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121B1 -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121B1
KR100478121B1 KR10-2002-0023176A KR20020023176A KR100478121B1 KR 100478121 B1 KR100478121 B1 KR 100478121B1 KR 20020023176 A KR20020023176 A KR 20020023176A KR 100478121 B1 KR100478121 B1 KR 10047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sistor
gate
connec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455A (ko
Inventor
정명도
김관진
Original Assignee
김관진
정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진, 정명도 filed Critical 김관진
Priority to KR10-2002-002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1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otor parameters, e.g. rotor time constant, flux, speed,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드라이버에 프리볼트를 적용하여 AC 85-265V 사이의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여 직류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전동 드라이버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입력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10)와, 전동드라이버 내부에 부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전동드라이버를 작동시키는 "조작부"(20)와, 모터의 급속정지를 위한 "제동부"(30)와, 각각의 조건에 따라 전동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와, 전동드라이버 사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표시부"(50)와, 작업중 조임횟수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한 "조임횟수 연산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AC 85-265V 사이의 교류전압 사용이 가능하며, 재료비 및 생산 원가가 감소하고 관리상에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 크기의 토오크 발생시 전기적인 정지제어를 할수있어 순간적인 응답 속도가 빠르고 장기간 반복 사용에도 항상 일정 크기의 토오크에서 정지제어가 가능하고 콘트롤러와 전동드라이버 사이에 2선의 전선 만으로도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며 과전류 보호회로와 조임횟수를 선택할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Electrical driver control circuit for case type}
본 발명은 전동 공구중의 하나인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에 관한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동 드라이버에 프리볼트를 적용하여 AC 85-265V 사이의 전원을 공급받아 정류하여 전동드라이버의 직류모터를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콘트롤러와 전동드라이버 사이에 2선의 전선만으로도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며 과전류 보호회로와 조임횟수를 선택할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전동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동 드라이버들의 제어회로는 대부분이 AC 110V 또는 220V로 고정되어 있어 같은 회로로 서로 호환 적인 사용이 불가능 하였으며 일정 크기의 토오크가 발생할 때 자동적으로 순간정지가 불가능하여 이와 같은 종래의 전동 드라이버는 AC 110V나 220V의 회로를 따로 관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비가 상승 하여 생산 원가가 상승하며 많은 부품의 사용으로 점유 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재고 관리 및 생산 관리 등의 제반 관리 사항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각종 조립부품에 사용되는 조립용 나사를 일정한 토오크로 조일수 없어서 조립제품의 불량 및 파손이 빈번하였으며 모터 정지시 충격으로 인한 발열 현상으로 회로 및 부품의 수명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으로 기계 부품이 마모되어 내구성이 저하되었으며, 작업도중 발생하는 순간적인 과전류에 의해 회로가 파손되며 조임횟수 선택기능이 없어서 중요한 조립공정 작업에서는 1개의 볼트를 조립하기 위해서 전동드라이버를 2번 이상 작동해야 하므로 원가상승 및 사용자의 피로도가 심하였고 작업상 번거로움이 있었다.특히 종래의 전동드라이버는 콘트롤러와 전동드라이버 사이에 5∼6가닥의 전선이 필요하게 되며 이에따른 개념을 첨부도면 [도 2] 에 의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의 "조작부"(30)은 전동드라이버 내부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모터의 회전을 ON/OFF 하기 위해 스위치(SW1)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된 토르크에 전동드라이버의 토르크가 도달하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위치(SW2)등의 최소한 2개의 스위치가 필요하여, 스위치(SW1),(SW2)의 동작상태를 "제어부"(20)에서 분별할수 있도록 별도의 독립된 전선이 필요하며 또한 모터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선 2가닥을 포함하면 총6가닥이 필요 하고 스위치용의 전선 4선중 1선을 공통으로 사용해서 1선을 줄인다고 해도 최소 5선은 필요하게된다.
이로 인하여 전선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전선의 굽힙반발력 때문에 사용자의 작업피로도가 심하였고 작업시 반복되는 전선의 굽힘 때문에 결국 전선이 끊어지는 결함을 갖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회로를 설치하여 전동 드라이버를 제어하도록 된 것이 있기는 하나, 이러한 전동 드라이버 는 순간적으로 동작을 빈번하게 절환 시켜가면서 사용하다보면 제어회로에 구성된 능동소자(트랜지스터 또는 FET)에 순간적으로 과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능동소자가 손상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제어회로에 있어서는, 프리볼트를 적용하지 못하며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전동 드라이버의 속도 및 토오크가 변화되어 전동드라이버의 수명이 매우 저하되었으며 정밀 조립작업용 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며 안출한 것으로,AC85-265V 사이의 전원에서 작동되게 프리볼트를 적용하고, 기동초기의 기동전류 과도현상에 맞춰 기준전압을 설정시키며, 일정 크기의 토오크 발생시 전기적인 정지제어를 할 수 있어 순간적으로 응답 속도가 빠르고 장기간의 반복 사용에도 항상 일정 토오크 에서 정지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프리볼트 상태에서 과전류로부터 콘트롤러의 보호 회로와 조임횟수 선택기능과 부러쉬 교환표시를 포함하며 전동드라이버 동작상태 표시 와 콘트롤러 와 전동드라이버 사이의 전선을 2가닥으로 처리할수 있는 "전동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리지 다이오드와 콘덴서로 구성되어 AC85-265V의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부"(10)와, 저항, 포토 센서 와 리미트 스위치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전동드라이버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자에 의해 콘트롤러로부터 전선 2가닥 만으로 필요한 전력과 제어를 용도에 맞게 공급 하기위한 "조작부"(20)와, 각각의 IC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위해 정전압 발생 IC와, 트랜지스터,다이오드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등으로 구성되어 전동드라이버 를 사용 할때 순간 순간 사용완료 시점에서 일정크기의 토오크로 자기유지를 목적으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모터를 급속하게 정지시켜 회생제동을 위한 "제동부"(30)와,RS 플립플롭 IC와 각종 게이트 소자 및 다이오드,콘덴서,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성되어 비교기능을 통하여 전동드라이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와, LED와 저항 및 게이트 소자 등으로 구성하며 전동 드라이버의 작동상태 및 부러쉬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부"(50) 와, 셀렉트 스위치 와 저항,게이트 소자 및 IC등으로 구성되어 전동드라이버의 조임 횟수를 임의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기위한 "조임횟수 연산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요지를 첨부 도면 [도 1] 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전원스위치(SW1),휴즈(FU1)가 직렬로 연결 되고, 바이리스터(V1), 콘덴서(C1),저항(R1), 노이즈 필터(V2)가 병렬 연결되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연결되고, 브리지다이오드(BD)에 콘덴서(C2)를 SMPS UNIT에 병렬 연결하며 공급된 입력전압 85-265V의 상용 교류전원을 전동드라이버 작동에 필요한 직류로 변환하는 "전원부"(10)가 구성되고, 상기 "전원부"(10)에서 발생한 직류전원을 다이오드 (D1)가 (M+),(M-)에 직렬로 연결된 (M+),(M-)단자로 부터 공급받아 스위치(SW5)와 저항(R54)를 직렬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하고, 포토 센서(P1)의 3번 단자에서 저항(R51),(R52)를 직결연결하고,저항(R50)은 포토센서(P1) 의 1번,4번 단자에 병렬로 연결하고 ,포토센서(P1)의 4번단자는 스위치(SW5) 와 저항(R54) 및 모터의 (+)단자의 결합노드에 연결하고,저항(R51),(R52) 결합노드 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게이트 단자사이에 콘덴서(C50)를 연결하고, 콘덴서(C50)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게이트 결합노드에 저항(R53)을 연결 하고, 포토센서(P1)의 2번 단자와 저항(R52),저항(R53),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소스 단자를 병렬로 연결한 결합노드를 (M-) 및 모터의(-)단자로 연결하여 "조작부"(20)를 구성한다.
"제동부"(30)은 회생제동과 각각의 IC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정전압 발생IC(U1)의 입력단자를 상기 "전원부"(10)의 (DC+)단자에 연결하고, 정전압 발생IC(U1)의 입력단자와 GND단자사이에 콘덴서(C5)를 병렬연결하고, 정전압 IC(U1)의 출력단자와 GND사이에 콘덴서(C6),(C7)를 각각 병렬연결하고, 정전압IC(U1)GND단자와 콘덴서(C5),(C6),(C7)를 병렬로 연결한 결합노드를 GND처리하여 IC구동전압(+12V)를 발생시키고 IC(U1) 출력단에서 저항(R2),다이오드(D2)를 직렬로 트랜지스터(Q1) 에미터 단자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 에미터와 베이스 단자 사이에 저항(R4)을 병렬연결하고, 다이오드(D2)와 트랜지스터(Q1) 에미터 결합노드에 콘덴서(C8) 을 (+)방향으로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 의 콜렉터 단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 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하고,트랜지스터(Q1) 콜렉터 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결합노드에 저항(R6) 을 연결한후, 콘덴서(C8) 저항(R6),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 소스단자를 병렬로 연결된 결합노드를 상기 "조작부"(20)의 (M-)단자에 연결하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 드레인 단자에 저항(R3)을 직렬연결하여 상기"조작부"(20)의 (M+)단자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에 저항(R5)를 연결하고,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단자는 GND처리하고 베이스 단자는 NOT게이트(U2) 입력단에 연결하고 NOT게이트(U2) 출력단에는 다이오드(D3)를 역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제어부"(40)은 전동드라이버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Q4)드레인은 상기 "조작부"(20)의 (M-)단자에 연결하고, 게이트는 하기"LED표시부"(50)의 NOT게이트(U15)입력단에 연결하며,저항(R11)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 게이트 단자에,저항(R12)는 소스단자에,저항(R10)은 드레인단자에 각각 연결한후 GND처리하며,또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드레인에서 콘덴서(C8)를 직렬연결한후 NOT게이트(U3)입력단에 연결하고 NOT게이트(U3) 출력단은 RS 플립 플롭(U4)SET 단자에 연결하며,저항(R9)는 NOT게이트(U3)와 콘덴서(C8)결합노드에 연결 한후 GND처리하고 본 결합노드에서 상기"제동부"(30)의 다이오드 (D3)에 순방향 으로 연결한다. 또한 저항(R13),(R18)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 소스단자에 연결 한후 IC(U7)와 IC(U8)의 (-)입력단자에 각각 직렬 연결하고 콘덴서(C10),(C11)은 각각의 IC(U7),(U8)과 저항(R13),(R18)의 결합노드에 연결한후 GND처리하며,IC(U7)의 (+) 입력단자 에는 저항 (R15)을 직렬연결한후 GND처리하고,IC(U7)의 (+)단자에서 저항 (R14)을 직렬연결한후 IC(U8)의 (+)입력단에 연결하며,저항(R14)와 IC(U8)의 (+)입력단의 결합노드에서 저항(R19)를 직렬 연결한후 IC(U9)의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하며, 저항(R19)와 IC(U9)의 (-)입력단의 결합 노드에서 저항(R20)을 직렬 연결한후 (+12V) 단자에 연결하고,IC(U7)출력단에서 콘덴서(C9)를 직렬연결하여 NOT 게이트 (U6) 입력단에 연결하고 콘덴서(C9)와 NOT게이트(U6) 결합노드에서 저항(R16)을 연결하여 GND처리하고,다이오드(D4)는 NOT게이트(U6) 출력단에 순방향으로 연결한후 그 반대는 RS 플립 플롭(U5)RESET 단자에 연결하며,RS 플립 플롭(U5)RESET단자와 다이오드(D4) 결합노드 에서 콘덴서(C15)를 (+)방향으로 연결한후 GND 처리하고 저항(R8)은 상기 동일 결합노드에서 연결한후 (+l2V)단자에 연결하고, 또한 상기 동일 결합노드에서 다이오드 (D5)를 역방향으로 직렬연결한후 저항(R17)을 연결한후 IC(U8)의 출력단자에 직렬 연결하며, 저항(R17)과 병렬로 다이오드(D5)에 순방향으로 다이오드(D6)를 연결하고,다이오드(D5)와 저항(R17)의 결합노드에서 콘덴서 (C13)를 (+)방향으로 연결한후 GND처리하며,저항(R22)는IC(U9)의 출력단자에 직렬연결한후 (+12V)단자에 연결하며 또한 저항(R23)은 IC(U9)의 출력단자에 직렬연결한후 NOT게이트(U10)의 입력단에 연결하며,다이오드(D7)은 저항(R23)과 병렬로 NOT게이트(U10)에 순방향으로 연결하며, 다이오드(D7)과 NOT 게이트 (U10)의 결합노드에 콘덴서(C14)를 (+)방향으로 연결한후 GND처리하며,NOT게이트(U10) 출력단에는 콘덴서 (C16)을 직렬로 연결한후 NOT게이트(U11)의 입력단에 연결하고,저항(R25)는 NOT 게이트(U11)의 출력단에 연결한후 하기"조임횟수 연산부"(60)의 IC(U13) ENA 단자에 연결하고,저항(R24)는 콘덴서(C16)과 NOT게이트(U11)의 결합노드에 연결한후 GND처리하며,RS 플립 플롭 (U5)RESET 단자와 콘덴서(C15),다이오드(D4),저항(R8),결합노드에서 순방향으로 다이오드(D8),(D9)을 각각 직렬로 연결한후 하기"조임횟수 연산부"(60)의 NOT게이트(U14)의 출력단에 연결하고,다이오드(D8),(D9)의 결합노드에서 콘덴서(C17)를 (+)방향으로 연결하여 GND처리하고 또한 본 결합노드에서 NOT게이트 (U12)의 입력단자에 연결한후 NOT게이트(U12)의 출력단은 상기"제동부"(30)의 트랜지스터(Q2) 베이스단자에 연결하여 구성된다.
"LED 표시부"(50)은 전동드라이버의 동작 상태를 LED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써 저항(R30)는 상기"제어부"(40)의 저항(R7)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 게이트 의 결합노드에 연결하여 LED(V3) 녹색 LED입력단에 연결되고 NOT게이트(U15)의 입력단은 상기 동일 결합노드에 연결하고 출력단에는 저항(R31)이 직렬로 연결되어 LED(V4) 적색 입력단에 연결되고 LED(V3),(V4)의 각각의 출력단은 GND처리하여 구성한다.
"조임횟수 연산부"(60)은 전동드라이버 조임 작업시 조임횟수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SW2)를 이용하여 임의의 횟수 1회에서 3회까지 선택할수 있게하는 것으로써 IC(U13)의 VSS와 CLK단자는 (+12V)에 연결하고, ENA단자는 콘덴서(C18)를 연결한후 GND처리하고, RST단자는 저항(R26)을 연결한후 GND처리하고, GND단자는 GND로 연결하고,Q1및 Q3단자는 각각 스위치(SW2)의 1번,3번 단자에 연결하고,Q2단자는 저항(R27)에 연결하여 이로써 IC(U13)의 외부단자의 연결을 완료되고, 콘덴서(C20)는 저항(R27)과 직렬로 연결하여 NOT게이트(U14)의 입력단에 연결하며,저항(R28)은 콘덴서(C20)과 저항(R27)의 결합노드에 연결한후 GND처리하고 스위치(SW2)COM단자는 상기 동일 결합노드에 연결하고 저항(R29)는 NOT게이트(U14)와 콘덴서(C20)의 결합노드에 연결한후 GND처리하고 NOT게이트(U14)의 출력단은 상기"제어부"(40)의 다이오드(D8)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원부"(10)의 스위치(SW1)를 ON하면 상용교류전원(AC85~265V)이 브리지 다이오드(BD)에 의해 전파정류되고 콘덴서(C2)에 의해 평활된후 이를 SMPS UNIT에서 전동드라이버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DC+)단자와( DC-)단자를 통해 공급 되어진다
"조작부"(20)는 전동드라이버 내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조작과 작업시에 발생되는 전류의 변화를 "제어부"(40)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SW5)를 ON하면(DC+)☞(M+)☞(모터)☞(M-)☞(Q4)☞(R12)☞(GND) 순으로 폐회로가 형성되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가 ON 되었다고 가정하면 모터는 회전하게 되고 포터 센서(P1)은 평상시 빛 차단막(A1)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를 ON할수 없어서 전동드라이버 모터가 정상회전 하다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설정된 토르크에 도달하면 차단막(A1)이 기구적으로 포토센서(P1)에서 빠져나가 포토센서(P1)의 4번 단자에서 3번 단자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콘덴서(C50)과 저항(R53)의 미분에 의해 발생된 펄스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게이트를 ON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이 ON될때 저항(R54)의 저항값을 매우작게 설정하여 순간적으로 대전류가 "제어부"(40)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에 유입되게하여 이 신호로 "제어부"(40)에서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회생제동으로 급속 정지를 할수있게 한다. 제어되는 상세내용은 하기 "제어부"(40)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제동부"(30)은 정전압 발생IC(U1)에서 각각의 IC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전동드라이버가 작동중 설정된 토르크에 도달하여 모터를 정지할 필요가 있을때 "조작부"(20)의 포토센서 차단막(A1)이 기구적으로 포토센서(P1)에서 이탈하게 되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가 ON되고 순간적으로 대전류가 "제어부"(40)의 IC(U9)에 입력되어 "제어부"(40)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Q4)를 OFF시키고 또한 이신호를 "조임횟수 연산부"(60)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2)베이스에 (+)펄스를 인가 하게 되고 트랜지스터(Q2)가 ON 되면, PNP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가 GND에 연결되어 정전압 발생 IC(U1)에서 발생된 전원이 다이오드(D2)를 경유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를 ON 시킨다. 이때 "제어부"(40)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가 이미 OFF되어 전원이 차단되었으나 모터는 관성에 의해 회전하면서 서서히 정지하게 된다 이때 급속제동을 위해서 회전하는 모터에서 발생된 역기전력을 회생제동용 저항(R3)을 경유하여 (M-)단자에 인가하여 모터에 회생제동 하면 모터는 급속제동 하게된다. 이때 회로의 안전을 위해 회생제동을 할 때에는 "제어부"(40)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가 다시 ON되는것을 막기위해 회생제동중에 사용자의 추가적인 스위치 (SW5)조작에 의해 NOT게이트(U3)에 입력될수 있는 펄스가 발생되었더라도 발생된 펄스를 NOT게이트 (U3)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본 펄스를 소멸 시키기 위해 회생제동 중일때에는 NOT게이트(U2)의 출력단을 "0"전위로 만들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게이트(U2)는 NOT게이트를 적용하여 회생제동중에 모터 ON신호용의 펄스가 발생 되었더라도 NOT게이트(U3)으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다이오드(D3)를 경유하여 NOT게이트(U2)의 출력단 "0"전위로 유입되어 소멸된다.
"제어부"(40)은 전동드라이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0)의 스위치(SW5)를 ON하면 (DC+)와 GND에 인가된 전압이 저항(R10)양단에 인가되고 이때 콘덴서(C8)과 저항(R9)의 미분에 의해 발생된 1개의 펄스가 NOT게이트(U3)에 입력되고 이신호를 반전 출력하여 RS플립플롭(U4) SET단자를 순간적으로 "0"으로 SET시키면 RS 플립플롭(U4) 출력단자는 ON되어 "1"로 자기 유지된다. 이때 출력전원(+)을 저항(R7)을 경유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를 ON 시키면 입력전원이 (DC+)☞(M+)☞(SW5)☞(모터)☞(M-)☞(Q4)☞(R12)☞(GND)의 폐회로를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모터는 회전하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20)의 스위치(SW5)가 OFF되면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는 관성에 의해 서서히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전동드라이버 조임작업도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설정된 토르크에 전동드라이버의 기구적 토르크값이 도달하면 순간 급속정지를 하여 정밀한 조임작업을 확보하기 위해 회생급속 정지가 필요하게 된다. 정상동작 상태에서는 (+)12전압을 저항(R20)에 의해 임의로 배분된 전압을 고정적으로 IC(U9) (-)단자에 설정하고 (+)단자에 입력되는 전압보다 (-)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높게하면 정상동작시에는 IC(U9)의 출력은 "0"전위로 유지하고 있다가 전동드라이버 사용중에 전동드라이버 토르크가 임의로 설정된 토르크값에 도달한 순간 "조작부"(20)의 포토센서(P1)의 차단막(A1)이 기구적으로 포토센서(P1)에서 이탈되면서 순간적으로 발생된 대전류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를 경유하여 저항(R12)양단에 걸리게 되고 본 전압은 다시 저항(R21)와 콘덴서(C12)의 노이즈 필터 부분을 경유하여 IC(U9)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이미 고정적으로 (-)입력단에 설정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입력단으로 입력되게 설정해놓으면 이순간 IC(U9)의 출력은 "1"이 된다. 또한 IC(U9)의 (+)단자에 입력되는 펄스는 각종 NOISE 및 채터링을 포함되어 출력파형이 불량할수도 있기 때문에 IC(U9)의 출력이 "1"이 되면 IC구동전압을 저저항(R22)와 다이오드(D7)를 경유하여 콘덴서(C14)에 급속충전 되다가 IC(U9)의 출력이 다시 "0"전위로 되돌아 가면 콘덴서(C14)가 고저항(R23)에 의해 서서히 방전하게 되어 확실한 펄스를 NOT게이트(U10)는 입력받아 다시 반전된 파형을 출력하고 이를 콘덴서(C16)과 저항(R24)의 미분된 펄스를 NOT게이트(U11)에 입력하고 최종적으로 NOT게이트(U11)에서 (+)펄스를 "조임횟수 연산부"(60)의 IC(U13) ENA단자에 입력한다. 따라서 임의의 설정된 토르크에 도달 할 때마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펄스가 "조임횟수 연산부"(60)의 IC(U13)의 ENA단자에 입력되고 입력된 횟수의 결과에 따라 전동드라이버를 정지할 시점에서 NOT게이트(U14)의 출력은 "0"전위로 되어, 이때 (+12V)전압에서 저항(R8)에 의해 충전된 콘덴서(C15),(C17)는 다이오드(D8),(D9)에 의해 방전시킴과 동시에 RS 플립 플롭(U5) RESET단자의 전위가 IC구동전압의 1/2이하로 강하되는 순간 RS 플립 플롭(U4) 출력단은 "0"전위로 자기유지되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 단자를 OFF하게 되고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가 OFF됨과 동시에 NOT게이트 (U12)의 출력은 "1"이되어 "제동부"(30)의 트랜지스터(Q2)를 ON하게 되어 "제동부"(30)의 회생제동 회로를 통해 모터는 급속 정지한다. 이때 회생제동 지연시간은 콘덴서(C17)및 저항(R8)의 시정수에 의해 조절 된다.
모터의 파손이나 감속기의 파손등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모터가 강제 구속상태로 지속될 때 사용자의 안전과 회로보호를 위하여 과전류 보호 회로가 필요 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드라이버가 동작될때 저항(R12)에 발생된 전압을 저항(R18)에 의해 배분된 전압을 상기"제어부"(40)의 IC(U8) (-)입력단에 인가하고 IC(U8)의 (+)입력단에는 임의로 설정된 전압과 비교하여 일정시간동안 (+)입력단의 전압보다 (-)입력단의 전압이 높게 지속되면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된다.
즉 (+12V)전압을 저항(R20),(R19)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분배 전압을 IC(U8)의 (+)입력단에 인가해 놓고 전동드라이버가 동작될때 발생한 전류에 대한 전압은 저항(R18)에 의해 분배되어 (-)입력단에 입력하면 IC(U8)에서는 전동드라이버가 동작되어 (-)입력단으로 입력된 전압이 (+)입력단에 임의로 설정된 전압보다 높게 입력되면 IC(U8)은 평상시 "1"을 출력하고 있다가 이순간 "0"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다이오드(D6)에 의해 콘덴서(C13)가 급속충전 되어 있다가 IC(U8)의 출력이 "0" 으로 되는 순간 콘덴서(C13)은 저항(R17)에 의해 지연되면서 IC(U8) 방향으로 방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다이오드(D5)에 의해 RS플립플롭(U5)의 RESET단자의 전압이 IC 구동전압의 1/2이하로 강하되고 RS플립플롭(U5)이 RESET되어 RS플립플롭(U4)의 출력이 "0"으로 되면 모터에 인가 되는 전원은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IC(U8)의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이(+)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게 인가되어 콘덴서(C13)와 저항(R17)의 시정수에 의해 지연되어 방전 되는 시간만큼 지속되면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어 과전류 로부터 보호하게 되는것이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조작부"(20)의 스위치(SW5)를 OFF 하였을때 모터에 인가 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의 회전은 정지하게 되지만 초기동작을 위해 상기 "전원부"(10)의 SMPS UNIT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 (SW5)가 OFF 된 상태를 감지 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스위치(SW5)를 OFF한 상태에서도 RS 플립 플롭(U4)의 출력단자를 "0"전위로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IC(U7)의 (-)단자의 전압은 모터가 무부하 구동할때에도 최소한 IC(U7)의 (+)단자의 입력전압보다 높게 설정 해놓고,IC(U7)의 (+)단자전압은(+12V)전압에서 저항(R20),(R19),(R14)의 합한 저항값과 저항(R15)에 의한 분배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IC(U7)의 (-)단자의 입력전압보다 낮게 설정하면 모터가 구동할때에는 IC(U7)의 출력단자는 평상시 "0" 이므로 대기중에 이미 충전된 콘덴서(C9)는 저항(R16)에 의해 지연 되면서 완전 방전되며, 이때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SW5)를 OFF하게되면 IC(U7)의 (-)단자의 전압이 (+)단자의 전압보다 낮게되므로 출력은 "1"이 되어 완전 방전된 콘덴서(C9)와 저항(R16)에 의해 미분된 펄스가 평상시에는 "1"을 출력하고 있는 NOT게이트(U6)에 입력되어 반전된 "0"전위의 펄스를 출력하는 순간에 다이오드(D4)를 통해 RS 플립 플롭 (U5)의 RESET단자의 전압을 강하시켜 RS 플립 플롭 (U4)의 출력을 "0"으로 자기 유지시키고 이신호를 SMPS UNIT에 연결하여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SW5)를 OFF하면 SMPS UNIT에서 초기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LED 표시부"(50)은 사용자에게 전동드라이버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으로 사용자에 의해 "전원부"(10)의 전원스위치(SW1)을 ON하면 "제어부"(40)의 RS 플립 플롭(U4)의 출력은 "0"으로 자기유지 되므로 NOT게이트(U15)의 반전출력에 의해 적색 LED(V4)는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전원입력상태를 표시하고 녹색LED(V3) 는 "제어부"(40)의 RS 플립 플롭 (U4)출력이 "0"이므로 점등되지 않고 있다가 사용자 의해 "조작부"(20)의 스위치(SW5)를 ON하면 RS플립플롭(U4)의 출력이 "1"로 되면서 모터가 구동되며 적색LED(V4)는 소등되고 녹색LED(V3)는 점등되어 모터의 동작이 정상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준다. 이때 만일 모터에 전원을 인가해 주는 부러쉬가 마모되어 부러쉬와 모터의 정류자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면 부러쉬가 정류자에 접촉되지 못하고 폐회로가 형성되지 못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 (20)의 스위치(SW5)를 ON한다 하여도 모터는 회전 하지 못하고 "제어부"(40)의 RS 플립플롭(U4)의 출력은 "1"로 변하지 못할것이며 따라서 LED표시도 적색에서 녹색으로 변하지 못할것이다. 즉 전동드라이버의 작동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부"(20)의 스위치(SW5)를 ON하였더라도 만일 LED가 적색에서 녹색으로 변하지 않는다면 부러쉬 가 마모되어 부러쉬를 새것으로 교환하도록 사용자에게 표시할수 있게된다.
"조임횟수 연산부"(60)는 전동드라이버 조임작업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임횟수를 선택하는 기능으로써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 토르크에 전동드라이버가 도달 할때마다 "제어부"(40)의 NOT게이트(U11)에서 (+)펄스가 IC(U13)의 ENA단자로 입력된다.IC(Ul3)의 CLK단자를 VSS로 연결하면 하강에지 동작을 하게 하며 ENA단자에 펄스가 입력될때마다 출력단 Q1에서부터 Qn까지 차례 대로 쉬프트 되면서 (+)펄스를 출력하게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SW2)가 1단에 설정되어 있다면 ENA단자에 (+)펄스가 1개 입력되는 순간에 Q1출력단자로 (+)펄스를 출력하게 되고 콘덴서(C20)과 저항(R29)의 미분된 펄스가 NOT게이트(U14)에 인가되고 동시에 반전된 펄스를 출력하여 이순간 "제어부"(40)의 콘덴서(C15),(C17)를 다이오드(D8),(D9)을 통하여 방전되게하여 RS 플립 플롭 (U5)의 RESET단자를 "0"으로 하여 RS플립플롭(U4)출력을 "0"으로 자기유지 시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를 OFF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며 평상시 "1"로 되어 있는 NOT게이트(U12)입력을 "0"으로 전환시켜 NOT게이트(U12)의 출력은 "1"로 되어 "제동부"(20)에서 회생제동을 할수 있도록 한다.
또한 IC(U13)의 RST단자는 "1"이 될때마다 RESET 시키므로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상기"조작부"(20)의 스위치(SW5)를 ON하면 상기 "제어부"(40)의 RS 플립플롭(U4)의 출력은 "1"이 되며 이때 저항(R26)과 콘덴서(C19)에 의해 발생된 미분펄스가 IC(U13)의 RST단자를 RESET시켜 IC(Ul3)은 초기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에의해 스위치(SW2)가 2단에 설정되어 있다면 IC(U13)의 ENA에 입력펄스가 1개 입력되는순간 Q1으로 출력되는(+)펄스는 스위치(SW2)가 단락된 상태이므로 자연소멸되어 NOT게이트(U14)에 영향을 못주며 ENA에 두번째 펄스가 입력되는순간 Q2로부터 (+)펄스가 출력되고 저항(R27)과 저항(R28)에 의해 배분된 전압으로 콘덴서(C20)과 저항(R29)에서 미분된 펄스를 만들어 NOT게이트(U14)에 입력되어 상기의 동일한 방법으로 모터에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회생제동를 하며 IC(U13)의 RST단자가 RESET되어 IC(U13)은 초기화로 되어 대기상태로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SW2)가 3단에 설정되었다고 하면 ENA단자로 입력되는 펄스 수에 따라 Q1으로부터 출력되는 첫번째 (+)출력펄스는 스위치(SW2)의 단락으로 자연소멸되고 Q2로부터 출력되는 두번째 (+)출력펄스는 저항(R27)을 통해 전달되나 스위치(SW2)의 COM단자가 IC(U13)의 Q3출력단자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Q2에서 출력된 (+)펄스는 외부로 전달되나 Q2가 출력을 내보낼때에는 다른 출력단자는 "0"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Q2로부터 출력되는 2번째(+)출력은 NOT게이트(U14)에 영향을 못주고 IC(U13)의 Q3단자로 흡수되어 소멸되고, Q3단자로 부터 출력되는 세 번째(+)출력펄스가 NOT게이트(U14)에 입력되어 상기의 동일한 방법으로 모터를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SW2)의 선택위치에 따라 조임횟수를 1~3회까지 임의로 설정하여 사용할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AC85-265V의 전원을 사용하며 일정 크기의 토오크 발생시 순간적인 정지 제어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전동 드라이버의 오랜 사용에도 항상 동일한 토오크를 유지해 줄 수 있으며 콘트롤러와 전동드라이버 사이에 2선의 전선만으로도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며 과전류 보호회로와 조임횟수를 선택 할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전동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태양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드라이버 제어회로는 AC85-265V사이의 교류전압 사용이 가능하며, 재료비 및 생산 원가가 감소하고 관리상에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 크기의 토오크 발생시 전기적인 정지제어를 할수 있어 순간적으로 응답 속도가 빠르고 장기간의 반복 사용에도 항상 일정 크기의 토오크에서 정지제어가 가능하고 특히 콘트롤러와 전동드라이버 사이에 2선의 전선 만으로도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며 과전류 보호회로와 조임횟수를 선택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부, 20: 조작부,
30: 제동부, 40: 제어부,
50: LED 표시부, 60: 조임횟수 연산부,
도 2는 종래 전동드라이버에서 소요되는 전선의 가닥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부, 20: 제어부.
30: 조작부

Claims (6)

  1. 전동드라이버 와 콘트롤러 사이에서 2선의 전선만으로도 원활한 제어를 위하여 저항(R50),(R51),(R52),(R53),(R54), 포토 센서(P1)와 스위치(SW5)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 및 콘덴서(C50)로 구성되는 "조작부"(20)와,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된 토르크에 전동드라이버의 토르크가 도달되는 순간 모터를 급속하게 정지 시키고 일정크기의 토오크에서 자기유지를 위하여 트랜지스터(Q1),(Q2)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Q3)와 저항(R2),(R3),(R4),(R5),(R6)과 콘덴서(C5),(C6),(C7),(C8)와 다이오드(D2),(D3)와NOT게이트(U2) 및 정전압 IC(U1)로 구성되는 "제동부"(30)와 전동드라이버의 동작상태을 감지하여 효과적인 제어와 과전류로 부터 회로 보호를 위하여 RS 플립플롭 IC(U4),(U5)와NOT게이트(U3),(U6),(U10),(U11),(U12)와 다이오드(D4),(D5),(D6),(D7),(D8),(D9)와 콘덴서(C8),(C9),(C10),(C11),(C12),(C13),(C14),(C15),(C16),(C17)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와 비교기 IC(U7),(U8),(U9)와 저항(R7),(R8),(R9),(R10),(R11),(R12),(R13),(R14),(R15),(R16),(R17),(R18),(R19),(R20),(R21),(R22),(R23),(R24),(R25)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40)와 전동드라이버의 작동상태 및 부러쉬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LED(V3),(V4)와 저항(R30),(R31)과 NOT 게이트(U15)으로 구성되는 "LED 표시부"(50)와 전동드라이버의 조임작업 횟수를 임의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기 위하여 IC(U13)와 저항(R26),(R27),(R28),(R29)과 콘덴서(C18),(C19),(C20)와 스위치(SW2)등으로 구성되는 "조임횟수 연산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콘트롤러와 전동드라이버 사이에 2선의 전선만으로도 원활한 전동 드라이버의 작동을위해 상기 "조작부"(20)은 "전원부"(10)에서 발생한 직류전원을 다이오드(D1)가 (M+),(M-)에 직렬로 연결된 (M+),(M-)단자로 부터 공급받아 스위치(SW5)와 저항(R54)를 직렬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드레인 단자에 연결하고, 포토센서 (P1)의 3번 단자에서 저항(R51),(R52)를 직렬연결하고,저항(R50)은 포토센서(P1)의 1번,4번 단자에 병렬로 연결하고 ,포토센서(P1)의 4번단자는 스위치(SW5) 와 저항(R54) 및 모터의 (+)단자의 결합노드에 연결하고,저항(R51),(R52) 결합노드 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게이트 단자 사이에 콘덴서(C50)를 연결하고, 콘덴서(C50)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게이트 결합노드에 저항(R53)을 연결하고, 포토센서(P1)의 2번 단자와 저항(R52),저항(R53),전계효과 트랜지스터(Q50)의 소스단자를 병렬로 연결한 결합노드를 (M-) 및 모터의(-)단자로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전동드라이버의 급속 회생제동을 위하여 "제동부"(30)은 회생제동과 각각의 IC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정전압 발생IC(U1)의 입력단자를 상기 "전원부"(10)의 (DC+)단자에 연결하고, 정전압 발생 IC(U1)의 입력단자와 GND단자사이에 콘덴서(C5) 를 병렬연결하고, 정전압 IC(U1)의 출력단자와 GND사이에 콘덴서(C6),(C7)를 각각 병렬연결하고, 정전압IC(U1)GND 단자와 콘덴서(Cl),(C6),(C7)를 병렬로 연결한 결합노드를 GND처리하여 IC구동전 압(+12V)를 발생시키고 IC(U1)출력단에서 저항(R2),다이오드(D2)를 직렬로 트랜지스터(Q1)에미터 단자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 에미터와 베이스 단자 사이에 저항(R4)을 병렬연결하고, 다이오드(D2)와 트랜지스터(Q1) 에미터 결합노드에 콘덴서 (C8)을 (+)방향으로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1) 의 콜렉터 단자는 전계효과 트랜지 스터(Q3) 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하고,트랜지스터(Q1) 콜렉터 와 전계효과 트랜지스 터(Q3)결합노드에 저항(R6)을 연결한후, 콘덴서(C8) 저항(R6),전계효과 트랜지스터 (Q3) 소스단자를 병렬로 연결된 결합노드를 상기 "조작부"(20)의 (M-)단자에 연결하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3) 드레인 단자에 저항(R3)을 직렬연결하여 상기"조작부"(20)의 (M+)단자에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사이에 저항(R5)를 연결 하고,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단자는GND 처리하고 베이스 단자는 NOT게이트(U2) 입력단에 연결하고 NOT게이트(U2) 출력단에는 다이오드 (D3)를 역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40)은 전동드라이버의 동작상태을 감지하여 효과적인 제어와 과전류 에 의한 회로보호 및 전동드라이버와 콘트롤러 사이에 전선 2가닥만으로도 원할한 제어를 위하여 "제어부"(40)은 전계효과 트랜 지스터 (Q4)드레인은 상기 "조작부"(20)의 (M-)단자에 연결하고, 게이트는 하기"LED 표시부"(50)의 NOT게이트(U15)입력단에 연결하며,저항(R11)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 게이트 단자에,저항(R12)는 소스단자에,저항(R10)은 드레인단자에 각각 연결 한후 GND처리하며,또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드레인에서 콘덴서(C8)를 직렬연결한후 NOT게이트(U3) 입력단에 연결하고 NOT게이트(U3) 출력단은 RS 플립플롭(U4)SET 단자에 연결하며, 저항(R9)는 NOT게이트(U3)와 콘덴서(C8)결합노드에 연결 한후 GND처리하고 본 결합 노드에서 상기"제동부"(30)의 다이오드(D3)에 순방향 으로 연결한다. 또한 저항(R13),(R18)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 소스단자에 연결 한후 IC(U7)와 IC(U8)의 (-)입력단자에 각각 직렬 연결하고 콘덴서(C10),(C11)은 각각의 IC(U7),(U8)과 저항(R13),(R18)의 결합노드에 연결한후 GND처리하며,IC(U7) 의 (+) 입력단자 에는 저항(R15)을 직렬연결한후 GND처리하고,IC(U7)의 (+)단자에서 저항(R14)을 직결 연결한후 IC(U8)의 (+)입력단에 연결하며,저항(R14)와 IC(U8)의 (+)입력단의 결합 노드에서 저항(R19)를 직렬 연결한후 IC(U9)의 (-)입력단에 직렬로 연결하며, 저항(R19)와 IC(U9)의 (-)입력단의 결합 노드에서 저항(R20)을 직렬 연결 한후 (+12V) 단자에 연결하고,IC(U7)출력단에서 콘덴서(C9)를 직렬연결하여 NOT 게이트 (U6) 입력단에 연결하고 콘덴서(C9)와 NOT게이트(U6) 결합노드에서 저항 (R16)을 연결하여 GND처리하고,다이오드(D4)는 NOT게이트(U6) 출력단에 순방향 으로 연결한후 그 반대는 RS 플립 플롭(U5)RESET 단자에 연결하며,RS 플립 플롭 (U5)RESET 단자와 다이오드(D4) 결합노드 에서 콘덴서(Cl5)를 (+)방향으로 연결한 후 GND 처리하고 저항(R8)은 상기 동일 결합노드에서 연결한후 (+12V)단자에 연결 하고, 또한 상기 동일 결합노드에서 다이오드 (D5)를 역방향으로 직렬연결한후 저항 (R17)을 연결한후 IC(U8)의 출력단자에 직렬 연결하며, 저항(R17)과 병렬로 다이오드(D5)에 순방향으로 다이오드(D6)를 연결하고,다이오드(D5)와 저항(R17)의 결합노드에서 콘덴서 (C13)를 (+)방향으로 연결한후 GND처리하며,저항(R22)는IC(U9)의 출력단자에 직렬연결한후 (+12V)단자에 연결하며 또한 저항(R23)은 IC(U9)의 출력 단자에 직렬연결한후 NOT게이트(U10)의 입력단에 연결하며,다이오드(D7)은 저항 (R23)과 병렬로 NOT게이트(U10)에 순방향으로 연결하며, 다이오드(D7)과 NOT 게이트 (U10)의 결합노드에 콘덴서(C14)를 (+)방향으로 연결한후 GND처리하며,NOT 게이트(U10) 출력단에는 콘덴서 (C16)을 직렬로 연결한후 NOT게이트(U11)의 입력 단에 연결하고,저항(R25)는 NOT게이트(U11) 출력단에 연결한후 하기"조임횟수 연산부"(60)의 IC(U13)ENA 단자에 연결하고,저항(R24)는 콘덴서(C16)과 NOT게이트 (U11)의 결합노드에 연결한후 GND처리하며,RS 플립 플롭 (U5)RESET단자와 콘덴서(C15),다이오드(D4),저항(R8), 결합노드 에서 순방향으로 다이오드(D8),(D9)을 각각 직렬로 연결한후 하기"조임횟수 연산부"(60)의 NOT게이트(U14)의 출력단에 연결하고,다이오드(D8),(D9)의 결합노드에서 콘덴서(C17)를 (+)방향으로 연결하여 GND처리하고 또한 본 결합노드에서 NOT게이트 (U12)의 입력단자에 연결한후 NOT게이트(U12)의 출력단은 상기"제동부"(30)의 트랜지스터(Q2) 베이스단자에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외장 형 제어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LED 표시부"(50)은 전동드라이버의 동작 상태를 LED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써 저항(R30)는 상기"제어부"(40)의 저항(R7)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4) 게이트 의 결합노드에 연결하여 LED(V3) 녹색 LED입력단에 연결되고 NOT게이트(U15)의 입력단은 상기 동일 결합노드에 연결하고 출력단에는 저항(R31)이 직렬로 연결되어 LED(V4) 적색 입력단에 연결되고 LED(V3),(V4)의 각각의 출력단은 GND처리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조임횟수 연산부"(60)은 전동드라이버 조임 작업시 조임횟수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SW2)를 이용하여 임의의 횟수 1회에서 3회까지 선택할수 있게하는 것으로써 IC(U13)의 VSS와 CLK단자는 (+12V)에 연결 하고,ENA단자는 콘덴서(C18)를 연결한후 GND처리하고,RST단자는 저항(R26)을 연결 한후 GND처리하고,GND단자는 GND로 연결하고,Q1및 Q3단자는 각각 스위치(SW2)의 1번,3번 단자에 연결하고,Q2단자는 저항(R27)에 연결하여 이로써 IC(U13)의 외부단자의 연결을 완료되고, 콘덴서(C20)는 저항(R27)과 직렬로 연결하여 NOT게이트(U14)의 입력단에 연결하며,저항(R28)은 콘덴서(C20)과 저항(R27)의 결합노드에 연결한후 GND처리하고 스위치(SW2)COM단자는 상기 동일 결합노드에 연결하고 저항(R29)는 NOT게이트(U14)와 콘덴서(C20)의 결합노드에 연결한후 GND 처리 하고 NOT게이트(U14)의 출력단은 상기"제어부"(40)의 다이오드(D8)에 연결 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KR10-2002-0023176A 2002-04-26 2002-04-26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KR10047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176A KR100478121B1 (ko) 2002-04-26 2002-04-26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176A KR100478121B1 (ko) 2002-04-26 2002-04-26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455A KR20030084455A (ko) 2003-11-01
KR100478121B1 true KR100478121B1 (ko) 2005-03-24

Family

ID=3238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176A KR100478121B1 (ko) 2002-04-26 2002-04-26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1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080B1 (ko) * 2009-12-24 2016-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선회 전동기 구동용 인버터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947A (ko) * 1997-04-15 1998-11-16 윤종용 브러시리스 직류모터의 구동제어회로
KR19990004303U (ko) * 1997-07-01 1999-02-05 배섭 직류전동드라이버 제어장치
KR20000026535A (ko) * 1998-10-21 2000-05-15 정상건 전동 드라이버의 모터구동 및 순간정지 제어장치
KR20010003949A (ko) * 1999-06-26 2001-01-15 김득수 직류모터 구동장치의 제어회로
KR20030031382A (ko) * 2001-10-15 2003-04-21 오영준 전동 드라이버 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947A (ko) * 1997-04-15 1998-11-16 윤종용 브러시리스 직류모터의 구동제어회로
KR19990004303U (ko) * 1997-07-01 1999-02-05 배섭 직류전동드라이버 제어장치
KR20000026535A (ko) * 1998-10-21 2000-05-15 정상건 전동 드라이버의 모터구동 및 순간정지 제어장치
KR20010003949A (ko) * 1999-06-26 2001-01-15 김득수 직류모터 구동장치의 제어회로
KR20030031382A (ko) * 2001-10-15 2003-04-21 오영준 전동 드라이버 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455A (ko) 200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0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a parallel arc fault
EP1150410B1 (en) Solid state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ical apparatus
WO2018121727A1 (zh) 一种驱动控制电路及机器人
KR20040073741A (ko) 모터전원공급장치
US5571062A (en) Treadmill safety module
CN106803729A (zh) 自保护直流电机驱动电路及直流电动绞磨机
EP2811645B1 (en) Reverse rotation detection for power tool with brushless motor
KR100478121B1 (ko) 전동 드라이버 외장형 제어회로
CN109236697B (zh) 一种风机控制系统
CN219812091U (zh) 一种新型交流型无刷电机驱动器
CN219980672U (zh) 一种新型带显示的交流型无刷电机驱动器
US6765359B2 (en) Controlling device for AC/DC driven motor
JPH09322390A (ja) 過電圧保護回路
CN100454750C (zh) 无霍尔组件的直流无刷马达驱动装置
CN214958673U (zh) 一种断路器及其剩余电流保护电路
CN210949232U (zh) 一种风扇控制装置
CN210949231U (zh) 一种控速电路及风扇系统
JP3287167B2 (ja) 直流整流子モータの駆動回路
JP7238856B2 (ja) ファン制御装置および機器
CN216530540U (zh) 一种dc-dc电源输出异常保护装置
JPH0424954B2 (ko)
CN220539912U (zh) 风扇驱动电路及便携式风扇
CN213027880U (zh) 一种有刷直流电机堵转检测和保护装置
KR20040092929A (ko) 전동 드라이버 제어회로
KR20000026535A (ko) 전동 드라이버의 모터구동 및 순간정지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