 및 그의 움직임 추정방법
US5790207A (en) Motion compensation method for use in an image encoding system
KR100243865B1 (ko) 움직임 벡터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N111586415B (zh) 视频编码方法、装置、编码器及存储装置
JP2001224036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2002325259A (ja) 誤り補正に基づいてデジタル画像を符号化する方法
KR100220581B1 (ko) 물체 윤곽 부호화를 위한 버텍스 부호화 장치
Cho et al. A coding technique for the contours in smoothly perfect eight-connectivity based on two-stage motion compensation
GB2333923A (en) Motion compensated contour-encoded transmission
KR100220680B1 (ko) 물체 윤곽 부호화를 위한 버텍스 부호화 장치
KR100240620B1 (ko) 양방향의 반화소 움직임 추정을 위한 대칭 탐색 윈도우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ho et al. Contour coding technique employing motion information
KR100203638B1 (ko) 반화소 단위 움직임 추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